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605B1 - 이동데이터 서비스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데이터 서비스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605B1
KR100530605B1 KR10-2000-7008487A KR20007008487A KR100530605B1 KR 100530605 B1 KR100530605 B1 KR 100530605B1 KR 20007008487 A KR20007008487 A KR 20007008487A KR 100530605 B1 KR100530605 B1 KR 100530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wireless
service
msc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0617A (ko
Inventor
퍼 한스 아케 윌라르스
아리 주하니 조필라
라울 아르너 쇠데르스트룀
Original Assignee
텔레포나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포나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포나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010040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6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Abstract

다양한 표준들 하에서 동작하는 다양한 전기통신 서비스들을 통한 무선(와이어리스) 데이터전송을 위한 개선된 방법과 시스템이 기술된다. 상기 시스템과 방법은, 이동 액세스에서 호출 SCCMS와 접속제어 WCCMS를 분리하고, 통신에 균일성을 제공하는 일반적인 호출제어 매카니즘을 제공하고 그리고 독립된 접속제어 매카니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물리적 및 가상채널 접속을 처리함으로써 동작한다.

Description

이동데이터 서비스용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ATA SERVICE}
본 발명은 이동국과 유선망 간의 통신을 위한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가입자와 유선가입자 간에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위한 개선된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고, 또한 공통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이종(異種)의 전기통신 서비스들 간에 데이터전송을 위한 개선된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국해협을 항해하는 선박들과 지속적인 접촉을 제공하는 무선기의 능력을 1897년에 마르코니가 증명한 이래, 지난 세기 동안에 무선통신의 발전의 현저하였다. 마르코니의 발견 이래, 전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유선 및 무선통신방법들과, 서비스들과 표준들을 채택하였다. 특히 특히, 이동 무선통신 산업계가 10여배 성장한 지난 10여년 동안에, 이러한 발전은 가속화되었고 또한 휴대용 무선장비를 보다 소형화하고, 저렴하게 하고 또한 보다 신뢰성 있게 만든 수많은 기술적 장점들로 더 가속화되었다. 마찬가지로, 무선전화의 잠재적인 성장은 장래의 수십여년 동안에 계속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이 무선망은 현존하는 유선망들과 상호작용하여, 궁극적으로는 현존하는 무선망의 추월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미합중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앰프스(AMPS)와 같은 초기 무선시스템뿐만 아니라, 보편적으로 공중교환전화망(PSTN)으로 부르는 통상적인 유선시스템은 메시지 소오스와 수신지 간에 고정된 통신경로를 제공한다. 이 고정 회선교환기술은 시스템 자원들의 전용접속 또는 할당을 확립한다. 즉, 호출의 전체 지속주기 동안에 기지국과 이동단말기 간에 무선채널을 확립하고, 관련 이동교환센터와 PSTN 간에 전용 전화선을 확립한다. 이러한 전용 접속들이 비교적 긴 시간주기 동안 지속하는 음성데이터의 연속 스트림의 전송을 수반하는 음성통신을 유지하는데 유용하다 할지라도, 회선교환은 데이터통신, 특히 무선데이터통신에 매우 효율적이지 못한데, 이는 종종 짧은 버스터 데이터전송에 긴 비활성주기가 수반되어 자원들을 낭비하기 때문이다.
컴퓨터, 팩시밀리, 전자메일(e-메일), 짧은 메시징 및 다른 서비스들의 증가로, 데이터, 특히 패킷 형태인 데이터의 전송은 보다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선 데이터전송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망 체제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종합 정보 통신망(ISND)이 개발되어 PSTN을 보완하였고 또한 망 노드와 최종 사용자 간에 개선된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무선기술영역에서, 1993년도에 미합중국 셀룰러 산업계는, AMPS와 같은 통상적인 음성만의 셀룰러시스템과 공존하는 셀룰러 디지탈 패킷데이터(CDPD)표준을 개발하였다. CDPD는 현존하는 셀룰러 인프라스턱처를 활용하고 그리고 유휴 셀룰러 음성채널에서 미사용 공중시간(air time)을 사용하여 데이터패킷을 전송한다.
