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751B1 -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 Google Patents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751B1
KR100523751B1 KR10-2003-0029485A KR20030029485A KR100523751B1 KR 100523751 B1 KR100523751 B1 KR 100523751B1 KR 20030029485 A KR20030029485 A KR 20030029485A KR 100523751 B1 KR100523751 B1 KR 100523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tank
shape
semi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5543A (ko
Inventor
강동열
Original Assignee
하정림
강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정림, 강동열 filed Critical 하정림
Priority to KR10-2003-0029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751B1/ko
Publication of KR2004009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축물의 측벽 전체를 지지기반으로 하는 물 저장 공간을 제공함으로 써, 고층 건축물을 통해 우수를 집수 후 대용량으로 저장하여 재활용할 수 있고, 고층 건축물과 대등한 높이로서 조화를 이루고, 상대적으로 매우 협소한 설치 면적만을 필요로 하므로 경제성이 뛰어나고, 자연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도심지 물 고갈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는 건축물과 조화롭게 설치되도록, 상기 측벽에 지지되는 쪽을 배면에 일치시킨 반달형, 반타원형, 반원형, 반사각형, 반육각형, 삼각형 단면 형상의 구조재와; 상기 구조재를 적층 및 용접하여 시공하여 상기 측벽 전반을 지지 기반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측벽 주위의 지면으로부터 상기 건축물의 옥상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탱크본체(1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TANK FOR GATHERING RAINWATER WITH BUILDING AS ONE BODY}
본 발명은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 자원인 빗물(눈 녹은 물을 포함)을 건축물을 통해 집수하여 저장하되, 협소한 설치공간이면서도 대용량의 물을 저장하고,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경량의 구조로서, 다양한 시공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자신의 노력과 사고를 통해 최첨단 과학 기술을 진보시켜 왔으며, 이에 따라 인간 문화 가운데 지구의 자연을 개발하고 재해를 극복하며 다음 세대를 기약하고 있다.
최첨단 과학 기술의 진보에 따라 비약적인 산업화가 진행되는 동안, 인간의 유토피아와 상반되게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된 것도 사실이다.
현실적으로 물의 수질 오염과 마실 수 있는 깨끗한 음용수의 부족이 그 문제점 중의 하나이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물 공급 시스템이 공동 체제가 아닌 개인 공급 체제로 변화하면서 중수도의 개념이 도입될 것이라고 하면서, 물을 개인별로 수차래 재생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이 개발되거나, 병에 있는 물, 즉 마실 수 있는 물의 공급회사가 판매 경쟁에 나서게 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자연의 천연 자원인 빗물을 집수하여 중수나 상수로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들이 하나 둘씩 개발되고 있으며, 더욱 더 효율적이면서 자연 친화적이면서, 경제성이나 에너지를 덜 필요로 하는 시설물들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자연, 환경 친화적 도시 개발을 진보적 자연주의자들은 건축물과 자연 생태계가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 도시 한가운데, 건물과 건물 사이에 자연 생태계가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을 인위적으로나마 말들어 줘야 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수중 생물이나 기타 자연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도록 건물과 건물 사이에 연못, 시냇물, 계곡, 나무, 화단 등을 설치하여, 생태 건축학적 환경이 조성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의 사례를 들면, 삼성에버랜드 사옥 빗물 활용 습지에 관한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데, 이는 대한민국의 경기도 용인시 삼성에버랜드 사옥 외부에 위치한 것으로서, 1999년 8월에 272㎡(수면적 120㎡)면적에 빗물을 활용한 것이다. 여기에서의 우수관리 시스템은 ① 강우, ② 집수, ③ 정화(전처리), ④ 저류(저류연못), ⑤ 침투(침투연못), ⑥ 2차 저류(저류연못으로 피드백 및 관수용으로 재활용), ⑦ 배수의 수순으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고 있다.
즉, 이는 우기에 지붕에서 모아지는 빗물을 이용하여 생태연못에 물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서, 빗물이 빠르게 토양 내에 침투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일부는 지하에 저류시켜 건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빗물의 저류와 침투를 목적으로 형성되며, 아울러서 도시지역에서 물 순환 체계를 회복시키면서 생물다양성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외국의 책자를 보면 우선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생태 건축학적 아이템으로서, 재래식(푸세식) 화장실, 보리짚단으로 지붕 잇기, 바람을 이용한 풍력 발전기, 태양열 발전 장치, 우수 집수 설비 등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미래에는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물 부족이나 에너지 부족을 현명하게 대체할 수 있는 기술적 접근이나 시도가 더욱 많은 결실을 맺을 것이라 판단된다.
