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226B1 -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226B1
KR100535226B1 KR10-2003-0091955A KR20030091955A KR100535226B1 KR 100535226 B1 KR100535226 B1 KR 100535226B1 KR 20030091955 A KR20030091955 A KR 20030091955A KR 100535226 B1 KR100535226 B1 KR 100535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odd
video signal
reproducing
even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0353A (ko
Inventor
김도균
장지훈
Original Assignee
(주) 넥스트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넥스트칩 filed Critical (주) 넥스트칩
Priority to KR10-2003-0091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226B1/ko
Publication of KR20050060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field- or frame-skip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필드로 이루어진 영상 신호의 역필드를 생성하여 프레임을 재구성하고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신호 재생 방법은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영상 신호의 필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필드 정보가 짝수 필드인지 또는 홀수 필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필드 정보가 짝수 필드인 경우, 상기 짝수 필드를 보간(interpolation)하여 홀수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홀수 필드를 이용하여 한 프레임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프레임 데이터를 출력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필드로 이루어진 영상 신호의 역필드를 생성하고 프레임을 재구성하여 화질 열화가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적게 발생하다록 하여 재생 화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A METHOD FOR PLAYING VIDEO DATA STORED IN RECORDING MEANS AND A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필드로 구성된 영상 신호의 역필드를 생성하고 프레임을 재구성하여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영상 규격은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규격과 PAL(Phase alternation Line) 규격으로 크게 구분된다. NTSC는 일본, 대만, 한국 등이 표준으로 사용하는 영상 규격이고, PAL은 유럽을 중심으로 북한, 중국 등이 사용하는 영상신호 규격이다. 이외에 세부적인 규격이 약간 다른 것이 있으나 대부분 대동소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들 영상규격의 대표적인 특징 중에 하나는 인간의 눈의 잔상 효과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현하는 것이다. 즉, 하나의 영상을 표현할 때 두 개의 영상으로 나누어 이를 서로 순차하여 재생하므로 전체적인 영상 프레임 발생 주파수를 2배로 향상시키게 된다. 이것은 좀 더 빠르게 영상을 변화시키는 효과를 주어 동영상이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한다.
도 1은 하나의 프레임을 두 개의 필드로 나누어 영상을 표현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나의 온전한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 두 개의 필드를 순차하여 화면에 주사하는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한다. 규격에는 도 1과 같이, 홀수(ODD)/짝수(EVEN) 두 개의 필드로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하나의 온전한 프레임의 홀수 라인을 홀수 필드(odd field)가 나타내고, 짝수 라인을 짝수 필드(eved field)가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홀수 필드를 화면에 먼저 출력하고, 홀수 필드 출력이 완료된 상태에서 짝수 필드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경우, 여러 카메라의 영상을 보다 많이 저장하기 위해서 각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정보에서 한 프레임 중에 온전한 짝수 필드 또는 온전한 홀수 필드를 저장하거나 짝수/홀수 중의 한 필드에서 수평으로 1/2 down scale을 해서 저장한다.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홀수 필드만을 저장하여 재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짝수 필드만을 저장하여 재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홀수 필드를 두 번 사용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한 것이고 도 2b는 짝수 필드를 두 번 사용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한 것이다. 하나의 필드만을 저장하여 재생하는 경우,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서 동일한 필드를 두 번 사용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동일한 필드를 두 번 연속으로 사용하게 되다 보니 동일한 라인을 두 번씩 겹쳐 사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화면에서 사선이 나타나는 부분은 온전한 두 개의 필드로 나타나는 화면과 비교하여 화질 열화가 두드러지게 되고, 나아가 녹화 당시의 화질과 비교하여 상당한 화질 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필드로 이루어진 영상 신호의 역필드를 생성하고 프레임을 재구성하여 화질 열화가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적게 발생하도록 하여 재생 화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신호의 압축률을 높이고 데이터를 저장시키는데 필요한 용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영상 신호의 필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필드 정보가 짝수 필드인지 또는 홀수 필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필드 정보가 짝수 필드인 경우, 상기 짝수 필드를 보간(interpolation)하여 홀수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홀수 필드를 이용하여 한 프레임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프레임 데이터를 출력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영상 신호 재생 방법은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영상 신호의 필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필드 정보가 짝수 필드인지 또는 홀수 필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필드 정보가 홀수 필드인 경우, 상기 홀수 필드를 보간(interpolation)하여 짝수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짝수 필드를 이용하여 한 프레임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프레임 데이터를 출력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르면,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영상 신호를 한 프레임 데이터를 구성하는 짝수 필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짝수 필드를 보간(interpolation)하여 홀수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홀수 필드를 이용하여 한 프레임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프레임 데이터를 출력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재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영상 신호를 한 프레임 데이터를 구성하는 홀수 필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홀수 필드를 보간(interpolation)하여 짝수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짝수 필드를 이용하여 한 프레임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프레임 데이터를 출력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재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역필드라고 함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필드 정보와 반대되는 필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예로 기록매체에 영상 데이터의 짝수 필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역필드는 홀수 필드가 되고, 기록매체에 영상 데이터의 홀수 필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역필드는 짝수 필드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재생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각 단계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 310에서는, 기록매체로부터 영상 신호를 독출한다.
