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117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117B1
KR100528117B1 KR10-2003-0057747A KR20030057747A KR100528117B1 KR 100528117 B1 KR100528117 B1 KR 100528117B1 KR 20030057747 A KR20030057747 A KR 20030057747A KR 100528117 B1 KR100528117 B1 KR 100528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eodorizing
main body
body cas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8168A (ko
Inventor
니노미야고오조오
모떼기야스히로
하시모또마스유끼
후지사와도오루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8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공기 조화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미세한 먼지나 악취를 포함한 공기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경감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구부(5) 및 송풍구(7)를 갖는 본체 케이스(2)와, 이 본체 케이스(2)의 상기 개구부(5)에 부착되어 흡입구를 갖는 전방면 패널(3)과, 본체 케이스(2)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 및 송풍구(7)를 연통하는 통풍로(8)와, 이 통풍로(8)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12) 및 송풍 팬(11)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 패널(3)은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전방면판(14)과 이 전방면판(14)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하방을 향해 개구하는 하부 흡입구(17)를 갖고, 상기 전방면판(14)과 열교환기(12) 사이에 적어도 탈취 장치(24) 또는 먼지 수집 장치 중 어느 한 쪽을 배치하였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운전 개시시에 본체 케이스 내부에 부착된 먼지가 비산하여 실내로 불어내어지지 않도록 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 내부에 부착된 먼지가 운전 개시시에 실내로 다량으로 불어내어지지 않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도6은 전술한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측단면도이다. 이 실내기(71)는 본체 케이스(71A)를 구비하고, 이 본체 케이스(71A)의 전방면 및 상면에 전방면 및 상면 흡입구(72, 73), 하단부에 개폐 플랩(74)을 피봇 부착한 송풍구(75)를 갖고, 본체 케이스(71A) 내에 이들 흡입구(72, 73) 및 송풍구(75)를 연통하는 통풍로(76)를 설치하여 열교환기(77) 및 송풍 팬(78)을 배치하고, 열교환기(77)의 풍향의 상류측의 통풍로(76)에 통풍로(76) 단면의 전체를 덮는 에어 필터(79)와, 통풍로(76) 단면의 일부를 덮는 공기 청정 필터(80)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 필터(79)는 흡입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포착하고, 공기 청정 필터(80)는 더 미세한 먼지를 포착하여 먼지가 통풍로(76) 내로 침입하는 것을 막고 있다. 또, 실선으로 나타내는 개폐 플랩(74)은 송풍구(75)를 폐색한 상태,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개폐 플랩(74)은 에어 쇼트 운전시의 위치를 나타내고, 파선으로 나타내는 개폐 플랩(74)은 통상 운전시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열교환기(77)에는 도시하지 않은 실외기가 냉매관으로 접속되어 냉매가 순환하여 공급된다. 그리고, 냉방 운전시에는 열교환기(77)가 냉각되고, 난방 운전시에는 데워져 흡입구(72, 73)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77)에서 열교환되어 송풍구(75)으로부터 불어내어져 실내가 냉방 또는 난방된다.
그런데, 실내기(71)를 장시간 운전하고 있으면, 통풍로(76) 내부에는 에어 필터(79)의 그물망을 통해 미세한 먼지가 침입하고, 이 먼지가 송풍 팬(78)이나 본체 케이스(71A)의 내벽 등에 부착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부착된 먼지는 실내기(71)를 다시 운전하였을 때에 비산하여 실내로 불어내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운전 개시시에는 개폐 플랩(74)의 개방도를 작은 위치(일점 쇄선으로 나타냄)로 하여 에어 쇼트 운전을 행하고, 송풍구(75)로부터 불어내어진 공기를 그대로 전방면 흡입구(72)로부터 흡입되도록 하여(실선 화살표로 나타냄) 에어 필터(79)를 통과시킴으로써, 본체 케이스(71A) 내부에 부착된 먼지의 침정화를 촉진하고 있다. 먼지가 침정화된 후에는 개폐 플랩(74)을 통상 운전시의 위치(파선으로 나타냄)로 하여 조화 공기를 송풍구(75)로부터 실내로 불어넣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운전 개시시에 발생하는 먼지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1-201147호 공보
그러나, 본체 케이스(71A) 내에 부착된 먼지에는 에어 필터(79)의 그물망을 통과한 미세한 것이나 악취를 포함한 것도 있고, 에어 쇼트 운전에 의해 이들 먼지를 에어 필터(79)에 몇 회 통과시켜도 미세한 먼지나 악취를 포함한 공기가 다분히 실내로 불어내어질 우려가 있었다.
