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360B1 - 플렉시블전선 - Google Patents

플렉시블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360B1
KR100527360B1 KR10-2003-0011331A KR20030011331A KR100527360B1 KR 100527360 B1 KR100527360 B1 KR 100527360B1 KR 20030011331 A KR20030011331 A KR 20030011331A KR 100527360 B1 KR100527360 B1 KR 100527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urved
strip
flexible wire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6027A (ko
Inventor
전인석
Original Assignee
전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3620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2736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전인석 filed Critical 전인석
Priority to KR10-2003-0011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360B1/ko
Publication of KR20040076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2Metal wires or tapes, e.g. made of ste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06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corrosion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전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축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의 외부에, 휨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재질의 띠가 서로 맞물리도록 감아놓은 플렉시블관을 결합함으로써 시공시간을 단축하고 하중에 의한 단선등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시블전선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렉시블전선은, 배선에 이용되는 전선에 있어서, 절연물질이 피복된 하나 이상의 전선으로 이루어진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의 외부를 절연테이프로 감싼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외부를 곡면띠로 감싼 표피층;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전선은 표피층을 금속재질로 형성하여 강성을 부여함으로, 배선에 필요한 관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내부의 전선과 동일/유사한 휨성이 부가되어, 배선에 있어서 이음관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전선을 이용하여 직각으로 꺾인 부분에 배선이 가능하여 건설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하여 상가나 백화점진열대에도 사용이 가능하는 등, 설치비와 시공시간을 단축시키고, 실내장식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플렉시블전선{Flexible-Cable}
본 발명은 플렉시블전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축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의 외부에, 휨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재질의 띠가 서로 맞물리도록 감아놓은 플렉시블관을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시공시간을 단축하고 하중에 의한 단선등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시블전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배선은 건축시공시 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선이 위치하게 될 부분에 미리 강관 또는 플라스틱관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전선을 상기 강관 또는 플라스틱관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설치방법에 있어 배선이 직각으로 꺾이는 부분은 이음관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2개의 직선형 관을 내통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이와같은 종래의 배선 시공과정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 내에 강관 또는 플라스틱관을 이음관으로 각각 연결하는 관연결단계와, 상기 연결된 관이 파손되지 않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단계와, 상기 타설한 콘크리트가 응고된 후 전선을 삽입하여 외부로부터 전류가 유입되는 부분과 건축물의 내부에서 전류를 사용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전선연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시공과정에서는 관연결단계에서 직각으로 꺾이는 부분마다 이음관을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타설단계에서는 상기 관을 플라스틱으로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관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관을 강관으로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의 수분으로 인해 