특히, 유럽에서는 인공적으로 물을 지하에 침투시켜 상수도원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기록이 1820년대부터 있다.
외국의 경우는 지반 침하 방지와 지하수를 수자원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지하수의 개발을 제한함은 물론, 여러 가지 방벽을 사용하여 빗물이나 하천수를 지하에 인공 주입시키고 있다
인공 주입 방법으로는 빗물(우수)나 하천수를 우물이나 보링정(井)을 통하여 대수층에 직접 물을 주입시키는 직접법과, 침투지, 침투받이, 지하 유공과, 투수성 포장 등을 통해 지하로 물을 침투시키거나 침투를 촉진시키는 간접법을 사용하고 있다.
도시 지역에서는 지붕에서 집수된 빗물을 홈통을 통하여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탱크에 저장시켜 지하의 대수층, 혹은 공극을 따라 자연적으로 주입을 시키는 것을 일반화된 사실이다.
만약 탱크 내에 저류된 양이 지층 자체가 완전소화, 즉 침투시키지 못하는 포화 상태일 때는 탱크의 수위가 높아져서 탱크로부터 오버 플로우(over flow)하여 배수구로 배출시킨다.
도시 지역 내에서 콘크리트로 인하여 지하로 침투하지 못하는 빗물을 지표로부터 침투를 원활히 하여 도시 개발 이전의 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다.
특히, 대한민국은 홍수의 지속 시간이 짧고 총 홍수량이 적은 데 비하여, 침투 홍수량이 크며, 6-8월에 대단히 많은 비가 내리는 풍수 지리적 환경이다.
특히, 서울 시내 아파트의 경우, 총 상수도 사용량의 30% 이상을 화장실, 세탁, 정원수, 청소 등의 용수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우수 집수 설비가 완벽하게 설비될 때 각 개인의 상수도 요금을 2/3선까지 절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단순히 우수 저장 탱크를 개발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조건은 미래형 우수 집수탱크로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생태 건축학적 아이템에 부합하면서 기존의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는 환경 친화적 요소와, 대용량 물 저장 능력을 가지면서도, 협소한 설치 면적만을 요구하고, 시공비나 건축비가 적게 들면서, 경량에 튼튼한 구조를 갖고, 건축 시공이 용이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산업 경제적 요소, 이 둘을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2002년 8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5774호는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로서, 빗물을 모으는 집수면과, 이런 집수면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집수면으로부터 유출된 빗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집수면과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장치와, 저장탱크의 하류 측에 설치되며, 저장탱크로부터 유출된 빗물을 저장하고 이를 일정한 수압의 각종 용수로 공급하는 급수탱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제25774호는 통상의 수 처리 장치나 지하 매설형 물 저장탱크와 동일하게, 지중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질 관리나 청소가 매우 불편함은 물론, 오랜 사용 후 누수 발견이 매우 힘들뿐만 아니라 그의 유지 보수가 매우 어렵고, 터파기, 지하 콘크리트 공사 등과 같은 고비용의 토목공사가 필수적이므로 비경제적이다. 즉, 같은 층수라도 건축물을 지상에 건축하는 것과 지하에 건축함에 있어서, 그 건축비용만을 고려할 때 지상에 건축하는 것이 더 경제적인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또한, 상기 제25774호의 지상에 설치된 대용량 물 저장탱크는 통상 사각, 원형 구조로서 환경친화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건물과도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일부 돌출된 배관 자재에 의해 외관이 건축물과 일치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통상의 대용량 물 저장탱크는 수백톤에서 수천톤의 물을 저장하기 위해 상당한 두께의 철판을 용접하여 사용하거나, 벽체에 부가하는 지지대 및 보강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공 및 설치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2002년 6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출원번호 제18432호는 '도로 조경물의 용수공급을 위한 빗물을 이용한 우수용 조립식 저수조'로서, 그의 벽체는 자연 유하하는 빗물 하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여과맨홀과 측면 상부에 관연결을 취하고 있다. 벽체의 내, 외측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보호 매트가 각각 위치되어 있다. 