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385B1 - 조립식 인형극 세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인형극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385B1
KR100527385B1 KR10-2003-0054983A KR20030054983A KR100527385B1 KR 100527385 B1 KR100527385 B1 KR 100527385B1 KR 20030054983 A KR20030054983 A KR 20030054983A KR 100527385 B1 KR100527385 B1 KR 100527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ppet
stage
background
support plate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5844A (ko
Inventor
홍영학
손범용
Original Assignee
손범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범용 filed Critical 손범용
Priority to KR10-2003-0054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385B1/ko
Publication of KR20050015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3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9/00Puppet, marionette, or shadow shows or theatres
    • A63J19/006Puppets or marionet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형 어린이 인형극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형극 세트의 입체화와 디지털 구연동화 출력매체의 접목을 통하여 시청각 교재로서의 흥미도 증진과 인형극 내용의 반복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한 조립식 인형극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인형극세트는 경첩(12)에 의해 접철되고 전개시 중앙부에 장방형의 오프닝(19)이 형성되며 이 오프닝의 상단측 및 하단측에 각각 상단고정홈(16) 및 하단고정홈(17)이 마련된 연극무대판(11)과, 상기 연극무대판의 양쪽에 배치되는 스피커(40)와,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될 디지털매체의 동작 제어를 위한 콘트롤부(43)와, 상기 연극무대판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15)와, 상기 상단고정홈에 삽입 설치되며 다수의 슬롯(21)이 마련된 인형지지판(20)과, 상기 하단고정홈에 삽입설치되며 다수의 고정홈(31)이 마련된 배경지지판(30)과, 상기 인형지지판의 슬롯상에서 좌, 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인형(22)과, 상기 배경지지판의 고정홈에 고정 장착되어 인형극 배경을 표현하기 위한 배경판(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인형극 세트{An assembly doll play set}
본 발명은 간이형 어린이 인형극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형극 세트의 입체화와 디지털 구연동화 출력매체의 접목을 통하여 시청각 교재로서의 흥미도를 증진시키고 또한 인형극 내용의 반복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한 조립식 인형극세트에 관한 것이다.
유아나 어린이들에 대한 다양한 교육방식 중에서 인형극을 기반으로 한 구연동화는 이들의 상상력이나 창의력을 길러주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인형극은 특정한 배경하에서 인형들이 정해진 행동을 취하도록 조작하고 이러한 행동에 맞추어 나레이터가 발성을 통해 극의 스토리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인형극은 그 규모와는 무관하게 매번 인형극 세트를 설치하고 또한 인형극이 끝난 다음에는 해당 인형극 세트를 철거시켜야 하므로, 상당한 공사비용과 인력 또는 자재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이러한 인형극 세트는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그 운용경비의 절감에 한계가 있었으며, 일반 가정이나 유아원, 유치원 등에서는 쉽게 인형극을 통한 구연동화의 구현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이나 유아원 또는 유치원에서 간단하게 인형극 세트를 설치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효과가 높은 어린이 인형극장을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언제 어디서나 구현할 수 있는 조립식 인형극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형극 세트를 분해/조립식으로 설계하여 이동성과 보관성을 개선시킴으로서 그의 관리가 용이한 조립식 인형극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형극 세트를 이용한 구연동화의 구현에 있어 디지털매체를 이용한 음성출력장치를 이용함으로서 하나의 동화에 대해서 항상 일정한 반복성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디지털매체를 단순히 교체하는 것 만으로 인형극 스토리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조립식 인형극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형극세트를 3차원 입체 환경으로 구현할 수 있어 인형극의 환경에 현실감을 증대시키게 되는 조립식 인형극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인형극세트는 경첩에 의해 접철되고 전개시 중앙부에 장방형의 오프닝이 형성되며 이 오프닝의 상단측 및 하단측에 각각 상단고정홈 및 하단고정홈이 마련된 연극무대판과, 상기 연극무대판의 양쪽에 배치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될 디지털매체의 동작 제어를 위한 콘트롤부와, 상기 연극무대판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와, 상기 상단고정홈에 삽입 설치되며 다수의 슬롯이 마련된 인형지지판과, 상기 하단고정홈에 삽입설치되며 다수의 고정홈이 마련된 배경지지판과, 상기 인형지지판의 슬롯상에서 좌, 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인형과, 상기 배경지지판의 고정홈에 고정 장착되어 인형극 배경을 표현하기 위한 배경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인형극 세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인형극 세트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연극무대판(11)은 경첩(12)에 의해 접철 및 전개되고 그 전개시에는 중앙부에 장방형의 오프닝(19)이 형성되는 평판형으로 결합 구성되며, 이러한 연극무대판(11)은 그의 양쪽에 설치되는 삼각의 받침대(5)에 의해 세워지게 구성한다.
