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570B1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 및 그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 및 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570B1
KR100533570B1 KR10-2001-0046571A KR20010046571A KR100533570B1 KR 100533570 B1 KR100533570 B1 KR 100533570B1 KR 20010046571 A KR20010046571 A KR 20010046571A KR 100533570 B1 KR100533570 B1 KR 100533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
ser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520A (ko
Inventor
김희석
서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빌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빌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빌탑
Priority to KR10-2001-0046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570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5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컴퓨터를 직접제어하고 실행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은 원격제어대상 PC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연결시켜 PC의 IP어드레스 및 원격제어메뉴 정보와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정보 및 개인정보를 교환 동기화 시키는 단계; 무선인터넷에 접속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송출 IP 어드레스로 원격제어대상 PC와 이동통신단말기가 접속되도록 하는 단계; PC의 원격제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의 사용권한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단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PC원격제어 사용권한 인증 후,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선택된 원격제어 서비스메뉴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받아 해당 서비스메뉴를 실행하는 단계; 및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원격제어명령을 실행한 후, 해당 명령의 실행결과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A remote control method of long distant computer from mobile using mobile set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컴퓨터를 직접제어하고 실행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인휴대통신장비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전용의 데이터 통신케이블 또는 블루투스 기술로 PC와 접속되어 데이터 동기화를 이룰 수 있다. 이를 PC링크(PC싱크) 또는 데이터 싱크라 한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와 PC간의 데이터 동기화는 상호간의 부분적인 정보의 공유와 상호 제어기능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위의 2웨이 방식의 PC링크 개념을 잘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10)와 PC(20)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접속 수단으로 유선통신과 무선통신을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위의 유선통신에는 단말기-PC 접속용 전용 데이터통신케이블이 이용될 수 있고, 무선통신은 적외선통신 또는 브루투스 통신을 기반으로 한 근거리 무선접속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PC 대 이동통신단말기 접속용 데이터통신케이블 또는 브루투스 무선접속방식으로 이동통신단말기와 PC를 동기화시킨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데이터, 단말기의 벨소리 및 바탕이미지 데이터 등을 PC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고 또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PC의 일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와 PC간의 데이터 동기화 접속기술은 근거리 통신에만 적용할 수 있는 제한된 기술로서 원거리 직접통신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2웨이 방식을 넘어, 최근에는 무선인터넷 접속라인을 포함하는 3웨이 동기기술이 구현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와 PC간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 졌다.
도 2는 이동통신단말기와 PC 간의 3웨이 접속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는 위의 2웨이 접속계통에 무선인터넷 접속라인이 더 추가되고 있는데, 이동통신단말기(10)가 웹서버(30)에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한 다음 그 웹서버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웹서버(30)는 PC(20)에 유선망 등으로 접속되어 이 PC에 의해 관리 제어를 받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와 PC간의 인터넷접속은 웹서버를 매개로 하는 일방적인 것이어서 동기화를 통한 상호 실시간 제어는 이루어질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망을 통한 이동통신단말기와 원격지 컴퓨터간의 직접 접속 서비스를 통하여, 외출지 또는 출장지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 사내PC 또는 댁내PC에 접근한 후, 그 PC의 수행기능이나 작업목록 등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C 내부의 바이러스검사 및 치료, 디스크정리 등 장시간이 소요되는 PC자체의 작업 실행명령을 원격지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언제든지 지령할 수 있고 또한 그 작업명령에 대한 실행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PC의 유휴시간대를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지의 기준 PC에 대해 LAN 등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2, 제3의 PC에 까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LAN으로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PC간 데이터교환 및 작업실행도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원격 