KR100537131B1 -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 - Google Patents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131B1
KR100537131B1 KR10-2001-0039223A KR20010039223A KR100537131B1 KR 100537131 B1 KR100537131 B1 KR 100537131B1 KR 20010039223 A KR20010039223 A KR 20010039223A KR 100537131 B1 KR100537131 B1 KR 100537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tool
photographing
sub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2926A (ko
Inventor
박홍식
Original Assignee
박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식 filed Critical 박홍식
Priority to KR10-2001-0039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13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2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8Trick photography
    • G03B15/10Trick photography using back-projection, i.e. blending artificial background with real foregrou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37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이동, 좌우 각도조절이 가능한 촬영용스툴(10), 상기 촬영용스툴(10)의 좌우에 배설되고 다수의 주제배경을 형성하면서 배설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인파티션(20)과 서브파티션(30,40), 상기 메인파티션(20)과 서브파티션(30,40)을 배경으로 조명을 부여하는 다수의 조명장치(50,51,5,53,54. .), 상기 촬영용스툴(10) 상의 피촬영체를 상대적인 각도를 가지고 배설된 다수의 디지털카메라인 메인카메라(60)와 서브카메라(70,80)를 스튜디오(S) 상에 촬영유니트로서 구성하고, 상기 촬영유니트를 프랜차이징하는 다수의 가맹사업자(S)의 클라이언트(S2)와, 상기 프랜차이즈를 운용하는 주사업자(M)의 메인서버(S1)가 인터넷(I)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맹사업자(S)의 클라이언트(S2)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다수 매의 사진은 상기 주사업자(M)의 메인서버(S1)로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사진데이터중 상기 가맹사업자(S)의 고객(C)은 상기 주사업자(M)가 운용하는 웹사이트(W)에서 최적의 것을 선택하여 상기 가맹사업자(S)가 최종 현상, 출력하게 하여 사진을 배포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 franchising model using multi channel photographing system}
본 발명은 새로운 구성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새로운 구성과 모델의 촬영시스템을 제공함으로서 프랜차이즈사업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모델이 제공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국에 산재하여 있는 다수의 사진관, 포토스튜디오, 촬영소, 웨딩사진업체 등이 난립하여 있는 실정이다. 이는 촬영장비의 고급화와 사용인구의 증대로 인하여 필연적인 것으로서 생각되지만, 각각의 업체가 차별화된 내용없이 전통적인 사진기법을 사용하여 운영함으로서 경쟁의 격화에 따라서 수익성이 극히 낮은 실정이다.
특히, 해당 지역에서 지역주민을 상대로 하는 스튜디오의 경우의 경영난은 극심한 것으로서 알려지고 있다.
이는 다른 스튜디오 내지 사진관과 차별화된 제품없이 전통적인 사진촬영, 에를들면 증명사진, 인물사진 등의 촬영기법에 한정되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다수의 사진을 찍어 박한 이윤을 얻게 되는 운영상의 문제가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사진관 등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은 하기와 같다.
(1) 차별화된 사진관련 제품이 없음으로 인하여 새로운 수요의 창출이 어렵다.
(2) 독립된 사진관련 사업의 운용으로서 정보와 관리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3) 인물사진의 경우, 다수 매의 사진을 얻기 위하여 많은 시간을 투입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특히 특정한 대상, 예를들면 유아들의 ??사진 등의 경우 소비자가 원하는 수준의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을 유아들의 시선을 고정하고 사진을 찍기 위한 사전작업에 투입됨으로서 투입시간 대 수익성이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4) 종래의 방식에서는 일일이 찍은 사진을 소비자가 확인하고 이를 출력함으로서 소비자가 원하는 사진을 얻게 됨으로서 확인 및 출력과정에 많은 시간이 낭비되고 불요한 인화지의 낭비가 있었다.
