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073B1 - 다기능 시료 혼합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시료 혼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073B1
KR100537073B1 KR10-2004-0020831A KR20040020831A KR100537073B1 KR 100537073 B1 KR100537073 B1 KR 100537073B1 KR 20040020831 A KR20040020831 A KR 20040020831A KR 100537073 B1 KR100537073 B1 KR 100537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rotational force
hole
samp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5427A (ko
Inventor
유수상
김재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린바이오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린바이오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린바이오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04-0020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073B1/ko
Publication of KR20050095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20Mixing the contents of independent containers, e.g. test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3Mixing of laboratory samples e.g. in preparation of analysing or testing properties of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료를 혼합·반응시키는 혼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락커(Rocker)의 기능과 쉐이커(Shaker)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각 기능을 조합하여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시료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응용기 내의 시료를 혼합·반응시키기 위한 혼합기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제1 구동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모터, 상기 제1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수직운동으로 전환하며, 시료의 반응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반응조절구, 상기 제1 반응조절구의 수직운동을 전달받아 하부에 결합된 힌지구에 의해 시소운동하는 제1 반응플레이트가 구비된 락커부; 및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제2 구동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모터, 상기 제2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시료의 반응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반응조절구, 상기 제2 반응조절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 구동축에 대해 편심회전하는 제2 반응플레이트가 구비된 쉐이커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시료 혼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기능 시료 혼합기{multifunctional sample mixer}
본 발명은 시료를 혼합·반응시키는 혼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락커(Rocker)의 기능과 쉐이커(Shaker)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각 기능을 조합하여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시료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화학 분야에서 이용되는 혼합기는 시료 또는 약품을 혼합·반응시키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시료혼합기는 2개 이상의 반응물을 수용한 실험용기를 쉐이킹하거나 락킹하여 반응물을 계속적으로 교반함으로써 최종 혼합물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혼합기의 구성에 대하여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종래 시료 혼합기에 있어, 락커(Rocker)형 시료 혼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락커형 시료 혼합기(500)는 본체(510)의 상부면에 시소운동을 수행하는 수용판(52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수용판(520)은 그 하부면 일단에 승,하강실린더(5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기존의 락커형 시료 혼합기(500)는 상기 승,하강실린더(5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용판(520)을 시소운동시켜 수용판(520)에 놓인 반응용기(570)내의 반응물을 혼합·반응시킨다.
도 1b는 종래의 시료 혼합기에 있어, 쉐이커(Shaker)형 시료 혼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쉐이커형 시료혼합기(600)는 본체(610)의 내부에 구동축(640)이 설치된 구동모터(미도시)가 내설되고, 이 구동축(640)의 일단에는 연결편(650)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연결편(650)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축(640)과 편심된 구조를 갖는 연결축(66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축(660)의 상부에는 베어링하우징(670)에 수용된 베어링(미도시)이 연결되며, 이러한 베어링하우징(670)의 상부에는 수용판(620)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쉐이커형 시료 혼합기(600)는 상기 구동축과 편심되게 결합된 상기 연결축(660)이 편심회전하며 상기 수용판(620)을 편심회전 운동시켜 수용판(620)에 설치된 반응용기(570)내의 반응물을 혼합·반응시킨다.
