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200B1 - 록커커버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록커커버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200B1
KR100528200B1 KR10-2002-0063044A KR20020063044A KR100528200B1 KR 100528200 B1 KR100528200 B1 KR 100528200B1 KR 20020063044 A KR20020063044 A KR 20020063044A KR 100528200 B1 KR100528200 B1 KR 100528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
gas
oil
cooling passag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786A (ko
Inventor
유재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3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200B1/ko
Publication of KR2004003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2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2013/0411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using coo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록커커버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분리장치는 블로바이가스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효율이 낮아서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지 못하고, 이에의해 다량의 오일이 블로바이가스와 함께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록커커버의 상면에 냉각통로를 형성하고, 이 냉각통로 내의 온도와 압력상태에 따라 최적의 온도분포를 가지는 차가운 공기를 상기 냉각통로에 분사하는 수단을 형성하므로서, 록커커버 내를 통과하는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된 오일이 냉각통로를 통과하는 차가운 공기에 의해 이슬점 온도로 냉각되어 액상화되면서 블로바이가스로 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오일이 블로바이가스와 함께 대기 또는 엔진 흡기측으로 재순환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줄이고, 엔진의 배기가스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록커커버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록커커버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분리장치{Oil separation device}
본 발명은 록커커버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록커커버 내를 통과하는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된 오일이 냉각통로를 통과하는 차가운 공기에 의해 이슬점 온도로 냉각되어 액상화되면서 블로바이가스로 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오일이 블로바이가스와 함께 대기 또는 엔진 흡기측으로 재순환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줄이고, 엔진의 배기가스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록커커버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로바이가스라 함은 피스톤과 실린더의 틈새를 지나 엔진내부로 빠져나가는 가스를 말하며, 이러한 블로바이가스가 엔진내부에 체류하면, 엔진 내부가 부식되고 엔진 오일이 나빠지게 된다.
또한, 블로바이가스에는 엔진 내부의 오일입자를 다량함유하고 있어서 대기방출시 환경공해를 유발하게 되므로 블로바이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하기 전단계에서 오일을 분리하는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분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실린더헤드의 상측을 커버하는 록커커버(1)의 내부 일측에 엔진 내부로 스며든 블로바이가스가 유입되기 위한 블로바이 가스 유입부(2)가 형성되고, 상기 블로바이 가스 유입부(2)를 수용하면서 록커커버(2)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블로바이가스 유동통로(3)가 일정길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통로(3)의 도중에는 블로바이가스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엔진 내부로 재공급하기 위한 오일배출구(4)가 형성되고, 블로바이 가스 유동통로(3)의 끝단 일측에는 오일이 분리된 블로바이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구(5)가 형성된 구성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분리장치는 블로바이가스가 유입부(2)로 유입되어 유동통로(3)를 통과할때 가스의 압력과 속도에 변화를 주어 오일의 입자크기가 증대되도록 하여 오일이 블로바이가스 유동통로(3)의 바닥면으로 떨여져 오일배출구(4)를 통해 엔진 내부로 재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분리장치는 블로바이가스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효율이 낮아서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지 못하고, 이에의해 다량의 오일이 블로바이가스와 함께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록커커버의 상면에 냉각통로를 형성하고, 이 냉각통로 내의 온도와 압력상태에 따라 최적의 온도분포를 가지는 차가운 공기를 상기 냉각통로에 분사하는 수단을 형성하므로서, 록커커버 내를 통과하는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된 오일이 냉각통로를 통과하는 차가운 공기에 의해 이슬점 온도로 냉각되어 액상화되면서 블로바이가스로 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오일이 블로바이가스와 함께 대기 또는 엔진 흡기측으로 재순환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줄이고, 엔진의 배기가스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록커커버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분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록커커버의 내부 상단에 블로바이가스 유입부를 구비한 블로바이가스 유동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블로바이가스 유동통로의 일단에 블로바이 가스로 부터 분리된 오일이 엔진측으로 재순환되기 위한 오일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록커커버에 있어서,
상기 록커커버의 상면에 형성되어 그 내부가 냉각통로로서 사용되는 냉각커버와;
에어탱크와;
개도량이 가변되어 에어탱크에서 출력되는 공기와 에어컨으로부터 공급되는 차가운 공기를 적절히 혼합시켜 분사기로 공급하는 3방밸브와;
상기 3방밸브에서 공급된 저온의 공기를 냉각통로 내에 분사하여 블로바이가스 유동통로와 록커커버 상면의 온도차에 의해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입자의 액상화를 촉진시켜 가스로 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분사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각통로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냉각통로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와 압력센서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따라 3방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냉각통로 내의 온도조건에 맞는 저온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각커버가 형성된 록커커버의 상면에 다수의 냉각핀을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원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표기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도면부호 10 은 록커커버(1)의 상면에 형성되는 냉각커버를 나타내며, 이 냉각커버(10)와 록커커버(1)의 사이에 냉각통로(11)가 형성된다.