상기하는 제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에서는 새로운 촬영방식과 함께 이를 온라인상에서 확인 및 사진 손택작업을 수행하게 함으로서 상술하는 제반의 불편성을 제거하고, 새로운 형태의 프랜차이즈 사업을 제공할 수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새로운 촬영시스템의 도입으로서 소비자에게 신선한 느낌을 부여함으로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에서는;
상하이동, 좌우 각도조절이 가능한 촬영용스툴,
상기 촬영용스툴의 좌우에 배설되고 다수의 주제배경을 형성하면서 배설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인파티션과 서브파티션,
상기 메인파티션과 서브파티션을 배경으로 조명을 부여하는 다수의 조명장치,
상기 촬영용스툴 상의 피촬영체를 상대적인 각도를 가지고 배설된 다수의 카메라인 메인카메라와 서브카메라를 스튜디오 상에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촬영기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에서는;
상하이동, 좌우 각도조절이 가능한 촬영용스툴, 상기 촬영용스툴의 좌우에 배설되고 다수의 주제배경을 형성하면서 배설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인파티션과 서브파티션, 상기 메인파티션과 서브파티션을 배경으로 조명을 부여하는 다수의 조명장치, 상기 촬영용스툴 상의 피촬영체를 상대적인 각도를 가지고 배설된 다수의 디지털카메라인 메인카메라와 서브카메라를 스튜디오 상에 촬영유니트로서 구성하고,
상기 촬영유니트를 프랜차이징하는 다수의 가맹사업자의 클라이언트와, 상기 프랜차이즈를 운용하는 주사업자의 메인서버가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맹사업자의 클라이언트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다수 매의 사진은 상기 주사업자(M)의 메인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사진데이터중 상기 가맹사업자의 고객은 상기 주사업자가 운용하는 웹사이트에서 최적의 것을 선택하여 상기 가맹사업자가 최종 현상출력하게 하여 사진을 배포하게 하는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을 제공한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의 기본적인 구성개념과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에 적용되는 새로운 구성의 촬영시스템을 설명하는 평면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에 사용되는 선출원의 스툴장치의 사시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의 바람직한 운용을 설명하는 온라인 상의 하드웨어적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가 온라인화된 상태에서의 예시적인 웹사이트의 구성에서 가맹점 별 접속구성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사이트구성도와 고객이 가맹점에서 촬영한 사진의 선택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의 작업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은 특유의 촬영시스템과 결합한 구성을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으로 결합하여 운용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온라인 상에서 구동될 수있음을 도시하고 설명한다.
도 1 과 본 출원인이 선출원 특허출원 2001-24879 호로 출원한 본 발명에 적용하기 위한 촬영용스툴(10)을 함께 설명한다.
도 2 의 촬영용스툴(10)은 그 내방에 선출원한 내용과 같이 그 내방에 원격조절장치(11)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 및 좌우로 회동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좌대(12)와 본체(13) 및 도시하지 아니하는 그 내방의 작동부재로서 구성된다. 이 촬영용스툴(10)은 본 발명에 적용되어 전체 시스템을 구성한다.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은 스튜디오(S)의 중앙부에 촬영용스툴(10)을 안치하여 그 상방에 피촬영자(도시하지 않음)가 앉게 되고 그 후방에는 배경을 가지는 메인파티션(20)을, 좌우측에는 역시 메인파티션(20)과 협동하여 전체 배경을 구성하는 서브파티션(30,40)이 배설된다.
이 메인파티션(20)과 서브파티션(30,40)은 상호 협동하여 특정한 주제의 배경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예를 들면, 야외풍경, 특정관광지의 배경, 야간배경 등의 일련의 주제로서 형성되고, 이러한 주제는 기히 다수 개로서 설정구성된다.
메인파티션(20)과 서브파티션(30,40)은 도시하지 아니하는 천장의 서스펜션장치, 레일장치 등으로 특정한 주제를 선택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변경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즉 메인파티션(20)과 서브파티션(30,40)은 미리 주제에 따라서 채색되고 도안된 형상이 천장의 가드레일 상에 다수 개 매달려 있고 설정하는 주제에 따라서 수동 또는 자동구동구성을 구비하여 해당하는 주제의 메인파티션(20)과 서브파티션(30,40)이 전면으로 나오게 구성한다.
