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340B1 -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340B1
KR100529340B1 KR10-2003-0056006A KR20030056006A KR100529340B1 KR 100529340 B1 KR100529340 B1 KR 100529340B1 KR 20030056006 A KR20030056006 A KR 20030056006A KR 100529340 B1 KR100529340 B1 KR 100529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eed roller
amount
detected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7349A (ko
Inventor
강승욱
윤석진
장원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6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340B1/ko
Priority to US10/917,523 priority patent/US7156388B2/en
Publication of KR2005001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25Handling copy materials differing in width
    • B41J11/003Paper-size detection, i.e. automatic detection of the length and/or width of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Detecting type of paper, e.g. by automatic reading of a code that is printed on a paper package or on a paper roll or by sensing the grade of translucency of the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25Special roller holding or lifting means, e.g. for temporarily raising one roller of a pair of nipping rollers for inserting printing material

Landscapes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개시된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은, 픽업롤러에 의해 카세트로부터 이송된 용지의 선단이 제1용지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후에 용지를 제1용지검출부와 피드롤러와의 거리보다 큰 제1정렬량만큼 이송시켜 용지의 선단을 피드롤러에 정렬시키는 제1정렬단계와, 제1정렬단계에서 구동모터의 탈조로 인한 제1에러가 발생된 경우에는, 엔코더의 카운트량과 제1정렬량로부터 환산되는 목표 카운트량의 차이로부터 용지의 미스피딩량을 산출하여 최소한 미스피딩량만큼 용지를 더 이송시키는 재시도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용지이송에러의 발생횟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Paper feeding method of printer}
본 발명은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지의 선단을 정렬하여 이송시키는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프린터의 용지이송경로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보면, 픽업롤러(61)에 의해 카세트(65)로부터 픽업된 용지(P)는 드라이브롤러(62)를 거쳐 피드롤러(63)로 인입된다. 피드롤러(63)는 용지(P)를 인쇄수단(64)의 인쇄속도에 맞추어 이송시킨다. 참조부호 66은 용지(P)의 선단을 검출하기 위한 제1용지검출부이다. 일정 시간 내에 제1용지검출부(66)에서 용지(P)가 검출되지 않으면 카세트(65)와 제1용지검출부(66) 사이에서 용지 잼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참조부호 67은 피드롤러(63)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P)의 선단을 검출하는 제2용지검출부이다. 제2용지검출부(67)는 인쇄수단(64)의 인쇄개시시기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제1용지검출부(66)에서 용지(P)가 검출된 후 일정한 시간 내에 제2용지검출부(67)에서 용지(P)가 검출되지 않으면 제1용지검출부(66)와 제2용지검출부(67) 사이에서 용지 잼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용지(P)를 사행(skew)없이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제1용지검출부(66)와 피드롤러(63)와의 사이에서 정렬(registration)과정이 수행된다. 제1용지검출부(66)에서 용지(P)의 선단이 검출된 후에 제1용지검출부(66)와 피드롤러(63)와의 거리보다 용지(P)를 약간 더 이송시킨다. 이 때, 피드롤러(63)는 용지(P)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또는 회전되지 않는다. 그러면, 용지(P)의 강성에 의해 도 1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가 둥그스름하게 휘어지면서 그 선단이 피드롤러(63)에 가지런히 정렬된다.
제1용지검출부(66)와 제2용지검출부(67) 사이의 용지(P)의 미스피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용지(P)가 제1용지검출부(66)에서 검출된 후에 일정 시간 내에 제2용지검출부(67)에서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정렬과정에서 용지(P)의 미스피딩이 발생되어 용지(P)가 도1 의 "A"로 표시된 위치까지만 이송된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 내에 용지(P)의 선단이 제2용지검출부(67)에서 검출되지 않으므로 용지 잼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정렬과정에서 용지(P)의 선단이 피드롤러(63)에 접촉되었지만 도 1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상태까지 이송되지 못한 경우라 하더라도 제2용지검출부(67)에서는 설정된 시간 내에 용지(P)의 선단이 검출될 수 있으므로 용지 잼으로 판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쇄수단(64)은 용지(P)에 화상을 인쇄하게 된다. 이 경우에, 용지(P)의 선단이 피드롤러(63)에 정확히 정렬되지 않았으므로(정렬에러) 용지(P)의 사행가 발생되어도 이를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정렬에러를 검출할 수 있는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렬에러가 검출된 경우에 이를 정정하기 위한 재시도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인 용지 잼처리가 가능한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은,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피드롤러와 픽업롤러 및 상기 피드롤러와 픽업롤러의 회전량에 비례하는 카운트를 발생시키는 엔코더를 구비하는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으로서,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카세트로부터 픽업된 용지의 선단이 제1용지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후에 상기 용지를 상기 제1용지검출부와 상기 피드롤러와의 거리보다 큰 제1정렬량만큼 이송시켜 상기 용지의 선단을 상기 피드롤러에 정렬시키는 제1정렬단계; 상기 제1정렬단계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탈조로 인한 제1에러가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엔코더의 카운트량과 상기 제1정렬량로부터 환산되는 목표 카운트량의 차이로부터 용지의 미스피딩량을 산출하여 최소한 상기 미스피딩량만큼 상기 용지를 더 이송시키는 재시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시도단계는 다수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에러는 상기 구동모터의 전류량이 설정된 한계전류량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으며, 상기 엔코더의 카운팅 간격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검출될 수도 있다.