CDPD와, 범유럽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용 일반 패킷 무선 시스템(GPRS)와 같은 유사 시스템들이 부족한 무선을 최적화하여 망 전송자원들을 액세스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하더라도, 이들 시스템들은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또한 기본 시스템에 없는 그들 자신들의 기능들과 패킷데이터 접속의 설정과 해제를 위한 프로토콜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기 논의의 관점에서 보면, 현재 사용중이고 또한 사용을 위해 제안된, 다수의 개별적인 데이터통신 시스템들이 있다는 것이 명백한데, 시스템들 각각은 상이한 특징을 가지는 서비스들을 관리한다. 예컨대, 음성, 회선교환 데이터, 패킷 데이터 등을 관리한다. 무선영역에서 상이한 유형의 정보들을 처리할 수 있는 동일 표준의 매카니즘이 필요하다.
실질적으로 증가된 ISDN 통신의 대역폭을 가지는 유선영역에서 상기와 같은 한가지 매카니즘은, 패킷 교환율이 수 Gbps까지 이를 수 있도록 해주는 비동기 전송모드(ATM)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광대역 ISDN(B-ISDN)이다. ATM은 단일 물리적 채널에서 음성 사용자들과 패킷데이터 사용자들 둘 다를 처리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패킷교환 및 멀티플렉싱 기술이다. ATM은 두 말단(end point) 간에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패킷들의 양방향 전송을 지원하는 한편, 전송의 순서를 보전한다. 보다 중요한 것은, B-ISDN 호출 제어와 ATM기술을 하용하여, 상이한 특징들을 가지는 개별적인 서비스들을 균일한 방식으로 처리한다. B-ISDN 의 베어러(bearer) 서비스 특징들의 한 예로서, 모든 베어러들은 대역폭, 지연, 지연 변화, 셀 손실율 등과 같은 변수들로 특징지워지고, 상기 변수들 모두는 ITU-T 권고안 Q.2931에서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환경에서 상이한 특징들을 가지는 개별적인 서비스들을 균일하게 처리하는 개선된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호출제어를 서비스-지정 호출제어와 무선-지정 호출제어로 분리하기 위한 제어 플레인 엔티티를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의 구성요소 구조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들 간의 사용자 플레인 베어러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도면.
본 발명은 여러 표준들 하에서 동작하는 여러 전기통신서비스들에 걸친, 개선된 무선 데이터전송용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과 방법은, 이동 액세스에서 통상적인 호출제어를 서비스-지정 호출제어와 무선-지정 호출제어로 분리하고, 통신에서 균일성을 제공하는 포괄적인 호출제어 매카니즘을 제공하고 그리고 독립된 접속제어 매카니즘이 물리적 및 가장채널 접속을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동작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범위의 보다 완벽한 이해는 아래에서 간략히 요약되는 첨부도면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청구범위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지금부터 보다 완전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여기에서 제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으로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차리리, 이들 실시예들은, 본 설명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철저하게 하고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완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구조를 설명하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국(MS)(10)은 지역 이동서비스 교환센터(MSC)(12)와 무선통신 상태에 있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잘 알고 있듯이, MS(10)는 기지국(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MSC(12)와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MSC(12)는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망들에 접속된다. 만일 이 망이 ATM-기반 B-ISDN(14)망이라면, 표준화 기구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B-ISDN NNI (Network Node Interface) 명세를 인터페이스가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ATM-기반 B-ISDN망은 이에 접속된 다수의 ATM 단말국(end station)들을 가진다. 이들 ATM 단말국은 예컨대 다른 망들에 대한 게이트웨이(gateway)일 수 있고, 여기에서는 서비스노드(16)로 부른다. 예컨대, 도 1에서 서비스노드(16)는 전송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IP)망(도시되지 않음)과 ATM망(14) 사이의 게이트웨이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 1의 MS(10)를 참조하여 보면, MS(10)내 기능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독립된 인티티로 나뉘어진다. 첫째로, 여기에서 기준 식별자 (reference identifier) (SCCMS)로 표시되는, 이동전화 내 서비스 호출 제어(Service Call Controll) 엔티티는 B-ISDN 단말기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과 같은 표준 호출제어 기능장치를 구현한다. 둘째로, 이동전화 내 무선망-지정 호출제어(WCCMS)는 필수적인 무선액세스 호출 제어기능, 예컨대 무선액세스 기술에 종속적인 서비스 교섭(service negotiation) 등을 구현한다. 즉 환언하면, MS(10)의 호출제어(CC)는 표준 호출제어 프로토콜들과 기능들을 사용하는 하이-레벨 엔티티(SCCMS)과 상기 MS(10)에 의해 GSM, CDPD 등 사용되는 소정의 무선 액세스기술과 특성들에 대한 하이-레벨 명열을 구현할 수 있는 로우-레벨의 응용-지정 명령엔티티(WCCMS)로 나뉘어진다.