제어하는 것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C와 이동통신단말기간 메모리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망을 통한 원격지PC와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실시간 접속을 통하여 메일작성 및 첨부파일 어태치, 파일 다운로드, 검색작업 등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실행시키고 관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은 원격제어대상 PC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연결시켜 PC의 IP어드레스 및 원격제어메뉴 정보와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정보 및 개인정보를 교환 동기화 시키는 단계; 무선인터넷에 접속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송출 IP 어드레스로 원격제어대상 PC와 이동통신단말기가 접속되도록 하는 단계; PC의 원격제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의 사용권한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단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PC원격제어 사용권한 인증 후,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선택된 원격제어 서비스메뉴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받아 해당 서비스메뉴를 실행하는 단계; 및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원격제어명령을 실행한 후, 해당 명령의 실행결과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 시스템은 무선인터넷 서비스 기능을 가지며 원격제어 대상 PC의 IP 어드레스 정보와 원격실행서비스 메뉴정보와 시작프로그램정보와 파일 및 폴더 구조정보 등이 PC 정보에 동기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는 이동통신단말기; 인터넷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정보 및 사용자정보 등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동기되어 저장되는 원격제어대상 PC; 및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PC를 PC의 IP어드레스로 접속시켜 주는 무선인터넷 서비스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한 시스템의 개념적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와 PC(20)는 그 접속라인이 4웨이로 구성되고 있는데, 그 첫 번째는 무선망, 두 번째는 케이블망, 세 번째는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되는 웹서버 라인, 그리고 네 번째는 무선인터넷 직접접속라인이다.
이렇게 4웨이 접속라인을 갖는 PC(20)에는 원격서비스부(50)가 마련되며, 또한 상기 PC(20)에는 또 다른 PC(40, 41)가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하여 접속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원격서비스부(50)는 그 내부에 원격제어부(51), 프로토콜변환부 (MAP : Mobile Application Plug-in)(52), 서비스부(53), 동기화부(54) 및 다운로드서버(55)를 포함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서 원격제어부(51)는 이동통신단말기(10)와 원격서비스부(50)의 물리적인 접근을 관리하는 곳으로 무선인터넷을 기반으로 송, 수신하며, PC의 이벤트 캡쳐기술을 적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PC를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원격제어부는 서비스부가 요청된 서비스를 수행하게 한다.
상기 프로토콜변환부(52)는 PC측 원격제어부와 이동통신단말기간에 송, 수신되는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변환한다. 즉, PC를 기준으로, 송신시에는 PC측의 전송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고 또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을 바꾸어 원격제어부가 송신할 수 있게 한다.
수신시에는 PC측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실행데이터로 변환하여 PC측의 원격제어부 내의 서비스부(53)가 이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서비스부(53)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서비스를 판단하여 검색 또는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그 결과를 프로토콜 변환부를 통해 송출하여 단말기에서 그 처리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이 서비스 부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동기화 작업이 필요한 경우 동기화부로 서비스 또는 컨텐츠의 추가 및 삭제, 저장, 변경을 통하여 다운로드서버(DLS)에 서비스를 요청한다.
상기 동기화부(54)는 이동통신단말기 별로 단말기의 현재의 상태를 파악하고 단말기의 사양(개인정보 메모리 용량, 메시지 용량, 컬러, 사운드 등), 단말기 설정상태 정보를 동기화 시켜 이동통신단말기와 PC간에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원격서비스부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비스(컨텐츠)를 동기화 상태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동기화부는 각기 다른 시간 및 다른 내용으로 변경된 개인정보 데이터에 대해 동기화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개인정보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도 수행한다.
상기 다운로드서버(55)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관리와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를 관리하며, 해당 PC에 접속된 또 다른 컴퓨터(40, 41)로의 데이터 전송관리도 수행한다. 이 다운로드서버는 컴퓨터 파일시스템과 연결되어 파일 및 폴더의 공유관리를 수행하여 원격지 컴퓨터가 해당 PC로 접속할 때 사용자 컴퓨터의 파일시스템을 관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본 발명의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격 제어대상 PC와 이동통신단말기에 각각 개인정보 데이터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정보와 PC IP어드레스 및 원격제어 기본메뉴 정보를 등록시켜 상호 동기 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PC간의 동기화를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와 PC는 데이터전송케이블로 유선접속 시키거나 또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그 접속상태를 유지시킨다.