이러한 베경구성에 부가하여 피촬영자에게 조명을 부여하는 다수의 조명장치(50,51,5,53,54. .)를 통상적인 조명 장치로서 구비한다.
또한 촬영장치로서는 디지털카메라를 다수개 구비하는 것으로서 메인카메라(60)와 양측의 서브카메라(70,80)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메인카메라(60)와 서브카메라(70,80)는 피촬영체에 대하여 입체화면을 구성할 수 있고 동시에 다수 매의 사진을 촬영할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스튜디오(S) 내에서는 촬영자가 촬영용스툴(10) 상의 피촬영자를 상하 또는 좌우 각도조절하여 가면서 특정 주제의 배경을 구성하는 메인파티션(20)와 서브파티션(30,40)의 배경화면이 들어가는 다수매의 사진을 메인카메라(60)와 서브카메라(70,80)를 이용하여 얻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종래의 수작업으로서 촬영하던 방법에 비하여 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메인카메라(60)와 서브카메라(70,80)의 디지털영상의 결합으로 입체영상을 얻을 수 있게 하여 준다.
복합적인 디지털영상으로 입체영상을 얻게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는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의 상세한 기법은 설명하지 아니한다. 메인카메라(60)와 서브카메라(70,80)의 복수 개의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서 얻게 되는 다른 장점은 한번의 촬영으로서 각각 다른 각도에서 보는 다 수매의 사진을 얻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촬영이 가능하고 피촬영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자연스러운 사진을 얻을 수 있다는 데에 있다.
이는 특히 특정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운 영아나 유아를 촬영함에 있어서 대단히 유용한 수단이 아닐 수없다.
상기하는 구성으로서 운용되는 모델을 사업화하는 하나의 예가 도 3 내지 5 에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의 주된 사업자가 주사업자(M)의 메인서버(S1)는 인터넷(I) 등의 온라인으로 가맹점이 되는 각 지역의 프랜차이지인 가맹사업자(S)의 개인용컴퓨터 등의 클라이언트(S2)와 연결된다.
각각의 가맹사업자(S)는 주사업자(M)와이 계약에 의하여 디지털카메라 등의 장비와 메인파티션(20), 서브파티션(30,40)의 주제별모음, 촬영용스툴(10), 촬영기법매뉴얼 등의 일체의 장비 및 기술을 이전받는 가맹사업자가 되고,
주사업자(M)와 가맹사업자(S)의 메인서버(S1)와 클라이언트(S2)는 상호 데이터적으로 통신을 할 수잇고 따라서 주사업자(M)의 메인서버(S1)는 데이터베이스 및 그를 구동하는 제어프로그램 등이 내장된다.
주사업자(M)는 웹사이트(W)를 구성하여 각각의 가맹사업자(S)가 클라이언트(S2)를 이용하여 인터넷(I)을 통하여 접속하게 되면 아이디 등의 접속수단을 부여하여 접속하게 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주사업자(M)는 자신의 웹사이트(W)에 가맹사업자(S)의 데이터영역을 설정하여 주고 가맹사업자(S)가 촬영한 사진을 저장할 수있게 한다.
또한, 주사업자(M)의 웹사이트(W)에는 가맹사업자(S)의 실제적인 고객(C)들이 접속할 수 있고, 통상적인 로그인절차를 통하여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접속상태에서 고객(C)은 자신이 가맹사업자(S) 찍은 다수 매의 사진 중에 마음에 드는 소수의 사진만을 선택할 수 있고, 이러한 선택된 데이터는 가맹사업자(S)의 클라이언트(S2)로 전송되어 가맹사업자(S)는 최종출력하여야 하는 사진을 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 의 상방 도면에서와 같이,
다수의 컨텐츠(CT)와 메인메뉴(MENU)를 가지는 웹사이트(W) 상에서 고객(C)은 가맹사업자(S)에서 부여하는 접속아이디로서 로그인과정을 통하여 자기가 사진을 촬영한 가맹사업자(S)를 전국 각지역의 다수의 가맹사업자(S1,2,3,4,.)에서 선택하여 접속하고,
도 4 의 하방 도면에서와 같이, 자신의 데이터영역(R)에 접속하여 촬영한 사진의 디지털샘플 (P1,P2,P3. .) 중에서 선택하게 된다.