하지만, 기존의 락커형 시료 혼합기와 쉐이커형 시료 혼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락커형 시료 혼합기의 수용판은 시소운동을 수행하며 반응용기의 반응물을 혼합하고, 쉐이커형 시료 혼합기의 수용판은 편심회전운동을 수행하면서 반응용기의 반응물을 혼합하기 때문에 반응용기의 종류 또는 시료의 종류별로 그 사용범위에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락커형 또는 쉐이커형 시료 혼합기를 모두 구비해야하므로 경제적인 부담과 함께 각각의 시료 혼합기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반응용기의 종류 또는 시료의 종류별로 그 사용범위에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종류의 반응용기 및 시료를 단일형태 시료 혼합기를 통해 혼합·반응할 경우, 혼합·반응속도가 늦어져 실험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락커나 쉐이커의 왕복운동 주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쉐이커의 경우 받침부재가 연질의 고무관으로 되어 있어, 중량이 큰 시료의 쉐이킹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락커(Rocker)의 기능과 쉐이커(Shaker)의 기능 및 두 기능을 조합하여 시료를 혼합할 수 있는 다기능 시료 혼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기능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수행하므로써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공간활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시료 혼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커와 쉐이커의 운동특성을 조합하여 빠르게 시료를 혼합·반응시키기 때문에 실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다기능 시료 혼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커나 쉐이커의 왕복운동주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반응조절구를 갖는 다기능 시료 혼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분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량이 큰 시료의 교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기능 시료 혼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응용기 내의 시료를 혼합·반응시키기 위한 혼합기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제1 구동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모터, 상기 제1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수직운동으로 전환하며, 시료의 반응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반응조절구, 및 상기 제1 반응조절구의 수직운동을 전달받아 하부에 결합된 힌지구에 의해 시소운동하는 제1 반응플레이트를 구비한 락커부; 및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제2 구동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모터, 상기 제2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시료의 반응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반응조절구, 및 상기 제2 반응조절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 구동축에 대해 편심회전하는 제2 반응플레이트가 구비된 쉐이커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시료 혼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반응조절구는 상기 제1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운동하며, 일측에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조인트부; 상기 조인트부에 일측이 접하고 타측이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에 결합되며, 내부에 서로 다른 내경을 갖으며 연통하는 제1 가이드홈과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이동베어링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연결편의 타측면에는 덮개가 체결되며, 상기 덮개의 내부에는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된 연결편; 및 상기 조인트부와 연결편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하부에 고정링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의 하면에 제1 톱니들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링의 외주연에 복수개의 제1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과 대칭을 이루며, 상부에 회전링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의 상면에 제2 톱니들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링의 외주연에 복수개의 제2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스프링이 설치된 연결축; 상기 지지축의 일측이 관통되도록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 안내관; 및 상기 상부 안내관과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연결축이 관통되도록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주연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의 하방에 복수개의 결착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돌출편의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결착돌출편과 결착돌출편 사이에 안내홈이 일체로 형성된 하부 안내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반응조절구는 상기 제2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며, 내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하는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회동체; 상기 회동체의 가이드홈을 따라 수평운동하며, 하부에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결합축이 일체로 형성된 이동체; 및 상기 회동체의 각 결합공과 이동체의 연결공을 관통하여 각 결합공과 볼트 체결되며, 중앙부에 상기 이동체의 연결공에 삽입되는 연결봉이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조절손잡이가 결합된 조절나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시료 혼합기(100)는 몸체(101), 락커부(102) 및 쉐이커부(10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101)는 그 하면에 베이스플레이트(112)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의 상부에는 일측과 상부가 개방된 돌출편(114)이 연장 형성된다.
한편, 상기 락커부(102)는 제1 구동모터(120), 제1 반응조절구(130), 제1 반응플레이트(150) 및 힌지구(15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동모터(120)는 상기 몸체(101)에 내설되며, 그 일측에 제1 구동축(121)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1 구동모터(12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이 발생하여 상기 제1 구동축(121)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다기능 시료 혼합기의 제1 반응조절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반응조절구(130)는 그 일측과 타측이 제1 구동축(121; 도3 참조)과 제1 반응플레이트(150)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반응조절구(130)는 조인트부(131), 연결편(132) 및 연결부재(1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부(131)는 일측이 상기 제1 구동축(121)에 결합되고, 그 타측에는 복수개의 삽입공(131a)들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인트부(131)는 제1 구동축(121)에 의해 제1 구동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또한, 상기 연결편(132)은 일측이 상기 조인트부(131)에 접하고, 그 타측이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편(132)은 그 후면 내부에 제1 가이드홈(133a)이 형성되고, 그 전면 내부에 상기 제1 가이드홈(133a)과 연통되는 삽입홈(13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134)에는 이동베어링(136)이 삽입되어 상기 삼입홈(134)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132)은 그 일측 상부에 상기 연결편(132)을 상·하로 관통되도록 체결공(137)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편(132)은 체결공(137)을 관통하는 체결핀(138)에 의해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의 일측 모서리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34)은 그 외측에 덮개(135)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덮개(135)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홈(133a)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제2 가이드홈(133b)이 형성된다.
도 5는 도 4의 제1 반응조절구에 있어, 연결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40)는 일측이 상기 제2 가이드홈(133b), 이동베어링(136) 및 제1 가이드홈(133a)을 관통하여 상기 조인트부(131)의 삽입공(131a)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부재(140)는 지지축(141a), 연결축(141b) 및 상·하부안내관(146a,146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141a)은 그 하부에 고정링(14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링(142a)의 하면에는 제1 톱니(143a)들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링(142a)의 주연에는 복수개의 제1 걸림턱(144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축(141b)은 상기 지지축(141a)의 하방에서 상기 지지축(141a)과 대칭을 이루며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축(141b)의 상부에는 회전링(142b)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141b)의 외주연에는 스프링(14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링(142b)의 상면에는 제2 톱니(143b)들이 형성되며, 그 외주연에는 복수개의 제2 걸림턱(144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안내관(146a)은 그 상부에 제1 관통공(147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관통공(147a)에는 상기 지지축(141a)의 일측이 관통하여 이동한다.