다음 단계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무선인터넷에 접속시켜 인터넷 엑세스가 가능한 상태의 PC와의 집적 접속을 시도한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는 자체 메모리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접속대상 PC의 IP어드레스를 이동통신서비스센터 측으로 전송하게 되며, 이동통신서비스센터 측에서는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요구한 IP어드레스의 PC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접속시킨다.
위의 과정을 거쳐 이동통신단말기와 PC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호접속이 성공하면, 즉, 이동통신단말기와 PC내에 설치된 원격서비스부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직접 접속되면, 이 원격서비스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번호를 확인하고 등록된 번호가 맞으면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한다.
원격서비스부의 단말기 비밀번호 요구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 소자자가 자신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원격서비스부는 그 입력내용을 판단하여 사전에 원격서비스부에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으면 그 접속을 취소하고, 일치하면 사용자 인증을 수락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은 PC에 저장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원본으로 하여, 이동통신단말기측에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청하고 이동통신단말기측에서 비밀번호의 입력이 있으면 이를 사용자 정보에 등록된 비밀번호에 비교하여 그 사용권한을 인증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는 별도로 생성시킬 필요 없이, 사전에 이동통신단말기에 등록시킨 이동통신단말기 비밀번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후, PC의 원격서비스부는 원격서비스 메뉴를 이동통신단말기측에 제공한다.
원격서비스 메뉴는 예를 들면, 컴퓨터파일시스템관리 서비스, e메일 서비스, 개인정보관리 서비스, 컴퓨터와 다른 컴퓨터간의 정보공유 서비스, 이동통신단말기의 응용프로그램 저장부 관리 서비스 등이 지원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PC제어메뉴 중 하나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선택하면, 서비스 선택정보는 PC내 원격서비스로 전송되어 선택된 서비스 종류에 따른 PC내 데이터검색 및 서비스가 실행된다.
원격서비스메뉴별 실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파일시스템관리 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원격서비스부를 통하여 PC의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는 것으로, 컴퓨터의 파일 및 폴더의 검색 서비스와 공유 삭제, 디스크 정리, 백업 서비스 등을 수행한다.
원격서비스부에 등록된 파일 및 폴더들은 이동통신단말기-PC간의 동기(SYNC)시, 이미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그 리스트가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 PC의 파일 및 폴더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만일, 원격서비스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PC내의 파일 및 폴더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검색파일 및 폴더이름을 입력하여 원격서비스부로 전송하면, 이러한 요청을 받은 원격서비스부는 PC 내의 파일 및 폴더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 측으로 전송하고 이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임의의 파일 및 폴더를 선택하고 이들의 공유를 요청하면 PC측의 원격서비스부는 해당 파일 및 폴더의 접근권한을 공유상태로 만든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파일 및 폴더를 선택하고 이들의 삭제를 요청하면 원격서비스부는 자체의 목록에서 해당 파일 및 폴더를 삭제하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PC의 디스크정리를 요청하면 원격서비스부는 선택한 디스크의 디스크정리를 실행하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스크 백업을 요청하면 원격서비스부는 해당 디스크의 디스크백업을 실행한다.
다음은 e메일서비스를 설명한다.
e메일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원격서비스부를 통하여 컴퓨터의 e메일을 관리하는 서비스로서 e메일 발송서비스, e메일확인서비스 및 그의 삭제서비스 등을 수행한다.