상기 연극무대판(11)의 오프닝(19)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인형지지판과 배경지지판이 설치될 상단고정홈(16)과 하단고정홈(17)을 마련하고, 상기 하단고정홈(17) 아래부분에는 이 하단고정홈(17)에 삽입장착될 배경지지판을 지지하기 위한 좌, 우 회동가능한 한쌍의 지지대(18)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연극무대판(11)의 전면 양쪽에는 구연동화의 음성이 출력될 한쌍의 스피커(40)를 설치하며, 또한 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될 구연동화 콘텐츠의 선택 및 음성조절을 위한 콘트롤부(43)를 한쪽면에 마련한다.
한편, 상기 연극무대판(11)의 뒷면에는 연극무대판 전개시 양쪽의 평판을 나란한 상태로 고정 유지시키고 접철시에는 두 양 평판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고정대(13)를 상, 하측의 경첩사이에 설치하며, 또한 연극무대판(11)의 뒷면 상측 가장자리에는 연극무대판의 뒷쪽으로 펼쳐질 배경막(10)을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확장대(14)를 설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인형극 세트의 사시도로서, 전개되어 받침대(15)에 의해 세워진 연극무대판(11)의 상단고정홈(16)에는 다수의 슬롯(21)이 마련된 인형지지판(20)을 삽입 고정하고 이 인형지지판(20)의 각 슬롯(21)에는 각각 손잡이(23)와 스프링(24)이 마련된 특정형상의 인형(22)들을 설치하며, 또한 상기 연극무대판(11)의 하단고정홈(17)에는 다수의 고정홈(31)이 마련된 배경지지판(30)을 삽입 고정하고 이 배경지지판(30)의 각 고정홈(31)에는 각각 다른 형태의 배경판(32)을 설치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확장대(14)를 전개시켜 이 확장대를 따라 배경막(10)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조립식 인형극 세트의 접철 고정대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에서 참고되는 것처럼, 고정대(13)는 경첩(12)에 의해 구획된 연극무대판(11)양쪽의 평판 후면에 한쌍의 고정대(13)를 나누어서 장착시키고, 어느 한쪽의 고정대의 일측에 내장되어 힌지축(13-2)에 의해 회동가능한 결합대(13-1)를 그 상대쪽 고정대상에 마련된 고정홈(13-3)에 위치시켜 한쌍의 고정대(13)가 결합대(13-1)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조립식 인형극 세트의 배경막 지지용 확장대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에서 참고되는 것처럼, 연극무대판(11)의 뒷면에 고정되는 경첩(14-5) 및 수평대(14-2)와, 상기 경첩(14-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대(14-1)와 상기 수직대와 수평대가 평행을 이룰 때 그 내부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제3보조수평대(14-3,14-4)로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인형의 형상 및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각각의 캐릭터를 가진 인형(22)들은 모두 손잡이(23)와 스프링(24)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인형극세트의 오프닝(19)을 통하여 표현될 인형극의 배경과 그 배경지지판에 설치된 배경판(32)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배경은 확장대에 의해 지지되는 배경막(10)의 컬러에 의해 정해지게 되고 그 배경은 배경판(32)의 형상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인형극세트의 구연동화 음성신호처리 및 출력관계를 설명하는 회로블록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음성신호처리부(42)는 콘트롤부(43)의 제어에 따라 음성파일저장부(44)에 저장된 구연동화 디지털 데이터 파일 또는 메모리카드(45)에 수록된 디지털 데이터 파일 또는 PC(46)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읽어들여 음성신호를 처리한 후 음성신호출력부(41)로 출력하게 구성하고, 상기 음성신호출력부(41)에서 출력되는 특정의 구연동화 음성은 연극무대판(11)의 전면부에 설치된 스피커(40)를 통하여 출력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콘트롤부(43)에는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출력의 크기 조절 및 구연동화 파일(콘텐츠)의 선택 기능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조립식 인형극 세트는 크게 경첩(12)에 의해 겹쳐진 형태의 연극무대판(11), 연극무대판(11)지지용 받침대(15), 인형지지판(20) 및 인형(22), 배경지지판(30) 및 배경판(32)등으로 분리되어 컴팩트한 상태로 관리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인형극 세트를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연극무대판(11)을 펼친 후 그 뒷면의 고정대(13)의 결합대(13-1)를 제쳐서 고정시키는 것으로 중앙부에 오프닝(19)이 형성된 연극무대판(11)을 전개시키고, 이 연극무대판(11)에 삼각의 받침대(15)를 결합시켜 연극무대판을 수직상태로 세운다.