개구된 벽체의 상부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보호매트와 덮개 보호 매트가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부위에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FRP패널 덮개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벽체의 내부 공간부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되어 있고 박스 형태로 제작되어 있는 다수의 지지케이스가 벽체 내부의 종, 횡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런 지지케이스는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적층 연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18432호도 역시 지중에 매설되는 구조이며, 도로 표면 및 비탈면과 주변부에 내려 표면배수 처리되는 빗물을 다량 유입시키기 때문에, 건축물과 일체형이지 못함과 동시에, 터파기 등의 토목 시공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8432호는 도로 표면 및 비탈면과 주변부에 내린 우수를 이용할 뿐, 아파트 옥상 표면을 집수 수단으로 사용하고, 건축물과 일체형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다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2001년 8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3450호는 '홈통을 이용한 빗물 집수 장치'로서, 통상의 빗물 집수 받이홈과 결합/설치되어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의 이물질이 축적되는 침전관을 갖되, 이런 침전관을 통해 유입된 빗물을 저장시킬 수 있는 제1저수통을 제공하고, 이런 제1저수통의 최하측에는 축척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구와 집수된 물을 필요시 배출시켜 사용하기 위한 집수배출구가 형성되고, 제1저수통의 일측 측면에는 만수시 유입되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빗물 배출관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23450호는 건물과 별개로 설치된 제1저수통에 우수를 집수하는 통상적인 개념일 뿐만 아니라, 건물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대용량의 물을 저장하기 위해서 많은 설치 면적을 요구하며, 대용량으로 설치시의 구조적 강성을 해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3450호는 고층 건축물에 적용할 수 없는 기술적 내용만을 개시하고 있다.
2000년 10월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64750호는 '빗물 집수 재활용 시스템'으로서, 흘러버리는 빗물을 집수할 수 있는 집수판과, 빗물의 관로인 집수용 배관과, 빗물을 일정한 장소에 모을 수 있는 집수 저수통을 구성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배수관과 양수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제64750호는 아파트의 옥상, 지붕 등에 집수판을 설치하는 개념을 소개하고 있으나, 대용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집수저장통을 어느 곳에 설치하는지 불 분명 할뿐만 아니라, 아파트의 옥상에 통상으로 설치된 상수도 공급 저장탱크와 유사한 구조와 통상의 기술을 이용할 경우, 건축물과 어울리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아파트 옥상이 물의 하중을 견뎌내기 힘들고, 역시 상기의 종래 기술들처럼 지하, 지중에 집수저장통을 설치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들과 동일 내지 유사한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제64750호도 집수저장통의 구조나 고층아파트에 적용할 수 있는 집수저장통에 대한 어떠한 구조적 해결점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1997년 4월 대한민국 국제특허 출원번호 제7002531호는 '물 보존 방법 및 장치(water conserv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를 개시하고 있다. 집수장치와 저장장치는 건물의 내부 혹은 건물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일반적으로 건물구조에 융화되어 건물의 일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용기와, 이런 저장용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모여진 빗물이 저장용기로 들어가는 집수장치와, 저장용기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출구로서 최종적으로 수도꼭지 혹은 물을 소비하는 기구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와, 저장용기에 설치되며 주공급관과 같은 대체 공급원으로부터 저장용기로 물을 유입시켜 저장용기에 물이 일정 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물을 보충시켜 주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7002531호는 저장용기를 사용하고, 저장용기의 물이 떨어졌을 때 대체 공급원으로부터 저장용기로 물을 유입시키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고층아파트에 적용시 지지구조물을 요구하며, 저장용기 자체를 고층아파트에 대응하게 설치, 결합, 고정시키는 어떠한 수단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즉, 상기 제7002531호는 건물의 내부, 건물의 상부 중 처마 밑 등에 설치되어 우수를 집수하여 재활용하지만, 수백톤, 수천톤으로 대량의 우수를 집수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수단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런 상태에서 상기 출원특허의 내용대로 고층아파트나 건축물에 적용할 때 사용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7002531호에서 저장용기는 건물의 지붕 구조물이나 벽 구조물과 연결된 선반 받이에 의해 지탱되고, 또한 건물에 연결은 되어 있으나 떨어져 있는 구조물에 의해 지탱되기도 한다고 하나, 저장용기 자체만을 이용하여 고층의 높이만큼 연장될 수 있는 본체 또는 구조체 형상 내지 시공방법 또는 연결 구조 등과 같은 문제 해결 수단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보여주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본 