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1158B1 -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158B1
KR100531158B1 KR1019980050043A KR19980050043A KR100531158B1 KR 100531158 B1 KR100531158 B1 KR 100531158B1 KR 1019980050043 A KR1019980050043 A KR 1019980050043A KR 19980050043 A KR19980050043 A KR 19980050043A KR 100531158 B1 KR100531158 B1 KR 100531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ream
weight
time
unit
digit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264A (ko
Inventor
유제용
김병진
서강수
강기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0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1158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04N21/435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on a televisi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80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involving specific measures to prevent a buffer over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에 저장할 때, 기록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시각정보의 가중치를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에서는 기록매체상에 기록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전송속도에 대응하는 시각정보의 상한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기록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최소 전송속도에 대응하는 시각정보의 하한 가중치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상한 가중치와 하한 가중치에 근거하여 시각정보 가중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정보 생성방법에서는,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매체상에 기록하고, 기록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최저 비트 전송속도에서 하나의 맵핑 단위체내에서 일정 단위시간의 계수값이 오버플로우(overflow)되지 않게 하는 일정 단위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기록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맵핑 단위체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최대 탐색시간 지연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에 저장할 때, 기록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시각정보의 가중치를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송신하는 영상신호를 AM 또는 FM변조하여 전파나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하였다. 최근, 디지털 영상압축 및 디지털 변복조 등과 같은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 관한 표준화가 빠른 속도로 진전되고 있고, 기존의 지상파, 위성, 케이블 방송에서도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을 기반으로 디지털화 하고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음성 압축기술 및 디지털 전송기술의 발전에 따라 아날로그 서비스보다 고화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동일 대역폭에서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고, 디지털 통신 미디어 및 디지털 저장 미디어 등과의 상호 운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에서는, MPEG을 기반으로 엔코딩된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이 다중화되어 전송스트림(transport stream; TS) 형태로 전송되며, 이 전송스트림은 수신측에 설치된 셋탑 박스(set top box) 등에서 수신되어, 전송스트림에 포함된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이 역다중화되어 소망하는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만이 선택되며,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셋탑 박스에 내장된 디코더에서 디코딩하여 원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텔레비전과 같은 A/V출력장치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텔레비전과 같은 A/V출력장치로 출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저장매체에 저장, 편집 및 재생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일예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stream)을 셋탑박스에서 수신한 후 예를 들면 IEEE-1394 시리얼 버스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기록재생장치와 같은 스트리머(streamer)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디지털 스트림을 편집 및 재생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셋탑박스로 전달함으로써 텔레비전과 같은 AV출력장치를 통하여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DVD와 같은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서는 탐색을 위하여 기록 스트림과 연계된 스트림 타임 맵(time map)정보를 생성하여 기록해야만, 재생시 상기 기록된 스트림 타임 맵정보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기록 데이터 스트림을 탐색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트림 타임 맵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으로는 타임 맵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기록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최소단위인 기록단위체[이하, 맵핑 단위체(mapping unit)라 칭함]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이 기록된 섹터수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각 맵핑 단위체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상기 시각정보는 데이터 스트림을 구성하는 각 전송스트림 패킷이 스트리머에 도달하는 패킷도착시간(packet arrival time)으로 표현되어야 하는데, 이 패킷도착시간은 27MHz로 표현되는 9비트와 90KHz로 표현되는 21 이상의 비트를 포함하여 적어도 4바이트 이상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각 맵핑 단위체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시각정보를 4바이트 이상으로 표현할 경우에는 스트림 타임 맵 정보의 데이터량이 매우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각정보를 적은 데이터량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으로, 대응하는 맵핑 단위체에 대하여 패킷 도착시간의 증가량(Incremental Application Packet Arrival Time; IAPAT)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먼저 다음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 시각정보 가중치)를 구하고,
0 ≤ 5625s2
16 ≤ MTU_SHFT ≤ 36
(여기서, MAPU_SZ는 섹터수로 표현되는 맵핑 단위체의 크기로서 고정값이고, max_bitrate는 입력되어 기록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비트 전송속도이다)
상기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 시각정보 가중치)을 다음의 수학식 2에 대입하여 패킷 도착시간의 증가량(IAPAT)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을 구하도록 되어 있다.
