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807B1 - 자동차 도어의 액티브 사이드 임팩트 바 승하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의 액티브 사이드 임팩트 바 승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807B1
KR100526807B1 KR10-2003-0087122A KR20030087122A KR100526807B1 KR 100526807 B1 KR100526807 B1 KR 100526807B1 KR 20030087122 A KR20030087122 A KR 20030087122A KR 100526807 B1 KR100526807 B1 KR 10052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pact bar
motor
door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3880A (ko
Inventor
김영웅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7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8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53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extending primarily along the sides of, or completely encircl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28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ide doors or panels, e.g. displaced towards the occupants in case of a sid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73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automatically movable to an operative position, e.g. in case of collision or impending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액티브 사이드 임팩트 바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측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상,하부와의 거리를 각각 검출하는 두개의 거리감지센서와; 거리감지센서에 검출된 타 차량과의 상,하부 거리를 상호 비교하여 두 거리차가 정해진 값 보다 크면 승용차로 판단하고 거리차가 좁으면 상용차로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제어 유니트와; 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켜 임팩트 바가 승용차 또는 상용차의 높이에 맞도록 미드부 또는 로워부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모터 구동부와; 임팩트 바가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한쌍의 레일과; 모터의 구동방향에 부응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임팩트 바와; 상기 레일의 상하부에 축지되는 한쌍의 기어와; 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정,역 회전하는 체인과; 상기 도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두 기어중 어느 하나의 기어에 축이 연결되어 상기 모터 구동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로 구성하여, 임팩트 바 자체가 자차의 측면으로 근접하는 차량의 종류(즉, 상용차 또는 승용차)에 부응하여 상부 또는 하부로 자동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의 액티브 사이드 임팩트 바 승하강장치{Device of Ascending/Descending the Active Side Impact Bar of a Doo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액티브 사이드 임팩트 바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상대 차량의 형상을 파악하여 임팩트 바의 위치가 자동 조절되도록 하여 측면 충돌시 도어의 횡 방향 강성을 유동적으로 흡수 가능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팩트 바는 도어의 내부에 취부되어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상대 차량으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측면 충돌시 1차 충돌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측면 충돌에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측면 충돌 관련 사항은 종래 승용차 대 승용차 충돌에서 승용차 대 상용차 충돌로 옮겨가고 있고, 운송수단으로서의 자동차 구조에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자동차 구조로 자동차의 수요 및 개발 컨셉이 변경됨에 따라 SUV 차량의 증가로 인해 승용차와 상용차의 충돌로 인한 측면 충돌 사례가 급증하고 있으며, 또한 이 경우 승용차 대 승용차 충돌에 비해 상해의 정도 및 도어 상단 부 붕괴 정도가 과도하므로 상용차의 측면 충돌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임팩트 바는 자동차 초기 설계시 레이 아웃이 정해지면 임팩트 바 위치 또한 고정되어 측면 충돌 테스트 후 능동적으로 임팩트 바 위치를 조정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한번 잘못 세팅된 임팩트 바는 위치변경으로 해결이 불가능하게 되는데, 요즘과 같이 승용차 충돌 뿐만 아니라 SUV 차량의 측면충돌까지도 대응해야 하는 시점에서(IIHS신법규) 임팩트 바 위치의 고정은 측면 충돌 성능 개선에 매우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어 횡방향 강성을 증대시켜 주는 임팩트 바의 위치가 측면으로 근접하는 차량의 종류에 부응하여 자동으로 