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518B1 -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518B1
KR100527518B1 KR10-2002-0084195A KR20020084195A KR100527518B1 KR 100527518 B1 KR100527518 B1 KR 100527518B1 KR 20020084195 A KR20020084195 A KR 20020084195A KR 100527518 B1 KR100527518 B1 KR 100527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engine
pressure
fuel supply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448A (ko
Inventor
이우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518B1/ko
Publication of KR20040057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gaseous fuels
    • F02D19/021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23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to adjust the fuel mass or volume flow
    • F02D19/024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to adjust the fuel mass or volume flow by controlling fuel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39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 F02D19/064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at least one fuel being gaseous, the other fuels being gaseous or liquid at standard conditions
    • F02D19/0647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at least one fuel being gaseous, the other fuels being gaseous or liquid at standard conditions the gaseous fuel being liquefied petroleum gas [LPG], liquefied natural gas [LNG], compressed natural gas [CNG] or dimethyl ether [D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간상태 엘피아이(LPI) 엔진의 시동성을 개선할 수 있는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엘피아이 엔진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와; 상기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분석하여 상기 엘피아이 엔진의 열간(HOT) 상태 및 피시디(PCD) 시동성 개선을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며, 연료 압력 상승 기울기를 모니터링하여 연료 액상 완료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는 시점부터 연료 분사를 개시하도록 해당되는 연료 공급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엔진 제어부와; 상기 엔진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료 공급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START CONTROL DEVICE OF LPI ENGI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엘피아이 엔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엘피아이(LPI ; LPG Injection) 엔진이란, 연료의 증기 압력만으로 연료를 밀어내는 기존의 엘피지(LPG) 엔진과는 달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피지 봄베(LPG Fuel Tank) 내에 연료 펌프(Fuel Pump)를 설치하여 액상의 엘피지 연료를 연료 공급 라인을 통하여 압송한 후 인젝터(Gas Injector)로부터 액상의 연료를 분사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엘피지는 열을 받아 온도가 증가하게 되면 포화 증기 압력이 포물선적으로 급증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엔진 룸(Engine Room)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연료 공급 라인 압력도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특히, 고속 고부하 주행중 정지시에는 엔진 복사열을 연료 공급 라인이 직접적으로 받게 되어 엔진 룸내에 정체되어 있는 연료는 그 압력증가가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열간(HOT) 상태의 엔진을 시동 오프(OFF)하게 되면, 연료 공급 라인내의 연료는 압력 조절기(Pressure Regulator) 작동압력 이상이 되기 때문에 압력 조절기를 지나 봄베쪽으로 서서히 리턴되게 되어 결국 연료 공급 라인내 상태는 액상과 기상의 연료가 혼재하는 액기상 상태가 되게 된다.
특히, 인젝터 누기에 의한 하이드로 카본(Hydro-Carbon) 배출량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압력 조절기 바이패스 밸브(P/REG. BYPASS VLV ; (셧 오프 밸브(Shut-Off Valve) ; 엔진 오프(OFF)시 항시 오픈(Open)))를 장착한 시스템의 경우 연료 리턴량이 더욱 커지게 되어 연료 공급 라인내 연료 부족 현상은 피할 수 없게 된다.
엘피지의 경우 액상에서 기상으로 변하게 되면 부피가 약 250배로 증가되기 때문에 약간의 기상이 존재하는 상태로 연료 분사를 하게 되면 혼합기는 결국 상당히 희박(LEAN)한 상태가 되어 시동성 악화(시동 시간이 길면서도 힘없이 걸리는 현상) 또는 시동이 걸렸다 다시 꺼지는 엔진 스톨 현상이 발생 할 수 있다.
또한, 연료 펌프가 회전하여 연료 공급 라인내의 압력을 빨리 상승시켜야 연료 공급 라인 내에 존재하는 기상 연료를 액상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데, 압력 상승전에 시동을 걸게 되면 인젝터로부터 연료가 누출되는 상황이 되어 결국 연료 압력 형성시간에도 악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열간상태 시동시에는 점화 온(IG ON)시 연료 라인내의 연료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여 이를 엔진 제어부(ECU)내에 저장되어 있는 엘피지(LPG)의 포화 증기 압력선도(온도에 따른 포화 증기 압력간의 관계)를 기준으로, 현재 라인의 상태가 액체/기체 또는 혼재된 상태(대부분의 경우)인 지를 확인하여 충분히 액체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분사시켜야 한다.
