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622B1 - 납골당의 납골단 - Google Patents

납골당의 납골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622B1
KR100527622B1 KR10-2003-0012504A KR20030012504A KR100527622B1 KR 100527622 B1 KR100527622 B1 KR 100527622B1 KR 20030012504 A KR20030012504 A KR 20030012504A KR 100527622 B1 KR100527622 B1 KR 100527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fixed
glass door
grooves
scr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9675A (ko
Inventor
채종술
Original Assignee
채종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종술 filed Critical 채종술
Priority to KR10-2003-0012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622B1/ko
Publication of KR20030079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6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당의 납골단에 관한 것으로 제작이 간편하고 이동이 용이 할 뿐아니라 설치 장소에 이동하여 공간에 알맞게 여러개를 맞추어 사용 할 수 있는 것으로 설치공간에 맞게 규격조절이 가능하고 납골단 내부에 삽입되는 평풍가리개에 고인의 사진이나 위패를 부착하고 유리문을 고정하여 외부미관을 깨끗하게 한 납골당의 납골단에 관한 것이다.
다수개의 요홈(2)을 형성한 측면 지지벽체(1)를 양측으로 하여 내측 공간에 상,하 대향되게 나사결합홈(10)(11)을 형성하고 보강편(12)이 있으며 일측면에 삽입홈(4)과 삽입돌기(5)를 형성하여 일체로 삽입한 칸막이판(3)을 일정한 치수로 동일하게 절단하여 상,하단에 일정 공간이 형성하게 하여 각각 나사(6)로서 고정하여 다단층의 수납 칸을 만들어 납골단(A)으로 형성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맞게 여러개를 밀착 시킨후 배면에 넓은 후면판넬(13)을 상단부분에는 천정판넬(14)고정하며 또한 마지막 양측면에 측면판넬(15)(16)을 부착하였으며 상단부분과 하단부분에 마무리용 테두리(17)(18)를 나사 결합한 후 십자돌기(21)를 돌출시킨 고정편(20)에 결합공(23)(24)(25)(26)을 만들고 십자돌기(21)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코너(30)(31)(32)(33)를 형성하며 이의 코너(30)(31)(32)(33) 부분에는 투명 유리문(35)을 안치 시키후 절곡홈(36)이 있는 고정덮개(22)의 관통공(37)를 통해 고정편(20)의 결합공(25)(26)에 나사 결합 함을 특징으로 함.