상하로 이동되어 측면 충돌시 도어의 횡 방향 강성이 유동적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측면 충돌시의 상해 정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자동차 도어의 액티브 사이드 임팩트 바 승하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아우터 판넬의 미드부와 로워부에 각각 설치되어 자동차의 측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상,하부와의 거리를 각각 검출하는 두개의 거리감지센서와; 상기한 두개의 거리감지센서에 검출된 타 차량과의 상,하부 거리를 상호 비교하여 두 거리차가 정해진 값 보다 크면 승용차로 판단하고 거리차가 좁으면 상용차로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모터 구동부에 발생시키는 전자제어 유니트와;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켜 임팩트 바가 승용차 또는 상용차의 높이에 맞도록 미드부 또는 로워부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모터 구동부와; 도어 인너 판넬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임팩트 바가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한쌍의 레일과; 양단부에 설치된 지지체가 상기 레일상에 승하강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모터의 구동방향에 부응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임팩트 바와; 상기 레일의 상하부에 축지되는 한쌍의 기어와; 상기 두 기어에 권취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상기 임팩트 바의 지지체에 축지되는 구성을 갖고 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정,역 회전하는 체인과; 상기 도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두 기어중 어느 하나의 기어에 축이 연결되어 상기 모터 구동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로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임팩트 바 자체가 자차의 측면으로 근접하는 차량의 종류(즉, 상용차 또는 승용차)에 부응하여 상부 또는 하부로 자동 이동되므로 측면 충돌시 도어의 횡 방향 강성이 유동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측면 충돌시의 상해 정도를 차종에 무관하게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자동차 도어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일부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a,4b는 차종에 따른 본 발명 장치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도어(1) 아우터 판넬의 미드부(1a)와 로워부(1b)에 각각 설치되어 자동차의 측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상,하부와의 거리를 각각 검출하는 두개의 거리감지센서(2)(3)와;
상기한 두개의 거리감지센서(2)(3)에 검출된 타 차량과의 상,하부 거리를 상호 비교하여 두 거리의 차가 정해진 값보다 크면 승용차로 판단하고 거리차가 좁으면 상용차로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모터 구동부(5)에 발생시키는 전자제어 유니트(4)와;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모터(1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켜 임팩트 바(7)가 승용차 또는 상용차의 높이에 맞도록 미드부(1a) 또는 로워부(1b)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모터 구동부(5)와;
도어(1) 인너 판넬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임팩트 바(7)가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한쌍의 레일(6)과;
양단부에 설치된 지지체(7a)가 상기 레일(6)상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모터(10)의 구동방향에 부응하여 상기 레일(6)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임팩트 바(7)와;
상기 레일(6) 중 어느 일측 레일의 상하부에 축지되어 모터 동력을 체인(9)을 통해 임팩트 바(7)로 전달하는 한쌍의 기어(8)와;
상기 두 기어(8)에 권취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상기 임팩트 바(7)의 지지체(7a)에 축지되는 구성을 갖고 모터(10)의 구동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하는 체인(9)과;
상기 도어(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두 기어(8)중 어느 하나의 기어에 축이 연결된 구성을 갖고 상기 모터 구동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정역방향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용차와 상용차의 전면부는 각기 그 형태가 다르다는 점(즉, 승용차의 경우는 본네트 부분이 튀어 나오고 윈도 글라스 부위가 후방부로 들어간 형태를 갖고, 상용차는 본네트 부분과 글라스 부분이 거의 동일한 형태를 가짐)을 감안하여 자동차의 측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상,하부와의 거리를 각각 검출하기 위한 두개의 거리감지센서(2)(3)를 도어(1)의 아우터 판넬 미드부(1a)와 로워부(1b)에 각각 설치하였다.