이들 미세한 먼지나 악취를 가능한 한 실내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에어 필터(79)의 그물망을 미세하게 하거나 공기 청정 필터(80)의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하면 통풍로(76)의 공기 저항이 커져 공기 조화 능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공기 조화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미세한 먼지나 악취를 포함한 공기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경감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전방면에 개구부, 하단부에 송풍구를 갖는 본체 케이스와, 이 본체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에 부착되어 흡입구를 갖는 전방면 패널과, 본체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 및 송풍구를 연통하는 통풍로와, 이 통풍로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 및 송풍 팬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 패널은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전방면판과, 이 전방면판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하방을 향해 개구하는 하부 흡입구를 갖고, 상기 전방면판과 열교환기 사이에 적어도 탈취 장치 또는 먼지 수집 장치 중 어느 한 쪽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판은 중앙부가 좌우보다 돌출되어 상기 탈취 장치 또는 먼지 수집 장치를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불어 올리는 측의 통풍로 내에 프리필터, 자외선 램프 및 탈취 필터를 차례로 배치하여 탈취 장치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자외선 램프 및 탈취 필터를 탈취 케이스에 수납하고, 이 탈취 케이스의 전방판을 그물망형으로 형성하여 프리필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정면도, 도2는 도1의 측단면도, 도3은 도1의 전방면 패널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4는 도1의 평면도, 도5는 도2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1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실내에 설치되고,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에 냉매관에 의해 접속되어 구성되고, 이들 실외기와 실내기(1)를 냉매가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실내기(1)는 플라스틱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된 가로로 긴 본체 케이스(2)와, 이 본체 케이스(2)의 전방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전방면 패널(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전방면 패널(3)의 중앙 하부에는 표시부(4)가 배치되어 있다.
도2 및 도3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2)에는 전방면으로 개구하는 전방면 개구부(5), 상면에 복수의 통기구를 갖는 상면 흡입구(6) 및 하단부에 송풍구(7)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의 상기 전방면 개구부(5)에는 복수의 흡입구(15, 16, 17)를 갖는 상기 전방면 패널(3)이 설치된다.
본체 케이스(2) 내에는 상기 흡입구(6, 15, 16, 17)와 송풍구(7)를 연통하는 통풍로(8)가 형성되고, 이 통풍로(8) 내의 대략 중심 위치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크로스 플로우 팬(송풍 팬)(11)이 설치되고, 이 크로스 플로우 팬(11)과 상면 흡입구(6) 및 전방면 개구부(5) 사이에 열교환기(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의 우측단부에는 제어 기판이나 전기 부품을 수납하는 전장 상자(19)가 안길이 방향을 횡단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12)는 가로로 길고 본체 케이스(2)의 좌측단부로부터 우측부에 걸쳐서 설치되고, 3개의 블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3개의 블럭이 크로스 플로우 팬(11)을 둘러싸도록(도2 참조) 개략「く」자형 및「Λ」자형으로 형성되어 실내기(1)를 소형화해도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열교환기(12)의 하단부에는 이 열교환기(12)에서 결로하여 적하하는 물을 받아내는 드레인 팬(13)이 설치되고, 이 드레인 팬(13)은 본체 케이스(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전방면 패널(3)에는 전방면 패널(3)의 전체 폭에 걸치고 또한,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전방면판(14)를 갖고, 이 전방면판(14)은 중앙부를 선단부로 하여 좌우로 만곡하는 원호 형상을 하고,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면 패널(3)에 복수의 리브(14a, 14a ‥)로 접속되어 있다. 전방면판(14)의 상단부에는 활 형상이고, 또한 상방을 향해 개구하는 상부 흡입구(15), 전방부에는 복수의 슬릿형 개구를 갖는 전방면 흡입구(16) 및 하단부에는 활 형상이고, 또한 하방을 향해 개구하는 하부 흡입구(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면 패널(3)의 하부에는 표시부(4)용 개구(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면 패널(3)과 열교환기(12) 사이에는 전방으로부터 차례로 탈취 장치용 부착 프레임(이하 탈취 프레임이라 함)(21), 공기 청정 필터용 부착 프레임(이하 공기 청정 프레임이라 함)(22) 및 에어 필터(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탈취 프레임(21)은 본체 케이스(2)의 전방면 개구부(5)의 주연부에 나사로 고정되고, 복수개의 세로 리브와 복수개의 가로 리브를 갖고 있다. 이 탈취 프레임(21)의 중앙부에는 탈취 프레임(21)과 일체적으로, 또한 전방으로 돌출된 탈취 케이스(25)를 갖는 탈취 장치(24)가 설치되어 있다. 탈취 케이스(25)는 가로 폭이 전방면 개구부(5) 가로 폭의 약 1/3(도3 참조)이고, 내부에 자외선 램프 및 탈취 필터를 수납하고 있다.