기록매체란, 자기 테이프, 광 디스크 등의 영상을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매체가 이에 해당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 신호라 함은, 소정의 촬상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 중 하나의 필드 데이터를 말한다. 사용자는 재생하고자 하는 기록 매체를 입력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을 받아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신호를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분석하고 표시하기 위한 첫 단계가 독출이라 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는, 상기 영상 정보의 필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필드가 짝수 필드인지 홀수 필드인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적용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은 기록 매체에 저장된 영상 신호가 한 프레임을 이루는 두 개의 필드 중 하나의 필드만을 저장하는 경우로 한정할 수 있다. 본 과정에서 필드 정보를 분석하는 경우, 입력되는 영상이 무조건 짝수 필드, 또는 홀수 필드가 되므로 각각의 필드에 따라 다음 단계가 다르게 진행될 수 있다.
단계 320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짝수 필드일 경우, 단계 330의 짝수 필드를 보간(interpolation)하는 홀수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판단 결과 짝수 필드로 판단되는 경우, 영상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짝수 필드에 대응하는 홀수 필드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단계에서는 영상의 원활한 구성을 구하여 각각의 짝수 필드에 대응하는 홀수 필드를 생성하게 된다. 홀수 필드의 생성은 짝수 필드를 보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보간(interpolation)은 내삽법(內揷法)이라고도 하며, 실변수 X의 함수 f(X)의 모양은 미지이나, 어떤 간격(등간격이나 부등간격이나 상관없음)을 가지는 2개 이상의 변수의 값에 대한 함수값이 알려져 있을 경우, 그 사이의 임의의 X에 대한 함수값을 추정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실험이나 관측에 의하여 얻은 관측값으로부터 관측하지 않은 점에서의 값을 추정하는 경우나 로그표 등의 함수표에서 표에 없는 함수값을 구하는 등의 경우에 이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짝수 또는 홀수 필드를 보간하는 필드, 즉 역필드를 생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 직선으로 표시된 라인 410, 라인 430, 라인 450을 짝수 필드라 가정하면, 점선으로 표시된 라인 420, 라인 440은 짝수 필드는 보간하는 필드, 즉 역필드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역필드를 인접 라인의 값을 기초로 하여 역필드의 값을 유추하고 이를 생성한다. 라인 420의 경우 인접 라인인 라인 410과 라인 430의 값을 이용하여 유추된 것임을 라인 420을 향해 표시된 화살표로 알 수 있고 이는 라인 44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 라인 430과 라인 450의 값을 기초로 유추되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단계 350에서는, 생성된 필드를 이용하여 프레임 데이터를 구성한다.