출원이 개발하려는 건축물 일체 또는 조화형으로서, 탱크본체의 벽체 구조만으로도 높은 높이로 연장되고, 협소한 설치 면적을 차지하면서도 대용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어떠한 진보적 요소나 기술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측벽 전체를 지지기반으로 하는 물 저장 공간을 제공함으로 써, 저층 또는 고층 건축물에 관계없이 빗물(눈 녹은 물)을 대용량으로 집수 및 저장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층 건축물과 대등한 높이로서 조화를 이루고, 상대적으로 매우 협소한 설치 면적만을 필요로 하므로 경제성이 뛰어난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니트를 조립하여 시공함으로 써, 시공 기간이 매우 짧음과 동시에 경량으로 제작 가능한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역시 다른 목적은 자연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도심지 물 고갈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면서 환경 친화적인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역시 다른 목적은 스테인레스 패널 용접 시공, 콘크리트 일체형 시공, 콘크리트 블록 조적식 시공, 합성수지 패널 시공, 유니트 삽착형 시공, 지지빔을 이용한 시공, 볼트 조립식 시공 등에 의해 축조되는 다양한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목적은 스테인레스강, 듀플렉스강 재질로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고, 청소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우수에 섞인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우수를 집수하기 위한 물 저장공간을 갖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과 조화롭게 설치되도록, 상기 측벽에 지지되는 쪽을 배면에 일치시킨 반달형, 반타원형, 반원형, 반사각형, 반육각형, 삼각형 단면 형상의 구조재와; 상기 구조재를 적층 및 용접하여 시공하여 상기 측벽 전반을 지지 기반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측벽 주위의 지면으로부터 상기 건축물의 옥상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탱크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구조재는 탱크본체와 탱크상판과 콘크리트를 건축물의 측벽 또는 건축물의 측벽과 일체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유니트와 지지용 빔과 콘크리트 구조물을 의미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콘크리트 기저부(180)를 포함하는 탱크본체(100)와 고층아파트와 같은 건축물(10)을 보여주고 있다.
탱크본체(100)는 건축물(10)의 측벽(11)에 면접하여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콘크리트 기저부(180)는 각종 배관을 배관하기 위한 목적과 탱크본체(100)의 바닥면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각종 배관을 지중에 설치하고, 또한 지면 레벨과 대동소이하면서 탱크본체(100)의 바닥면을 단순히 지지하기 위한 콘크리트 받침부위(도시 안됨) 내지 지지부위가 더 구비된다면, 콘크리트 기저부(180)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설명하는 건축물(10) 중 고층 아파트란 대략 15층 이상으로서 비상용 승강기 설치가 필수적인 건물높이 41m 이상의 건물을 의미한다.
이에 대응하는 탱크본체(100)의 높이도 고층 아파트의 높이와 대동소이하다.
한편, 건축물(10)의 일 측벽에는 건축물 정보(아파트 단지 명, 동 수 등)가 적혀 있을 뿐, 하층에서부터 상층에 이르기까지 대략 평평한 측면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갖고 있다.
일부 지붕을 갖는 고층 아파트 또는 사각 옥상을 갖는 고층 아파트들은 지붕이나 옥상에 내려오는 우수를 지하, 지표의 빗물 퇴수거 쪽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홈통을 상층에서 하층의 빗물 퇴수거까지 배관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착안한 탱크본체(100)는 건축물(10)의 소정 측벽(11 : 평평한 표면을 갖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측벽도 가능)에 설치된다.
특히, 탱크본체(100)는 건축물(10)과의 조화를 위해, 측벽(11)에 지지되는 쪽을 배면에 위치시킨 반달형, 반타원형, 반원형, 반사각형, 반육각형, 삼각형 등의 단면 형상을 지면에서부터 높이방향으로 옥상까지 연장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탱크본체(100)의 외표면은 건축물(10)과 동일한 표면 색상, 질감, 디자인, 문자, 로고, 캐릭터 등과 같은 외부 표식을 갖는다.
또한, 탱크본체(100)는 기존의 건축물의 측벽에 부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집수탱크의 형상을 고려하여 최초 건축물의 설계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런 탱크본체(100)는 건축물(10)의 외부(측면) 일부가 원호나 아치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부드럽게 약간 돌출되는 형상을 건축물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설계 팩터가 집수탱크의 설계시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설계 팩터는, 타원의 형상을 치수로 표시할 때 사용하는 것처럼, 장축의 지름(a : 타원에서 가상의 선이 중심을 지날 때 가장 긴 선분)과 단축의 반지름(b : 타원에서 가상의 선이 중심을 지날 때 가장 짧은 선분의 절반인 선분)의 비율이 10 : 3일 때 가장 안정되고 튼튼한 구조를 갖는다.