상기 탈취 케이스(25)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판의 상부 2/3가 그물망형의 개구를 갖고(도3 참조), 상방 및 하방이 상부판 및 하부판에 의해 폐쇄되고 후방이 개구되어 있다. 전방판의 그물망은 공기 중의 먼지를 받아내는 프리필터(25a)로 되어 있다. 이 탈취 케이스(25) 내에는 판형의 탈취 필터(27)가 상부변을 전방으로 경사져 수납되고, 탈취 필터(27)의 전방 하부에는 가로로 긴 원통형의 자외선 램프(26)가 수납되고, 이 자외선 램프(26)는 실내기(1)의 우측에 설치된 제어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자외선 램프(26)의 수납부(26a)는 전방과 하방이 폐쇄되고 상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자외선이 상방과 후방으로부터 탈취 필터(27)로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면판(14)의 흡입구(15, 16, 17)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도5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필터(25a)를 경유하여 탈취 필터(27)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도2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 프레임(22)은 본체 케이스(2)의 전방면 개구부(5)에 끼워 맞추어져 있고, 이 공기 청정 프레임(22)의 좌측 절반부에는 공기 청정 필터(이하 공기 청정 필터라 함)(29)의 수납부(29a)가 형성되고, 이 수납부(29a)에 공기 청정 필터(29)가 수납되어 있다. 공기 청정 필터(29)는 공기 중의 먼지를 받아내는 동시에, 담배 연기나 냄새를 부착시켜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필터(23)는 가요성 소재로 만들어져 있고, 격자부와 이 격자부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 중의 먼지를 받아내는 그물부를 갖고, 열교환기(12)의 상방 및 전방을 덮도록 본체 케이스(2)의 측면으로 만곡하여 형성된 가이드 레일(3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필터(23) 하방의 본체 케이스(2)에는 이 에어 필터(23)를 하부 방향으로 취출하는 취출구(32)가 형성되어 에어 필터(23)를 삽탈 가능하게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송풍구(7)에는 불어내어지는 공기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풍향 변경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 풍향 변경기는 불어내어지는 공기의 좌우 방향을 규정하는 복수의 세로 블레이드(33)와, 상하 방향을 규정하는 개폐 플랩(34)에 의해 구성되고, 이 개폐 플랩(34)은 실내기(1)가 운전 정지하고 있을 때, 즉 실내로 공기가 송풍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송풍구(7)를 폐색하고, 운전이 개시되면 송풍구(7)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의 운전이 개시되면, 크로스 플로우 팬(11)의 회전과 함께 공기 조화기의 운전이 개시된다. 운전 개시후의 소정 시간(예를 들어, 30초 내지 3분)은 개폐 플랩(34)의 개방도를 작게 하여 약간의 소정 송풍량으로 크로스 플로우 팬(11)을 회전시킨다. 송풍구(7)로부터 불어내어진 공기는 소정 송풍량을 유지하여 대부분을 하부 흡입구(17)로부터 흡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흡입구(17)가 활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송풍구(7)로부터 불어내어진 공기는 하부 흡입구(17)의 중앙부로부터 대량 유입하여 탈취 필터(27)를 통과하고, 또한 공기 청정 필터(29) 및 에어 필터(23)를 통과한다. 이 때 통과하는 공기에는, 본체 케이스(2) 내에 부착되어 크로스 플로우 팬(11)의 작동에 의해 비산된 미세한 먼지나 악취가 다량으로 포함되고, 하부 흡입구(17)의 중앙부에 배치된 탈취 필터(27)를 통과시킴으로써 악취를 탈취 필터(27)에 부착시킬 수 있다. 