즉, 현재 연료 라인의 온도를 기준으로 목표 압력(=포화 증기 압력)을 설정한 상태에서 이 이상의 압력이 된 후 연료분사 및 점화를 시키는 구조이다.
이때, 목표 압력은 동일한 연료 온도 조건일지라도 엘피지(LPG) 조성(프로판과 부탄의 비율)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이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연료 라인온도 50℃의 경우 부탄 100% 연료는 4bar이상이 되면 액상으로 되나, 프로판 30% + 부탄70% 연료의 경우는 8bar 이상이 되어야 액상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연료의 조성을 모르게 되면 국내 연료의 최대 프로판 함량을 기준(30%)으로 액상완료 압력을 설정하여야 한다.
이 경우 부탄 100%가 적용되는 5월∼9월의 경우 액상완료 압력보다도 훨씬 높은 압력에 도달해서야 연료분사가 이루어지게 되어 시동지연의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연료의 조성은 항상 상평형을 이루고 있는 봄베 내 연료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는데, 봄베 내에 온도센서 및 압력센서를 장착하는 것은 안전성 및 가격 면에서 상당히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현재 엘피아이(LPI)차량에서는 연료 라인에 장착되어 있는 압력센서 및 온도센서를 이용 봄베의 온도/압력을 모델링함으로써 구하고, 이들 온도와 압력에 대한 포화 증기 압력선도로부터 부탄과 프로판 함량을 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에서 사용되는 온도센서와 압력센서는 양산성 및 가격을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정도의 센서를 사용할 수 없어, 그 정확도가 그리 높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참고적으로, 일반적인 차량에서 사용되는 압력센서는 ±2%정도의 정도를 갖는다.(최대 30bar 측정범위를 갖는 센서의 경우 ±0.6bar의 오차 존재)
실제로 0℃의 경우 부탄 100%의 포화 증기 압력은 0.2bar이고 부탄70% + 프로판30% 연료의 경우에는 1.3bar를 나타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최대 오차 범위가 1.2bar가 되는 압력센서를 사용할 경우 연료조성을 구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간상태 엘피아이(LPI) 엔진의 시동성을 개선할 수 있는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피아이 엔진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와; 상기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분석하여 상기 엘피아이 엔진의 열간(HOT) 상태 및 피시디(PCD) 시동성 개선을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며, 연료 압력 상승 기울기를 모니터링하여 연료 액상 완료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는 시점부터 연료 분사를 개시하도록 해당되는 연료 공급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엔진 제어부와; 상기 엔진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료 공급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분석하여 엘피아이 엔진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연료 공급 라인 온도 대비 인젝터 내부 온도 증가분을 설정하여 연료 목표 압력을 설정하는 단계와; 압력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연료 압력이 점화 온(IG ON)시 대비 일정압 이상 상승 완료된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연료 압력이 상승 완료된 상태이면, 연료 압력 상승 기울기의 모니터링 준비가 완료된 상태로 판단하여 연료 압력 상승 기울기의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단계와; 모니터링된 연료 라인 압력 상승 기울기와 설정 기울기를 비교하는 단계와; 모니터링된 연료 라인 압력 상승 기울기가 설정 기울기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연료 공급 구동부로 연료 공급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310), 엔진 제어부(320), 연료 공급 구동부(3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310)는 엘피아이 엔진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각각의 센서들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점화 키의 스위칭상태를 검출하는 키 스위치(312)와, 연료 공급 라인 및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314)와, 연료 공급 라인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316)와, 엘피아이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31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엔진 제어부(320)는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분석하여 엘피아이 엔진의 열간(HOT) 상태 및 피시디(PCD ; Partial Cool Down) 시동성 개선을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며, 연료 압력 상승 기울기를 모니터링하여 연료 액상 완료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는 시점부터 연료 분사를 개시하도록 해당되는 연료 공급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일종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한다.
연료 공급 구동부(330)는 엔진 제어부(320)로부터 공급되는 연료 공급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어 연료를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5는 엘피지(LPG)의 상변화시 나타나는 압력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엔진 제어부(320)는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분석하여 키 스위치(312)가 점화 온(IG ON)된 상태이면 타이머(TIMER)를 작동한다(S410~S412).