즉, 탱크본체(100)의 단면은 건축물(10)의 측벽의 폭 부위를 10의 비율로 하고, 측벽에서 수직하게 가장 많이 튀어나온 부위를 3의 비율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스테인레스 패널 용접 시공방법에 의해서 탱크본체를 건축물(10)의 측벽(11) 표면에 설치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건축용 복공판인 설치보강패널(102)과 배면판(103)이 제공된다.
설치보강패널(102)은 건축물(10)의 측벽(11) 하부에서부터 상부(옥상)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설치보강패널(102)의 폭방향으로 'U'자 단면을 지그재그 식으로 연장시키고 있다.
이런 설치보강패널(102)은 앵커볼트, 스터드볼트 등과 같은 패널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측벽(11)의 표면에 밀착되게 부착된다.
설치보강패널(102)은 통상의 건축자재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빔을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열 및 연결하는 지지구조물(도시 안됨)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설치보강패널(102)의 배면은 건축 시공당시에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철근 (12)등과 용접에 의해서 고정됨으로써, 측벽(11)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설치보강패널(102)은 어떠한 고정 방법에 의해서 건축물(10)의 측벽(11) 표면에 기밀하게 부착된 후, 횡방향의 응력 분력(물 저장시의 수압, 바람에 의한 외력, 집수탱크의 흔들림 등)과 종방향의 응력 분력(자체 중량, 집수탱크의 중량에 의한 종방향의 응력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설치보강패널(102)의 안쪽에 형성된 사이사이의 공간(104) 또는 'I'빔 간의 이격 공간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배관 등을 안치시키는 최적으로 장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설치보강패널(102)은 탱크본체와 건축물 측벽을 설치보강패널(102)의 두께만큼 이격 되게 함과 동시에, 열 분산 통로(또는 수단)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건축물(10)의 일 측벽을 향하는 방향을 배면방향이라 할 때, 이런 설치보강패널(102)의 정면방향에는 배면판(103)이 용접에 의해서 부착된다.
배면판(103)은 스테인레스강 재질(대한민국의 포항제철에서 생산되는 STS 444 등), 듀플렉스강과 같은 저수조 및 온수조용 스트립 판부재이다.
배면판(103)은 건축물의 높이와 설치보강패널(102) 전반을 모두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다.
배면판(103)은 상기 면적을 갖기 위해서 높이 1∼2m의 스트립을 용접에 의해 이어 붙여 사용한다.
도 3a는 제1유니트(110)의 형상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설치보강패널(102)의 높이에 대응한 개수만큼 제작된다.
예컨대, 제1유니트(110)는 그의 장축의 지름(가로방향)의 크기가 10m 일 때, 단축의 반지름(가로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거리가 3m 이고, 그의 높이는 2m이며, 또한 그의 두께는 2t(mm)에서 3t 이다.
따라서, 높이가 45m(대한민국의 아파트 15층 정도에 해당하는 높이)인 건축물용 집수탱크인 경우, 스물 한 개의 제1유니트(110), 한 개의 베이스유니트(170), 한 개의 콘크리트 기저부(180)가 사용된다(도 4 참조).
물론, 높이가 1m의 제1유니트(110)를 사용할 경우, 건축물을 위해서 42개의 제1유니트(110)가 필요하다.
이런, 제1유니트(110)는 원호 형상 또는 아치형상으로 만곡된 벤딩표면부위(111)와, 이런 벤딩표면부위(111)와 동일하게 만곡되면서도 상기 벤딩표면부위(111)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수직하게 일체형으로 바깥쪽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상하 플랜지(112, 113)들과, 상기 벤딩표면부위(111)의 양측 끝단에서 장축의 지름 방향과 일치하도록 각각 일체형으로 바깥쪽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좌우 플랜지(114, 115)들로 이루어져 있다.
원 A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상 또는 하 플랜지(112)는 벤딩표면부위(111)의 상 또는 하단부위에서 일체형으로 'ㄱ'자 내지 'ㄴ'자 단면 형상으로 절곡 성형되어 있다.
