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382B1 -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382B1
KR100534382B1 KR10-2003-0056805A KR20030056805A KR100534382B1 KR 100534382 B1 KR100534382 B1 KR 100534382B1 KR 20030056805 A KR20030056805 A KR 20030056805A KR 100534382 B1 KR100534382 B1 KR 100534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oading box
upper structure
bracket
to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9191A (ko
Inventor
황인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6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382B1/ko
Publication of KR2005001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3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2Vehicle body, not intended to move relatively to the vehicle frame, and mounted on vibration absorbing mountings, e.g. rubber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주행시 돌기물에 의한 비틀림이 상부구조물이나 적재함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크게, 차량의 적재함측 메인 프레임(A)과 체결되는 브라켓부(10)와; 상기 브라켓부(10)에 센터볼트(2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40)이 장착되는 마운팅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의 비틀림이 발생할 경우에 이 비틀림은 상기 메인 프레임(A)과 연결되는 브라켓부(10)까지만 전달이 되도록 하여, 별도의 서브 프레임이 필요 없어 차량 전고를 낮출 수 있고, 차량의 프레임의 비틀림의 영향을 받지 않아 장비 보호 마운팅 개소를 줄일 수 있으며, 비틀림에 의한 장비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Apparatus for mounting loading portion or upper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주행시 돌기물에 의한 비틀림이 상부구조물이나 적재함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별도의 서브 프레임이 필요 없어 차량 전고를 낮출 수 있고, 차량의 프레임의 비틀림의 영향을 받지 않아 장비 보호 마운팅 개소를 줄일 수 있으며, 비틀림에 의한 장비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 등의 화물용 차량에는 적재함이나 데크 등이 마운팅되어, 이 적재함이나 데크에 수하물을 적재하게 되는데, 특히 덤프 트럭이나 컨테이너 차량 등의 대형 차량에는 적재함이나 데크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장치가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적재함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대형 차량의 후륜(1)과 후륜축(2) 위에 후방 현가장치(3)가 설치되고, 이 현가장치(3) 위에 메인 프레임(4)이 위치하며, 이 메인 프레임(4)과 적재함(5) 사이에 위치하여 적재함(5)을 지지하도록 하는 서브 프레임(6)이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5)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적재함 지지장치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이 돌기물(a)을 지나게 될 때에 차량의 메인 프레임(4)에 비틀림이 가해지게 되고, 이 비틀림은 적재함에도 전달되게 되어 함께 비틀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를 위하여 상기와 같이, 별도의 서브 프레임이 필요하고, 따라서 메인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의 마운팅을 위한 부분이 많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서브 프레임이 필요 없어 차량 전고를 낮출 수 있고, 차량의 프레임의 비틀림의 영향을 받지 않아 장비 보호 마운팅 개소를 줄일 수 있으며, 비틀림에 의한 장비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측의 메인 프레임과 체결되며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박스형으로 이루어지는 브라켓부와; 상기 브라켓부의 내측 공간에 상기 브라켓부와 센터볼트에 의하여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사이드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상측사이드부와 양단부가 결합되는 하측사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 - A 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크게, 차량의 적재함측 메인 프레임(A)과 체결되는 브라켓부(10)와; 상기 브라켓부(10)에 센터볼트(2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40: 도 7 및 도 8 참고)이 장착되는 마운팅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의 비틀림이 발생할 경우에 이 비틀림은 상기 메인 프레임(A)과 연결되는 브라켓부(10)까지만 전달이 되고, 브라켓부(10)와 마운팅부(30)는 센터볼트(20)에 의한 회동으로 인해, 마운팅부(30)까지는 전달이 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마운팅부(30)는, 상기 브라켓부(10)의 내측 공간에 상기 브라켓부(10)와 센터볼트(20)에 의하여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직부(31)와; 상기 수직부(31)의 상측에 결합되며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상측사이드부(32)와; 상기 수직부(31)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상측사이드부(32)와 양단부가 결합되는 하측사이드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측사이드부(32)의 상측면의 양단부에는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32a)가 구성된다.상기 상부구조는 트럭과 같은 차량의 후방에 탑재되는 것으로서, 적재함과 독립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고, 상부구조의 종류에 따라서는 적재함과 함께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의 브라켓부의 평면도로서, 상기 브라켓부(10)와 메인 프레임(A)의 체결은, 상기 브라켓부(10)의 양측 외측에 상기 메인 프레임(A)이 위치하고, 그 외측에 결합패널(11)이 위치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A) 및 브라켓부(10)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이하, 상기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는 차량의 후방에 마운팅 하고, 차량의 전방측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종래의 지지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전방과 후방의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를 마운팅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차량이 돌기물에 의하여 차량이 비틀어질 때, 전방 적재함 지지장치는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나, 본 발명의 지지장치가 장착된 곳은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A)에 의해 전달되는 비틀림이 상기 브라켓부(10) 까지만 전달이 되고, 적재함(40)이 장착된 마운팅부(30)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비틀림의 복귀시에도 메인 프레임(A)은 비틀림 강성에 의해 복귀되는 것이므로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4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별도의 서브 프레임이 필요 없어 차량 전고를 낮출 수 있고, 차량의 프레임의 비틀림의 영향을 받지 않아 장비 보호 마운팅 개소를 줄일 수 있으며, 비틀림에 의한 장비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적재함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적재함 지지장치의 돌기물을 지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 - A 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의 브라켓부의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라켓부 20 : 센터볼트
30 : 마운팅부 31 : 수직부
32 : 상측사이드부 33 : 하측사이드부
40 : 상부구조물