이어서, 엔진 제어부(320)는 (S414)으로 진행하여 연료 온도 검출부(314)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검출된 연료 공급 라인 온도 대비 인젝터 내부 온도 증가분을 설정하고, 인젝터 내부 연료 온도 모델링을 통해 연료 목표 압력을 설정한다(S416~S418).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연료 조성과 연료 공급 라인 모델온도로부터 포화 증기 압력을 설정(이는 엔진 제어부(320)내에 테이블(Table)값으로 저장)하여 이를 연료 목표 압력으로 한다.
이때 연료 조성은 이전 사이클에서 계산된 모델 조성치이다.
그리고, 연료 공급 라인내의 연료 온도는 인젝터 내부 온도를 기준으로 목표 압력을 설정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열간(HOT) 상태나 피시디(PCD) 상태에서는 인젝터 내부의 연료 온도가 연료 공급 라인에 있는 연료 온도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이어서, 엔진 제어부(320)는 (S420)으로 진행하여 압력 검출부(316)를 통해 검출된 연료 압력이 점화 온(IG ON)시 대비 일정압 이상 상승 완료된 상태인가를 판단한다.
연료 압력이 상승 완료된 상태이면, 엔진 제어부(320)는 연료 압력 상승 기울기의 모니터링 준비가 완료된 상태로 판단하고, (S422)으로 진행하여 연료 압력 상승 기울기의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그리고, (S424)으로 진행하여 모니터링된 연료 라인 압력 상승 기울기와 설정 기울기를 비교하고, 모니터링된 연료 라인 압력 상승 기울기가 설정 기울기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한다.
점화 온(IG ON)에 의하여 연료 펌프가 작동되어도 연료 압력 증가에는 어느 정도의 데드 타임(DEAD TIME)이 존재하기 때문에 연료 압력의 모니터링은 점화 온(IG ON) 시점의 연료 압력 대비 일정 압력 이상이 된 후부터 행하고, 연료 압력 기울기 증가여부의 판단 기준은 일정시간 동안(예를 들어, 100ms)의 연료 압력 평균치를 비교하여 연속적 평균 연료 압력 차이(△PGAS_AVG = PGAS_AVGn - PGAS_AVGn-1)가 설정 평균 연료 압력 차이값 이하가 되면 모니터링된 연료 라인 압력 상승 기울기가 설정 기울기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한다.
엔진 제어부(320)는 모니터링된 연료 라인 압력 상승 기울기가 설정 기울기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S428)으로 진행하여 연료 공급 구동부(330)로 연료 공급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연료 공급 구동부(330)의 구동에 따라 인젝터에서 분사되는 연료의 분사량은 압력 보정치에 각 운전조건 기본 연료 분사량(Ti)을 곱한 값으로 정한다.
연료 분사량 = 압력 보정치 * 기본 연료 분사량(Ti)
참고적으로, 열간상태에서 차량의 주차시 발생된 연료 라인내 기상 연료는 연료 펌프를 통한 연료 공급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액상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 상변화 과정 중에는 연료가 공급되어도 일정시간 동안 연료 압력이 증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연료 압력 상승 기울기를 모니터링하여 압력 기울기의 증가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0'근방으로(편평(FLAT)한 상태) 되는 시점에서는 연료 액상 완료가 이루어 졌다고 판단하여 이 시점부터 연료 분사 및 점화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연료 공급 구동부(330)로 연료 공급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엔진 제어부(320)는 (S430)으로 진행하여 엔진 회전수 검출부(318)를 통해 입력된 엔진 회전수가 설정된 시동 판정 회전수를 비교한다.
그리고, 검출된 엔진 회전수가 설정된 시동 판정 회전수를 초과하면 (S432)으로 진행하여 연료 펌프를 정상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엔진 제어부(320)는 전술한 (S424)에서 모니터링된 연료 라인 압력 상승 기울기가 설정 기울기를 초과하면 (S426)으로 진행하여 연료 라인 압력이 액상 완료 목표 압력 이상이 되었는가를 확인한다.
이어서, 연료 라인 압력이 액상 완료 목표 압력을 초과하지 않으면 (S434)으로 진행한다.