각각의 상, 하, 좌, 우 플랜지(112, 113, 114, 115)들은 서로 접촉하는 주변을 모두 용접하여 장축의 지름 방향(가로방향)의 뒤틀림 변형이나 종방향(높이방향) 혹은 횡방향으로의 전단 응력에 매우 강할 뿐만 아니라, 용접 부위에 별도의 보강 부재를 덧붙이지 않은 일체형 절곡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형성된 제1유니트(110)는 하기에 다양하게 소개되는 다양한 형상의 유니트나 구조물에 대한 기본형 유니트라 할 수 있으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과 도면부호를 사용하도록 하겠다.
도 3b 내지 도 3e에는 원 A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상 또는 하 플랜지와 벤딩표면부위의 상 또는 하단 모서리의 다양한 응용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b에 보이듯이, 제1유니트(110)의 플랜지(112a)는 벤딩표면부위(111)로부터 일체형으로 'ㄷ'자 단면을 갖고 있어서, 횡방향의 분력과 비틀림 응력에 매우 강한 보강 구조를 본 발명에 제공한다.
같은 원리로, 도 3c의 제1유니트(110)는 'ㅁ'자에 가까운 단면의 플랜지(112b)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플랜지(112b)는 'ㅁ'자처럼 완전 용접된, 즉 세 번 절곡시킨 끝단을 벤딩표면부위(111)에 용접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3d의 제1유니트(110)는 벤딩표면부위(111)에서 직각으로 절곡 후, 컬링 가공(curling)에 의해서 거의 말려 있는 'ㅇ'자형의 플랜지(112c)를 갖는다.
특히, 제1실시예의 시공방법을 고려할 때, 제1유니트(110)는 적어도 컬링 가공된 플랜지(112c)의 표면 일부가 수평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e의 제1유니트(110)는 벤딩표면부위(111)에서 직각으로 절곡 후, 절곡방향으로 한번 더 절곡하고, 그의 끝단과 벤딩표면부위(111)를 서로 용접함으로 써, 결국 삼각형 단면에 가까운 플랜지 절곡부위(112d)를 갖는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상기 플랜지 또는 상기 플랜지 절곡부위란 단어는 동일 의미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플랜지 절곡부위(112, 112a, 112b, 112c, 112d)를 갖는 제1유니트(110)는 통상의 판금 가공 기술과, 고무 다이 성형기 또는 폼블록 인장 성형기(도시 안됨) 등을 사용하여, 찍어내듯이 대량으로 양산된다.
여기에서, 판금 가공 기술이란, '블랭킹 계열(blanking group)'의 판금 가공, '벤딩 및 포밍 계열(bending and forming group)'의 판금 가공, '드로잉 계열(drawing group)'의 판금 가공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 별도로 준비된 공구강(工具鋼)으로 만든 틀에 대고 두드려서 그 모양에 맞춰 구부리거나, 프레스 내지 가압공작 장치를 써서 판금을 틀에 눌러 다양한 형상의 제1유니트를 제작하는 제작 기술이다.
즉, 제1유니트에 다양한 형상의 일체형 플랜지 또는 플랜지 절곡부위를 만들기 위해서, 제1유니트의 상, 하, 좌, 우 플랜지가 형성될 스테인레스 스트립 모재에 연직으로 벤딩력을 가하기 위한 펀치나 다수의 롤러에 의해서, 상기 스트립 모재를 원호형상, 직각형상, 삼각형상 등으로 변형을 시키고, 이때 벤딩력을 제거하더라도 제1유니트의 플랜지 절곡부위는 변형된 후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벤딩 가공(bending)이 이용된다.
또한, 현존하는 판금 가공 기술의 인장 성형기는 일종의 포밍 가공(forming)의 원리를 이용하여, 숫 폼블록과 암 폼블록의 형상 변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서 두께가 변화되지 않은 플랜지 절곡부위를 만들 수 있다.
이하, 다이에 형성된 구멍을 따라 플랜지를 만드는 플랜징 가공(flanging) 내지 버링 가공(burring)이나, 양 끝단부를 절곡 압착에 의해 서로 이어 붙이는 시밍 가공(seaming)이나, 벤딩표면부위에 비드(bead)를 형성시켜 장식이나 보강을 하는 비딩 가공(beading)이 본 발명에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제공되는 유니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벤딩표면부위에 문자나 숫자 혹은 디자인이나 패널을 찍어내어 장식이나 보강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엠보싱 가공(embossing), 또는 반달 원통형 형상의 개구부의 직경이나 단면을 줄이는 네킹 가공(necking), 혹은 실린더 형상의 벽 등의 내부에 압력을 가하여 표면을 늘리는 벌징 가공(bulging), 또는 제1유니트의 판금 제작시 끝부분이나 모서리부분을 다양한 형상으로 따내는 노칭 가공(notching)이 사용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제1유니트와 유사한 다른 유니트들은 볼트 시공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다수의 볼트 구멍을 미리 정해진 배열에 따라 동일한 형상의 구멍을 만드는 퍼포레이팅 가공(perforating)에 의해 만들 수 있다.