선택된 사진은 가맹사업자(S)의 클라이언트(S2)로 전송되어 가맹사업자(S)는 출력하여야 하는 사진을 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 의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의 작업흐름도를 설명한다.
가맹사업자(S)가 촬영(100)한 사진을 자신의 클라이언트(S2)로 입력(110)하여 주사업자(M)의 메인서버(S1)로 전송(120)하고, 이 전송된 사진데이터는 주사업자(M)의 메인서버(S1)의 고객데이터영역(R)에 저장(130)된다.
고객(C)은 주사업자(M)의 메인서버(S1)에 접속(140)하여, 자신이 소망하는 사진을 선택(150)하게 되면, 이 데이터는 다시 클라이언트(S2)로 전송(160)되어 가맹사업자(S)는 최종적으로 출력(170)하여 배달 또는 직접 수령 등의 방법으로 사진을 고객(C)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주사업자(M)는 가맹사업자(S)에게 최신의 촬영기법이나 다양한 기술적인 노우하우를 전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은 상기하는 구성으로서 새로운 시스템의 다중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장비와 운용모델을 제공함으로서 신규한 수요의 창출과 용이한 창업을 가능하게 한다.
부수적인 효과는 소비자는 새로운 유형의 사진을 얻을 수 있고 종래 자신의 사진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진관을 방문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러움을 제거할 수 있으며, 1 회의 촬영으로 다수 매의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을 얻을 수 있어 촬영시간을 단축하고 입체영상 등의 다양한 부가적인 서비스를 수행할 수있게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에 적용되는 새로운 구성의 촬영시스템을 설명하는 평면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에 사용되는 선출원의 스툴장치의 사시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의 바람직한 운용을 설명하는 온라인 상의 하드웨어적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가 온라인화된 상태에서의 예시적인 웹사이트의 구성에서 가맹점 별 접속구성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사이트구성도와 고객이 가맹점에서 촬영한 사진의 선택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의 작업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촬영용스툴
20: 메인파티션
30,40: 서브파티션
50,51,5,53,54. .: 조명장치
60: 메인카메라
70,80: 서브카메라
S: 스튜디어

Claims (2)

  1. 삭제
  2. 상하이동, 좌우 각도조절이 가능한 촬영용스툴(10), 상기 촬영용스툴(10)의 좌우에 배설되고 다수의 주제배경을 형성하면서 배설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인파티션(20)과 서브파티션(30,40), 상기 메인파티션(20)과 서브파티션(30,40)을 배경으로 조명을 부여하는 다수의 조명장치(50,51,5,53,54. .), 상기 촬영용스툴(10) 상의 피촬영체를 상대적인 각도를 가지고 배설된 다수의 디지털카메라인 메인카메라(60)와 서브카메라(70,80)를 다수의 가맹사업자(S)의 스튜디어(S) 상에 가지는 표준 촬영유니트로서 구성하고,
    상기 촬영유니트를 프랜차이징하는 다수의 가맹사업자(S)의 클라이언트(S2)와,
    상기 프랜차이즈를 운용하는 주사업자(M)의 메인서버(S1)가 인터넷(I)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맹사업자(S)의 클라이언트(S2)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다수 매의 사진은 상기 주사업자(M)의 메인서버(S1)로 전송되고,상기 전송된 사진데이터중 상기 가맹사업자(S)의 고객(C)은 상기 주사업자(M)가 운용하는 웹사이트(W)에서 최적의 것을 선택하여,
    상기 가맹사업자(S)가 최종 현상출력하게 하여 사진을 배포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
KR10-2001-0039223A 2001-07-02 2001-07-02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 KR100537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223A KR100537131B1 (ko) 2001-07-02 2001-07-02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223A KR100537131B1 (ko) 2001-07-02 2001-07-02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926A KR20030002926A (ko) 2003-01-09
KR100537131B1 true KR100537131B1 (ko) 2005-12-16

Family

ID=2771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223A KR100537131B1 (ko) 2001-07-02 2001-07-02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1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2659A (en) * 1981-07-20 1983-02-08 Tadahiro Ogawa Apparatus for taking a continuous photograph of the exterior of an article