상기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은,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수단의 인쇄개시시기를 맞추기 위해, 상기 피드롤러의 출측에 위치된 제2용지검출부에 의해 상기 피드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을 검출하는 제2정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정렬단계에서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제2용지검출부에서 상기 용지의 선단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용지검출부에서 상기 용지의 말단을 검출할 때까지 상기 용지를 이송시켜 배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이 적용되는 프린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프린터는 잉크젯 프린터이다.
도 2를 보면, 용지(P)가 적재되는 카세트(110), 카세트(110)로부터 용지(P)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20), 서로 맞물려 회전되면서 용지(P)를 소정의 속도로 이송시키는 피드롤러(140)와 종동롤러(141)가 도시되어 있다, 참조부호 130는 픽업롤러(120)와 피드 롤러(140) 사이에서 용지(P)의 이송을 보조하는 드라이브롤러이다. 드라이브롤러(130)에는 종동롤러(131)가 압접되어 있다. 참조부호 150은 용지(P)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수단의 일 예로서, 용지(P)에 잉크액적을 토출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이다. 구동모터(180)는 픽업롤러(120)와 드라이브롤러(130) 및 피드롤러(140)를 구동시킨다. 참조부호 70은 구동모터(180)의 구동전류량을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이다. 참조부호 80은 피드롤러(140)와 픽업롤러(120)의 회전량에 비례하는 카운트를 발생시키는 엔코더이다. 참조부호 91과 92는 각각 피드롤러(140)의 앞뒤에서 용지(P)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용지검출부이다. 참조부호 90은 프린터의 용지이송과정과 인쇄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제1정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5와 도 6은 각각 제1에러와 제2에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미도시)로부터 제어부(90)로 인쇄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90)는 카세트(110)로부터 용지를 픽업하기 위해 구동모터(180)를 회전시킨다. 픽업롤러(120)에 의해 카세트(110)로부터 용지(P)가 픽업된다. 이 때 피드롤러(140)는 용지(P)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픽업롤러(120)에 의해 픽업된 용지(P)는 드라이브롤러(130)를 거쳐 피드롤러(140)로 이송된다(S1).
픽업롤러(120)와 드라이브롤러(130)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P)는 사행(skew)에 의해 그 선단(FE)이 피드롤러(140)에 도달될 때 도 3의 P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선단(FE)의 일측부(FE1)가 피드롤러(140)에 먼저 도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용지(P)가 피드롤러(140)에 의해 이송되면 용지 잼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잼이 발생되지 않고 화상이 인쇄된다 하더라도 프린트 헤드(150)에 의해 토출되는 잉크의 일부(도 3의 W)는 용지(P)를 벗어나서 인쇄불량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용지(P)의 사행으로 인한 잼이나 인쇄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용지(P)의 선단(FE)이 제1용지검출부(91)에 의해 검출(제1용지검출부 "ON")되면, 용지(P)를 피드롤러(140)에 정렬시키기 위한 제1정렬과정이 개시된다(S2). 도 3을 보면, 피드롤러(140)는 용지(P)의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있으므로 사행된 상태(P1)의 용지(P)의 선단(FE)의 일측부(FE1)가 피드롤러(140)에 접촉되더라도 용지(P)는 피드롤러(140)를 지나갈 수 없다. 이 상태에서 픽업롤러(120)와 드라이브롤러(130)가 계속 회전되면 피드롤러(140)에 먼저 도달된 일측부(FE1)는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의 선단(FE)이 약간 구부러지고, 그 반대쪽은 피드롤러(140)에 도달될 때까지 계속 이송된다. 따라서, 용지(P)는 피드롤러(140)에 먼저 도달된 일측부(FE1)를 기준으로 도 3의 화살표시 R과 같이 회전된다. 그러면, 용지(P)는 도 3의 참조부호 P2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피드롤러(140)에 가지런히 정렬된다(S3). 이와 같이 용지(P)를 피드롤러(140)에 정렬시키기 위해서는, 제1용지검출부(91)에서 용지(P)의 선단(FE)이 검출(제1용지검출부 "ON")된 후에 픽업롤러(120)와 가이드 롤러(130)는 용지를 제1정렬량만큼 이송시킨다. 