특히, 벤딩표면부위가 원호 형상으로 만곡 되어 있는 가운데, 높이방향에 수직하게 상 플랜지 내지 하 플랜지를 절곡 성형할 경우, 더욱더 매끄러운 플랜지 표면을 만들기 위해서, 이음매 없는 일체형의 형을 만드는 드로잉 가공(drawing)을 사용한다. 특히 'ㄷ'자 단면의 플랜지 절곡부위를 형성할 때, 소정 형틀을 이용하여 다시 드로잉을 하는 리드로잉 가공(redrawing)을 사용한다. 물론, 표면이 뒤틀려지거나 원하는지 않은 형상으로 될 경우, 표면 불 균일 제거와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아이로닝 가공(ironing) 방법을 사용한다.
도 3f는 탱크본체의 구조재로서 본체의 외부를 형성하는 제2유니트(120)를 보여주고 있다.
제2유니트(1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유니트와 동일한 제작 수단이나 방법에 의해서 제작되고, 이때, 벤딩표면부위(121)의 네 개의 주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플랜지(122, 123, 124, 125)의 절곡 방향은 제1유니트의 절곡 방향과 반대로 형성된 것이 다른 점이다.
즉, 도 3g에 확대 도시한 원 B에서처럼, 플랜지(122)는 벤딩표면부위(121)의 상 또는 하단 모서리에서 일체형으로 물과 접촉하는 방향쪽으로 절곡되어서 'ㄱ'자 내지 'ㄴ자 단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 3h 내지 도 3k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유니트(120)는 'ㄷ'자 단면 플랜지 절곡부위(122a), 'ㅁ'자에 가까운 또는 'ㅁ'자처럼 완전 용접된 플랜지 절곡부위(122b), 컬링 가공된 'ㅇ'자 플랜지 절곡부위(122c), 삼각형 단면의 플랜지 절곡부위(122d)를 갖는다.
이러한 제2유니트(120)는 상, 하, 좌, 우 플랜지(122, 122a, 122b, 122c, 122d)가 내표면(물과 접촉하는 표면)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 되어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외표면에 플랜지 또는 플랜지 절곡부위가 돌출 형성되어 있지 않아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고, 제1유니트와 동일하게 벤딩 포스가 인가된 용접 부위(절곡된 모서리 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도 3a 내지 도 3g의 플랜지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부위들은 양쪽으로 벤딩 포스가 인가된 부위이므로, 결과적으로 양쪽 맞대기 용접이 가능함과 동시에 벤딩된 부위를 용접할 때 발생하는 배가된 용접 부착력을 갖게 된다.
또한, 다수의 형상으로 꺾인 플랜지의 절곡부위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예각이나 둔각으로 절곡 성형 가능하고, 이럴 예각 또는 둔각의 플랜지를 서로 접촉시킬 때, 접촉 면적이 증가되고 표면에 물방울이 형성되더라도 자중에 의해서 흘러내릴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저부(180)는 높이 1∼2m를 갖게 상향으로 콘크리트와 철골 및 철골메쉬로 축조된 것으로서, 반타원, 반달형, 반원형, 반사각형, 삼각형, 반육각형의 단면을 갖고, 필요에 따라 단열재가 감싸져 있다.
콘크리트 기저부(180)는 적어도 배면과 상면이 수평하며,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유니트 또는 제2유니트와 동일한 설치 면적을 갖는다.
콘크리트 기저부(180)는 설치한 콘크리트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할 때, 그의 내부에서 중심의 일 끝단에 입구를 배치하고, 좌측의 다른 끝단에 출구를 배치한 슬러지 배출관(181)을 갖는다. 이런 슬러지 배출관(181)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곳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빗물 배출관(182, 183)이 동일 내지 유사한 배치 방식으로 놓여진다.
특히, 빗물 배출관(182, 183)의 입구에는 밀폐된 상면과 일부분이 개방된 원주면으로 이루어진 스프링타입의 여과필터(184)가 각각 나사 결합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 각각의 여과필터(184)는 이물질 크기에 대응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필터의 원주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스프링 와이어와, 이런 스프링 와이어를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지지 와이어로 이루어져 있다.