Description

납골당의 납골단{omitted}
본 발명은 납골당의 납골단에 관한 것으로 제작이 간편하고 이동이 용이 할 뿐아니라 설치 장소에 이동하여 공간에 알맞게 여러개를 맞추어 사용 할 수 있는 것으로 설치공간에 맞게 규격조절이 가능하고 납골단 내부에 삽입되는 평풍가리개에 고인의 사진이나 위패를 부착하고 유리문을 고정하여 외부미관을 깨끗하게 한 납골당의 납골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우리나라는 유교문화의 영향에 의한 오랜 매장 풍습으로 사람의 사후에 매장을 선호하여 대부분 매장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국토에서 차지하는 묘지 비율은 전국토의 약 1%로서 이는 주거지역의 1/2, 공업지역의 약 2배에 해당하는 면적이다.
매년 약 9㎢(여의도 면적의 1.2배)씩 잠식되어가고 있는 묘지로 인해 서울은 2년, 수도권 5년, 전국적으로 10년 이내에 묘지공급에 한계가 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수목이 없는 묘지는 하절기의 장마철에 산사태의 원인이 됨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함께 오랜기간이 경과후에 벌초를 하지 않아 황폐화된 묘, 떼가 벗겨진 묘, 동절기를 거치며 붕괴된 묘. 개인주의의 만연과 전통적인 집안 의식 및 친족, 이웃간의 상호 부조의식 해이로 전국의 무 연고묘는 총묘지 2천만기의 40%인 800만기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미국, 유럽, 일본등 선진국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매장을 하지 않고 화장을 하여 납골당에 안치 봉안하여 조상을 받드는 풍속이 거의 정착화 되었고 이것이 오랜 전통으로 계속 보존 유지되어 국토를 잘 가꾸어 후손들에게 물려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근자에는 납골당에 인골을 안치하는 방향으로 인식의 변화로 납골당이 많이 필요로 하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납골당의 숫자는 아주 미미한 실정이다.
이러한 납골당을 신축하고자 하면 여러가지의 문제가 있으며 이의 문제점 하나로 납골단이 대부분 석재로 제작하므로 납골단의 무게가 너무 무거워 납골당의 건축비가 통상적인 건축물의 기초하중보다 몇배로 튼튼하게 건축하여야 하므로 건축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국내의 납골 시설은 아직 미미한 형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근래에는 조립식으로 하는 납골단이 많이 설치되고 있으나 납골단이 대부분 납골당의 장소에 맞춰 일체형으로 만들어져 운반시 이동이 어려우며 납골당의 현장에서 공사시에는 제작도구를 이동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많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 장소에 맞는 천정 높이로 종 방향으로 다단계로 만듬으로 크기가 작으며 무게가 가벼워 설치할 납골당으로 이동이 용이하며 각각의 납골단 내부에 사진과 위패를 부착한 병풍차단막을 삽입 안치하여 별도의 통풍 장치가 없어도 통풍이 잘되며 유리문을 고정하거나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외관을 미려하고 깨끗하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요홈(2)을 형성한 측면 지지벽체(1)를 양측으로 하여 내측 공간에 상,하 대향되게 나사결합홈(10)(11)을 형성하고 보강편(12)이 있으며 일측면에 삽입홈(4)과 삽입돌기(5)를 형성하여 일체로 삽입한 칸막이판(3)을 일정한 치수로 동일하게 절단하여 상,하단에 일정 공간이 형성하게 하여 각각 나사(6)로서 고정하여 다단층의 수납 칸을 만들며 높이 방향으로 납골단(A)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나사(6)로 칸막이판(3)에 지지벽체(1)를 고정 결합시 지지벽체(1)의 요홈(2)에 상,하 구멍을 뚫어 나사 결합하는데 요홈(2)부분에 나사공을 만듬으로 나사(6)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여러개의 납골단(A)을 밀착시켜도 밀착율이 높으며 각각의 나사(6)는 칸막이판(3)의 상,하 나사결합홈(10)(11)에 나사 결합한다.
칸막이판(3)의 일측면에 삽입홈(4)과 삽입돌기(5)를 만들어 결합한 것은 납골단(A)으로 사용하는 재질을 알루미늄으로 제작하는 것으로 알류미늄 인발 작업상에 있어 넓이가 넓은 원판은 인발작업이 어려워 손쉽게 작업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재질을 사용 할 경우에는 일체로 만들어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된 하나의 길이 방향으로된 납골단(A)을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맞게 도 1처럼 양측면을 맞대어 여러개를 밀착 시킨다.
그런 다음 배면에 넓은 후면판넬(13)로서 각각의 납골단(A)과 결합하며 상단 부분에도 천정판넬(14)로서 각각의 납골단(A)이 하나 되게 고정하며 또한 각각의 마지막 양측 납골단(A)의 측면에 측면판넬(15)(16)을 부착하여 깨끗하게 하며 납골단(A)의 상단부분과 하단부분에 마무리용 테두리(17)(18)를 나사 결합한다.