제1정렬이 완료되면 도 2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용지의 선단(FE)이 피드롤러(140)에 접촉되어 약간 구부러진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정렬량는 제1검출부(91)와 피드롤러(140) 사이의 거리(d1)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제1정렬과정에서 구동모터(180)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면 구동모터(180)가 탈조(stall)될 수 있다. 이송되는 용지(P)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구동모터(180)에 가해지는 부하는 커진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110)에서 피드롤러(140)에 이르는 용지(P)의 이송경로가 "U"자 형상인 경우에는 용지(P)의 강성(stiffness)에 의한 저항이 커져서 구동모터(180)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진다. 또한, 최근의 프린터의 슬림화 경향에 따라 카세트(110)와 피드롤러(140) 사이의 높이(H)가 작아지면서 용지(P)의 강성과 "U"자 형상의 용지이송경로상의 저항에 의해 구동모터(180)에 가해지는 부하가 더욱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구동모터(180)의 탈조는 피드롤러(140)로 용지(P)가 이송되는 도중에 아코디언 잼이 발생된 경우에도 일어날 수 있다. 제1정렬과정에서 구동모터(180)가 탈조되면 용지(P)는 그 선단(FE)이 도 5의 참조부호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피드롤러(140)에 도달되지 못하거나 또는 피드롤러(140)에 도달되더라도 도 3의 P1과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에러를 정정하지 않고 그대로 이송되어 인쇄를 수행할 경우에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인쇄불량이나 용지 잼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은 제1정렬과정(S3)에서 구동모터(180)의 탈조여부를 검출한다(S4).
구동모터(180)에 부하가 증가되면 구동모터(180)의 구동전류량이 증가된다. 이 구동전류량이 일정 한도(한계전류량)를 넘어서면 구동모터(180)가 탈조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80)의 탈조여부는 전류검출부(70)에서 검출되는 구동모터(180)의 구동전류량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180)의 탈조는 엔코더(80)의 카운트량(N)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검출될 수도 있다. 엔코더(80)는 피드롤러(140)의 회전량에 비례하는 카운트를 발생시킨다. 피드롤러(140)와 픽업롤러(120)는 구동모터(180)에 의해 회전되므로 엔코더(80)의 카운트량은 픽업롤러(120)의 회전량을 반영한다. 구동모터(180)가 탈조되면 피드롤러(140)와 픽업롤러(120)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엔코더(80)에서 카운트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엔코더(80)의 카운팅 간격을 체크하여 이 간격이 설정된 시간간격을 초과하는 경우(엔코더 카운트 에러)에 구동모터(180)가 탈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시간동안 엔코더(80)에서 카운트가 발생되지 않으면(엔코더 카운트 에러) 구동모터(180)가 탈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용지검출부(91)에서 용지(P)의 선단(FE)이 검출(제1용지검출부 "ON")된 후에 제1정렬시간(T1)동안 구동모터(180)를 구동시킨 후 제1정렬시간(T1) 동안의 엔코더(80)의 카운트량(N)이 제1정렬량(dr)에 대응되는 목표카운트량(Nt)에 도달되었는지를 체크함으로써 구동모터(180)의 탈조를 검출할 수도 있다. 카운트량(N)이 목표카운트량(Nt)보다 작다면 구동모터(180)가 탈조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제1정렬시간(T1)은 제1정렬량(dr), 구동모터(180)의 단위시간당 회전수(M), 구동모터(180)에서 픽업롤러(120)에 이르는 기어들의 감속비(Rr1), 픽업롤러(120)의 직경(D1)으로부터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이론적으로 산출될 수 있다. 제1정렬시간(T1)은 위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시간과 같거나 이보다 약간 크게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180)의 탈조가 검출되면 용지(P)의 미스피딩으로 인한 제1에러 또는 용지 잼으로 판단하고 용지이송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지이송방법은 구동모터(180)의 탈조가 검출된 경우에 용지이송동작을 중지하기에 앞서 적어도 1회 이상 제1정렬동작을 더 수행(재시도단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모터(180)의 탈조가 검출되면, 제1정렬량(dr)로부터 산출되는 엔코더(80)의 목표카운트량(Nt)과 현재의 엔코더(80)의 카운트량(N)과의 차이로부터 용지(P)의 미스피딩량(Nm)을 산출한다(S5). 그리고, 적어도 이 미스피딩량(Nm)만큼 용지(P)를 더 이송시킨다. 그러면서 구동모터(180)의 탈조여부를 다시 체크한다. 