부식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선연결단계에서의 전선연결은 별도의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인건비상승요인이 있는 등, 종래의 배선방법은 건축물의 시공시간과 시공비를 증대시키고, 관의 파손 및 부식이 발생되어 원활한 전류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전선묶음의 최외층에 하중 또는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재질의 띠를 나선형으로 감싼 플렉시블전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금속띠의 면을 만곡부와 함몰부로 형성된 곡면(曲面)으로 성형함으로써, 상기 곡면의 만곡부와 함몰부가 일부 겹치게 감싸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함과 동시에 휨성이 부가되어, 배선이 직각으로 꺾이는 부분에서 이음관을 사용할 필요없이 직접 시공이 가능하게 한 플렉시블전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전선은,
배선에 이용되는 전선에 있어서, 절연물질이 피복된 하나 이상의 전선으로 이루어진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의 외부를 절연테이프로 감싼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외부를 곡면띠로 감싼 표피층;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코어층은 절연(絶緣)성이 우수한 합성수지가 피복된 일반적인 전선 및 그 묶음을 말하는 것이며, 상기 코어층은 사용 전력량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전선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층은 코어를 감싸는 절연테이프를 뜻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플렉시블전선에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층은 절연의 목적 이외에 코어를 형성하는 다수의 전선을 하나로 묶는 역할과, 방수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표피층은 하중에 대한 전선의 짓눌림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재질의 띠를 감아 형성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전선의 최외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건축물에 플렉시블전선을 내설하게 되면 상기 표피층은 수분기를 함유하는 콘크리트와 직접적으로 맞닿게 됨으로, 내식성(耐蝕性)이 강한 알루미늄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질은 내부 전선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신속히 방출함으로써, 내부전선을 피복하는 합성수지제 절연물질이 열에 의해 성질이 변형되는 시간을 지연시켜 전선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재질인 표피층에 전선과 동일/유사한 휨성을 부가하기 위해 표피층 자체적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표피층을 형성하는 금속띠를 프레스, 지그 또는 롤러등 가공수단을 이용하여 단면이 형태가 되도록 가공하여 곡면띠를 형성하고, 상기 가공된 곡면띠를 나선형으로 감는 것이다.
이때, 형태의 함몰부와 형태의 만곡부가 형성된 곡면띠는, 만곡부가 선행되어 감겨진 곡면띠의 함몰부를 일부 내포하도록 감음으로써, 어느정도의 수축 또는 구부림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확장(길이방향의 외부)에 있어서는 함몰부와 만곡부 각각의 단부가 서로 걸리게 되어 틈이 발생되지 않음으로, 항상 곡면띠가 외부를 감싸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신축은 가능하고 확장은 차단하는 효과면에서 볼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의 단면형태 이외에 의 단면을 갖는 형태의 요철(凹凸)띠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요철띠는 곡면띠에 형성된 함몰부 및 만곡부가 요(凹)부 및 철(凸)부로 각각 형성되어 있어, 요철띠의 철부가 선행되어 감겨진 요철띠의 요부 일부를 내포하도록 감음으로써 어느 정도의 수축 또는 구부림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구조를 갖는 플렉시블전선의 제조방법은, 절연물질이 피복된 하나 이상의 전선으로 코어층을 형성하고, 상기 코어층의 외부를 절연테이프로 피복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며, 상기 절연층의 외부를 곡면띠로 감싸 표피층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전선은, 코어층형성과정과, 절연층형성과정과, 표피층형성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제조된다.
상기 코어층형성과정은, 전력용량에 맞게 전선의 수 또는 굵기를 결정하여 전선을 공급함으로써 최종적인 플렉시블전선의 전체적인 굵기가 결정되는 과정이다.