이동통신단말기에서 e메일 내용을 작성하고 첨부시킬 파일이 있을 경우, 컴퓨터파일시스템관리 서비스를 이용하여 첨부할 파일을 선택 후, e메일 파일첨부 발송서비스를 원격서비스부에 요청하면, 원격서비스 요청을 받은 원격서비스부는 PC에 기본메일로 등록되어 있는 서비스 e메일로 메일을 발송한 다음, 그 메일 발송 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동통신단말기에서 PC의 메일계정에 도착한 e메일의 확인은 그 확인서비스를 원격서비스부에 요청하는 것을 통하여 수행된다. 이 기능은 원격서비스부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메일확인 서비스요청을 받게 되면 상기 원격서비스부는 PC의 에 새롭게 도착한 e메일이 있는지 검색하고 새롭게 도착한 메일이 있으면 그 메일리스트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된 메일리스트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메일을 선택하면 원격서비스부는 선택된 e메일을 열어 그의 내용이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읽어볼 수 있도록 그 메일정보를 전송한다.
또,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된 e메일 리스트 중에서 특정의 e메일목록의 삭제를 요청하면 원격서비스부는 해당 e메일을 삭제한다.
원격서비스메뉴 중 개인정보관리 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원격서비스부를 통하여 PC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와 PC에 저장된 개인정보 데이터간의 동기서비스 및 개인정보 데이터의 추가, 삭제, 변경, 검색 서비스 등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동기서비스가 요청되면 원격서비스부에서는 원격서비스부에 등록된 개인정보 데이터와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 데이터를 동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동기시킨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신규 데이터의 추가 입력요청이 있으면 원격서비스부는 PC의 개인정보 데이터에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고 그 결과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측으로 전송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기존 데이터의 변경 요청이 있으면 원격서비스부는 PC의 개인정보의 해당 데이터를 변경하고 그 결과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측으로 전송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기존 데이터의 삭제 요청이 있으면 원격서비스부는 PC의 개인정보의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고 그 결과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측으로 전송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검색어 입력과 동시에 검색요청이 있으면 원격서비스부는 PC의 개인정보 데이터 중에서 해당 검색어를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다.
다음, PC와 또 다른 원격지 PC간의 정보공유 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원격서비스부를 통하여 PC의 정보를 공유하여 또 다른 원격지 PC에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로서 개인정보 데이터의 공유 서비스 및 파일, 폴더 공유 서비스 등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개인정보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요청하면 원격서비스부에서는 PC의 개인정보 데이터를 공유목록에 등록하고 또 다른 원격지 PC가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 후, 그 결과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측으로 전송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그 사용자가 PC파일시스템관리 서비스를 통해 파일 및 폴더 공유 서비스를 요청하면 이를 파일 및 폴더를 공유 목록에 등록하고 또 다른 원격지 PC가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 다음, 그 결과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측으로 전송한다.
다음, 이동통신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관리 서비스는 사용자 PC의 저장공간을 활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의 저장 공간에 대한 활용성과 편이성을 높이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의 메뉴 구성 서비스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 등록, 저장 서비스 등을 수행한다.
이 서비스는 원격서비스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의 저장공간을 확인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될 응용 프로그램 메뉴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응용 프로그램 영역의 기본 메뉴에 따라 그 실행을 원격서비스부로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이 있게 되면 원격서비스부는 요청된 메뉴 구조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다.
또,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뉴에 추가될 서비스 항목을 선택 후 등록 서비스를 요청하면 원격서비스부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 저장 메모리의 저장공간을 확인한 후 요청된 서비스 항목을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그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도 5의 흐름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와 PC가 원격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서로 주고받아 동기되어 있고 또한 원격 제어대상 PC가 켜져 인터넷 접속대기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무선망을 통하여 PC내의 원격제어부 접속을 요청해 오면, 원격서비스부는 단말기측에 대해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한다.
원격서비스부의 비밀번호 입력요구에 따라 단말기측에서 비밀번호가 들어오면 등록된 단말기정보 데이터 파일에서 비밀번호 값을 불러와 그 정당성을 확인하여 사용자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이 원격서비스부에서 사용자 인증이 있게되면 단말기측에서 서비스메뉴를 선택하여 그 정보가 전송 입력될 때까지 서비스 대기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통신단말기측으로부터 서비스 선택정보가 들어오면 원격제어부는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고 그 서비스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PC측에 요청한다.