또한, 상기 상부안내관(146a)과 볼트 체결되는 하부안내관(146b)은 그 하부에 제2 관통공(147b)이 형성되고, 그 내주연 상부에는 삽입된 상기 고정링(142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조(14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조(148)의 하방에는 복수개의 결착돌출편(149)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돌출편(149)의 하부에는 경사면(149")가 형성되며, 결착돌출편(149)과 결착돌출편(149) 사이에는 안내홈(149')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톱니(143a)들과 제2 톱니(143b)들은 상기 제1 걸림턱(144a)과 제2 걸림턱(144b)이 안내홈(149')에 위치시 서로 어긋나 있으며, 상기 안내홈(149')을 빠져나오면 회전링(142b)의 제2 톱니(143b)가 고정링(142a)의 제1 톱니(143a)에서 미끄러지면서 회전링(142b)이 회전하여 서로 맞물린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141a)을 밀어 고정링(142a)과 회전링(142b)이 안내홈(149')의 아래쪽까지 내려가면, 상기 연결축(141b)의 일측이 제2 관통공(147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링(142b)은 스프링(145)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링(142b)의 제2 톱니(143b)는 고정링(142a)의 제1 톱니(143a)에서 미끄러지며 소정각도 회전한다. 이와 같이 회전링(142b)이 회전하면 회전링(142b)의 제2 걸림턱(144b)이 상기 안내홈(149')과 어긋나게 된다.
이상태에서 상기 지지축(141a)을 놓으면 스프링(145)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축(141a)은 상승하고, 연결축(141b)은 제2 걸림턱(144b)이 결착돌출편(149)에 걸려 상승을 멈추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축(141b)도 상승을 멈추어 그 일측이 제2 관통공(147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2 걸림턱(144b)은 그 상부가 상기 결착돌출편(149)의 경사면(149")을 따라 미끄러져 소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제1 톱니(143a)와 제2 톱니(143b)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놓인다.
또한, 상기 지지축(141a)을 다시 밀면 고정링(142a)은 안내홈(149')의 아래쪽까지 내려가서 회전링(142b)을 밀어낸다. 이때, 회전링(142b)은 그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145)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링(142b)의 제2 톱니(143b)가 고정링(142a)의 제1 톱니(143a)에서 선회한다. 이와 같이 회전링(142b)이 선회하면 회전링(142b)의 제2 걸림턱(144b)이 상기 하부안내관(146b)의 안내홈(149')과 일직선 상태가 되어 제2 걸림턱(144b)이 안내홈(149')을 따라 하부안내관(146b)의 내측 상부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축(141b)은 그 일측이 하부안내관(146b)의 외부로 돌출시 상기 조인트부(131)의 삽입공(131a)에 삽입된다. 이때, 그 삽입 위치에 따라서 상기 연결편(132)이 수직운동시 그 높이를 조절하여 시료의 반응속도를 조절한다. 즉, 조인트부(131)의 중심에 인접한 삽입공(131a)에 연결축(141b)의 일측을 삽입하면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의 경사각도가 낮아져 반응속도가 지연되고, 조인트부(131)의 중심과 떨어진 삽입공(131a)에 연결축(141b)의 일측을 삽입하면 제1 반응플레이트(150)의 경사각도가 높아져 반응속도가 빨라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는 내측에 반응용기(570)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모서리 일측에는 상기 제1 반응조절구(130)의 연결편(132)이 체결되어 상기 연결편(132)의 수직운동을 전달받는다.
또한, 상기 힌지구(151)는 그 상부가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에 체결되고, 그 일측면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의 돌출편(114)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상기 힌지구(151)는 제1,2 베어링하우징(152a,152b), 제1,2 베어링(153a,153b), 제1,2 체결축(154a,154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베어링하우징(152a)은 내부에 제1 베어링(153a)이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베어링하우징(152a)은 그 상면이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의 일측 하면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베어링하우징(152a)의 일측면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의 일측 돌출편(114)에 제1 체결축(154a)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베어링하우징(152b)은 상기 제1 베어링하우징(152a)과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제2 베어링(153b)이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 베어링하우징(152b)은 그 상면이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의 타측 하면에 체결되고, 상기 제2 베어링하우징(152b)의 타측면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의 타측 돌출편(114)에 제2 체결축(154b)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구(151)는 제1 반응조절구(130)에서 전달받은 제1 반응플레이트(150)의 수직운동을 시소운동으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상기 락커부(102)는 제1 반응플레이트(150)에 놓여 있는 반응용기(570)내의 시료를 시소운동을 통해 혼합한다.