그리고, 상기 절연층형성과정은, 절연, 방수 및 다수의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본 발명의 제조과정에서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절연층의 형성은 코어를 용액에 디핑(dipping)하여 응고시키는 방법과 절연테이프를 피복하여 사용하는 방법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표피층형성과정은, 플렉시블전선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과정으로, 가공성이 좋은 알루미늄띠를 나선형으로 감아 플렉시블전선의 표피층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표피층을 형성하는 알루미늄띠는 코어와 동일/유사한 휨성을 부가하기 위해 가공단계가 선행되어진다. 예컨데, 평면의 알루미늄띠를 테이퍼(taper)로 형성된 지그(jig)에 통과시켜 형태의 단면을 갖는 곡면띠로 가공하거나, 형태의 면을 갖는 롤러(Role Forming 장치)를 이용하여 평면의 알루미늄띠를 가압하여 곡면띠로 가공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은 플렉시블전선의 표피층을 형성하기 위해 곡면띠를 연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전선의 길이가 한정(짧은길이)된다면 프레스를 이용한 가공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렉시블전선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전선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전선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띠의 단면을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플렉시블전선(10)은 코어전선(20)과, 상기 코어전선의 외부를 감싸는 절연테이프(30)와, 상기 절연테이프의 외부를 나선형으로 감싸는 곡면띠(40)로 구성된다.
상기 코어전선(20)은 절연물질이 피복되어 있는 일반적인 전선이고, 상기 절연테이프(30)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코어전선을 하나로 묶는 것과 동시에 방수 및 절연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고정테이프이며, 상기 곡면띠(40)는 외부의 하중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하고 휨성을 부가하기 위해 요철의 곡부를 형성시킨 알루미늄재질의 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곡면띠(40)는 의 단면을 갖고 있고, 1차적으로 감긴 곡면띠의 함몰부(45)인 에 2차적으로 감길 곡면띠의 만곡부(44)인 가 일부 겹치도록 감겨 있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면 1차곡면띠(42)의 함몰부(45) 일측단부가 2차곡면띠(43)의 만곡부(44)내에서 일부 유동가능하게 됨으로, 곡면띠(40)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구부림이 가능하다.
이와같은 구조의 플렉시블전선(10)은 그 표피층(41)이 건축시공시 전달되는 콘크리트 하중을 흡수 또는 하부로 전달시키므로, 내부의 절연층(31) 및 코어층(21)이 하중에 의해 짓눌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플렉시블전선(10)의 제조방법은, 준비된 코어전선(20)에 절연테이프(30)와 곡면띠(40)를 순차적으로 피복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어층형성과정과, 절연층형성과정과, 표피층형성과정을 걷치게 된다. 특히, 상기 표피층형성단계에서는 평평한 띠를 곡면띠로 가공하는 단계가 선행되어진다.
이와같은 제조과정은 하나의 연속적인 공정으로 수행된다.
즉, 각각 롤에 감겨있는 코어로 사용되는 전선(20)과, 절연테이프(30)와, 표피층을 형성하는 알루미늄띠를 구비하며, 상기 구비된 코어전선(20)을 가이드레일 또는 롤 등과 같은 운반수단을 이용해 일방향으로 진행 및 코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가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된 코어에 절연테이프(30)를 부착함으로써 코어의 회전력으로 자동적으로 절연테이프를 피복시킨다.
상기 절연테이프가 피복된 전선에 가공된 곡면띠(40)를 상기 코어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공급하면서 가이드판 또는 가이드롤을 이용하여 완만하게 꺾이도록 함으로 나선형의 표피층(41)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곡면띠(40)는 가공단계를 수행한 후에 공급되는 것으로, 롤에 감겨 있는 평면의 띠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테이퍼형태로 형성된 지그에 의해 또는 롤러(Role Forming 장치)를 이용하여 평면띠의 상하 방향으로 가압함으로 평면띠는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곡면띠는 상술한 바와같이 함몰부에 만곡부를 일부 겹치도록 감음으로써 휨성을 가는 표피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술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하는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전문가가 본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부분변경 사용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렉시블전선은,
전선의 표피층을 금속재질로 형성하여 강성을 부여함으로, 배선에 필요한 관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특히 표피층이 금속재질의 곡면띠를 일부 겹치게 나선형으로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어, 내부의 전선과 동일/유사한 휨성이 부가된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원의 플렉시블전선은 이음관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전선을 이용해 직각으로 꺾인 부분의 배선이 가능하여 건설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하여 상가나 백화점진열대에도 사용이 가능하는등, 설치비와 시공시간을 단축시키고, 실내장식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전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전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띠의 단면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렉시블전선 20 : 코어전선
21 : 코어층 30 : 절연테이프
31 : 절연층 40 : 곡면띠
41 : 표피층 42 : 1차곡면띠
43 : 2차곡면띠 44 : 만곡부
45 : 함몰부