MS(10)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라 MSC(12) 내에서 제어는 상기에서 설명한 표준 호출제어기능장치, 예컨대 B-ISDN을 구현하는 SCCMSC와, 상기에서 설명한 기술-종속 무선 액세스호출 제어기능을 구현하는 WCCMSC로 나뉘어진다. MSC(12)는 또한 소정의 무선자원들과 이용할 수 있는 액세스망 전송자원들을 처리하는 무선망 자원핸들러(WNRH)를 포함한다. MSC(12)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고정 또는 제어 교환망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노드에 대한 호출제어 기능장치를 처리하는 고정-측(Fixed-side) 호출제어(FCC)를 더 포함한다.
MS(10)와 MSC(12) 각각에 대해 SCC와 WCC 쌍 각각이 동작적으로 결합되면 통상적인 이동시스템 호출제어를 구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CCMS는 SCCMSC에 접속되고, WCCMSC는 WCCMSC 에 접속된다. 그러나, SCCMSC와 WCCMSC가 접속하는 MSC(12)와는 달리, MS(10)에서, SCCMS 와 WCCMS 간에 직접적인 접속 또는 관계가 없다. FCC는 MSC가 접속하는 망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유사한 호출제어 기능장치를 구현한다. 만일 MSC(12)가 여러 형태의 망들에 접속한다면, 예컨대 B-ISDN과 N-ISDN에 접속한다면, 그러면, MSC(12)는 상기 두 망에서 호출제어 기능장치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FCC기능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즉 MSC(12)에 상기 두 망들에 대한 FCC가 있어야만 한다.
MSC(12)가 이동망에 의해 제공되는 베어러 서비스들을 구현하는 상호접속기능(IWF) 모듈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MS(10)에서 SN(16)까지 단말-대-단말 베어러 접속을 제공하는, 상기에서 설명한 MSC(12)내 IWF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MSC(12) 내 IWF와 MS(10) 간의 무선 베어러접속은 WCC프로토콜로 제어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도 1은 MS(10)와 서비스노드(16)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어 플레인 엔티티를 설명하는 반면, 도 2는 이들 간의 사용자 플레인 베어러접속을 설명한다. 상기 상호-접속기능은 사용자 데이터를, 무선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되는 포맷에서 표준 고정망에서 사용되는 포맷으로 변환된다. 각 코어(core) 망에 대해 독립된 상호작용 기능들이 있다. FCC와 고정망 호출제어 엔티티들은 고정망 베어러 접속을 셋업하고 제어한다. 무선 베어러접속과 고정망 접속의 연결로 이루어진 단말-단말 베어러접속은 SCC프로토콜에 의해 제어되고 셋업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주요 사항으로서, 필수적인 랜덤 액세스절차와 시그날링 채널할당이 먼저 수행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MS(10)로부터의 호출이 개시된 이후에, SCCMS는 통상적인, 하이-레벨 셋업 메시지를 MSC(12) 내 SCCMSC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전송된 셋업 메시지는 공지된 프토코롤을 따른다. 예컨대, 기초 호출/접속 제어를 위해 표준 B-ISDN 사용자-망 인터페이스(UNI) 계층 3 명세(the standard B-ISDN User-Network Interface(UNI) layer 3 specification)를 사용한다. 즉, ITU-T 권고 Q.2931을 사용한다.
SCCMSC가 메시지를 수신하면, 셋업 메시지의 정보 성분을 조사한다. 그런 다음, 요청된 베어러 서비스에 관련된 변수들은 WCCMSC로 전송된다. 이들 무선 인터페이스접속 변수들은 예컨대, 대역폭 관련 변수들과, 지연과 지연변화의 견지에서 본 서비스의 품질 등을 포함한다. 무선 환경에 상기 Q.2931을 더 잘 적응시키기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표준 Q.2931 메시지 프로토콜에 선택적인 정보 요소 또는 다른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만 한다.