따라서, 자동차의 측면부로 차량이 다가오면 상기 두개의 거리감지센서(2)(3)에서 검출되는 상대 차량의 상,하부와의 거리검출신호는 차종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전자제어 유니트(4)에서는 상기한 두개의 거리감지센서(2)(3)에 검출된 타 차량과의 상,하부 거리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상호 비교하여 두 거리의 차가 정해진 값(일반적으로 차체 아우터 라인에서 진입 차량까지의 거리는 일정한 비를 가지므로 이를 토대로 실험에 의해 정한 값으로 일정한 오차 범위를 포함함) 보다 크면 승용차로 판단하고 거리 차가 좁으면 상용차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개의 거리감지센서(2)(3)를 통해 검출되는 상대 차량의 상하부 거리차를 비교한 결과 정해진 값 보다 커 승용차일 경우는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4)에서 임팩트 바(7)가 하방부로 이동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모터 구동부(5)에 발생시키고, 이와 반대로 상용차일 경우는 임팩트 바(7)가 상방부로 이동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출력시켜 주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4)에서 두개의 거리감지센서(2)(3)를 통해 현재 측면 충돌하려 하는 차종(즉, 그 형태)을 판단하여 그 차종에 부응하여 임팩트 바(7)가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제어신호를 미리 발생시켜 충돌전에 이미 임팩트 바가 자동으로 이동된 부위의 도어에 측면 충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a,4b는 차종에 따른 본 발명 장치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차종이 상용차이어서 임팩트 바(7)가 도어(1)의 상부 즉, 미드부(1a)에 근접되도록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고, 도 4b는 차종이 승용차이어서 임팩트 바(7)가 도어(1)의 하부 즉, 로워부(1b)에 근접되도록 하강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어(1) 인너 판넬 양측에는 한쌍의 레일(6)를 수직방향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하여 임팩트 바(7)가 이를 따라 승하강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임팩트 바(7) 자체의 양단부에는 지지체(7a)를 설치하여 상기 레일(6)상에서 지지체가 승하강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레일(6) 중 어느 일측 레일의 상하부에는 한쌍의 기어(8)를 출지시켜 그 중 한 기어에 도어(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10)의 축을 연결하며, 상기 두 기어(8) 상에는 체인(9)을 권취시키되 상기 체인(9)의 일부를 임팩트 바(7)의 지지체(7a)에 축지시켜 모터(10)의 구동방향에 따라 체인(9)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시 임팩트 바(7)가 한쌍의 레일(6)을 따라 승하강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전자제어 유니트(4)에서 통상시 도어(1) 아우터 판넬의 미드부(1a)와 로워부(1b)에 각각 설치된 두개의 거리감지센서(2)(3)를 통해 충돌 하려하는 타 차량과의 상,하부 거리검출신호를 입력받아 상호 비교하여 그 결과, 예를들어 두 거리 차가 정해진 값 보다 큰 경우에는 승용차로 판단하고 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예를들어 정방향 구동신호)를 모터 구동부(5)에 발생시켜 주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 구동부(5)에서 모터(10)를 정방향으로 정해진 회전수 만큼 회전시키게 되어 상기 모터(10)의 축에 연결된 기어(8)가 정방향으로 작동하여 체인(9)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체인(9)에 축지된 임팩트 바(7)가 레일(6)을 따라 하강하여 도 4b와 같이 도어(1)의 하부측인 로워부(1b)에 근접된 후 멈추게 되어 다른 승용차가 측면으로 충돌해올시 범퍼부분이 임팩트 바(7)가 위치한 도어 부분에 충돌되도록 한다.
따라서, 승용차의 측면 충돌시 제일 강한 충격력이 가해지는 범퍼 부분이 이미 도어의 로워부로 자동 이동되어 있는 임팩트 바(7) 부위에 충돌하게 되므로 측면 충돌시 도어의 횡 방향 강성이 유동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승용차의 측면 충돌시 상해 정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자제어 유니트(4)에서 두개의 거리감지센서(2)(3)를 통해 충돌 하려하는 타 차량과의 상,하부 거리 차를 상호 비교한 결과, 예를들어 두 거리 차가 정해진 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용차로 판단하고 상기와 반대방향인 예를들어 역방향 구동신호를 모터 구동부(5)에 발생시켜 주게 되므로 모터(10)가 역방향으로 정해진 회전수 만큼 회전되어 기어(8)와 체인(9)도 역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임팩트 바(7)가 전술과 반대로 레일(6)을 따라 승강하여 도 4a와 같이 도어(1)의 상부측인 미드부(1a)에 근접된 후 멈추게 된다.
따라서, 상용차의 측면 충돌시 제일 강한 충격력이 가해지는 글레스와 범퍼 사이 부분이 이미 도어의 미드부로 자동 이동되어 있는 임팩트 바(7) 부위에 충돌하게 되므로 측면 충돌시 도어의 횡 방향 강성이 유동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상용차의 측면 충돌시의 상해 정도도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측면으로 진입하는 타 자동차가 있으면 그 자동차의 차종을 판단하여 임팩트 바 자체를 상대 차종에 부응하여 상부 또는 하부로 자동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측면 충돌시 도어의 횡 방향 강성이 유동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측면 충돌시의 상해 정도를 차종에 무관하게 대폭 줄일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자동차 도어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일부 확대도.
