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360B1 - 차량용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360B1
KR100534360B1 KR1020040047163A KR20040047163A KR100534360B1 KR 100534360 B1 KR100534360 B1 KR 100534360B1 KR 1020040047163 A KR1020040047163 A KR 1020040047163A KR 20040047163 A KR20040047163 A KR 20040047163A KR 100534360 B1 KR100534360 B1 KR 100534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junction box
main fuse
bolts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성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7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48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or held directly by the ba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9Junction box with busbar for plug-socket type interconnection with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정션박스의 내부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정션박스의 메인퓨즈를 밧데리 터미널과 알터네이터 터미널이 체결되는 단자볼트에 메인퓨즈가 일체형으로 함께 체결될 수 있도록 한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는, 정션박스 몸체 상부 일측에 얼터네이터 터미널용 단자볼트(3a)와 밧데리 터미널용 단자볼트(3b)가 형성되며, 이들 단자볼트의 하단부에는 정션박스 몸체에 설치된 각종 접속단자들에 전류를 분배하기 위한 버스바(4a, 4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버스바 사이에 메인퓨즈가 연결설치되는 차량용 정션박스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용 단자볼트(3a, 3b)에 그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버스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퓨즈(5); 상기 메인퓨즈 접면되도록 상기 터미널용 단자볼트(3a, 3b)에 각각 끼워져 너트에 의해 조임고정되는 알터네이터 터미널(2a)과 밧데리 터미널(2b); 상기 메인퓨즈(5)의 양측부가 각각 지지되도록 상기 터미널용 단자볼트(2a, 2b) 사이의 상기 정션박스 몸체 상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걸림턱(21)이 수평하게 돌출형성된 가이드(20); 및 상기 메인퓨즈가 안착되도록 상기 가이드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지지스프링(2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리테이너(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Installing Structure of main-fuze of junction box}
본 발명은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정션박스의 내부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정션박스의 메인퓨즈를 밧데리 터미널과 알터네이터 터미널이 체결되는 단자볼트에 메인퓨즈가 일체형으로 함께 체결될 수 있도록 한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정션박스(Junction box)는, 대략 20∼40개의 퓨즈와 10여개의 릴레이가 집적되어 차량에 설치된 각 전자부품 혹은 모드별로 전원을 안정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장치로서 엔진룸과 차실 내에 각각 1 개씩 장착되는데, 휴즈 및 릴레이 등과 같은 각종 디바이스가 상부, 즉 상부커버에 꽂아지고, 이 상부커버 하부에는 소전류 및 신호전류의 공급을 위한 인쇄회로기판, 절연판 등이 다수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정션박스의 몸체(1) 상부 일측에는, 도 1과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션박스 전원으로 사용되는 밧데리(+)와 밧데리 충전 및 부하전원 공급용으로 사용되는 알터네이터의 터미널(2a, 2b: 2)이 각각 체결되는 터미널 단자볼트(3a, 3b: 3)와, 메인퓨즈(5)가 체결되는 메인퓨즈 터미널(6a, 6b: 6)이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터미널 단자볼트(3a, 3b)와 메인퓨즈 터미널(6a, 6b: 6)는, 정션박스에 대전류를 통전하기 위한 버스바(Bus-bar)(4a, 4b: 4)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데, 밧데리 터미널(2a)과 알터네이터 터미널(2b)을 각각의 터미널 단자볼트(3a, 3b)에 끼운 후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정션박스, 밧데리(미도시) 그리고 알터네이터(미도시)가 서로 통전된다. 