한편, 상기 쉐이커부(106; 도 3참조)는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2 반응플레이트(180)를 편심회전 운동시켜 시료를 혼합한다. 이와 같은 상기 쉐이커부(106)는 제2 구동모터(160), 제2 반응조절구(170) 및 제2 반응플레이트(18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 구동모터(160)는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의 하부에 모터하우징(163)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모터(160)의 일측에는 제2 구동축(161)이 설치되며, 상기 제2 구동축(161)의 일단에는 상기 제2 구동축(161)과 수직을 이루는 피동축(162)이 교차축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피동축(162)은 그 일측이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2 구동모터(160)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2 구동모터(160)에 회전력이 발생하여 제2 구동축(161)과 피동축(162)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 구동모터(160)가 상기 피동축(162)에 직결되도록 결합되어도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의 제2 반응조절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반응조절구(170)는 그 하부에 상기 피동축(162)이 결합되어 상기 피동축(162)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이와 같은, 상기 제2 반응조절구(170)는 회동체(171), 조절나사(174) 및 이동체(17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동체(171)는 그 하부에 상기 피동축(162)이 결합되어 회전운동한다. 상기 회동체(171)는 그 내측에 가이드홈(172)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172)과 연통되는 결합공(173)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173)은 내주연에 너트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나사(174)는 그 양측 외주연에 상기 결합공(173)의 너트부와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는 연결봉(175)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나사(174)는 그 양측에 조절손잡이(176)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나사(174)는 상기 회동체(171)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공(173)을 통해 상기 회동체(171)를 관통하여 볼트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177)는 그 하부 측면에 연결공(178)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결합축(179)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나사(174)의 연결봉(175)은 상기 연결공(178)에 삽입되고, 이와 같이 삽입된 연결봉(175)의 양측면에 너트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나사(174)를 회전시 상기 조절나서(174)는 결합공(173)을 따라 수평이동하며, 상기 연결봉(175)은 연결공(178)내에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체(177)는 상기 가이드홈(172)내에서 수평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나사(174)를 회전시켜 이동체(177)가 피동축(162)의 중심에 인접하면 상기 이동체(177)의 회전반경이 좁아져 반응속도가 지연되고, 상기 피동축(162)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면 이동체(177)의 회전반경이 넓어져 반응속도가 빨라진다.
한편, 상기 제2 반응플레이트(180)는 내측에 반응용기(570)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제2 반응조절구(170)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반응조절구(17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이와 같은, 제2 반응플레이트(180)의 하부에는 베어링하우징(181)이 체결되고, 그 내부에는 베어링(183)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183)의 내측에는 상기 제2 반응조절구(170)의 결합축(179)이 삽입되는 연결공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체(171)가 회전시 이동체(177)를 피동축(162)과 편심되도록 하면, 상기 제2 반응플레이트(180)는 피동축(162)을 중심으로 소정반경의 원을 그리며 편심회전하며, 반응용기(570)내의 시료를 혼합한다. 이때, 상기 이동체(177)의 결합축(179)은 상기 베어링(183)내에서 자전한다.
한편,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는 그 상면 모서리부에 제1 고정편(191a)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 반응플레이트(180)의 하면 모서리부에는 제2 고정편(191b)이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고정편(191a)과 제2 고정편(191b)은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며, 제1 고정편(191a)과 제2 고정편(191b) 사이에는 탄성튜브(193)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기능 시료 혼합기의 작용 및 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에 있어, 락커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시료 혼합기를 락커기능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쉐이커부(106; 도 3참조)를 분리한 후,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에 시료가 담긴 반응용기(570)를 놓는다. 이상태에서 상기 제1 구동모터(120)를 작동시키면, 제1 구동축(121) 및 상기 제1 구동축(121)에 결합된 제1 반응조절구(130)의 조인트부(131)가 회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조인트부(131)가 회전하면 상기 조인트부(131)와 연결부재(140)에 의해 연결된 연결편(132)이 상기 조인트부(131)의 회전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40; 도 5참조)는 그 일측이 연결편(132)의 제1,2 가이드홈(142a,142b)을 관통하여 조인트부(131)의 타측에 형성된 삽입공(131a)에 삽입되는데, 그 삽입 위치에 따라 제1 반응플레이트(15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반응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조인트부(131)의 중심에 인접한 삽입공(131a)에 연결부재(140;도 5참조)의 연결축(141b)을 삽입하면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의 경사각도가 낮아져 반응속도가 지연되고, 조인트부(131)의 중심에서 떨어진 삽입공(131a)에 연결부재(140)의 연결축(141b)을 삽입하면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의 경사각도가 높아져 반응속도가 빨라진다.