탈취 필터(27)에 부착된 악취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시에 점등하는 자외선 램프(26)의 조사에 의해 탈취된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2) 내의 먼지나 악취가 가라앉은 후에 개폐 플랩(34)을 소정의 위치로 하여 공기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불어내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크로스 플로우 팬(11)을 작동한 직후에는 실내기(1) 내부로 침입하여 크로스 플로우 팬(11)이나 실내기(1)의 내벽 등에 부착된 먼지나 악취가 교반되어 송풍구(7)로부터 불어내어지므로, 운전 개시시에 에어 쇼트 운전을 행하여 송풍구(7)로부터 불어내어지는 공기를 하부 흡입구(17)로부터 유입시킴으로써, 먼지나 악취가 탈취 필터(27)에 부착되어 실내로의 확산을 하기 어렵게 한다. 또, 통상의 공기 조화 운전시에도 탈취 필터(27)를 통과한 공기 중의 먼지나 악취가 탈취 필터(27)에 부착되어 삭감된다.
또한, 상기 하부 흡입구(17)가 활 형상을 하여 중앙부가 좌우보다 크게 개구되어 있으므로, 하부 흡입구(17)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중앙부로부터 대량 유입하여 중앙부에 탈취 필터(27)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탈취 필터(27)에 먼지나 악취가 집중되어 통과하여 탈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탈취 필터(27)에 부착된 먼지나 악취는 탈취 필터(27)의 전방면에 대량 부착되고, 자외선 램프(26)가 탈취 필터(27)의 전방면측으로 조사되므로 효과적으로 탈취할 수 있다.
또한, 탈취 필터(27)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통풍로(8)의 공기 저항을 작게 하여 통풍량을 확보하여 공기 조화 능력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 자외선 램프(26)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탈취 장치(24)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탈취 장치(24)는 착탈 가능한 탈취 프레임(21)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탈취 필터(27) 및 자외선 램프(26)의 보수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일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면 패널(3)과 열교환기(12) 사이에 탈취 장치(24)를 설치하고 있지만, 탈취 장치(24) 대신에 먼지 수집 장치를 설치해도 좋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전방면 패널과 이 전방면 패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방면판을 설치하였으므로, 이 전방면판과 열교환기와의 간격이 커져 탈취 장치(탈취 필터) 또는 먼지 수집 장치(먼지 수집 필터) 등의 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면판은 하방을 향해 하부 흡입구를 설치하는 동시에 중앙부를 좌우보다도 돌출시키고 있으므로, 하부 흡입구의 중앙부가 좌우보다 크게 개구된다. 그리고, 전방면판의 후방에서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탈취 장치 또는 먼지 수집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많은 공기가 하부 흡입구의 중앙부로부터 유입되어 탈취 장치 또는 먼지 수집 장치를 통과하므로, 탈취 효과 또는 먼지 수집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열교환기의 불어 올리는 측 통풍로 내에 탈취 장치를 설치하고, 이 탈취 장치는 프리필터, 자외선 램프 및 탈취 필터를 차례로 배치함으로써, 프리필터의 눈보다도 작은 먼지나 악취를 탈취 필터로 받아내어 탈취 필터의 전방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탈취를 행하므로, 탈취 필터의 전방면측에 저장된 먼지나 악취를 효과적으로 탈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정면도.
도2는 도1의 실내기의 측단면도.
도3은 도1의 실내기 전방면 패널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4는 도1의 실내기의 평면도.
도5는 도2의 일부 확대도.