이와는 반대로, 전술한 (S426)에서 연료 라인 압력이 액상 완료 목표 압력을 초과하면 엔진 제어부(320)는 (S428)으로 진행하여 연료 공급 구동부(330)로 연료 공급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엔진 제어부(320)는 (S434)에서 연료 펌프 구동시간을 검출하고, (S436)으로 진행하여 검출된 연료 펌프 구동시간이 설정시간 이내인가를 비교한다.
만약, 연료 펌프 구동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엔진 제어부(320)는 (S438)으로 진행하여 연료 펌프 속도를 최소 속도로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연료 펌프가 최소 속도로 제어되는 상태에서 엔진 제어부(320)는 (S440)으로 진행하여 엔진 회전수 검출부(31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엔진이 정지된 상태인가를 판단한다.
엔진이 정지된 상태이면, 엔진 제어부(320)는 (S442)으로 진행하여 연료 펌프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엘피지(LPG)의 상변화시 나타나는 압력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기존의 연료조성에 의한 목표 압력 설정방식과 병행할 경우 더욱 정확한 분사 및 점화개시 시점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가스 온도 및 압력센서가 가지고 있는 자체 에러(ERROR)를 보상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은 연료 압력 및 온도센서의 에러를 보상함으로써 시동 목표 연료 압력의 왜곡현상 개선에 의한 엘피아이 엔진의 열간 시동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피아이(LPI) 엔진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엘피지(LPG)의 온도에 따른 포화 증기 압력간의 관계를 도시한 포화 증기 압력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엘피지(LPG)의 상변화시 나타나는 압력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Claims (14)

  1.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점화 키의 스위칭상태를 검출하는 키 스위치와, 연료 공급 라인 및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와, 연료 공급 라인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와, 상기 엘피아이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엘피아이 엔진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
    상기 온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연료 공급 라인 온도 대비 인젝터 내부 온도 증가분을 설정하여 연료 목표 압력을 설정하고, 상기 압력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연료 압력이 점화 온(IG ON)시 대비 일정압 이상 상승 완료된 상태이면, 연료 압력 상승 기울기의 모니터링 준비가 완료된 상태로 판단하여 연료 압력 상승 기울기의 모니터링을 실시함으로, 상기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분석하여 상기 엘피아이 엔진의 열간(HOT) 상태 및 피시디(PCD) 시동성 개선을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며, 연료 압력 상승 기울기를 모니터링하여 연료 액상 완료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는 시점부터 연료 분사를 개시하도록 해당되는 연료 공급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엔진 제어부; 및
    상기 엔진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료 공급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부는
    일정시간 동안의 연료 압력 평균치를 비교하여 연속적 평균 연료 압력 차이(△PGAS_AVG = PGAS_AVGn - PGAS_AVGn-1)가 설정 평균 연료 압력 차이값 이하가 되면 모니터링된 연료 라인 압력 상승 기울기가 설정 기울기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하여 연료 공급 구동부로 연료 공급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부는
    모니터링된 연료 라인 압력 상승 기울기가 설정 기울기를 초과하면 연료 라인 압력이 액상 완료 목표 압력 이상이 되었는가를 확인하여 연료 라인 압력값이 액상 완료 목표 압력을 초과하지 않으면 연료 펌프 구동시간이 설정시간 이내인가를 비교하고, 연료 펌프 구동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연료 펌프 속도를 최소 속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부는
    연료 펌프가 최소 속도로 제어되는 상태에서 상기 엔진 회전수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엔진이 정지된 상태이면, 연료 펌프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부는
    연료 라인 압력값이 액상 완료 목표 압력을 초과하면 연료 공급 구동부로 연료 공급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부는
    상기 연료 공급 구동부로 연료 공급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엔진 회전수 검출부를 통해 입력된 엔진 회전수가 설정된 시동 판정 회전수를 초과하면 연료 펌프를 정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10.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엔진 운전상태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분석하여 엘피아이 엔진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연료 공급 라인 온도 대비 인젝터 내부 온도 증가분을 설정하여 연료 목표 압력을 설정하는 단계와;
    압력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연료 압력이 상승되어 점화 온(IG ON)시 대비 일정압 이상 상승 완료된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연료 압력이 상승 완료된 상태이면, 연료 압력 상승 기울기의 증가가 모니터링 준비가 완료된 상태로 판단하여 연료 압력 상승 기울기의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단계와;
    모니터링된 연료 라인 압력 상승 기울기와 설정 기울기를 비교하는 단계와;
    모니터링된 연료 라인 압력 상승 기울기가 설정 기울기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연료 공급 구동부로 연료 공급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 구동부로 연료 공급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 검출부를 통해 입력된 엔진 회전수가 설정된 시동 판정 회전수를 비교하는 단계와;
    검출된 엔진 회전수가 설정된 시동 판정 회전수를 초과하면 연료 펌프를 정상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모니터링된 연료 라인 압력 상승 기울기가 설정 기울기를 초과하면 연료 라인 압력값이 액상 완료 목표 압력 이상이 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와;
    연료 라인 압력값이 액상 완료 목표 압력을 초과하지 않으면 연료 펌프 구동시간이 설정시간 이내인가를 비교하는 단계와;
    연료 펌프 구동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연료 펌프 속도를 최소 속도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펌프가 최소 속도로 제어되는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엔진이 정지된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엔진이 정지된 상태이면, 연료 펌프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연료 라인 압력값이 액상 완료 목표 압력을 초과하면 연료 공급 구동부로 연료 공급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방법.