또한, 상기 연결편(132)으로 부터 수직운동을 전달받은 제1 반응플레이트(150)는 그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구(151)에 의해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의 수직운동을 시소운동으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는 시소운동하며 반응용기(570)내의 시료를 혼합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다기능 시료 혼합기에 있어, 쉐이커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쉐이커기능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락커기능을 정지시킨 후, 상기 제2 반응플레이트(180)에 시료가 담긴 반응용기(570)를 놓는다.
이상태에서 제2 구동모터(160)를 작동하여 제2 구동축(161)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2 구동축(161)과 교차축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피동축(162) 및 상기 피동축(162)의 상부에 결합된 회동체(171)가 동시에 회전한다. 이때 상기 피동축(162)와 편심되게 위치하는 이동체(177)는 편심회전한다.
이때, 상기 이동체(177)는 조절나사(174)를 이용하여 수평이동하는데, 상기 조절나사(174)를 회전하여 이동체(177)를 피동축(162)의 중심에 인접하도록 하면 상기 이동체(177)의 회전반경이 좁아지고, 다시 조절나사(174)를 역회전하여 이동체(177)를 피동축(162)의 중심에 떨어지게 하면 이동체(177)의 회전반경이 넓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나사(174)를 이용하여 회전반경을 조절함으로써, 시료의 반응 속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체(177)의 결합축(179)은 베어링하우징(181)의 내부에 삽입된 베어링(183)에 연결되어, 상기 베어링(183)내에서 자전한다. 이때, 상기 베어링하우징(181)은 제2 반응플레이트(18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체(177)를 따라 제2 반응플레이트(180)가 편심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반응플레이트(180)는 소정반경의 원을 그리며 편심회전하여 반응용기(570)내의 시료를 혼합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에 있어, 락커부와 쉐이커부가 조합하여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커기능과 쉐이커기능을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 반응플레이트(150)에 시료가 담긴 반응용기(570)를 놓은 후,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1 구동모터(120)와 제2 구동모터(160)를 동시에 작동하여 락커부(102)와 쉐이커부(106)를 동시에 구동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기능 시료 혼합기(100)는 락커의 및 쉐이커의 기능뿐만 아니라 두 기능을 조합하여 빠르게 시료를 혼합함으로써, 실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는 빠르게 시료를 혼합하여 실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혼합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에 있어, 가이드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여기서, 상기 제1 실시예의 다기능 시료 혼합기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시료 혼합기(200)는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와 제2 반응플레이트(180)의 사이에 가이드구(21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구(210)는 X축가이드구(211a)와 Y축 가이드구(211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X축가이드구(211a)는 한쌍의 제1 X축가이드프레임(212a), 한쌍의 제2 X축가이드프레임(214a),제1 볼고정편(216a) 및 볼(219)이 구비된다.
상기 한쌍의 제1 X축가이드프레임(212a)은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의 상부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가이드(G)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X축가이드프레임(212a)은 그 양단 내측에 제1 X축장홈(213a)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X축장홈(213a)은 상기 제1 X축가이드프레임(212a)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쌍의 제2 X축가이드프레임(214a)은 상기 제1 X축가이드프레임(212a)의 내측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 X축가이드프레임(214a)은 그 양단 외측에 제2 X축장홈(215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X축장홈(215a)은 상기 제2 X축가이드프레임(214a)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볼고정편(216a)은 상기 제2 X축장홈(215a)에 소정간격을 이루며 복수개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볼고정편(216a)은 그 내측에 복수개의 제1 볼삽입홈(217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볼삽입홈(217a)에는 볼(219)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볼고정편(216a)이 설치된 총길이는 상기 제2 X축장홈(215a)의 길이보다 짧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 X축가이드프레임(214a)은 볼(219)이 상기 제1 X축장홈(213a)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이와 동시에 제1 X축가이드프레임(212a)의 내측에서 소정길이 슬라이딩한다.