IAPAT_TU =
상기 수학식 1은, 입력 기록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비트 전송속도(max_bitrate)에서 한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내에 1개의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를 갖도록 하는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을 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전송속도를 갖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맵핑 단위체(MAPU#1)내에서는 1개가 존재하게 되며, 최대 전송속도 이하의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맵핑 단위체(MAPU#2,MAPU#i)내에는 2개 이상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스트림 타임 맵 정보를 구성할 경우에는, 스트림 타임 맵 일반정보에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와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를 기록해 두고, 각 맵핑 단위체(MAPU)에 대응하는 맵핑 리스트에, 각 맵핑 단위체(MAPU)내에 대응하는 상기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의 개수를 기록해 두면, 소망하는 기록 데이터 스트림을 탐색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의 첫 번째 맵핑 단위체(MAPU#1)에 대응하는 맵핑 리스트로서 IAPAT(1)는 "2", 두 번째 맵핑 단위체(MAPU#2)에 대응하는 맵핑 리스트로서 IAPAT(2)는 "2", i번째 맵핑 단위체(MAPU#i)에 대응하는 맵핑 리스트로서 IAPAT(i)는 "2"로 기록된다.
상기와 같이 기록된 스트림 타임 맵 정보를 이용하여 i번째 맵핑 단위체(MAPU#i)의 목표 탐색시간(Target Search Time)을 탐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첫 번째부터 i번째 맵핑 리스트[IAPAT(1),IAPAT(2),…,IAPAT(i)]를 누적 연산하여 이 누적연산한 값이 목표 탐색시간보다 크면 i×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 위치(A)에서부터 목표 탐색시간을 찾을 때까지 대기하여 목표 탐색시간 지점의 패킷 도착시간[MAPU_S_APAT]이 도래한 시점부터 기록 데이터 스트림을 독출하여 재생하게 된다.
그런데, 예를 들면,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를 32섹터, 최대 비트 전송속도(max_bitrate)를 10Mbps로 가정할 때, 32섹터가 기록되는 시간이 대략 52.4msec로 되며,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이 28로 되어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이 대략 45msec로 되므로, 최대 비트 전송속도에서의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내에서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이 한 개 존재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 B를 탐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C"에 해당하는 위치부터 목표 영역(B)이 도래하기를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최대 45msec정도 까지의 탐색시간 지연(tMWST1)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탐색시간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시각정보 가중치)을 결정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스트림 타임 맵 정보에 대한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시간정보 가중치)를, 탐색시간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은, 기록매체상에 기록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전송속도에 대응하는 시각정보의 상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제 1단계; 상기 기록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최소 전송속도에 대응하는 시각정보의 하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결정된 상한 가중치와 하한 가중치에 근거하여 상기 시각정보 가중치를 결정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은,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제 1단계; 및 기록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비트 전송속도에서 하나의 맵핑 단위체내에 적어도 2개 이상 표시될 수 있는 일정 단위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기록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맵핑 단위체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생성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은,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제 1단계; 상기 기록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시각정보 가중치를 결정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결정된 시각정보 가중치에 따라 상기 기록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맵핑 단위체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생성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은, 기록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및 최소 전송속도를 확인하는 제 1단계; 최대 및 최소 전송속도에 대응하여 일정 단위시간이 연계된 정보로부터, 상기 확인된 최대 및 최저 전송속도에 상응하는 일정 단위시간을 선정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선정된 일정 단위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기록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맵핑 단위체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생성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및 시각정보 생성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수학식 1을 다음의 수학식 3으로 변경함으로써,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 시각정보 가중치)을 작게 하여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을 줄이고자 한다.
0 ≤ 5625s2
상기 수학식 3은, 입력 기록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비트 전송속도(max_bitrate)에서 한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내에 n개의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을 갖도록 하는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을 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을 줄여서 탐색시간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어떤 기준으로 n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 문제로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단위시간을 줄이게 되면,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IAPAT)을 표현하는 제한된 비트수(예기서 12비트)로 인하여, 저속의 비트 전송속도로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시, 한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내에서 단위시간 카운트의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이 20이면,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이 0.178msec로 되고, 0.5Mbps의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32섹터의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를 채우는데 걸리는 시간은 1024msec인데 반해, 한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내에서 단위시간 카운트에 의한 시간은 212×0.178msec = 727msec로 되므로,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 단위로 시각정보를 표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최소 비트 전송속도(min_bitrate)의 개념을 도입하고, 최소 비트 전송속도(min_bitrate)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4를 세우게 된다. 여기서, m은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IAPAT)의 비트 크기이다.
2
상기 수학식 4를 만족하는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의 최소값 MTU_SHFT(min)을 선택하면,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수학식 4는, 최소 비트 전송속도(min_bitrate)에서 하나의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에 넣을 수 있는 최대 시간 크기가,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과 m비트(예를 들면 12비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최대 시간(즉, 212 × IAPATTIME_UNIT)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을 예시적으로 계산해보면,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를 32섹터, 최소 비트 전송속도(min_bitrate)를 1Mbps로 가정할 때,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이 20으로되고, 이 값을 상기 수학식 2에 대입하면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이 대략 0.18msec로 된다.