이후, 상기 연극무대판(11)의 오프닝(19)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마련된 상단고정홈(16)과 하단고정홈(17)에 각각 인형지지판(20)과 배경지지판(30)을 설치한다. 특히, 배경지지판(30)은 그의 하부에 마련된 지지대(18)를 세워 이 지지대(18)에 의해 배경지지판(30)이 서포트되게 한다.
상기 인형지지판(20)의 여러 슬롯에는 해당 구연동화 스토리에 등장하는 인형(22)을 삽입 설치하고, 배경지지판(30)의 고정홈(31)에는 필요한 수 만큼의 배경판(32)을 삽입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배경판과 인형들은 각각 서로 다른 수평축 상에 설치되며, 독자의 이동 경로를 가지므로 자연히 원근이 형성되어 입체형상의 인형극 세트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때 배경은 연극무대판(11)의 뒷면 상단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전개된 확장대(14)에 지지되는 배경막(10)에 의해 결정된다.
이렇게 조립식 인형극 세트를 세팅한 다음, 연극무대판(11)의 일측에 마련된 콘트롤부(43)를 조작하여 음성파일저장부(44)에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구연동화 디지털 파일)를 선택하거나 또는 USB컨넥터 등으로 접속될 수 있는 메모리카드(45)나 또는 PC(46)에 저장된 콘텐츠를 선택하면, 해당 디지털 파일은 음성신호처리부(42)에서 음성신호로 처리되어 음성출력부(41)를 통하여 연극무대판(11)의 전면에 마련된 스피커(40)로 출력된다.
연극무대판(11)의 스피커(40)에서 구연동화음성이 출력되면 인형극 운영자는 이 구연동화의 내용에 맞추어 인형(22)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움직여 줌으로써 인형극을 시청하는 유아나 어린이들이 대화하는 인형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인형(22)에 마련된 손잡이(23)는 인형극 운영자가 특정의 인형을 선택하여 이동시키거나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이며, 각 인형마다 장착된 스프링(24)은 대화 당사자 인형을 동적으로 표현시켜주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인형극 세트는 가정이나 유아원 또는 유치원에서 손쉽게 인형극 세트를 설치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어린이들의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인형극 세트를 분해/조립식으로 설계하여 이동성과 보관성이 개선됨에 따라 그의 관리가 용이한 잇점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인형극 세트를 이용한 구연동화의 구현에 있어 디지털매체를 이용한 음성출력장치를 이용함으로서 하나의 동화에 대해서 항상 일정한 반복성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디지털매체를 단순히 교체하는 것 만으로 인형극 스토리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인형극세트를 3차원 입체 환경으로 구현할 수 있어 인형극의 환경에 현실감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인형극 세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인형극 세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인형극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 인형극 세트의 접철 고정대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식 인형극 세트의 배경막지지용 확장대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인형극에 적용되는 인형들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배경지지판 상의 배경판 설치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연동화 음성신호 처리회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경막 11 : 연극무대판
12 : 경첩 13 : 고정대
14 : 확장대 15 : 받침대
16 : 상단고정홈 17 : 하단고정홈
18 : 지지대 19 : 오프닝
20 : 인형지지판 21 : 슬롯
22 : 인형 23 : 손잡이
24 : 스프링
30 : 배경지지판 31 : 고정홈
32 : 배경판 40 : 스피커
41 : 음성출력부 42 : 음성신호처리부
43 : 콘트롤부 44 : 음성파일저장부
45 : 메모리카드 46 : PC

Claims (3)