이에 PC측에서 서비스데이터 및 실행데이터를 원격서비스부 측으로 전송하면 이 원격서비스부는 요청된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원격지 PC제어 결과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시스템은 무선통신망을 통한 이동통신단말기와 원격지 컴퓨터간의 직접 접속을 지원하게 되므로, 외출지 또는 출장지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 사내PC 또는 댁내PC에 접근하여 그 PC의 수행기능이나 작업목록 등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
특히, PC 내부의 바이러스검사 및 치료, 디스크정리 등 장시간이 소요되는 PC자체의 작업 실행명령을 원격지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언제든지 지령할 수 있고 또한 그 작업명령에 대한 실행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PC의 유휴시간대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PC를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지의 기준 PC에 대해 LAN 등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2, 제3의 PC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게 되므로, LAN으로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PC간 데이터교환 및 작업실행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언제든지 PC내부의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그 이동통신단말기가 지정하는 컴퓨터로 가져올 수 있고 또한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PC측으로 보낼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함에 따라, PC와 이동통신단말기간 메모리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을 통한 원격지PC와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실시간 접속을 통하여 메일작성 및 첨부파일 어태치, 파일 다운로드, 검색작업 등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실행시키고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이동통신단말기와 PC간 2웨이 방식의 일반적인 PC링크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이동통신단말기와 PC간 3웨이 접속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한 시스템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PC에 설치되는 원격서비스부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격지 컴퓨터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통신단말기 20 : PC
30 : 웹서버 40,41 : PC
50 : 원격서비스부 51 : 원격제어부
52 : 프로토콜변환부(MAP) 53 : 서비스부
54 : 동기화부 55 : 다운로드서버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무선인터넷 접속 기능을 가지며 원격제어 대상 PC의 IP 어드레스 정보와 원격실행서비스 메뉴정보와 시작프로그램정보와 파일 및 폴더 구조정보 등이 PC 정보에 동기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는 이동통신단말기(10); 무선인터넷을 통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의 접속을 위해 원격제어부(51), 프로토콜 변환부(MAP)(52), 서비스부(53), 동기화부(54) 및 다운로드서버(55)로 구성된 원격서비스부(50)를 가지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정보 및 사용자정보 등이 이동통신단말기에 동기되어 저장되는 원격제어대상 PC(20); 및 상기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PC를 PC의 IP어드레스로 접속시켜 주는 무선인터넷 서비스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원격서비스부간 물리적인 접근관리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PC의 직접제어를 위해 PC의 이벤트 캡쳐의 실행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는 송신시에는 PC측의 전송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을 바꾸어 원격제어부가 송신할 수 있게 하며, 수신시에는 PC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데이터로 변환하여 서비스부가 이용할 수 있도록 송, 수신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부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서비스를 판단하여 검색 또는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그 결과를 프로토콜 변환부를 통해 송출하여 단말기에서 그 처리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개인정보 메모리 용량, 메시지 용량, 컬러, 사운드 등의 단말기 설정상태 정보를 동기화시켜 이동통신단말기와 PC간의 사용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서버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관리와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의 관리를 위해 PC의 파일시스템과 연결되어 파일 및 폴더의 공유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대상 PC에는 이 PC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가 접근할 수 있는 다수의 또 다른 PC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시스템.