따라서, 최대 비트 전송속도(max_bitrate)가 10Mbps이고 최소 비트 전송속도(min_bitrate)가 1Mbps인 경우,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을 20과 28 사이에서 선택하면 된다. 한편, 상기 최소 비트 전송속도(min_bitrate)를 1Mbps이하로 선정하면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의 하한치가 20보다 더 큰 값으로 바뀌게 되지만, 이 경우에도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이 45msec보다 작은 값으로 된다.
따라서, 최소 비트 전송속도(min_bitrate) 및 최대 비트 전송속도(max_bitrate)를 이용하여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의 하한치 및 상한치를 구할 수 있으며, 이중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의 하한치가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의 분해능(resolution)을 더 낮게 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학식 3 및 수학식 4를 하나의 조건식으로 만들면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되며, 수학식 5를 만족하는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의 최소치를 선택하면 된다.
5625s
m = bit_size (12bit)
그런데, 상기 수학식 5를 만족하는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이 없는 경우는 최소 비트 전송속도(min_bitrate) 및 최대 비트 전송속도(max_bitrate)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이 없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IAPAT)의 비트 사이즈(m)인 12비트를 12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면 된다.
따라서, 비트 전송속도(min_bitrate 및 max_bitrate)와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를 고려하여, 상기 수학식 5에 의해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을 구할 수 있으며, 이렇게 구해진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을 수학식 2에 대입하면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을 구할 수 있다. 이렇게 구해진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은 45msec보다 작은 값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구해진 패킷 도착시간의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전송속도를 갖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맵핑 단위체(MAPU#1)내에서는 2개 이상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스트림 타임 맵 정보를 구성할 경우에도, 스트림 타임 맵 일반정보에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와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를 기록해 두고, 각 맵핑 단위체(MAPU)에 대응하는 맵핑 리스트에, 각 맵핑 단위체(MAPU)내에 대응하는 상기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의 개수를 기록해 두면, 소망하는 기록 데이터 스트림을 탐색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는 수학식 3에서 n을 2로 설정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최대 전송속도로 입력 기록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맵핑 단위체(MAPU)내에서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이 2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첫 번째 맵핑 단위체(MAPU#1)에 대응하는 맵핑 리스트로서 IAPAT(1)는 "3", 두번째 맵핑 단위체(MAPU#2)에 대응하는 맵핑 리스트로서 IAPAT(2)는 "4, i번째 맵핑 단위체(MAPU#i)에 대응하는 맵핑 리스트로서 IAPAT(i)는 "5"로 기록된다.
이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번째 맵핑 단위체(MAPU#2)를 탐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IAPAT(1)-1"에 해당하는 위치부터 2번째 맵핑 단위체(MAPU#2)의 패킷 도착시간[MAPU_S_APAT(2)]이 도래하기를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최대 tMWST2 까지의 탐색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도 2의 최대 탐색지연시간(tMWST2 )은 종래 도1의 탐색지연시간(tMWST1)보다 작아지게 된다. 즉, 예를 들면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을 20으로 설정할 경우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이 대략 0.18msec로 되므로, 이 경우 최대 탐색 지연시간은 0.18msec로 된다.
한편, 입력 기록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및 최소 전송속도와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를 고려하여, 상기 수학식 5를 이용하여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을 구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1)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의 크기가 16섹터인 경우,
max_bitratemin_bitrate 1Mbps 2Mbps 4Mbps 8Mbps 10Mbps
0.1Mbps 22 22 22 22 22
0.5Mbps 20 20 20 20 20
1Mbps 19 19 19 19 19
2Mbps - 18 18 18 18
4Mbps - - 17 17 17
8Mbps - - - 16 16
10Mbps - - - - 16
2)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가 32섹터인 경우,
max_bitratemin_bitrate 1Mbps 2Mbps 4Mbps 8Mbps 10Mbps
0.1Mbps 23 23 23 23 23
0.5Mbps 21 21 21 21 21
1Mbps 20 20 20 20 20
2Mbps - 19 19 19 19
4Mbps - - 18 18 19
8Mbps - - - 17 17
10Mbps - - - - 16
또한, 상기 구해진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MTU_SHFT)을, 상기 수학식 2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패킷 도착시간의 증가량(IAPAT)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을 구할 수 있게 된다.