WCCMSC가 수신을 하면, WCCMSC는 SCCMSC가 전송한 메시지 변수들을 조사하여, 상기 메시지 변수들을 전송에 사용되는 소정의 무선 액세스기술 특성에 따르도록 변환한다. 도 2에 설명된 상기 IWF 모듈을 사용하여, WCCMSC 내에서 상기 변환 프로세스는 상이한 전기통신 시스템, 예컨대 GSM과 코드분할 다중액세스(CDMA)에 대해 두 개의 상이한 변수들과 접속을 생성한다. WNRH와의 통신은 상기 WCCMSC 변수들에 의해 결정되고, 이에 의해 WNRH로부터 자원들을 요청한다. 당해 MS(10)의 위치, 즉 셀과 섹터는, 공통 시그날링 채널을 통한 정규 이동성 관리 트랜잭션을 통해 WNRH에 알려진다.
WCCMSC가 전송한 상기 변수들을 기초로, WNRH는 (MS 10의) 소정 셀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데이터접속이 가능한지를 결정하여, 허용 또는 거부신호를 WCCMSC로 전송한다. 만일 데이터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접속이 허용된다면, WCCMSC는 접속을 위해 필요한 자원들을 보존하도록 WNRH에 요청한다. WNRH는 필수적인 자원들을 자신에게 할당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접속을 허용하면, WCCMSC는 요청한 베어러들을 셋업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무선액세스 기술의존 변수들을 포함하여, 셋업 메시지를 WCCMS에 전송한다. 이동국에서 자원부족을 기초하여, WCCMS로 셋업 메시지가 거절될 수 있다(즉, MS10가 요청된 베어러를 처리할 수 없다). 그러나 만일 접속이 허용될 수 있다면, WCCMS는 WCCMSC로 승인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승인신호를 수신하면, WCCMSC는 MSC(12)내 SCCMSC로 승인신호를 전송한다.
SCCMSC가 WCCMSC와 초기에 접촉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서비스변수들을 전송하는 동안에, FCC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SCCMSC로부터의 FCC메시지 내 변수들은, 요청된 접속이 도 1에 설명된 것과 같은 ATM망(14)에 대한 것인 SCCMS로부터의 최초 셋업 요청의 변수들의 서브셋트(subset)이다. 그러나, SCCMS - SCCMSC 메시지 교환에서 변수들은 단말-대-단말 서비스를 기술하고, ATM망에서 상기 변수들은 바람직하게 동일하다. N-ISDN망의 경우에 있어서, 변수변환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FCC메시지 변수들을 수신하면, FCC는 최초 셋업 요청에서 SCCMS에 의해 지적된 호출제어 기능장치 특히 서비스노드(16)에 대한 접속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한 ATM망(14)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FCC는 MSC(12)와 ATM망(14) 간에 접속을 위해, 즉 교환 단말기 간의 접속을 위해 자원들을 보존하고, 이들 간의 인터페이스는 논의한 봐와 같이 망 노드 인터페이스-형(Network Node Interface-type)이다.