US4835563A (en) * 1986-11-21 1989-05-30 Autostudio Corporation Electronic recording camera with front projector
US4941041A (en) * 1989-04-11 1990-07-10 Kenyon Keith E Pulfrich illusion turntable
KR20000024684A (ko) * 2000-02-29 2000-05-06 마정열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 전단지 제작 시스템
KR20000058249A (ko) * 1999-12-30 2000-10-05 이용호 이미지파일 전송 시스템 및 방법과 상기 시스템 및 방법을이용한 프랜차이즈 서비스
KR20010068139A (ko) * 2001-04-27 2001-07-13 전성훈 오픈 스튜디오를 이용한 기업 ir, pr 및 제품홍보방법 및 그 운영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2659A (en) * 1981-07-20 1983-02-08 Tadahiro Ogawa Apparatus for taking a continuous photograph of the exterior of an article
US4835563A (en) * 1986-11-21 1989-05-30 Autostudio Corporation Electronic recording camera with front projector
US4941041A (en) * 1989-04-11 1990-07-10 Kenyon Keith E Pulfrich illusion turntable
KR20000058249A (ko) * 1999-12-30 2000-10-05 이용호 이미지파일 전송 시스템 및 방법과 상기 시스템 및 방법을이용한 프랜차이즈 서비스
KR20000024684A (ko) * 2000-02-29 2000-05-06 마정열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 전단지 제작 시스템
KR20010068139A (ko) * 2001-04-27 2001-07-13 전성훈 오픈 스튜디오를 이용한 기업 ir, pr 및 제품홍보방법 및 그 운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926A (ko) 200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9659B2 (ja) 写真・動画像提供システム
JP5278840B1 (ja) 写真撮影遊戯システム、サーバ、画像提供方法及び画像提供プログラム。
JP2014145835A (ja) 写真システム
JP6418444B2 (ja) 写真シール作成装置および画像提供方法
US201003215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KR100537131B1 (ko) 다중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프랜차이즈운용모델
JP2015179480A (ja) 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JP2016115992A (ja) 写真撮影遊戯装置、写真シール作成装置、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写真撮影遊戯装置の制御方法、及び写真撮影遊戯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928627B2 (ja) 管理装置および管理装置の制御方法
TWI223202B (en) Separate type image print supplying apparatus
JP5673883B1 (ja) 写真シール作成装置および写真シール作成方法
JP6256559B2 (ja) 写真撮影遊戯装置、写真撮影遊戯装置の制御方法、及び写真撮影遊戯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5211461A (ja) 写真シール作成装置および写真シール作成方法
JP5790812B2 (ja) 写真シール作成装置および写真シール作成方法
JP6035488B2 (ja) 写真撮影遊戯装置、写真撮影遊戯装置の制御方法、及び写真撮影遊戯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349824B2 (ja) 画像管理システム、管理サーバ、画像評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870431B2 (ja) 写真撮影遊戯機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223531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183721B2 (ja) 写真撮影遊戯機、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7410367B2 (ja) サーバ、確率の算出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364799B2 (ja) 証明写真作成装置および証明写真作成方法
JP6955139B2 (ja) 通信端末、通信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管理装置、管理装置の制御方法
JP6369444B2 (ja) 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JP200110344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13246815A (ja) 写真撮影遊戯システム、サーバ、画像提供方法及び画像提供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