도6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내기
2 : 본체 케이스
3 : 전방면 패널
4 : 표시부
5 : 전방면 개구부
6 : 상면 흡입구
7 : 송풍구
8 : 통풍로
11 : 크로스 플로우 팬(송풍 팬)
12 : 열교환기
13 : 드레인 팬
14 : 전방면판
14a : 리브
15 : 상부 흡입구
16 : 전방면 흡입구
17 : 하부 흡입구
18 : 표시부 개구
19 : 전장 상자
21 : 탈취 장치용 부착 프레임(탈취 프레임)
22 : 공기 청정 필터용 부착 프레임(공기 청정 프레임)
23 : 에어 필터
24 : 탈취 장치
25 : 탈취 케이스
25a : 프리필터
26 : 자외선 램프
27 : 탈취 필터
29 : 공기 청정 필터
34 : 개폐 플랩

Claims (3)

  1. 전방면에 개구부, 하단부에 송풍구를 갖는 본체 케이스와, 이 본체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에 부착되어 흡입구를 갖는 전방면 패널과, 본체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 및 송풍구를 연통하는 통풍로와, 이 통풍로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 및 송풍 팬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 패널은 이 전방면 패널에 대해 좌우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전방측으로 가장 돌출하도록 설치된 원호 형상의 전방면판을 갖고, 이 원호 형상의 전방면판의 상하 양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개구시킨 상면 흡입구와 하방을 향해 개구시킨 하면 흡입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전방면판의 중앙부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는, 전방면에 프리 필터를 갖는 탈취 케이스와, 이 탈취 케이스 내에 수용된 자외선 램프 및 탈취 필터로 구성된 탈취 장치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삭제
  3. 삭제
KR10-2003-0057747A 2002-08-22 2003-08-21 공기 조화기 KR100528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41349 2002-08-22
JP2002241349 2002-08-22
JPJP-P-2002-00241372 2002-08-22
JP2002241372 2002-08-22
JP2003272755A JP4145216B2 (ja) 2002-08-22 2003-07-10 空気調和機
JPJP-P-2003-00272755 2003-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168A KR20040018168A (ko) 2004-03-02
KR100528117B1 true KR100528117B1 (ko) 2005-11-15

Family

ID=32110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747A KR100528117B1 (ko) 2002-08-22 2003-08-21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145216B2 (ko)
KR (1) KR100528117B1 (ko)
CN (1) CN121814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119B1 (ko) 2007-11-21 2009-05-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살균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0370B2 (en) * 2004-06-15 2008-04-01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KR101101636B1 (ko) * 2004-06-15 2012-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5316501B2 (ja) * 2010-09-03 2013-10-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316499B2 (ja) * 2010-09-03 2013-10-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6405524B2 (ja) * 2014-05-21 2018-10-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808015B2 (ja) 2017-03-03 2021-01-0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2580541B1 (ko) * 2019-01-21 202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119B1 (ko) 2007-11-21 2009-05-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살균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01171A (ja) 2004-04-02
KR20040018168A (ko) 2004-03-02
JP4145216B2 (ja) 2008-09-03
CN1218147C (zh) 2005-09-07
CN1485578A (zh)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9822B2 (ja) 空気調和機
JP3960812B2 (ja) 空気調和機
JP4439532B2 (ja) 空気調和機
CN209744533U (zh) 空调器室内机
KR100528117B1 (ko) 공기 조화기
JP2003232560A (ja) 空気調和機
JP2003232559A (ja) 空気調和機
JP2009142356A (ja) 空気清浄機
KR101555199B1 (ko) 공기조화기
JP4202822B2 (ja) 空気調和機
JP4490007B2 (ja) 空気調和機
KR20100062668A (ko) 벽걸이형 증발식 가습기
JP2005076916A (ja) 浴室暖房機
WO2023095479A1 (ja) 空気処理装置
KR101133612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807815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60016003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KR102546580B1 (ko) 양압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버스 승강장
JP2003106613A (ja) 空気調和機
CN1322271C (zh) 空调机
KR10116216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5164162A (ja) 空気調和機
JP2009103329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514005B1 (ko) 공기조화기
JP2004150713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