소정의 서비스노드(16)에 대한 자원들이 보존된 ATM망(14)으로부터의 메시지를 FCC가 수신한 후에, FCC는 이러한 취지로 SCCMSC로 메시지를 전송하고, 계속하여 SCCMSC는 접속의 타단이 링잉(ringing)된다는 것을 SCCMS에 통지한다. FCC가 ATM망(14)으로부터 접속 메시지를 수신하면, SCCMSC는 SCCMS로 접속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접속 메시지를 수신하면, SCCMS는 SCCMSC로 승인 메시지를 다시 전송하여, 이동망에서 MS(10)에서 소정의 서비스노드(16)로 직통접속(a through connection)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직통접속은 다양한 장치들을 통한 MS(10)로 IWF의 접속을 포함한다. 그러면, SCCMSC는, ATM망(14)으로 접속-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FCC에 명령하여, 소정의 서비스노드(16)에 대한 직통접속을 종료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방식에서, 이동가입자를 유선 또는 와이어리스 사용자에게 링크시키는 가상채널이 생성된다. 호출들과 접속들을 셋업하기 위한 절차들은 동일하고, 사용된 소정의 서비스에 따라 다르다. 즉, 동일한 호출제어 기능적 엔티티와 시그날링 프로토콜이 사용되어, 무선 및 액세스망 전송 자원들의 사용에 있어서 균일성을 제공한다. 논의하였듯이,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은 이동 액세스를 위한 B-ISDN-형 매카니즘을 제공한다. 예컨대,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 (TCP/IP)에 패킷데이터 접속의 경우에 있어서, 당해 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호출제어, 예컨대 GSM, AMPS 등은 B-ISDN에서와 같이, MS(10)와 TCP/IP망에 접속된 ATM망(14) 간에 가상접속의 셋업을 맡고 있다. 그러나, 이 가상채널 셋업은 PLMN 내측에서 전송자원들을 영구히 보존하지 않는다. 대신에, 자원들은 필요할 때에만 보존되고 사용되어, 희박한 자원들을 최대한 이용한다. PLMN 내측에서 베어러제어는 WCC기능을 책임진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동 액세스에서 B-ISDN-형 호출제어 절차의 도입과 호출 및 접속의 분리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을 포함한 모든 서비스들의 호출제어 절차들의 통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모든 서비스들에 대해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반적인 호출제어 매카니즘과 균일한 호출제어 메시지 교환을 생성한다. PLMN 내측에서 접속제어는 가상접속을 통해 독립적으로 처리된다.
ATM-기반 PLMN과 인터넷 간에 게이트웨이에 대한 가상접속의 생성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예컨대 MS(10)와 인터넷 게이트웨이 간에 인터넷 프로토콜(IP) 데이터그램(datagram)을 전송하기 위해 IETF RFC 1755(ATM을 통한 인터넷 프로토콜용 ATM 시그날링 지원)의 사용과 관련해 설명하였다 하더라도,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한다. 예컨대, MSC (12)(또는 PLMN)가 접속하는 망은 ATM-기반 B-ISDN 망이거나 또는 대신에 N-ISDN망 또는 다른 유사망일 수 있다.
상기의 기재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본 발명의 범위는 이 설명으로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 청구범위로 규정된다.

Claims (17)

  1. 이동가입자 단말기를 서비스노드에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입자 단말기와는 무선통신을 하고 상기 서비스노드와는 유선통신을 하는 이동서비스센터(MSC)와,
    상기 이동서비스센터와 상기 이동가입자 단말기 내에 있고, 상기 이동서비스센터와 상기 이동가입자 단말기 간에 상기 무선통신을 조정하는 무선 호출제어수단과,
    상기 이동서비스센터와 상기 이동가입자 단말기 내에 있고, 상기 서비스노드와의 상기 우선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서비스센터 내에서는 이동서비스센터 내에 있는 상기 무선 호출제어수단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이동가입자 단말기 내에서는 상기 무선 호출제어수단과는 분리되어 있는 서비스 호출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가입자 단말기를 서비스노드에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호출제어수단과 상기 서비스 호출제어수단이 사용하는 자원들을 조정하는, 상기 이동서비스센터 내 무선(와이어리스)망 자원 처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및 유선통신이 허용되면 상기 무선망 자원처리 수단이 상기 자원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무선 또는 유선통신이 거부되면, 상기 무선망 자원처리수단이 상기 자원들의 할당을 거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노드와 상기 유선통신을 조정하는, 상기 이동서비스센터 내에 있고 또한 이동서비스센터 내 상기 서비스 호출제어수단에 접속되는 고정-측 호출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호출제어수단이 호출제어수단에 부착된 다수의 전기통신망들 중 소정의 하나에 따라 상기 유선통신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무선통신을 주어진 유선통신모드로 변환시키는, 상기 이동서비스센터 내 상호작용 기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 기능수단이 다수의 유선통신모드들 중 소정의 하나에 따라 상기 변환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서비스센터를 상기 서비스노드에 접속시키는 비동기 전송모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전송모드수단이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ISD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노드가 다른 전기통신 시스템에 대한 게이트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노드가 전송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 (TCP/IP)망 간의 게이트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통신 시스템.