이후 칸막이판(3)의 전면 양쪽에 고정핀(19)을 고정하여 평풍차단막(7)이 일정하게 밀려 들어가면 고정핀(19)에 걸려 더 이상 밀려 들어가지 않고 일정하게 고정된다.
상기의 평풍차단막(7)에는 납골단에 안치하는 고인의 사진이나 위패를 부착하여 두며 외부에서 납골함이 보이지 않게 하여 주며 상단부분이 칸막이판(3)에서 조금 떨어지게 공간을 형성하므로 필요에 따라 손쉽게 평풍차단막(7)을 이탈 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후 도 3처럼 십자돌기(21)를 돌출시킨 고정편(20)에 결합공(23)(24)(25)(26)을 만들고 십자돌기(21)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코너(30)(31)(32)(33)를 형성하며 이의 코너(30)(31)(32)(33) 부분에는 투명 유리문(35)을 안치시키후 절곡홈(36)이 있는 고정덮개(22)의 관통공(37)를 통해 고정편(20)의 결합공(25)(26)에 나사 결합하여 된것이다.
상기 고정편(20)의 좌,우 측 결합공(23)(24)은 양쪽의 지지벽체(1)에 나사로 고정하여 주어 각각의 납골단(A) 지지벽체(1)에 체결하여 준다.
이렇게 투명 유리문(35)을 고정함에 있어 좌,우 끝단의 지지벽체(1)에는 반원형 고정편(20a)과 반원형 고정덮개(22a)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납골단으로 사용 사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고정덮개(22)(22a)를 결합하고 있는 나사(38)(39)를 풀은후 앞으로 위부분을 앞으로 조금 당겨주면 고정덮개(22)(22a)의 절곡홈(36)부분이 약간 꺽여지며 상단부분이 앞쪽으로 벌어지면 유리문(35)을 앞으로 뽑아낸다. 그런 다음 평풍차단막(7)을 앞으로 들어낸후 납골함을 안치한다.
납골함을 안치한 다음에는 다시 평풍차단막(7)을 삽입하면 칸막이판(3)에 고정한 고정핀(19)에 의해 고정된다.
이후 유리문(35)을 고정편(20)(20a)의 십자돌기(21) 턱에 안치후 다시 나사(38)(39)로 결합하면 납골함의 안치가 끝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에 있어 도 9는 다른 실시예로 칸막이판(3)의 전방으로 T형안내홈(41)을 형성하여 J형선반(40)을 삽입하며 투명 유리문(35)은 일측으로 상,하단에 힌지(42)를 결합하여 바닥부분과 천장부분에 만든 힌지공(43)에 끼워 작동되게 하였으며 타측 상단에는 자물쇠(44)부분을 고정하여 된 것이다.
상기의 다른 실시예 사용 상태로는 유리문(35) 일측 상단에 고정된 자물쇠(44)를 열어 유리문(35)을 앞으로 당겨 주면 힌지(42)의 작동으로 인해 유리문(35)이 개방되면 평풍차단막(7)을 앞으로 당겨 분리한 다음 납골단의 내부 공간에 납골함을 넣고서 평풍차단막(7)을 납골단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다시 유리문(35)을 닫고서 자물쇠(44)를 잠겨주어 안치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납골당의 납골단의 설치 공간에 맞게 재료를 절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후의 크기도 적어 차량에 쉽게 적재할 수 있어 이동이 용이하고 공사 현장에서 여러폭을 연결하여 하나의 납골단으로 만들수 있으며 고인의 사진과 위폐를 납골단 내부에 내장시켜 외부에서 투명 유리문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손쉽게 유리문의 착탈이 용이하고 외관이 미려하고 별도의 통풍장치나 통풍구가 없이도 원활하게 통풍이 되며 필요에 따라 전방에 선반을 설치하여 참배객이 가져 오는 생화를 얹어 고인에게 바칠수가 있으며, 적은 작업인원으로 많은량의 작업을 신속히 처리 할 수 있고 설치하중을 최소화 하여 납골당 건축시 과다한 하중을 줄일 수 있어 적은 경비로 건축 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벽체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면 유리문 일부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3의 정면부분으로 유리문을 결합한 상태도
도 6은 측면벽체를 결합한 상태의 일부 횡단면도
도 7은 측면벽체를 결합한 상태의 일부 횡단면도로서 유리문을 고정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납골단에 평풍막을 결합한 상태의 일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전면에 선반을 결합한 상태의 일부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칸막이 부분 분리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 지지벽체 2: 요홈
3: 칸막이판 4: 삽입홈
5: 삽입돌기 6: 나사
7: 평풍차단막 10, 11: 나사결합홈
12: 보강편 13: 후면판넬
14: 천정판넬 15,16: 측면판넬
17,18: 테두리 19: 고정핀
20,20a: 고정편 21: 십자돌기
22,22a: 고정덮개 23,24,25,26: 결합공
30,31,32,33; 코너 35: 유리문
36: 절곡홈 37: 관통공
40: J형선반 41: T형안내홈
42: 힌지 43: 힌지공
44: 자물쇠 A: 납골단