1)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의 크기가 16섹터인 경우,
max_bitratemin_bitrate 1Mbps 2Mbps 4Mbps 8Mbps 10Mbps
0.1Mbps 0.71ms 0.71ms 0.71ms 0.71ms 0.71ms
0.5Mbps 0.18ms 0.18ms 0.18ms 0.18ms 0.18ms
1Mbps 0.09ms 0.09ms 0.09ms 0.09ms 0.09ms
2Mbps - 0.04ms 0.04ms 0.04ms 0.04ms
4Mbps - - 0.02ms 0.02ms 0.02ms
8Mbps - - - 0.01ms 0.01ms
10Mbps - - - - 0.01ms
2) 맵핑 단위체 크기(MAPU_SZ)가 32섹터인 경우,
max_bitratemin_bitrate 1Mbps 2Mbps 4Mbps 8Mbps 10Mbps
0.1Mbps 1.4ms 1.4ms 1.4ms 1.4ms 1.4ms
0.5Mbps 0.36ms 0.36ms 0.36ms 0.36ms 0.36ms
1Mbps 0.18ms 0.18ms 0.18ms 0.18ms 0.18ms
2Mbps - 0.09ms 0.09ms 0.09ms 0.09ms
4Mbps - - 0.04ms 0.04ms 0.04ms
8Mbps - - - 0.02ms 0.02ms
10Mbps - - - - 0.01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패킷 도착시간의 증가량(IAPAT)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을 메모리에 저장해두고, 입력 기록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및 최소 전송속도에 따라, 패킷 도착시간의 증가량(IAPAT)의 단위시간(IAPATTIME_UNIT)을 선택하여, 스트림 타임 맵 정보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및 시각정보 생성방법에 의하면, 입력 기록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비트 전송속도에서 한 맵핑 단위체 크기내에 2개 이상의 패킷 도착시간 증가량의 단위시간을 갖도록 하는 맵핑 단위시간 시프트값을 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최대 탐색시간 지연을 종래 방법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및 시각정보 생성방법을 성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및 시각정보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Claims (17)

  1. 기록매체상에 기록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전송속도에 대응하는 시각정보의 상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제 1단계;
    상기 기록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최소 전송속도에 대응하는 시각정보의 하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결정된 상한 가중치와 하한 가중치에 근거하여 시각정보 가중치를 결정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0 ≤ 5625s234s제1가중치s -1 ≺ 1
    (단, MAPU_SZ는 기록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맵핑 단위체의 크기,
    max_bitrate는 데이터 스트림의 허용 가능한 최대 전송속도)
    을 만족하는 상기 제 1가중치를 상한 가중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2ms제2가중치s20 s s14 , m=bit_size
    (단, MAPU_SZ는 기록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맵핑 단위체의 크기.
    min_bitrate는 데이터 스트림의 허용 가능한 최소 전송속도,
    m은 상기 시각정보 단위를 표시하기 위한 비트 크기)
    을 만족하는 상기 제2가중치를 하한 가중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단계는, 상기 결정된 상한 가중치와 하한 가중치 사이에 정수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하위 1단계; 및
    상기 확인결과에 따라 시각정보 가중치를 결정하는 하위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2단계는,
    상기 하위 1단계에서 정수값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결정된 상한 가중치와 하한 가중치 사이에 존재하는 소정 정수값을 시각정보 가중치로 결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2단계는, 상기 결정된 상한 가중치와 하한 가중치 사이에 존재하는 최소 정수값을 상기 시각정보 가중치로 결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2단계는,
    상기 하위 1단계에서 정수값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시각정보 단위를 표시하기 위한 비트 크기를 k 비트만큼 증가시켜,
    2m+ks제3가중치s20 s s14 , m+k=bit_size
    (단, MAPU_SZ는 기록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맵핑 단위체의 크기.
    min_bitrate는 데이터 스트림의 허용 가능한 최소 전송속도,
    m는 상기 시각정보 단위를 표시하기 위한 비트 크기,
    k >1인 정수)
    을 만족하는 상기 제 3가중치를 하한 가중치로 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상한 가중치와 상기 재 결정된 하한 가중치에 근거하여 상기 시각정보 단위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8.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제 1단계; 및
    기록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최저 비트 전송속도에서 하나의 맵핑 단위체내에서 일정 단위시간의 계수값이 오버플로우(overflow)되지 않게 하는 일정 단위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기록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맵핑 단위체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생성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단위시간은,
    5625s34ms ≺ 2MTU_SHFT
    (단, MAPU_SZ는 기록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맵핑 단위체의 크기.