상기 단계에서 짝수 필드를 보간하는 홀수 필드를 생성하였거나, 혹은 홀수 필드를 보간하는 짝수 필드를 보간하였으므로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짝수 필드와 홀수 필드가 모두 갖춰지게 된다. 하나의 온전한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필드를 순차 프레임으로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본 단계에서는 기저장된 필드(홀수 필드 또는 짝수 필드)와 함께 상기 단계에서 생성한, 역필드를 순차적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두 번 겹쳐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보다 부드러운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단계 360에서는, 상기 생성된 프레임 데이터를 출력하여 재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온전한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하여 두 개의 필드를 순차하여 화면에 주사하는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홀수 필드를 먼저 화면에 출력하고, 홀수 필드의 출력이 완료된 상태에서 짝수 필드를 출력하게 된다. 짝수 필드가 주어지고 짝수 필드를 보간하여 상기 짝수 필드에 대한 역필드를 생성하였을 경우, 짝수 필드를 출력하여 재생하기 전 미리 역필드를 생성하여 대기시켜놓고 짝수 필드를 출력하여 재생하고 생성한 역필드(홀수 필드가 된다)를 출력하게 재생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홀수 필드가 주어지고 홀수 필드를 보간하여 역필드인 짝수 필드를 생성하는 경우, 역필드(짝수 필드)를 먼저 출력하여 재생해야 하므로 홀수 필드가 출력되어 재생되기 최소 두 단계 전에 역필드를 생성하여 대기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홀수 필드를 보간하여 생성한 짝수 필드를 먼저 재생하고 홀수 필드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보기에 부드러운 화면 구성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드 정보를 모를 경우의 영상 신호 재생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510에서는 기록매체에서 영상 신호를 독출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는 영상 신호의 필드 정보를 알 수 없다. 영상 신호의 필드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 사용자는 임의로 상기 입력된 영상 신호의 필드 유형을 결정하여 강제 인식시킬 수 있다.
단계 520은 이와같이, 영상 신호의 필드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 상기 입력된 영상 신호의 필드 정보를 짝수 필드로 설정한 것이고 단계 530은 영상 신호의 필드 정보를 홀수 필드로 설정하여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단계 520에서와 같이, 영상 신호의 필드 정보를 짝수 필드로 강제 인식시켰을 경우, 기록매체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 신호는 짝수 필드로만 이루어진 영상 신호가 되므로 매끄러운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짝수 필드를 보간하여 그에 상응하는 역필드, 즉 홀수 필드를 생성한다(단계 540).
단계 530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영상 신호의 필드 정보를 홀수 필드로 강제 인식시켰을 경우, 기록매체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 신호는 홀수 필드로만 이루어진 영상 신호가 되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부드러운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홀수 필드를 보간하여 그에 상응하는 역필드인 짝수 필드를 생성해야 한다(단계 550).
단계 560에서는 위와 같이 생성된 필드를 이용하여 한 프레임 데이터를 구성한다. 프레임 데이터는 홀수 필드와 짝수 필드의 순차적인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강제 인식된 홀수 필드 또는 짝수 필드는 단계 540, 또는 550에서 생성된 역필드와 순차적인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 570에서는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구성된 프레임 데이터를 출력하여 재생한다.
영상 신호의 필드 정보를 홀수 필드로 강제 인식시켜 짝수 필드를 생성하였을 경우, 상기 강제 인식시킨 홀수 필드를 먼저 재생하여 출력하고 다음 생성된 짝수 필드를 재생하여 출력한다.
영상 신호의 필드 정보를 짝수 필드로 강제 인식시켜 홀수 필드를 생성하였을 경우, 상기 강제 인식시킨 짝수 필드를 나중에 재생하여 출력해야 하므로 단계 540에서 생성된 역필드를 먼저 재생하여 출력하고 강제 인식시킨 짝수 필드를 재생하여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필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610에서는, 인접 라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드를 생성한다. 주어진 하나의 필드를 보간하여 생성한 필드, 즉 역필드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 라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다시 도 4를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410, 430, 450이 홀수 라인을 표시한 것이라 가정하자.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짝수 필드가 필요하고 도 4에서는 420, 440의 짝수 라인을 생성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라인 420의 경우 라인 420의 인접 라인인 410과 라인 430의 중간값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라인 440의 경우 인접한 라인 430과 라인 450을 이용하여 그 중간값을 취한다. 여기서 중간값이란, 양 인접 라인을 값을 더하여 그 절반을 취하는 일반적인 방법이 쓰일 수 있으며 그외에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방법으로 중간값을 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수 있다.