  13. 서비스노드와 유선통신하는 이동서비스센터(MSC)와 통신하는 이동가입자 단말기를 가지는 전기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가입자 단말기(MT)를 상기 서비스노드에 접속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입자 단말기 내 MSC 서비스 호출제어기 내에서, 상기 이동가입자 단말기 내 MT 서비스 호출제어기에서 상기 서비스노드로의, 인터페이스 접속 변수들을 포함하는 호출 셋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MSC 서비스 호출제어기에서 상기 이동서비스센터 내 MSC 유선 호출제어기로 상기 호출 셋업 요청의 상기 인터페이스 접속변수들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가입자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노드 간에 자원들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와,
    상기 자원들 링크의 확립시에, 상기 MSC 유선 호출제어기에서 상기 이동가입자 단말기 내 MT 무선(와이어리스) 호출제어기로 상기 호출 셋업 요청에 대한 호출 셋업 요청 응답을 전송하여, 상기 이동가입자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노드 간에 통신링크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에서, 상기 호출 셋업 요청은 ISDN 프로토콜에 따라 하이-레벨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들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에서, 상기 MSC 무선(와이어리스) 호출제어기에 접속된 자원 처리기가 상기 자원링크를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처리기가 상기 인터페이스 접속변수들을 상기 자원링크와 관련된 다수의 무선 액세스변수들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셋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자원링크를 확립하는 고정-측 호출제어기로 MSC 서비스 호출제어기가 다수의 서비스변수들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08487A 1998-02-05 1999-01-29 이동데이터 서비스용 시스템 및 방법 KR100530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19,063 US6208633B1 (en) 1998-02-05 1998-02-05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ata services
US09/019,063 1998-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617A KR20010040617A (ko) 2001-05-15
KR100530605B1 true KR100530605B1 (ko) 2005-11-23

Family

ID=2179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487A KR100530605B1 (ko) 1998-02-05 1999-01-29 이동데이터 서비스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208633B1 (ko)
EP (1) EP1053649B1 (ko)
JP (1) JP4213344B2 (ko)
KR (1) KR100530605B1 (ko)
CN (1) CN1115905C (ko)
AU (1) AU756730B2 (ko)
BR (1) BR9910891B1 (ko)
CA (1) CA2319528C (ko)
DE (1) DE69941147D1 (ko)
RU (1) RU2236766C2 (ko)
WO (1) WO1999040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4221B1 (en) * 1997-12-19 2003-06-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synchronous transfer mode platform for mobile communications
US6463055B1 (en) * 1998-06-01 2002-10-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grated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of interworking an ANSI-41 network and the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US6587684B1 (en) * 1998-07-28 2003-07-01 Bell Atlantic Nynex Mobile Digital wireless telephone system for downloading software to a digital telephone using wireless data link protocol
KR100587255B1 (ko) * 1998-08-17 2006-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패킷데이터통신시스템의어시메트릭다이나믹무선베어러제어방법
US6947747B1 (en) * 1999-08-16 2005-09-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plementation of basic call setup transporting layer address and logical point in forward direction in cellular networks with separation of call control and bearer control
FI109320B (fi) 1999-11-02 2002-06-28 Nokia Corp Signalointimenetelmä
US7123594B2 (en) 2000-08-21 2006-10-17 Utstarcom Korea Limited Method for separating and processing signal and bearer in all IP radio access network
US6925082B2 (en) 2001-02-15 2005-08-02 Lucent Technologies Inc. ATM packet access gateway
WO2003003653A2 (en) * 2001-06-26 2003-01-09 Versada Networks, Inc. Transcoding sms-based streamed messages to sip-based ip signals in wireless and wireline networks
WO2003003694A2 (en) * 2001-06-26 2003-01-09 Versada Networks, Inc. Detecting and transporting dynamic presence information over a wireless and wireline communications network
FI116166B (fi) * 2002-06-20 2005-09-30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sovellusistuntojen suorittamiseksi elektroniikkalaitteessa, ja elektroniikkalaite
US20050215245A1 (en) * 2002-07-12 2005-09-29 Lu Tian Method and system for the use of different wireless technologies within a hybrid switch protocol stack
US7760692B2 (en) * 2004-05-03 2010-07-20 Cisco Technology, Inc. Performance optimization for wireless networks with mixed modulation types
JP4010330B2 (ja) * 2003-02-26 2007-11-21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ロトコル変換装置及び方法