KR10-2002-0084195A 2002-12-26 2002-12-26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27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195A KR100527518B1 (ko) 2002-12-26 2002-12-26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195A KR100527518B1 (ko) 2002-12-26 2002-12-26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448A KR20040057448A (ko) 2004-07-02
KR100527518B1 true KR100527518B1 (ko) 2005-11-09

Family

ID=3735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195A KR100527518B1 (ko) 2002-12-26 2002-12-26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5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125B1 (ko) * 2004-09-25 2007-01-1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엘피지 액상 인젝션 시스템의 시동성 향상을 위한시동지연 제어방법
KR100986519B1 (ko) * 2004-10-06 2010-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차량의 시동성 개선방법
KR100671126B1 (ko) * 2005-03-16 2007-01-1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엘피지 액상 분사 시스템의 시동성 개선 제어방법
KR100706349B1 (ko) * 2005-08-30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엔진이 장착된 차량의 시동성 제어방법
KR100706552B1 (ko) * 2005-08-31 2007-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차량의 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19963B1 (ko) * 2006-12-13 2008-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엔진
KR100892505B1 (ko) * 2007-11-16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엔진의 연료 분사량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448A (ko)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4786B1 (ko) 엘피지 차량에서 연료 조성 모델링 방법
US20010003977A1 (en)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its method of control
KR100527518B1 (ko)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US5775281A (en) Determination of heat soak conditions
US7040296B2 (en) Engine start control system and a method thereof
KR100534927B1 (ko) 엘피아이 엔진 시동성 향상 방법
KR100645309B1 (ko) 가스 차량의 연료 누출 감지장치 및 방법
KR100428320B1 (ko) 엘피아이 엔진이 채용된 차량의 시동성 제어방법
US69863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rt-delay warning of an LPI engine
KR100704789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량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0589147B1 (ko) 엘피아이 엔진의 부분 냉각시 시동방법
KR100748653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60011585A (ko) 연료 직분사 시스템의 저압 영역 내 연료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KR20000023623A (ko) 엔진 워엄업 오프셋
KR100624226B1 (ko) 엘피지 차량의 시동 시점 지시장치 및 방법
KR20060028550A (ko) 엘피지 액상 인젝션 시스템의 시동성 향상을 위한 펌프제어방법
KR20050108763A (ko) 엘피아이 차량용 시동성 개선장치 및 시동성 개선방법
KR100666107B1 (ko) 엘피아이 엔진의 연료제어방법
JP4870713B2 (ja) 液化ガス燃料供給装置
KR101877297B1 (ko) 직접분사식 엘피아이 개조 차량의 시동성 개선장치 및 방법
KR100475675B1 (ko) 엘피지 연료 분사 장치의 연료 탱크의 연료압 산출 방법
KR20030081711A (ko) 엘피지 연료 성분비 산출 방법
KR101013880B1 (ko) 디젤 차량의 cold시 연료분사 성능의 개선을 위한제어방법
KR100717478B1 (ko) 엘피아이 엔진의 연료 분사량 보상 방법
KR101776512B1 (ko) Lpdi엔진의 시동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