    min_bitrate는 데이터 스트림의 허용 가능한 최소 전송속도,
    m은 상기 시각정보 단위를 표시하기 위한 비트 크기)
    를 만족하는 MTU_SHFT값중 최소값을 가중치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가중치를, MTU_SHFTs20에 대입하여 구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의 일정 시간단위의 가중치 정보를 부가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11.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제 1단계;
    상기 기록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시각정보 가중치를 결정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결정된 시각정보 가중치에 따라 상기 기록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맵핑 단위체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생성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다음의 수학식
    5625s34ms ≺ 2가중치 ≤ 5625s234s ,
    m = bit_size (12bit)
    (단, MAPU_SZ는 기록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맵핑 단위체의 크기.
    min_bitrate는 데이터 스트림의 최소 전송속도,
    max_bitrate는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전송속도,
    m은 상기 시각정보 단위를 표시하기 위한 비트 크기)
    을 만족하는 상기 가중치중 최소값을 시각정보 가중치로 결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수학식을 만족하는 가중치로서 정수값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정수값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시각정보 단위를 표시하기 위한 비트 크기를 1만큼 증가시켜서, 상기 수학식을 만족하는 상기 가중치중 최소값을 시각정보 가중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14. 제 11항 내지 제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결정된 가중치를 가중치s20에 대입하여 일정 단위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맵핑 단위체에 대응하는 상기 결정된 일정 시간단위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된 개수를 상기 맵핑 단위체의 시각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15. 기록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및 최소 전송속도를 확인하는 제 1단계;
    최대 및 최소 전송속도에 대응하여 일정 단위시간이 연계된 정보로부터, 상기 확인된 최대 및 최저 전송속도에 상응하는 일정 단위시간을 선정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선정된 일정 단위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기록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맵핑 단위체에 대응하는 시각정보를 생성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단위시간이 연계된 정보는 테이블 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맵핑 단위체에 대응하는 상기 결정된 일정 시간단위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된 개수를 상기 맵핑 단위체의 시각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KR1019980050043A 1998-11-18 1998-11-18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KR100531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043A KR100531158B1 (ko) 1998-11-18 1998-11-18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043A KR100531158B1 (ko) 1998-11-18 1998-11-18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264A KR20000033264A (ko) 2000-06-15
KR100531158B1 true KR100531158B1 (ko) 2006-01-27

Family

ID=1955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043A KR100531158B1 (ko) 1998-11-18 1998-11-18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11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3355A (ja) * 1987-06-17 1988-12-21 Victor Co Of Japan Ltd デ−タ通信内容の記録再生方式
JPH03230215A (ja) * 1990-02-06 1991-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JPH09320191A (ja) * 1996-05-28 1997-12-12 Sony Corp データ記録再生装置
KR20000032627A (ko) * 1998-11-13 2000-06-15 구자홍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방법 및 기록 스트림의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3355A (ja) * 1987-06-17 1988-12-21 Victor Co Of Japan Ltd デ−タ通信内容の記録再生方式
JPH03230215A (ja) * 1990-02-06 1991-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JPH09320191A (ja) * 1996-05-28 1997-12-12 Sony Corp データ記録再生装置
KR20000032627A (ko) * 1998-11-13 2000-06-15 구자홍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방법 및 기록 스트림의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264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353B1 (ko) 디지털데이터스트림의관리정보생성기록방법과그장치
US8676029B2 (en) 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igital data streams
CN1231051C (zh) 压缩的数字音频和视频数据的存储方法
KR100378248B1 (ko) 디지탈데이타기록및재생장치및방법
KR100329391B1 (ko)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방법 및 장치
KR100424480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이 수용가능한 데이터 포맷의 고밀도 광 기록매체와, 그에 따른 재생장치
CN1153457C (zh) 用于特技播放的数字录像带的记录和重放方法及其装置
KR100326144B1 (ko)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탐색정보 생성방법 및 이를이용한 탐색방법과, 그 장치
KR100531158B1 (ko)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가중치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방법
KR100531159B1 (ko)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시각정보 생성 기록방법
KR100606519B1 (ko)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방법 및 기록 스트림의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
KR100326143B1 (ko)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 및 장치
US6810198B1 (en) Record and playback device
KR100723740B1 (ko)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방법
KR100575527B1 (ko)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방법
KR100683316B1 (ko)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탐색정보 생성방법
KR20000066843A (ko) 디지털 데이터스트림의 선택적 기록방법
JPH11213564A (ja) 情報符号化装置および情報復号化装置および情報符号化復号化記録再生装置
KR20020015580A (ko)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방법
Wilkinson Packetised stream formats for the SD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