그리고, 메인퓨즈 단자볼트(6a, 6b: 6)에 체결되는 메인퓨즈(5)는, 밧데리 밧데리 터미널(2a)과 알터네이터 터미널(2b)와 통전되는 각각의 버스바(4a, 4b)에 연결설치되어 있어 정션박스 내로 과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정션박스는 터미널(2a, 2b)과 분리하여 별도의 단자볼트를 사용하여 메인퓨즈(5)를 장착하도록 하고 있는 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터미널 단자볼트(2)와 메인퓨즈 단자볼트(6)를 정션박스 몸체(1) 상부에 설치하기 위한 각각의 단자볼트 장착홈(6, 7)이 필요로 되어 정션박스 내부의 사용공간이 줄어들게 되며, 단자볼트에의 체결시 너트에 의한 토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는 작업공정의 특성상 별도로 메인퓨즈를 단자볼트에 고정하는 것은 작업공수와 부품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밧데리 터미널과 알터네이터 터미널이 체결되는 터미널 단자볼트에 메인퓨즈가 일체형으로 함께 체결될 수 있도록 한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는, 정션박스 몸체 상부 일측에 얼터네이터 터미널용 단자볼트와 밧데리 터미널용 단자볼트가 형성되며, 이들 단자볼트의 하단부에는 정션박스 몸체에 설치된 각종 접속단자들에 전류를 분배하기 위한 버스바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버스바 사이에 메인퓨즈가 연결설치되는 차량용 정션박스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용 단자볼트에 그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버스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퓨즈, 상기 메인퓨즈 접면되도록 상기 터미널용 단자볼트에 각각 끼워져 너트에 의해 조임고정되는 알터네이터 터미널과 밧데리 터미널, 상기 메인퓨즈의 양측부가 각각 지지되도록 상기 터미널용 단자볼트 사이의 상기 정션박스 몸체 상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걸림턱이 수평하게 돌출형성된 가이드 및 상기 메인퓨즈가 안착되도록 상기 가이드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지지스프링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별도의 구분이 없는 한, 동일한 명칭은 동일 또는 그에 상당하는 부재를 지칭하며,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된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션박스는, 그 몸체(10) 상부 일측에 얼터네이터 터미널용 단자볼트(3a)와 밧데리 터미널용 단자볼트(3b)가 형성되며, 이들 단자볼트의 하단부에는 버스바(4a, 4b)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동합금으로 이루어진 버스바(4a, 4b)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공급받는 전류를 정션박스 몸체(10)에 설치된 각종 접속단자(미도시)들에 전류를 분배하는데, 일측에 별도의 탭단자(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이 탭단자에 연결된 휴즈(미도시)의 용량에 따라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전류를 인가한다.
그리고, 이들 버스바(4a, 4b)에는 메인퓨즈(5)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정션박스 내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도 3과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 메인퓨즈(5)는, 그 일단부가 알터네이터 터미널용 단자볼트(3a)에 그리고 타단부가 밧데리 터미널용 단자볼트(3b)에 고정되며, 고정된 상태에서 터미널용 단자볼트(3a, 3b) 하단부에 배치된 버스바에 접면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알터네이터 터미널(2a)과 밧데리 터미널(2b)은, 메인퓨즈 위에 얹혀지듯이 터미널용 단자볼트(3a, 3b)에 각각 끼워진 후 메인퓨즈(5)에 접면된 상태에서 너트에 의해 조임고정되며, 이에 따라 버스바(4a, 4b), 메인퓨즈(5) 그리고 터미널(2a, 2b)는 순서대로 적층되는 구조가 된다.
도 3과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터미널용 단자볼트(2a, 2b) 사이의 정션박스 몸체 상에는 메인퓨즈(5)의 길이방향 측부 양측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20)가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며, 이 가이드의 상부에는 걸림턱(21)이 수평하게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20)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있어 메인퓨즈(5)가 이 가이드 사이에 끼워지듯이 장착될 수 있으며, 걸림턱(21)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메인퓨즈(5)의 상면이 지지된다.
한편, 가이드(20) 사이에는 메인퓨즈가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리테이너(22)가 수평하게 설치되는데, 하부에 설치된 지지스프링(24)에 의해 하면이 지지되어 상하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정션박스 몸체에는 지지스프링(24)의 삽입설치를 위한 삽입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도 3내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를 적용한 메인퓨즈의 조립순서를 살펴본다.