또한, 상기 Y축가이드구(211b)는 한쌍의 제1 Y축가이드프레임(212b), 한쌍의 제2 Y축가이드프레임(214b),제2 볼고정편(216b) 및 볼(219)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쌍의 제1 Y축가이드프레임(212b)은 상기 제2 X축가이드프레임(214a)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이루며 격자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Y축가이드프레임(212b)은 그 양단 내측에 제1 Y축장홈(213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Y축장홈(213b)은 상기 제1 Y축가이드프레임(212b)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쌍의 제2 Y축가이드프레임(214b)은 상기 제1 Y축가이드프레임(212b)의 내측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 Y축가이드프레임(214b)은 그 양단 외측에 제2 Y축장홈(215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Y축장홈(215b)은 상기 제2 Y축가이드프레임(214b)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볼고정편(216b)은 상기 제2 Y축장홈(215b)에 소정간격을 이루며 복수개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 볼고정편(216b)은 그 내측에 복수개의 제2 볼삽입홈(217b)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볼삽입홈(217b)에는 볼(219)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볼고정편(216b)이 설치된 총길이는 상기 제2 Y축장홈(215b)의 길이보다 짧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 Y축가이드프레임(214b)은 볼(219)이 상기 제1 Y장홈(213b)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이와 동시에 제1 Y축가이드프레임(212b)의 내측에서 소정길이 슬라이딩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에 있어, 제1 반응조절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반응조절구(230)는 제1 조인트부(231), 제1 이동자(236),연결편(132) 및 제1 연결핀(2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조인트부(231)는 그 일측이 상기 제1 구동축(121;도10참조)에 결합되어 회전운동한다. 또한, 상기 제1 조인트부(231)는 그 타측에 제1 가이드공(233)이 형성되고, 그 내측에 상기 제1 가이드공(233)과 연통되는 제1 통공(2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동자(236)는 상기 제1 통공(234)을 따라 이송되며, 그 외주연 일측에 제1 결합공(23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이동자(236)는 상기 제1 통공(234)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편(132)은 일측이 상기 제1 조인트부(231)에 접하고, 그 타측이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편(132)은 그 내측에 삽입홈(13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134)에는 이동베어링(136)이 삽입되어 상기 삼입홈(134)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132)은 일측 상부에 상기 연결편(132)을 상·하로 관통되도록 체결공(137)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편(132)은 체결공(137)을 관통하는 체결핀(138)에 의해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 도10 참조)의 일측 모서리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핀(240)은 그 일측에 제1 누름편(241)이 관통·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핀(240)은 이동베어링(136), 연결편(132), 제1 누름편(241) 및 제1 가이드공(23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1 이동자(236)의 제1 결합공(238)에 볼트 결합되어 제1 조인트부(231)와 연결편(132)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연결핀(240)을 회전하여 상기 제1 결합공(238)에 결합하면 제1 누름편(241)이 제1 조인트부(231)의 타측면을 압착하여 제1 이동자(236)를 고정하고, 상기 제1 연결핀(240)을 역회전하여 상기 제1 결합공(238)에서 소정간격 분리하면 상기 제1 조인트부(231)를 압착하던 제1 누름편(241)이 이완되어 제1 이동자(236)가 제1 통공(234)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이동자(236)를 이송하여 상기 제1 조인트부(231)의 중심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하면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도10 참조)의 경사각도가 낮아져 반응속도가 지연되고, 상기 제1 이동자(236)를 상기 제1 조인트부(231)의 중심에서 떨어진 위치에 고정하면,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150)의 경사각도가 높아져 반응속도가 빨라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에 있어, 제2 반응조절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반응조절구(270)는 제2 조인트부(271), 제2 이동자(276), 연결축(277) 및 제2 연결핀(28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 조인트부(271)는 그 하부가 상기 피동축(162; 도10참조)에 결합되어 상기 피동축(162)과 연동하여 회전운동한다. 이때, 상기 제2 조인트부(271)는 그 상부에 제2 가이드공(273)이 형성되고, 그 내측에 상기 제2 가이드공(273)과 연통되는 제2 통공(27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동자(276)는 상기 제2 통공(274)을 따라 이송되며, 그 외주연 일측에 제2 결합공(27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이동자(276)는 상기 제2 통공(274)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축(277)은 그 하면이 상기 제2 조인트부(271)에 접하고, 그 상부가 상기 베어링하우징(181;도10 참조)의 내부에 삽입된 베어링(183)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축(277)은 그 하부에 제2 누름편(278)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제3 결합공(279)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연결핀(280)은 그 일측이 상기 제3 결합공(279) 및 제2 가이드공(27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2 이동자(276)의 제2 결합공(275)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연결핀(280)을 회전하여 상기 제2 결합공(275)에 결합하면 제2 누름편(278)이 제2 조인트부(271)의 상면을 압착하여 제2 이동자(276)를 고정하고, 상기 제2 연결핀(280)을 역회전하여 상기 제2 결합공(275)에서 소정간격 분리하면 상기 제2 조인트부(271)를 압착하던 제2 누름편(278)이 이완되어 제2 이동자(276)가 제2 통공(274)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이동자(276)를 이송하여 제2 조인트부(271)의 중심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하면 상기 제2 반응플레이트(180; 도10 참조)의 편심회전 반경이 좁아져 반응속도가 지연되고, 상기 제2 이동자(276)를 상기 제2 조인트부(271)의 중심에서 떨어진 위치에 고정하면, 상기 제2 반응플레이트(180)의 편심회전 반경이 넓어져 반응속도가 빨라진다.