  1. 경첩(12)에 의해 접철되고 전개시 중앙부에 장방형의 오프닝(19)이 형성되며 이 오프닝(19)의 상단측 및 하단측에 각각 상단고정홈(16) 및 하단고정홈(17)이 마련된 연극무대판(11)과, 상기 연극무대판의 양쪽에 배치되는 스피커(40)와,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될 디지털매체의 동작 제어를 위한 콘트롤부(43)와, 상기 연극무대판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15)와, 상기 상단고정홈에 삽입 설치되며 다수의 슬롯(21)이 마련된 인형지지판(20)과, 상기 하단고정홈에 삽입설치되며 다수의 고정홈(31)이 마련된 배경지지판(30)과, 상기 인형지지판의 슬롯상에서 좌, 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인형(22)과, 상기 배경지지판의 고정홈에 고정 장착되어 인형극 배경을 표현하기 위한 배경판(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형극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부(43)는 구연동화 디지털 데이터 파일 또는 메모리카드(45)에 수록된 디지털 데이터 파일 또는 PC(46)의 디지털 데이터 파일을 읽어들여 저장하는 음성파일저장부(44)와, 상기 음성파일저장부의 디지털 파일을 음성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42)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스피커(40)로 출력하는 음성신호출력부(41)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형극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극무대판(11)의 뒷면 상단부 양측에는 인형극의 배경화면이 되는 배경막(10)을 지지하기 위한 확장대(1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형극 세트.
KR10-2003-0054983A 2003-08-08 2003-08-08 조립식 인형극 세트 KR100527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983A KR100527385B1 (ko) 2003-08-08 2003-08-08 조립식 인형극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983A KR100527385B1 (ko) 2003-08-08 2003-08-08 조립식 인형극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844A KR20050015844A (ko) 2005-02-21
KR100527385B1 true KR100527385B1 (ko) 2005-11-09

Family

ID=37226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983A KR100527385B1 (ko) 2003-08-08 2003-08-08 조립식 인형극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831B1 (ko) * 2014-10-10 2015-06-17 김재일 인형극 세트 장치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에 기반을 둔 그 운용방법
WO2021010523A1 (ko) * 2019-07-17 2021-01-21 주식회사 스토리나라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844A (ko)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76308A (ko)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멀티스크린 동영상 구현장치
KR19990010262A (ko) 다목적학습기
CN109256010A (zh) 一种音乐教学演示系统
TWM256224U (en) A toy building set
US9723246B2 (en) Housing used to produce a holographic image
AU2015258253A1 (en) Interactive greeting card with articulated character
US20150086964A1 (en) Audio demonstration kit
KR20200065242A (ko) 다기능의 입체 동화놀이 교구
KR100527385B1 (ko) 조립식 인형극 세트
KR101258559B1 (ko) 유아용 이야기 교구 세트
Huhtamo Natural magic: a short cultural history of moving images
CN209543642U (zh) 一种音乐教学演示系统
US3562929A (en) Isolation booth
KR200487225Y1 (ko) 그림자 극장 조립체
KR101464444B1 (ko) 아동용 블록빌더
KR200443847Y1 (ko) 휴대용 인형극 무대기구
CZ36040U1 (cs) Skládací loutkové divadlo
KR200289700Y1 (ko) 간이 인형극세트
KR200424883Y1 (ko) 그림자 인형극용 시연세트
Gallagher Working with sound in video: Producing an experimental documentary about school spaces
KR100353281B1 (ko) 통신을 이용한 인형세트
RU189220U1 (ru) Ширма для интерактивного кукольного театра
Harrison Excellence in television for young children—entertainment, engagement and empowerment
CN2813043Y (zh) 纸画戏舞台
KR200236727Y1 (ko) 이동식 인형극 무대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