ES2528466T3 (es) * 2007-09-10 2015-02-10 Ntt Docomo, Inc. Método de comunicación móvil, estación de intercambio móvil, estación base de radio y estación móvil
JP5145294B2 (ja) * 2008-09-22 2013-02-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端末装置、無線基地局装置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4927213B1 (ja) * 2010-12-03 2012-05-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ゲートウェイ装置、移動管理ノード及び呼セッション制御サー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8687C (fi) * 1993-09-20 1997-07-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atkaviestinjärjestelmä ja menetelmä etätyöaseman kytkemiseksi matkaviestinverkon kautta dataverkkoon
CA2137383C (en) * 1994-01-03 2001-02-13 Gary Len Griffith A switching arrangement for handling wireless terminals with switch features for handling wired terminals
US5793762A (en) * 1994-04-12 1998-08-11 U S Wes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cket data and voice services to mobile subscribers
FI98586C (fi) * 1995-01-10 1997-07-1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akettiradiojärjestelmä ja menetelmiä datapaketin reitittämiseksi protokollariippumattomasti pakettiradioverkoissa
FI98027C (fi) * 1995-01-10 1997-03-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akettiradiojärjestelmä ja päätelaitteisto pakettiradiojärjestelmää varten
FI105746B (fi) * 1995-09-29 2000-09-29 Nokia Mobile Phones Ltd Integroitu radioviestintäjärjestelmä
US6009088A (en) * 1995-12-26 1999-12-28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Mobile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system
FI100567B (fi) 1996-01-08 1997-12-31 Nokia Telecommunications Oy Verkkosovitin ja datansiirtomenetelmä matkaviestinverkossa
JPH1032610A (ja) * 1996-07-12 1998-02-03 Nec Corp 移動データ通信における仮想私設網の構成方法
US5905719A (en) * 1996-09-19 1999-05-18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US5958018A (en) * 1996-10-30 1999-09-28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services data network translating mac address to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addr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53649B1 (en) 2009-07-22
WO1999040741A1 (en) 1999-08-12
CA2319528A1 (en) 1999-08-12
EP1053649A1 (en) 2000-11-22
CN1115905C (zh) 2003-07-23
BR9910891B1 (pt) 2013-07-16
AU3281299A (en) 1999-08-23
US6208633B1 (en) 2001-03-27
KR20010040617A (ko) 2001-05-15
AU756730B2 (en) 2003-01-23
CN1296709A (zh) 2001-05-23
DE69941147D1 (de) 2009-09-03
BR9910891A (pt) 2001-03-20
RU2236766C2 (ru) 2004-09-20
JP2002503067A (ja) 2002-01-29
CA2319528C (en) 2009-06-02
JP4213344B2 (ja)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1337B (fi) Matkaviestinjärjestelmä ja menetelmä datapuhelun muodostamiseksi
KR100530605B1 (ko) 이동데이터 서비스용 시스템 및 방법
EP1400137B1 (en) Circuit-switched and packet-switched communications
US8442054B2 (en) Method and core network node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through a core network
EP166141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call handover in a media gateway
US70852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dia gateways that interconnect disparate networks
EP1205082B1 (en) Implementation of call setup procedures with separation of call control and bearer control
RU2000122979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услуг мобильно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AU5425399A (en) Method of reducing radio channel access delay in gprs system, and packet radio system
JP4114955B2 (ja) Atmスイッチングを用いた移動ネットワーク
US6925304B2 (en) Method for data connections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0402644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alls in a core packet network using a half-call model
KR100436139B1 (ko) 아이엠티-2000 에스지에스엔에서 패킷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613967B1 (ko)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에서기지국제어기(RNC)와 이동교환기(MSC)간 비동기전송 모드 적응 계층 타입 2(AAL Type 2) 연결을이용한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전송 방법
MXPA00007564A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ata services
EP1241904B1 (en) Resour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rporate communication system
CA2375991C (en) Call setup method
KR100565706B1 (ko) 이동통신패킷데이터네트워크
KR100248611B1 (ko) 개인통신시스템에서 비동기데이터에 대한 착신방법
KR20010097103A (ko) 아이엠티-2000 제어국에서 에이티엠 기반의아이에스-634에이를 이용한 베어러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