Claims (5)

  1. 차량의 적재함측 메인 프레임과 체결되는 브라켓부와;
    상기 브라켓부에 센터볼트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부의 내측 공간에 상기 브라켓부와 센터볼트에 의하여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상측사이드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상측사이드부와 양단부가 결합되는 하측사이드부로 이루어지는 마운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사이드부의 상측면의 양단부에는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와 메인 프레임의 체결은,
    상기 브라켓부의 양측 외측에 상기 메인 프레임이 위치하고, 그 외측에 결합패널이 위치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 및 브라켓부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와, 마운팅부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KR10-2003-0056805A 2003-08-18 2003-08-18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KR100534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805A KR100534382B1 (ko) 2003-08-18 2003-08-18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805A KR100534382B1 (ko) 2003-08-18 2003-08-18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191A KR20050019191A (ko) 2005-03-03
KR100534382B1 true KR100534382B1 (ko) 2005-12-08

Family

ID=37228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805A KR100534382B1 (ko) 2003-08-18 2003-08-18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3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191A (ko)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9694B2 (ja) 車両用バッテリの搭載構造
US8146948B2 (en) Structural air tank crossmember
KR101464806B1 (ko) 판 형상 화물의 수송용 날개식 컨테이너 및 그것을 적재하는 트레일러
JP4394782B2 (ja) 車両用バッテリの搭載構造
JP4345422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4924166B2 (ja) 燃料タンク支持構造
KR100534382B1 (ko) 차량의 적재함 또는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CA2339471C (en) Vehicle with loading boxes for receiving loads
WO2014178760A1 (en) A chassis component for a heavy vehicle frame structure and a truck or a tractor with such a chassis component
JP4186979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2007099228A (ja) トラックのシャシフレーム
KR200440237Y1 (ko) 에어 서스펜션 장치
US7111744B2 (en) Crane mount assembly for utility truck
JPH06344953A (ja) 電気自動車のフロア構造
US6155373A (en) Frame structure for industrial vehicle
JP2008150042A (ja) 車両の車体構造
US7694759B2 (en) Lift truck fleet with a common frame
CN220180943U (zh) 车辆底部结构
JP2006123584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3353754B2 (ja) バッテリ式産業車両
JP4548414B2 (ja) 車両の車体構造
KR200371209Y1 (ko) 완충장치를 갖춘 트레일러의 피 견인부
KR100593820B1 (ko) 골프카트
KR100883727B1 (ko) 차량 적재함 사이드 레일의 보강구조
JP4196985B2 (ja) 車両の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