상기 냉각통로(11)의 입구측에는 차가운 공기를 냉각통로(11)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기(18)가 설치되는데, 이 분사기(18)는 3방밸브(16)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의 공기를 냉각통로(11)로 분사한다.
상기 3방밸브(16)는 그 출구측이 분사기(18)와 연결되고 나머지 2개의 입구측이 일정량의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15)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에어콘으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의 공기를 공급받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3방밸브(16)의 개폐동작에 의해 에어탱크(15)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에어콘으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의 공기가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분사기(18)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상기 3방밸브(16)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기위한 수단으로서, 냉각통로(11)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4)와, 냉각통로(11)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3)와, 상기 온도센서(14)와 압력센서(13)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따라 3방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냉각통로(11) 내의 온도조건에 맞는 저온의 공기가 분사기(18)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17)를 구성하였다.
즉, 엔진이 구동하면 상기 온도센서(14)와 압력센서(13)가 냉각통로(11) 내의 온도와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17)로 공급하고, 제어부(17)는 각각의 센서에서 감지되는 정보로서 냉각통로(11) 내부 환경이 블로바이가스 유동통로(3)를 통과하는 오일의 액상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온도가 되도록 하는 온도조건을 연산한 후 그 연산결과에 따라 3방밸브(16)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에어탱크(15)의 공기와 에어콘의 공기가 일정비율로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냉각통로(11) 내부로 저온의 공기가 분사되면 블로바이가스 유동통로(3)와 접하고있는 록커커버(1)의 상면이 냉각되면서 유동통로(3)를 통과하는 블로바이가스를 냉각시키므로서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되어있는 오일의 이슬점온도를 낮추게되고, 이에의해 오일의 액상화가 촉진되면서 블로바이가스 유동통로(3)의 바닥면으로 자유낙하하여 오일배출구(4)를 통해 엔진내부로 재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같이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이 액화되면서 블로바이가스로부터 분리되면, 가스배출구(5)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블로바이가스에 오일이 포함되어있지 않게되므로 환경오염을 줄여줄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록커커버(1)의 상면, 즉, 냉각통로(11) 내에 수용되어지는 록커커버(1)의 상면에 여러개의 냉각핀(12)을 상향 돌출형성하므로서, 분사기(18)에서 분사되는 저온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블로바이가스의 냉각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의해 오일의 액상화가 더욱 촉진되어 블로바이가스로부터 오일을 보다 더 완벽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록커커버의 상면에 냉각통로를 형성하고, 이 냉각통로 내의 온도와 압력상태에 따라 최적의 온도분포를 가지는 차가운 공기를 상기 냉각통로에 분사하는 수단을 형성하므로서, 록커커버 내를 통과하는 블로바이가스에 포함된 오일이 냉각통로를 통과하는 차가운 공기에 의해 이슬점 온도로 냉각되어 액상화되면서 블로바이가스로 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오일이 블로바이가스와 함께 대기 또는 엔진 흡기측으로 재순환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줄이고, 엔진의 배기가스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록커커버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분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분리장치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록커커버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분리장치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록커커버의 단면을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록커커버 2 : 블로바이가스 유입부
3 : 블로바이가스 유동통로 4 : 오일배출구
10 : 냉각커버 11 : 냉각통로
12 : 냉각핀 13 : 압력센서
14 : 온도센서 15 : 에어탱크
16 : 3방밸브 17 : 제어부
18 : 분사기

Claims (3)

  1. 내측에 마련된 블로바이가스 유동통로를 지나는 블로바이가스에서 분리된 오일성분이 오일배출구를 통해 따로 흐로도록 구성된 록커커버에 있어서,
    상기한 록커커버(1)의 상부측에 추가형성되며 그 내부공간에는 상기 블로바이가스 유동통로(3)와 격리된 별도의 냉각통로(11) 및 냉각핀(12)이 구비된 냉각커버(10)와;
    상기한 냉각커버(10)의 냉각통로(11)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에어탱크(15)와;
    상기한 냉각커버(10)의 냉각통로(11)를 향해 마련되는 분사기(18)와;