한편, 상기 제2 반응플레이트(180)는 그 내측 중앙부에 조절공(29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공(290)을 통해 제2 연결핀(280)을 회전 및 역회전 하여 상기 제2 이동자(276)와의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는 반응속도의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락커(Rocker)의 기능과 쉐이커(Shaker)의 기능 및 두 기능을 조합하여 시료를 혼합할 수 있다.
또한, 각 기능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수행하므로써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공간활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락커와 쉐이커의 운동특성을 조합하여 빠르게 시료를 혼합·반응시키기 때문에 실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락커나 쉐이커의 왕복운동 주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큰 중량의 실험물도 실험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시료 혼합기에 있어, 락커(Rocker)형 시료 혼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b는 종래의 시료 혼합기에 있어, 쉐이커(Shaker)형 시료 혼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의 제1 반응조절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1 반응조절구에 있어, 연결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의 제2 반응조절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에 있어, 락커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다기능 시료 혼합기에 있어, 쉐이커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에 있어, 락커부와 쉐이커부가 조합하여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에 있어, 가이드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에 있어, 제1 반응조절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시료 혼합기에 있어, 제2 반응조절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다기능 시료 혼합기 101 : 몸체
102 : 락커부 106 : 쉐이커부
120 : 제1 구동모터 130 : 제1 반응조절구
140 : 연결부재 150 : 제1 반응플레이트
151 : 힌지구 160 : 제2 구동모터
170 : 제2 반응조절구 180 : 제2 반응플레이트
210 : 가이드구 570 : 반응용기

Claims (9)

  1. 반응용기 내의 시료를 혼합·반응시키기 위한 혼합기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제1 구동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모터,
    상기 제1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수직운동으로 전환하며, 시료의 반응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반응조절구,
    상기 제1 반응조절구의 수직운동을 전달받아 하부에 결합된 힌지구에 의해 시소운동하는 제1 반응플레이트가 구비된 락커부; 및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제2 구동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모터,
    상기 제2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시료의 반응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반응조절구,
    상기 제2 반응조절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 구동축에 대해 편심회전하는 제2 반응플레이트가 구비된 쉐이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시료 혼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응조절구는
    상기 제1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운동하며, 일측에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조인트부;
    상기 조인트부에 일측이 접하고 타측이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에 결합되며, 내부에 서로 다른 내경을 갖으며 연통하는 제1 가이드홈과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이동베어링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연결편의 타측면에는 덮개가 체결되며, 상기 덮개의 내부에는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된 연결편; 및
    상기 조인트부와 연결편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시료 혼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하부에 고정링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의 하면에 제1 톱니들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링의 외주연에 복수개의 제1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과 대칭을 이루며, 상부에 회전링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의 상면에 제2 톱니들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링의 외주연에 복수개의 제2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스프링이 설치된 연결축;
    상기 지지축의 일측이 관통되도록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안내관; 및
    상기 상부안내관과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연결축이 관통되도록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주연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의 하방에 복수개의 결착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돌출편의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결착돌출편과 결착돌출편 사이에 안내홈이 일체로 형성된 하부안내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시료 혼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응조절구는
    상기 제2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며, 내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하는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회동체;
    상기 회동체의 가이드홈을 따라 수평운동하며, 하부에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결합축이 일체로 형성된 이동체; 및
    상기 회동체의 각 결합공과 이동체의 연결공을 관통하여 각 결합공과 볼트체결되며, 중앙부에 상기 이동체의 연결공에 삽입되는 연결봉이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조절손잡이가 결합된 조절나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시료 혼합기.
