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592B1 -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 Google Patents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592B1
KR100529592B1 KR10-2003-0007463A KR20030007463A KR100529592B1 KR 100529592 B1 KR100529592 B1 KR 100529592B1 KR 20030007463 A KR20030007463 A KR 20030007463A KR 100529592 B1 KR100529592 B1 KR 100529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ultraviolet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water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1478A (ko
Inventor
한관영
김지미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7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592B1/ko
Publication of KR20040071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5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modular arrangements, arrays of disc drives
    • G11B33/126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가습기에서 나오는 수증기에 포함될 수 있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분무 관로에 설치되어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가습기 본체에 제공되는 컨트롤러;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조사되는 빛을 받아 활성화되는 양공이 형성되어 OH 라디칼을 생성시키도록 상기 가습기의 수증기 배출구 부분에 도포 또는 부착되는 광 촉매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습기의 분무구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에 포함될 수 있는 세균이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및 광 촉매의 광여기에 의하여 OH가 생성되고 이에 의하여 세균이 멸균되어 청결한 수증기가 실내로 배출되어 사용자의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Humidifier having sanitary function}
본 발명은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기에서 나오는 수증기에 포함될 수 있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증기 또는 수증기 등이 발생되어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기기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가습기의 내부에 세균이 번식하여 수증기와 함께 배출됨으로서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시로 가습기 내부를 세척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균은 충분히 제거되지 않아 여전히 수증기와 함께 배출되어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 배출되는 수증기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 수증기 등을 배출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가 배출되는 분무 관로에 설치되어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가습기 본체에 제공되는 컨트롤러;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조사되는 빛을 받아 활성화되는 양공이 형성되어 OH 라디칼을 생성시키도록 상기 가습기의 수증기 배출구 부분에 도포 또는 부착되는 광 촉매를 포함하는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가습기의 분무구에서 수증기 등이 분무될 때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자외선이 조사되어 광 촉매에 조사된다. 그러면 광 촉매는 자외선에 의하여 활성화되면서 양공이 형성된다. 이때 발생된 OH에 의하여 산화 작용 또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작용으로 세균이 멸균되고, 멸균된 상태의 수증기가 가습기의 분무구에서 분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습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수증기에 포함될 수 있는 세균이 제거되어 청결한 수증기가 실내로 분무되어 사용자의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가습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로, 가습기에 적용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가습기(1)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분무 발생장치(도시생략)가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3)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기(1)는 상술한 분무 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분무 관로(5)가 구비되고, 상기 분무 관로(5)를 통하여 배출되는 수증기 등이 실내로 배출되는 분무구(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습기(1)의 분무 관로(5)에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9)가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9)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러 개가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9)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파장은 380nm~200nm 범위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9)는 가습기(1)의 내부에 제공되는 컨트롤러(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C)의 제어에 의하여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C)는 가습기(3)를 구동하는 스위치(3, 도 1 및 도 3에 도시하고 있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3)가 온으로 됨에 따라서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9)가 동작하여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가습기(1)에 제공되는 컨트롤러(C)는 전원(P)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가습기(1)의 분무 관로(5)에는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9)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광여기가 일어날 수 있는 광 촉매(11) 물질이 도포 또는 부착된다. 상기 광 촉매(11)는 이산화티타늄(TiO2)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기타 SrTiO3, ZnO, WO3, SnO2, ZrO2, KTaO3 등으로 이루어진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 촉매(19)는 상기 물질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편의상 이산화티타늄을 예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실내의 습도를 맞추기 위하여 가습기(1)의 스위치(3)를 온 상태로 조절하면 전원(P)이 가습기(1) 및 컨트롤러(C)에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가습기(1)의 분무 발생장치에서 수증기 등이 발생하여 분무 관로(5) 및 분무구(7)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이때 스위치(3)의 온 작동 신호를 컨트롤러(C)가 감지하여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9)를 점등시킨다. 그러면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9)에서 분무 관로(5)를 통과하는 수증기 측으로 자외선이 조사되어 1차적인 멸균이 이루어진다. 즉,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9)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수증기에 포함된 세균을 없앨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9)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분무 관로(5)에 제공된 광 촉매(11)에 조사된다. 이때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1)는 380nm~200nm 범위의 파장으로 자외선이 조사된다. 그러면 광 촉매(19)는 자외선에 의하여 활성화되면서 공유 띠(valance band)에서 전도 띠(conduction band)로 전자여기(electron excitation)를 일으키고, 이때 공유 띠에서는 정공(hole, 혹은 양공)이 생성되고, 전도 띠에서는 전자(electron)가 생성된다. 그리고 산소가 전자 억셉터(accepter)로 OH-와 H2O가 전자 도너(donor)로 존재하게 되는데 이들의 작용으로 강력한 산화력을 지닌 OH 라디칼을 생성시키고 유기물질을 산화시켜, CO2, H2O, HCl등으로 유기물질이 분해된다. 따라서 380nm~200nm 범위의 자외선 파장을 광 촉매(19)에 조사하면 분무 관로(5)를 지나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유해 유기물 및 냄새 등이 함께 분해되면서 세균 및 악취 등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습기(1)의 분무 관로(5)를 통과하는 수증기에 포함될 수 있는 세균 뿐 만 아니라 악취 등이 제거된 상태로 실내의 습도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습기의 분무구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이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및 광 촉매의 광여기에 의하여 OH가 생성되어 세균이 멸균되어 청결한 수증기가 실내로 배출되어 사용자의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Claims (5)