KR10-2001-0046571A 2001-08-01 2001-08-01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 및 그시스템 KR100533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571A KR100533570B1 (ko) 2001-08-01 2001-08-01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 및 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571A KR100533570B1 (ko) 2001-08-01 2001-08-01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 및 그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520A KR20030012520A (ko) 2003-02-12
KR100533570B1 true KR100533570B1 (ko) 2005-12-06

Family

ID=27717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571A KR100533570B1 (ko) 2001-08-01 2001-08-01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 및 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35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6982B2 (en) * 2005-12-07 2010-09-14 Tor Anumana, Inc. Wireless controller device
US8019329B2 (en) 2005-12-07 2011-09-13 TOR Anumana Wireless controller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947A (ko) * 2001-11-01 2003-05-12 (주)하나로테크 원격지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030056736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용컴퓨터에 저장된 주소록 검색 방법
KR100449651B1 (ko) * 2002-01-07 2004-09-22 박용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피씨 키신호 제어방법
KR20030086676A (ko) * 2002-05-06 2003-11-12 박상혁 가상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무선 동기화 방법 및 이를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KR100575579B1 (ko) * 2003-12-18 2006-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루투스를 이용한 리모콘명령 생성 시스템, 리모콘명령처리 시스템 및 리모콘명령 처리 방법
KR100840076B1 (ko) * 2004-09-14 2008-06-19 주식회사 케이티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76865B1 (ko) * 2004-12-15 2007-02-08 알서포트 주식회사 에이알에스와 인터넷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제어 방법
KR100689774B1 (ko) * 2005-07-20 2007-03-08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컴퓨터간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는홈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13405B1 (ko) * 2005-11-21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간의 상호 제어를 위한 연동 방법
KR100764646B1 (ko) * 2005-12-27 2007-10-08 뮤텔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원격 제어 시스템 및컴퓨터 원격 제어 방법
KR100764473B1 (ko) * 2006-08-04 2007-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장치 내 저장된 파일에대한 검색 및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80018061A (ko) * 2006-08-23 2008-02-27 주식회사 로직플랜트 원격지 컴퓨터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1295820B1 (ko) * 2006-09-05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20080078085A (ko) * 2007-02-22 2008-08-27 (주) 마젠타시스템 카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63995B1 (ko) * 2007-03-14 2008-10-16 홍건 인터넷을 통한 공유폴더 공유 기능 제공 시스템
KR101311824B1 (ko) * 2008-08-11 2013-09-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 및 단말기능 제어 방법
KR101256008B1 (ko) * 2008-09-05 2013-04-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상 피씨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926175B1 (ko) * 2008-10-27 2009-11-10 주식회사 로직플랜트 원격지 컴퓨터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6982B2 (en) * 2005-12-07 2010-09-14 Tor Anumana, Inc. Wireless controller device
US8019329B2 (en) 2005-12-07 2011-09-13 TOR Anumana Wireless controll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520A (ko)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570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컴퓨터 제어방법 및 그시스템
JP4552739B2 (ja) 会議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EP1776820B1 (en) Automated remote site downloading on a geographic drive
US200602422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er to peer synchronization of files
JPH10177552A (ja) 認証応答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認証応答装置
JPH0870300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ファイル共有方法
JP2008500607A (ja) デバイス組分け及び組分けデバイス同士の会話を実現する方法
JP2001512260A (ja)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内で統一情報に大域的にかつ安全にアクセス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00030346A1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controllable device such as periphera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
JP6344907B2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05020112A (ja) ネットワーク設定システム、管理装置、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設定方法
JPWO2009113157A1 (ja) 認証装置、認証方法、およびデータ利用方法
JP4487801B2 (ja) 会議システム及び会議管理方法
JP2001051948A (ja) アクセス制御装置及び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
JP3822677B2 (ja) コンピュータ・テレフォニ・システム
JP5141096B2 (ja) 取得したネットワークの接続情報を利用したファイルの自動暗号化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538924B1 (ko) 개인 컴퓨터를 서비스 서버로 구동한 다수의 서버/클라이언트들 구조를 이용한 피어투피어 방식의 웹 서비스, 원격 스토리지 서비스, 원격 제어 서비스 제공방법
US7321944B2 (en) User programming system using web server for private branch exchange
JP2010050750A (ja) 通信端末、通信制御方法、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KR20060023630A (ko) 자원 공유 서비스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이용한 자원 공유 시스템 및 자원 제공과 이용 방법
KR20110097185A (ko)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지 중계기 제어방법
US20070180500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exchange
KR101012418B1 (ko) 스마트 라우터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0099458A (ja) 個人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4123864A (ja) 情報通信機器の管理システム、管理サーバ、情報通信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