    개도량이 가변되어 에어탱크(15)에서 출력되는 공기와 에어컨으로부터 공급되는 차가운 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분사기(18)로 유도하기 위한 3방밸브(16)와;
    상기한 냉각통로(11) 내에서 감지되는 온도 및 압력값에 따라서 상기 3방밸브(16)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냉각통로(11) 내의 온도 및 압력 조건에 맞는 저온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7);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커커버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분리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2-0063044A 2002-10-16 2002-10-16 록커커버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 분리장치 KR100528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044A KR100528200B1 (ko) 2002-10-16 2002-10-16 록커커버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044A KR100528200B1 (ko) 2002-10-16 2002-10-16 록커커버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786A KR20040033786A (ko) 2004-04-28
KR100528200B1 true KR100528200B1 (ko) 2005-11-15

Family

ID=3733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044A KR100528200B1 (ko) 2002-10-16 2002-10-16 록커커버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3504B1 (fr) * 2020-08-19 2022-07-29 Renault Sas Décanteur centrifuge refroidi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3217U (ja) * 1992-03-03 1993-10-08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ブローバイガス気液分離室構造
JPH07224630A (ja) * 1994-02-14 1995-08-2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オイル液化装置
KR19980028710U (ko) * 1996-11-25 1998-08-05 김영귀 엔진의 헤드커버
KR19980078615A (ko) * 1997-04-29 1998-11-16 김영귀 엔진의 블로바이가스에 함유된 오일 응축장치
KR20020027895A (ko) * 2000-10-06 2002-04-15 류정열 가솔린 기관에 있어서 블로바이가스 중의 오일을 분리하기위한 구조를 가지는 실린더 헤드 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3217U (ja) * 1992-03-03 1993-10-08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ブローバイガス気液分離室構造
JPH07224630A (ja) * 1994-02-14 1995-08-2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オイル液化装置
KR19980028710U (ko) * 1996-11-25 1998-08-05 김영귀 엔진의 헤드커버
KR19980078615A (ko) * 1997-04-29 1998-11-16 김영귀 엔진의 블로바이가스에 함유된 오일 응축장치
KR20020027895A (ko) * 2000-10-06 2002-04-15 류정열 가솔린 기관에 있어서 블로바이가스 중의 오일을 분리하기위한 구조를 가지는 실린더 헤드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786A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0831B2 (en)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intercooler
JP3928642B2 (ja) Egr装置
JP5983196B2 (ja) ユニフロー掃気式2サイクルエンジン
US9523293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10106934A (ko) 배기가스 또는 연소 가스 재순환을 이용하는 대형 터보차지 2-행정 디젤 엔진 및 NOx 및 매연 배출량의 감소 방법
RU2684051C2 (ru)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охладителем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CN104727929A (zh) 用于发动机气道冷凝物管理的系统和方法
US6138647A (en) Nitrogen oxides reducing aftercooler for turbocharged engines
KR20200106284A (ko) 볼텍스튜브를 이용한 배기가스 포집장치
KR100528200B1 (ko) 록커커버의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 분리장치
CN101925729B (zh) 内燃发动机
JPH10299578A (ja) ディーゼル型のターボ過給式複式燃料内燃機関の運転方法
KR970009124B1 (ko) 다기통 엔진
USRE39937E1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JP2003020945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ピストン冷却装置
US10774771B2 (en) Engine control system for reducing particulate matter
KR102338341B1 (ko) 엔진 시스템
US6691672B2 (en) Direct-injec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controlled valves
US9341123B2 (en) Exhaust system having EGR through compression valve
KR100412568B1 (ko) 피씨브이 호스의 결빙 방지장치
KR100513461B1 (ko) 오일 분리기가 부설된 이지알 쿨러
CN109844295A (zh) 船舶用egr装置
JP6805771B2 (ja) エンジンの凝縮水処理装置
KR102181617B1 (ko) 선박용 디젤 엔진
KR100475812B1 (ko) 연소실의 클래비스 볼륨 감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