다음 단계 620에서는 생성된 라인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에 기록한다. 하나의 필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NTSC의 경우에도 525개의 라인이 필요하므로 각기 생성된 라인을 저장하여 하나의 필드로 구성해야 한다. 생성된 라인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에 임시적으로 저장하여 상기 생성된 라인을 결합하여 필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630에서는 상기 라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드를 구성한다. 상기 버퍼 메모리에 기록한 라인 데이터를 불러 하나의 필드를 구성하고 이를 기초로 하나의 프레임을 만들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수 필드를 보간하여 역필드(짝수 필드)를 만들고 이를 기초로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주어진 홀수 필드와, 홀수 필드 각각의 라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라인과 인접해야 할 짝수 라인의 데이터를 유출하고 이를 토대로 역필드(짝수 필드)를 구성하였다. 상기 도 2a의 홀수 필드로만으로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였을 때와 달리 사각형 안에 들어있는 배의 사선 모양이 뚜렷하고 자연스러운 것을 알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짝수 필드를 보간하여 역필드(홀수 필드)를 만들고 이를 기초로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주어진 짝수 필드와, 짝수 필드 각각의 라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라인과 인접해야 할 홀수 라인의 데이터를 유출하고 이를 토대로 역필드(홀수 필드)를 구성하였다. 상기 도 2b의 짝수 필드로만으로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였을 때와 달리 전반적으로 화면 구성이 보다 뚜렷하고 사각형 안에 들어있는 배의 사선 모양이 부드럽게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매체에 저장된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 채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영상 신호 재생 시스템(800)은 영상 독출 수단(810)에서 사용자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 받은 영상 신호를 독출한다. 필드 생성 수단(820)은 상기 영상 독출 수단(810)으로부터 독출된 영상 신호의 필드 정보를 분석하여 필드 정보가 짝수 필드인지 홀수 필드인지 판단하여 상기 필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필드의 역필드를 생성한다. 필드 생성 수단(820)에서 상기 입력된 영상 신호의 필드 정보가 홀수 필드인지 혹은 짝수 필드인지 판단이 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입력을 받거나 필드 생성 수단(820)의 임의로 짝수 필드, 또는 홀수 필드로 강제 인식시킬 수 있다. 프레임 구성 수단(830)은 상기 생성된 역필드를 이용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재생 수단(840)은 상기 구성된 프레임 데이터를 출력하여 재생한다. 또한, 버퍼메모리(850)는 상기 필드 생성 수단(820)에서 필드를 구성하기 전, 생성되는 홀수 라인 또는 짝수 라인을 임시로 저장하여 필드를 생성하기 전 버퍼메모리(850)로부터 상기 저장했던 홀수 라인 또는 짝수 라인을 불러들여 필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신호 재생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900)은 램(RAM: Random Access Memory)(1202)과 롬(ROM: Read Only Memory)(9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9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램(9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램(920) 및 롬(9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9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9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9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9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9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9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9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필드로 이루어진 영상 신호의 역필드를 생성하고 프레임을 재구성하여 화질 열화가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적게 발생하도록 하여 재생 화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필드를 저장하고도 두 개의 필드를 저장한 효과를 거둘 수 있으므로 영상 신호의 압축률을 높이고 데이터를 저장시키는데 필요한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프레임을 두 개의 필드로 나누어 영상을 표현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홀수 필드만을 저장하여 재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짝수 필드만을 저장하여 재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재생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짝수 또는 홀수 필드를 보간하는 필드, 즉 역필드를 생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신호 재생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필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수 필드를 보간하여 역필드(짝수 필드)를 만들고 이를 기초로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짝수 필드를 보간하여 역필드(홀수 필드)를 만들고 이를 기초로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록 매체에 저장된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 채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신호 재생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0 : 영상 신호 재생 시스템
810 : 영상 독출 수단
820 : 필드 생성 수단
830 : 프레임 구성 수단
840 : 재생 수단
850 : 버퍼메모리

Claims (8)

  1. 하나의 기록 매체에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홀수 필드 및 짝수 필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필드로서 저장된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영상 신호로부터 필드를 구분하고, 상기 필드와 연관된 필드 정보로부터 상기 필드가 홀수 필드 또는 짝수 필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필드 정보가 홀수 필드인 경우에 상기 홀수 필드와 인접한 홀수 필드를 보간(interpolation)하여 짝수 필드를 생성하고, 상기 필드 정보가 짝수 필드인 경우에 상기 짝수 필드와 인접한 짝수 필드를 보간하여 홀수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홀수 필드 또는 상기 생성된 짝수 필드로부터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프레임 데이터를 출력하여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재생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는 이종의 카메라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이종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필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재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interpolation)하여 상기 홀수 필드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짝수 필드에 포함되는 인접 라인 데이터의 중간값을 계산하여 상기 인접 라인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홀수 필드의 라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라인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 수단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버퍼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상기 라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홀수 필드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재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된 영상 신호로부터 필드를 구분하고, 상기 필드에 대응하는 필드 정보에 상기 필드가 홀수 필드인지 또는 짝수 필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필드가 홀수 필드인지 또는 짝수 필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필드를 홀수 필드 및 짝수 필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필드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재생 방법.