Claims (2)

  1. 다수개의 요홈(2)을 형성한 측면 지지벽체(1)를 양측으로 하여 내측 공간에 상,하 대향되게 나사결합홈(10)(11)을 형성하고 보강편(12)이 있으며 일측면에 삽입홈(4)과 삽입돌기(5)를 형성하여 일체로 삽입한 칸막이판(3)을 일정한 치수로 동일하게 절단하여 상,하단에 일정 공간이 형성하게 하여 각각 나사(6)로서 고정하여 다단층의 수납 칸을 만들어 납골단(A)으로 형성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맞게 여러개를 밀착 시킨후 배면에 넓은 후면판넬(13)을 상단부분에는 천정판넬(14)고정하며 또한 마지막 양측면에 측면판넬(15)(16)을 부착하였으며 상단부분과 하단부분에 마무리용 테두리(17)(18)를 나사 결합한 후 십자돌기(21)를 돌출시킨 고정편(20)에 결합공(23)(24)(25)(26)을 만들고 십자돌기(21)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코너(30)(31)(32)(33)를 형성하며 이의 코너(30)(31)(32)(33) 부분에는 투명 유리문(35)을 안치 시키후 절곡홈(36)이 있는 고정덮개(22)의 관통공(37)를 통해 고정편(20)의 결합공(25)(26)에 나사 결합 함을 특징으로 한 납골당의 납골단.
  2. 제 1항에 있어서, 칸막이판(3)의 전방으로 T형안내홈(41)을 형성하여 J형선반(40)을 삽입하며 투명 유리문(35)은 일측으로 상,하단에 힌지(42)를 결합하여 바닥부분과 천장부분에 만든 힌지공(43)에 끼워 작동되게 하였으며 타측 상단에는 자물쇠(44)부분을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납골당의 납골단.
KR10-2003-0012504A 2003-02-24 2003-02-24 납골당의 납골단 KR100527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504A KR100527622B1 (ko) 2003-02-24 2003-02-24 납골당의 납골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504A KR100527622B1 (ko) 2003-02-24 2003-02-24 납골당의 납골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784U Division KR200281328Y1 (ko) 2002-04-01 2002-04-01 납골당의 납골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675A KR20030079675A (ko) 2003-10-10
KR100527622B1 true KR100527622B1 (ko) 2005-11-15

Family

ID=3238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504A KR100527622B1 (ko) 2003-02-24 2003-02-24 납골당의 납골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095B1 (ko) * 2007-06-15 2008-07-17 김수진 납골함안치단의 납골함수납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5173B (zh) * 2014-07-26 2017-02-01 江西顾特乐精藏科技有限公司 一种拼装式组合骨灰盒保管箱及其安装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095B1 (ko) * 2007-06-15 2008-07-17 김수진 납골함안치단의 납골함수납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675A (ko) 200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7560B2 (en) Modular crypt
US5622014A (en) Columbarium with movable element
US20080078074A1 (en) Storage container and display for cremated remains
US3990198A (en) System for sepulchral urn (post cremation) burial
KR100527622B1 (ko) 납골당의 납골단
KR200281328Y1 (ko) 납골당의 납골단
JPS60159234A (ja) 建築本体の建造のための建築構造体
KR200316127Y1 (ko) 유골함 봉안용 조립식 캐비닛
KR20080093523A (ko) 서랍식 납골함
ES2703942B2 (es) Columbario con panel decorado translucido retro iluminado con placa(s) conmemorativa(s) extraible(s)
KR100292947B1 (ko) 조립식 납골함단
KR200223742Y1 (ko) Pvc 납골함단의 커버 고정장치
KR100712361B1 (ko) 납골함안치단
KR200335516Y1 (ko) 납골당
KR100429163B1 (ko)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US263354A (en) Construction and decoration of buildings
CN217865875U (zh) 一种组合式高分子bmc骨灰存放架
PL73316Y1 (pl) Zespół kolumbarium
JPH074297Y2 (ja) 墓 標
KR200383549Y1 (ko) 납골안치단
KR200393985Y1 (ko) 납골당의 안치실 조명장치
JP3065996B2 (ja)
KR200383790Y1 (ko) 납골함안치단
JP3113816U (ja) 墓宮
KR200223665Y1 (ko)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