먼저, 메인퓨즈(5)를 가이드(20) 안쪽으로 삽입하여 리테이너(22) 위에 수평하게 안착시키는데, 메인퓨즈(5)의 양단은 터미널용 단자볼트(3a, 3b)에 각각 끼워지도록 하여 메인퓨즈(5)가 터미널용 단자볼트(3a, 3b)에 가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메인퓨즈가 안착된 리테이너(22)는 지지스프링(2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지지되며 가이드의 걸림턱(21)은 메인퓨즈의 상부를 지지하므로, 메인퓨즈는 가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 또는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가결합 상태에서 정션박스를 유통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알터네이터 터미널(2a)와 밧데리 터미널(2b)를 메인퓨즈가 가결합되어 있는 터미널용 단자볼트(3a, 3b)에 끼워 메인퓨즈(3)와 터미널(2a, 2b)이 포개어지도록 한 후, 너트를 터미널용 단자볼트(3a, 3b)에 체결하여 알터네이터 터미널(2a)과 밧데리 터미널(2b)이 메인퓨즈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정션박스에 메인퓨즈를 장착한 후, 알터네이터 터미널(2a)와 밧데리 터미널(2b)를 터미널 단자볼트에 체결하는 작업공정이 간편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에 따르면, 밧데리 터미널과 알터네이터 터미널이 체결되는 터미널 단자볼트에 메인퓨즈를 간편하게 일체형으로 체결할 수 있어 정션박스의 내부공간 활용도가 높아지며, 작업공수 및 부품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퓨즈는 가이드와 리테이너에 의해 안정적으로 터미널 단자볼트에 고정되므로, 메인퓨즈를 별도의 단자볼트에 체결하지 않더라도 메인퓨즈를 가결합시킨 상태에서 정션박스의 유통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 정션박스 메인퓨즈의 장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서, 정션박스의 일부분에 대한 간략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라 절개된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 메인퓨즈의 장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서, 정션박스의 일부분에 대한 간략한 평면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라 절개된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C-C′선에 따라 절개된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정션박스 몸체 2: 터미널
3, 6: 단자볼트 4: 버스바
5: 메인퓨즈 20: 가이드
22: 리테이너 23: 삽입홈

Claims (1)

  1. 정션박스 몸체 상부 일측에 얼터네이터 터미널용 단자볼트(3a)와 밧데리 터미널용 단자볼트(3b)가 형성되며, 이들 단자볼트의 하단부에는 정션박스 몸체에 설치된 각종 접속단자들에 전류를 분배하기 위한 버스바(4a, 4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버스바 사이에 메인퓨즈가 연결설치되는 차량용 정션박스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용 단자볼트(3a, 3b)에 그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버스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퓨즈(5);
    상기 메인퓨즈 접면되도록 상기 터미널용 단자볼트(3a, 3b)에 각각 끼워져 너트에 의해 조임고정되는 알터네이터 터미널(2a)과 밧데리 터미널(2b);
    상기 메인퓨즈(5)의 양측부가 각각 지지되도록 상기 터미널용 단자볼트(2a, 2b) 사이의 상기 정션박스 몸체 상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걸림턱(21)이 수평하게 돌출형성된 가이드(20); 및
    상기 메인퓨즈가 안착되도록 상기 가이드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지지스프링(2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리테이너(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
KR1020040047163A 2004-06-23 2004-06-23 차량용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 KR100534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163A KR100534360B1 (ko) 2004-06-23 2004-06-23 차량용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163A KR100534360B1 (ko) 2004-06-23 2004-06-23 차량용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4360B1 true KR100534360B1 (ko) 2005-12-08

Family

ID=3730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163A KR100534360B1 (ko) 2004-06-23 2004-06-23 차량용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3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917B1 (ko) 2007-12-17 2009-08-20 영화테크(주) 정션박스의 전원 분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917B1 (ko) 2007-12-17 2009-08-20 영화테크(주) 정션박스의 전원 분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0118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6785139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5886611A (en) Fuse assembly
US839506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7335035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9943001B2 (en) Switch box
CN109792140B (zh) 电连接箱
US7615885B2 (en) Power connection device for battery terminal clamp
JP2002369336A (ja) 電気接続箱
US7108943B2 (en) Structure of connecting battery terminals to bus bars
JP2002343331A (ja) バッテリ
KR101417689B1 (ko) 휴즈 블럭 장치
CN107851923A (zh) 能够防御外物损坏的可连接多根缆线的电连接装置
KR100534360B1 (ko) 차량용 정션박스 메인퓨즈 장착구조
EP1470964A2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KR100755031B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장착구조
JPH10174254A (ja) 電気接続箱の電気接続構造
KR200408484Y1 (ko) 연결브라켓 연결구조
JPH0670404U (ja) 分電盤
JP3112416B2 (ja) 電気接続箱の接続構造
KR101885709B1 (ko) 전원 분배장치
TWI459671B (zh) 電力用連接導體
JP2004119187A (ja) バッテリ構成方法
JP3783449B2 (ja) 電装品ブロック
JP3669118B2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