  5. 반응용기 내의 시료를 혼합·반응시키기 위한 혼합기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제1 구동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모터,
    상기 제1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수직운동으로 전환하며, 시료의 반응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 반응조절구,
    상기 제1 반응조절구의 수직운동을 전달받아 하부에 결합된 힌지구에 의해 시소운동하는 제1 반응플레이트가 구비된 락커부; 및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제2 구동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모터,
    상기 제2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시료의 반응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반응조절구,
    상기 제2 반응조절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 구동축에 대해 편심회전하는 제2 반응플레이트가 구비된 쉐이커부; 및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와 제2 반응플레이트 사이에 체결되어 제2 반응플레이트의 편심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시료 혼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는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의 상부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한쌍의 제1 X축가이드프레임,
    상기 한쌍의 제1 X축가이드프레임 내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X축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sliding)하는 제2 X축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된 X축가이드구; 및
    상기 제2 X축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이루며 격자구조로 설치된 한쌍의 제1 Y축가이드프레임,
    상기 한쌍의 제1 Y축가이드프레임 내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Y축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sliding)하는 제2 Y축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된 Y축가이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시료혼합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응조절구는
    상기 제1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운동하며, 내측에 제1 이동자가 이송되는 제1 통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제1 통공과 연통되는 제1 가이드공가 형성된 제1 조인트부;
    상기 제1 조인트부에 일측이 접하고 타측이 상기 제1 반응플레이트에 결합되며, 내부에 이동베어링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연결편; 및
    상기 제1 조인트부와 연결편을 연결하며, 일측에 제1 누름편 체결되어 상기 제1 이송자를 이송 및 고정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연결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시료 혼합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응조절구는
    상기 제2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운동하며, 내측에 제2 이동자가 이송되는 제2 통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제2 통공과 연통되는 제2 가이드공가 형성된 제2 조인트부;
    상기 제2 조인트부의 상면에 접하며, 하부에 제2 누름편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축; 및
    상기 제2 조인트부와 연결축을 연결하며 상기 제2 이동자를 이송 및 고정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2 연결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시료 혼합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응플레이트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제2 연결핀을 회전 및 역회전 할 수 있도록 조절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시료 혼합기.
KR10-2004-0020831A 2004-03-26 2004-03-26 다기능 시료 혼합기 KR100537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831A KR100537073B1 (ko) 2004-03-26 2004-03-26 다기능 시료 혼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831A KR100537073B1 (ko) 2004-03-26 2004-03-26 다기능 시료 혼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427A KR20050095427A (ko) 2005-09-29
KR100537073B1 true KR100537073B1 (ko) 2005-12-16

Family

ID=3727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831A KR100537073B1 (ko) 2004-03-26 2004-03-26 다기능 시료 혼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0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3062A (zh) * 2017-11-10 2018-02-16 邵建波 一种实时观测离心式微流控芯片的方法及装置
KR102310670B1 (ko) * 2019-10-31 2021-10-12 (주)포바이오코리아 튜브 믹서
KR102326759B1 (ko) * 2020-02-12 2021-11-15 배석규 실험용 교반장치
CN117101486B (zh) * 2023-10-16 2024-01-26 汕头市优越食品实业有限公司 一种香料混合搅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427A (ko)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780B1 (ko) 실험용 교반장치
CN101677722B (zh) 对立式搅拌器所作改进
KR100537073B1 (ko) 다기능 시료 혼합기
JP2006125511A (ja) 動力伝達装置、それを用いた擂り潰し装置及び撹拌装置
EP1525914A2 (en) Gyroscopic mixer for mixing the content of a closed container
KR880701160A (ko) 가동엔빌을 가지는 모우터 구동 파스너 구동장치
CN2899925Y (zh) 搅拌器
KR101105239B1 (ko) 교반장치
CN108577595B (zh) 可拆卸式搅拌机及搅拌机的抬头机构
KR100501925B1 (ko) 다기능을 갖는 일체형 시료 혼합기
CN210229696U (zh) 一种全方位搅拌器
CN210448110U (zh) 一种搅拌机玩具
CN114534580A (zh) 一种医疗检验科药品混合用样品振荡器
JP2007245000A (ja) 撹拌装置
KR102326759B1 (ko) 실험용 교반장치
CN209190994U (zh) 单轴卧式强制式混凝土搅拌机
KR20050037058A (ko) 마그네틱 교반수단이 구비된 락커
CN207680496U (zh) 一种建筑涂料的搅拌装置
CN213557059U (zh) 一种适用于管式反应动态混合器
CN217829631U (zh) 一种聚烯烃弹性体微波接枝反应装置
CN217645059U (zh) 一种搅拌机
KR200335275Y1 (ko) 사료 배합장치
JP3221493U (ja) 歯科材料用混合装置
CN213132750U (zh) 一种便于装配的涂料搅拌机
US20230270288A1 (en) Lock member, rotary head, rotary assembly, shaft coupler, container, and food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