이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여도 계속하여 구동모터(180)의 탈조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용지(P)이송동작을 중지한다. 구동모터(180)의 탈조가 검출되지 않으면 제1정렬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제1에러를 검출함으로써 용지의 사행으로 인한 인쇄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에러를 정정하기 위한 재시도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용지이송에러의 발생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지이송에러에 의해 인쇄가 중단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용지 잼 등 사용자의 조치가 필요한 용지이송에러는 논외로 하고, 제1에러와 같이 사용자의 손을 빌리지 않고도 어느 정도 정정이 가능한 에러는 재시도과정을 통하여 제거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정렬이 완료되면, 제2정렬과정(S6)이 수행된다. 피드롤러(140)는 제1정렬과정에서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용지(P)를 이송시킨다. 용지(P)의 선단(FE)이 제2정렬시간(T2) 내에 제2용지검출부(92)에서 검출(제2용지검출부 "ON")되는지를 체크한다(S6-1). 제2정렬시간(T2) 내에 제2용지검출부(92)에서 용지(P)의 선단(FE)이 검출되면, 제어부(90)는 용지(P)가 프린트 헤드(150)의 하방에 도달되어 선단마진이 조정될 때까지 일정 시간 대기한 후에 프린트 헤드(150)에 인쇄개시명령을 전달한다(S6-2). 그러면, 프린트 헤드(150)로부터 잉크가 토출되어 용지(P)에 화상이 인쇄된다(S7).
제1정렬이 완료된 후에 제2정렬시간(T2) 이내에 용지(P)의 선단(FE)이 제2용지검출부(92)에서 검출(제2용지검출부 "ON")되지 않는 경우, 즉 제2정렬시간(T2)이 경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도 6의 참조부호 C로 표시된 바와 같이 용지(P)의 선단(FE)이 제2용지검출부(91)의 하방에까지 도달되지 못한 경우에는 구동모터(180)의 탈조나 피드롤러(140)와 용지(P)와의 슬립에 의한 제2에러로 판단될 수 있다. 제2정렬시간(T2)은 피드롤러(140)와 제2용지검출부(92) 사이의 거리(d2), 구동모터(180)의 단위시간당 회전수(M), 구동모터(180)에서 피드롤러(140)에 이르는 기어들의 감속비(Rr2), 피드롤러(140)의 직경(D2)으로부터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제2정렬시간(T2)은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되는 시간과 같거나 또는 이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정렬시간(T2)은 엔코터(80)의 카운트량(N)이 제1정렬을 위한 목표카운트량(Nt)에 도달된 후부터 기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정렬과정에서 픽업롤러(120) 또는 드라이브롤러(130)와 용지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된 경우에는 구동모터(180)가 탈조되지 않았으므로 비록 용지(P)의 선단(FE)이 도 5의 참조부호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피드롤러(140)에 도달되지 못하거나 또는 피드롤러(140)에 도달되더라도 도 3의 P1과 같은 상태일지라도 제1에러가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그대로 인쇄를 진행하면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인쇄불량이나 용지잼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립이 발생된 경우에는 제2정렬시간(T2) 이내에 용지(P)의 선단(FE)이 제2용지검출부(92)에 의해 검출되지 않으므로 용지의 이송과정에서 픽업롤러(120) 또는 드라이브롤러(130)와 용지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된 경우에는 발생된 슬립에 의한 제1에러도 검출될 수 있다.
제2에러가 발생되면, 제어부(90)는 용지(P)를 이송경로로부터 제거하는 용지배출과정(S8)을 수행한다. 제1용지검출부(91)에서 용지(P)의 말단이 검출(제1용지검출부 "OFF")되면 용지(P)의 배출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며, 필요에 따라 다시 카세트(110)로부터 용지(P)를 픽업한다. 만일 일정 시간동안 제1용지검출부(91)에서 용지(P)의 말단이 검출되지 않으면 용지 잼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며, 용지 배출동작을 중지한다(S9).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은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등 용지를 사용하는 다양한 인쇄방식의 프린터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구동모터의 탈조로 인한 제1에러를 검출함으로써 사행에 의한 인쇄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제1에러가 검출된 경우에 제1정렬을 위한 재시도과정를 거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조치를 취하여야 하는 용지이송에러의 발생횟수를 줄일 수 있다.