Claims (6)

  1. 배선에 이용되는 전선에 있어서,
    절연물질이 피복된 하나 이상의 전선으로 이루어진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의 외부를 절연테이프로 감싼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외부에 단면이 형태인 곡면띠 또는 형태인 요철띠를 나선형으로 감아 구성하되, 상기 곡면띠의 만곡부 또는 상기 요철띠의 철부가 선행되어 감겨진 곡면띠의 함몰부 또는 요철띠의 요부 일부를 내포하도록 감긴 표피층;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전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피층은 내식성(耐蝕性)이 강한 알루미늄재질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전선.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3-0011331A 2003-02-24 2003-02-24 플렉시블전선 KR100527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331A KR100527360B1 (ko) 2003-02-24 2003-02-24 플렉시블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331A KR100527360B1 (ko) 2003-02-24 2003-02-24 플렉시블전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412U Division KR200313544Y1 (ko) 2003-02-24 2003-02-24 플렉시블전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027A KR20040076027A (ko) 2004-08-31
KR100527360B1 true KR100527360B1 (ko) 2005-11-15

Family

ID=3736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331A KR100527360B1 (ko) 2003-02-24 2003-02-24 플렉시블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3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197B1 (ko) * 2018-09-20 2019-07-11 (주)효성에너지 결합형 케이블 덕트 프레임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KR102118983B1 (ko) 2019-11-21 2020-06-04 주식회사 명도전기 플렉시블 전선 제조기의 전선 공급장치
KR102118984B1 (ko) 2019-11-21 2020-06-26 주식회사 명도전기 플렉시블 전선 제조기의 플렉시블 전선관 권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271B1 (ko) * 2018-11-08 2019-08-28 주식회사 명도전기 플렉시블 케이블
KR102004730B1 (ko) * 2018-11-27 2019-07-29 주식회사 명도전기 광전력 복합 저독성 난연 케이블
KR102103558B1 (ko) 2018-11-30 2020-04-22 가온전선 주식회사 오디오 케이블
KR102305973B1 (ko) * 2020-03-02 2021-09-27 가온전선 주식회사 금속외장재 일체형 직매케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197B1 (ko) * 2018-09-20 2019-07-11 (주)효성에너지 결합형 케이블 덕트 프레임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KR102118983B1 (ko) 2019-11-21 2020-06-04 주식회사 명도전기 플렉시블 전선 제조기의 전선 공급장치
KR102118984B1 (ko) 2019-11-21 2020-06-26 주식회사 명도전기 플렉시블 전선 제조기의 플렉시블 전선관 권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027A (ko) 2004-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3852A (en) Tensioning bund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tensioning members such as stranded wires, rods or single wires
US2744707A (en) Helically-preformed lashing for connecting cables to messenger strands
JPH0345484B2 (ko)
KR100527360B1 (ko) 플렉시블전선
US9514861B2 (en) Self-supporting cable and combination comprising a suspension arrangement and such self-supporting cable
CA2475171C (en) Pip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313544Y1 (ko) 플렉시블전선
NL1001126C2 (nl) Drukbestendige golfmantelbuis.
FI72618B (fi) Mot fukt skyddad elektrisk kabel.
JPH0260005A (ja) 光学的な通信伝送線を有する架空導体
KR200375691Y1 (ko) 플렉시블방수전선
JP2006141186A (ja) 超電導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3549295B2 (ja) 超電導ケーブル
US2290698A (en) Electric power cable
CN110931156A (zh) 一种新型电潜泵采油专用管缆及其制造方法
JPS60239223A (ja) 緊張材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978104B2 (ja) 自己支持型パイプ複合ケーブル
JPH07302518A (ja) 光ファイバ複合架空地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3254386B2 (ja) スリット付き余長入り自己支持型光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819385B2 (ja) 完全プレハブ架線工法用の割りワイヤおよびプレハブ電線連
KR0141478B1 (ko) 스트랜드 와이어, 환봉 또는 일반 와이어 등과 같은 다수의 인장재로 구성되는 인장다발
RU51275U1 (ru) Кабель электрический (варианты)
CN211208031U (zh) 一种新型电潜泵采油专用管缆
JP3061594B2 (ja) Pc鋼材用アンボンド二層チューブの製造方法及びアンボンドpc鋼材
JPH0432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1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4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280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80828

Effective date: 201907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085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322

Effective date: 2019081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080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308

Effective date: 201908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381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81122

Effective date: 2019090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5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7047;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1002

Effective date: 2020042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703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1002

Effective date: 2020042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6402;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90830

Effective date: 2020042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3000008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0518

Effective date: 2020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