  6. 삭제
  7. 하나의 기록 매체에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홀수 필드 및 짝수 필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필드로서 저장된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영상 신호를 독출하는 영상 독출 수단;
    상기 독출된 영상 신호로부터 필드를 구분하고, 상기 필드에 대응하는 필드 정보로부터 상기 필드가 홀수 필드 또는 짝수 필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필드 정보가 홀수 필드인 경우에 상기 홀수 필드와 인접한 홀수 필드를 보간(interpolation)하여 짝수 필드를 생성하고, 상기 필드 정보가 짝수 필드인 경우에 상기 짝수 필드와 인접한 짝수 필드를 보간하여 홀수 필드를 생성하는 필드 생성 수단;
    상기 생성된 홀수 필드 또는 상기 생성된 짝수 필드로부터 프레임 구성 수단; 및
    상기 구성된 프레임 데이터를 출력하여 재생하는 재생 수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재생 시스템.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3-0091955A 2003-12-16 2003-12-16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535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955A KR100535226B1 (ko) 2003-12-16 2003-12-16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955A KR100535226B1 (ko) 2003-12-16 2003-12-16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353A KR20050060353A (ko) 2005-06-22
KR100535226B1 true KR100535226B1 (ko) 2005-12-09

Family

ID=37253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955A KR100535226B1 (ko) 2003-12-16 2003-12-16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2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787B1 (ko) * 2013-10-30 2015-05-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을 배속 재생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353A (ko)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0309B2 (en) Super-resolution method for image display
US7974492B2 (en) Image data reproducing apparatus with changing proportions of combined enlarged images,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US10957024B2 (en) Real time tone mapping of high dynamic range image data at time of playback on a lower dynamic range display
KR101494904B1 (ko) 비디오 파일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JPH02141876A (ja) アニメ画像の作成方法及び装置
EP0808070B1 (en) Image signal processor and processing method
JP2004242267A (ja) 画像編集方法、装置および画像再生方法、装置
JP2007060388A (ja)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701598B2 (ja) 静止画像生成装置、静止画像生成方法、静止画像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静止画像生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8532458B2 (en) Picture search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reproduction
JP2012124784A (ja) 動画再生システム
US8787466B2 (en) Video playback device,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video playback method
US888593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figured to perform image processing for plural imag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667356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11246250B (zh) 视频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0535226B1 (ko)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CN100574383C (zh) 提供胶片图像的方法、以及提供胶片图像的图像显示设备
KR100477654B1 (ko) 재생 영상 선택 장치 및 그 방법
JP2007181164A (ja) 画像再生装置
JP2004536472A (ja) 視覚化セッションをキャプチャ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50094973A1 (en) Moving picture reproducing apparatus in which player mode information is set, reproduc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08053884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これらを利用した電子機器
JP200632494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463275B1 (ko) Hd-dvd 마크업의 증분 갱신 및 포맷
JP410116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