  1. 외부로 수증기 등을 배출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가 배출되는 분무 관로에 설치되어, 점등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상기 가습기 본체에 제공되고,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가습기의 수증기 배출구 부분에 도포 또는 부착되고,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조사되는 빛을 받아 활성화되는 광 촉매;
    를 포함하는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칭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의해 온(on) 동작 신호가 상기 컨트롤러에 인가되고, 상기 온 동작신호 인가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파장이 380nm~200nm의 범위에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패키지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는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촉매 물질은 TiO2, SrTiO3, ZnO, WO3, SnO2 , ZrO2, KTa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KR10-2003-0007463A 2003-02-06 2003-02-06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KR100529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463A KR100529592B1 (ko) 2003-02-06 2003-02-06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463A KR100529592B1 (ko) 2003-02-06 2003-02-06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483U Division KR200313173Y1 (ko) 2003-02-06 2003-02-06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478A KR20040071478A (ko) 2004-08-12
KR100529592B1 true KR100529592B1 (ko) 2005-11-17

Family

ID=37359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463A KR100529592B1 (ko) 2003-02-06 2003-02-06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5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5058A (ja) * 1986-03-26 1987-10-15 株式会社 豊振科学産業所 衛生小形タンク
JPH10132340A (ja) * 1996-10-25 1998-05-22 Sanyo Electric Co Ltd 加湿装置
US5835840A (en) * 1995-09-06 1998-11-10 Universal Air Technology Photocatalytic system for indoor air qual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5058A (ja) * 1986-03-26 1987-10-15 株式会社 豊振科学産業所 衛生小形タンク
US5835840A (en) * 1995-09-06 1998-11-10 Universal Air Technology Photocatalytic system for indoor air quality
JPH10132340A (ja) * 1996-10-25 1998-05-22 Sanyo Electric Co Ltd 加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478A (ko) 200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3142B2 (ja) 消臭殺菌照明装置
JP2007232323A (ja) 天井扇
KR20030008848A (ko) 공기 정화 기능의 모기 퇴치기
US20080134420A1 (en) Led toilet seat cover
KR20160039071A (ko)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KR102208024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개인용 살균장치
KR20110042990A (ko) 손 건조기 및 손 건조기의 출구 트레이 살균 방법
KR20140086564A (ko) 비데
KR100529592B1 (ko)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KR200313173Y1 (ko) 항균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JP2010084353A (ja) 衛生洗浄装置
KR102615175B1 (ko) 실내 소독 장치용 제어 장치
KR20050087630A (ko) 살균기능이 있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기기
KR100534531B1 (ko) 공기 정화 유니트
KR102294999B1 (ko) 세정,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위생장치
KR20190128816A (ko) 가습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0428812Y1 (ko) 조명등 커버
JP4637726B2 (ja) 空気清浄器
JP2018184716A (ja) 水取扱い物品又は部材
KR20120075798A (ko) 제균장치
KR200312777Y1 (ko) 항균 탈취 기능을 가지는 냉장고
KR102615179B1 (ko) 실내용 소독 장치
KR100567252B1 (ko) 정수기용 물탱크
KR200367428Y1 (ko) 살균 탈취 맨홀 덮개
KR101186596B1 (ko) 캐비닛형 탈취 및 방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