도 4a,4b는 차종에 따른 본 발명 장치의 작동 상태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어 2,3 : 거리감지센서
4 : 전자제어 유니트 5 : 모터 구동부
6 : 레일 7 : 임팩트 바
8 : 기어 9 : 체인
10 : 모터

Claims (1)

  1. 도어(1) 아우터 판넬의 미드부(1a)와 로워부(1b)에 각각 설치되어 자동차의 측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상,하부와의 거리를 각각 검출하는 두개의 거리감지센서(2)(3)와;
    상기한 두개의 거리감지센서(2)(3)에 검출된 타 차량과의 상,하부 거리를 상호 비교하여 두 거리의 차가 정해진 값보다 크면 승용차로 판단하고 거리차가 좁으면 상용차로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모터 구동부(5)에 발생시키는 전자제어 유니트(4)와;
    상기 전자제어 유니트(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모터(1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켜 임팩트 바(7)가 승용차 또는 상용차의 높이에 맞도록 미드부(1a) 또는 로워부(1b)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모터 구동부(5)와;
    도어(1) 인너 판넬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임팩트 바(7)가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한쌍의 레일(6)과;
    양단부에 설치된 지지체(7a)가 상기 레일(6)상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모터(10)의 구동방향에 부응하여 상기 레일(6)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임팩트 바(7)와;
    상기 레일(6) 중 어느 일측 레일의 상하부에 축지되어 모터 동력을 체인(9)을 통해 임팩트 바(7)로 전달하는 한쌍의 기어(8)와;
    상기 두 기어(8)에 권취된 상태에서 그 일부가 상기 임팩트 바(7)의 지지체(7a)에 축지되는 구성을 갖고 모터(10)의 구동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하는 체인(9)과;
    상기 도어(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두 기어(8)중 어느 하나의 기어에 축이 연결된 구성을 갖고 상기 모터 구동부(5)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정역방향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액티브 사이드 임팩트 바 승하강장치.
KR10-2003-0087122A 2003-12-03 2003-12-03 자동차 도어의 액티브 사이드 임팩트 바 승하강장치 KR100526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122A KR100526807B1 (ko) 2003-12-03 2003-12-03 자동차 도어의 액티브 사이드 임팩트 바 승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122A KR100526807B1 (ko) 2003-12-03 2003-12-03 자동차 도어의 액티브 사이드 임팩트 바 승하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880A KR20050053880A (ko) 2005-06-10
KR100526807B1 true KR100526807B1 (ko) 2005-11-08

Family

ID=37249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122A KR100526807B1 (ko) 2003-12-03 2003-12-03 자동차 도어의 액티브 사이드 임팩트 바 승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1010B2 (en) 2015-10-13 2017-09-26 Hyundai Motor Company Driving device for vertically movable waist bar of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1010B2 (en) 2015-10-13 2017-09-26 Hyundai Motor Company Driving device for vertically movable waist bar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880A (ko)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4874B1 (en) Controller for collision object protection device
US5934703A (en) Collision sensing apparatus
CN102548805A (zh) 用于自适应地衰减碰撞能量的装置和方法
CN104828004A (zh) 车辆的控制方法、系统及车辆
CN107366489A (zh) 用于车载可伸缩设备的防夹方法、装置、控制器和车辆
KR100526807B1 (ko) 자동차 도어의 액티브 사이드 임팩트 바 승하강장치
JP4816092B2 (ja) 車両用衝突検出装置
US20070095595A1 (en) Anti-squeeze method utilizing airbag information
US8371628B2 (en) Length-variable shock absorbing apparatus for vehicle
CN111806315B (zh) 一种防侧撞装置
CN111806316B (zh) 一种防侧撞装置及其控制方法
CN108973803B (zh) 汽车侧向碰撞乘员保护安全座椅及其控制方法
KR101209717B1 (ko) 단일모터를 이용한 에스 비 더블유 차량의 텔레스코픽스티어링 칼럼 장치
CN104691628A (zh) 自动弹出式汽车b柱、控制系统及汽车
KR200166637Y1 (ko) 범퍼의충격흡수장치
KR20060089895A (ko) 변위 센서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에어백을 구비한 범퍼
JP5107443B2 (ja) 車両におけるボンネット支持装置
KR102670488B1 (ko) 승하강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 시스템
CN110962787B (zh) 一种汽车后座人员智能保护系统及其控制方法
KR100315744B1 (ko) 안전 범퍼
KR100488507B1 (ko) 사이드 임펙트 비임을 이용한 도어 잠금장치
KR20070009239A (ko) 충격감지유닛을 구비한 자동차
KR200152747Y1 (ko) 차량용 충격 안전장치
KR200177709Y1 (ko) 자동차의 운전자 보호장치
JP4703292B2 (ja) 車両におけるボンネット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