셋째, 제2정렬단계를 더 구비함으로써 용지의 슬립에 의한 제1에러까지 검출할 수 있어 용지의 사행에 의한 인쇄불량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프린터의 용지이송경로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이 적용되는 프린터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제1정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의 일 실시예룰 도시한 흐름도.
도 5와 도 6은 각각 제1에러와 제2에러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전류검출부 80......엔코더
90......제어부 91......제1용지검출부
92......제2용지검출부 110......카세트
120......픽업롤러 130......드라이브롤러
140......피드롤러 150......프린트 헤드

Claims (8)

  1.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피드롤러와 픽업롤러 및 상기 피드롤러와 픽업롤러의 회전량에 비례하는 카운트를 발생시키는 엔코더를 구비하는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카세트로부터 픽업된 용지의 선단이 제1용지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후에 상기 피드롤러가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용지를 상기 제1용지검출부와 상기 피드롤러와의 거리보다 초과 이송시켜 상기 용지의 선단을 상기 피드롤러에 정렬시키는 제1정렬단계;
    상기 제1정렬단계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탈조로 인한 제1에러가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엔코더의 카운트량과 상기 용지의 선단이 제1용지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후에 상기 용지를 상기 제1용지검출부와 상기 피드롤러와의 거리보다 초과 이송시키기 위한 목표 카운트량의 차이로부터 용지의 미스피딩량을 산출하여 최소한 상기 미스피딩량만큼 상기 용지를 더 이송시키는 재시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러는 상기 구동모터의 전류량이 부하의 증가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가 탈조될 때의 전류량인 한계전류량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러는 상기 엔코더의 카운팅 간격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는 경우에 예정되는 시간간격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시도 단계에 의해서도 상기 제1에러가 치유되지 않는 경우에는 용지이송동작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시도단계는 다수회 수행하여도 상기 제1에러가 치유되지 않는 경우에는 용지이송동작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롤러의 출측에 위치된 제2용지검출부에 의해 상기 피드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을 검출하여 상기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수단의 인쇄개시시기를 맞추는 제2정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렬단계에서,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제2용지검출부에서 상기 용지의 선단이 검출되지 않는 제2에러가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용지검출부에서 상기 용지의 말단을 검출할 때까지 상기 용지를 이송시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제1용지검출부에서 상기 용지의 말단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용지 배출동작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
KR10-2003-0056006A 2003-08-13 2003-08-13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 KR100529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006A KR100529340B1 (ko) 2003-08-13 2003-08-13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
US10/917,523 US7156388B2 (en) 2003-08-13 2004-08-13 Inkjet printer and paper feed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006A KR100529340B1 (ko) 2003-08-13 2003-08-13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349A KR20050017349A (ko) 2005-02-22
KR100529340B1 true KR100529340B1 (ko) 2005-11-17

Family

ID=3722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006A KR100529340B1 (ko) 2003-08-13 2003-08-13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3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665A (ko) * 2015-02-10 2016-08-1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이플링용 용지정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665A (ko) * 2015-02-10 2016-08-1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이플링용 용지정렬장치
KR101665235B1 (ko) * 2015-02-10 2016-10-1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이플링용 용지정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349A (ko) 2005-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2440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CN107962879B (zh) 打印设备及其控制方法
JP5970709B2 (ja) 連続用紙の搬送制御方法およびプリンター
US5790408A (en) Error recovery in a printing system
US7577396B2 (en) Printing apparatus
JP2006256739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156388B2 (en) Inkjet printer and paper feeding method therefor
WO1996018954A9 (en) Improved printing system
EP0801336A2 (en) Method for processing paper jam error in image forming device
KR100529340B1 (ko) 프린터의 용지이송방법
JP2006282349A (ja) 画像形成装置
KR20060063202A (ko) 레지스트레이션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2006298587A (ja) シートの給送方法及びシートの給送装置
KR100415608B1 (ko) 프린터의페이퍼잼방지방법및그에따른장치
JP2007230682A (ja) 用紙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240838A (ja) 画像形成装置
US11403501B2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2783253B2 (ja) 用紙搬送装置
JP2009249132A (ja) 画像形成装置
JP3843744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H1087116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40024261A (ko) 자동잼제거기능을 갖는 화상형성기 및 자동잼제거방법
JP2738181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00065854A (ko) 프린터의 용지 스큐 감지방법
JP4325041B2 (ja) 紙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