슬러지 배출관(181)의 출구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개폐 밸브가 장착되고, 물 배출관(182, 183)의 출구에도 개폐 밸브가 장착된다.
물 배출관(182, 183)은 건축물 내부의 중수도 배관(도시 안됨)과 배관되거나, 지중에 매설된 다른 물 저장탱크 시설과 배관된다.
콘크리트 기저부(180)의 상면에는 콘크리트 타설시에 다수의 앵커볼트, 스터드볼트 또는 철근들이 약간 튀어나오게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유니트(170)는 콘크리트 기저부(180)의 앵커볼트, 스터드볼트 또는 철근에 볼트 결합되거나 용접되어서 콘크리트 기저부(180)의 상면에 수직하게 결합된다.
여기에서, 베이스유니트(170)의 원호부위바닥면(176a)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179a, 179b, 179c)의 내경은 빗물 배출관(182, 183)의 입구와 슬러지 배출관(181)의 입구의 외경에 각각 용접된다.
베이스유니트(170)는 기본적으로 제1유니트 내지 제2유니트의 형상과 유사하다.
즉, 상, 하, 좌, 우 플랜지(172, 173, 174, 175)가 일체형으로 절곡되어 있는 원호 형상의 벤딩표면부위(171)를 갖는다.
이런 벤딩표면부위(171)는 'ㄴ'자 단면의 절곡패널(176)과 용접된다. 여기에서, 절곡패널(176)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보았을 때, 벤딩표면부위(171)의 원호 형상에 대응하여 바닥이 될 원호부위바닥면(176a)과, 벤딩표면부위(171)의 투영 면적과 동일하여 배면이 될 사각부위표면(176b)을 직각으로 일체형으로 절곡한 판부재이다.
즉, 사각부위표면(176b)이 베이스유니트(170)의 배면이 되고, 원호부위바닥면(176a)이 베이스유니트(170)의 바닥이 된다.
또한, 사각부위표면(176b)의 양측주변은 좌, 우 플랜지(174, 175)와 용접되고, 원호부위바닥면(176a)의 반타원형 테두리는 하 플랜지(173)와 용접됨으로 써, 결과적으로 상부 부위가 개구된 반달형, 반원형, 반사각형, 반타원형, 반육각형, 삼각형 또는 원호형 탱크 형상을 갖게 된다.
이런 베이스유니트(170)의 내부에는 듀얼 콘형 구조로서 수압에 견디면서도 침강하는 우수에 혼합된 각종 이물질을 분리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 배출구조를 갖는다.
슬러지 배출구조는 제1콘형 구조물(177)과 제2콘형 구조물(178)을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베이스유니트(170)의 내부에 용접 시공한 것이다.
이때, 제1콘형 구조물(177)의 상부 구멍은 베이스유니트(170)의 개구된 테두리 부위에 용접되며, 하부 구멍은 제2콘형 구조물(178)의 내부에 위치한다.
한편, 제2콘형 구조물(178)은 베이스유니트(170)의 원호부위바닥면(176a)에 복수개의 지지대로 고정된 것으로서, 제2콘형 구조물(178)의 상부 구멍이 제1콘형 구조물(177)의 하부 구멍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물이 'S'자 형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반면, 슬러지는 제2콘형 구조물(178)에 침강 및 축적되도록 한 구조이다.
여기에서, 빗물 배출관(182, 183)의 밸브 개방시, 물은 각각의 여과필터(184)의 원주의 스프링 와이어 사이를 관통하여 빗물 배출관(182, 183)의 출구로 빠져나간다.
이때, 탱크본체에 채워질 빗물의 수압은 탱크 만수시에 제1콘형 구조물(177)과 제2콘형 구조물(178)의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인하여, 제1콘형 구조물(177) 또는 제2콘형 구조물(178)의 가해지는 상하의 표면 수압이 서로 평행을 유지하며, 다만 전체 저수량에 따른 수직 수압이 베이스유니트(170)의 원호부위바닥면(176a)과 벤딩표면부위(171)에 가해진다.
그러나 베이스유니트(170)는 기타 유니트들과 마찬가지로, 일체형 플랜지 절곡부위(172, 173, 174, 175)와 스테인레스강 재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수백에서 수천톤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스테인레스강 재질은 충격치 1490kj/㎡를 견딜 수 있고, 수지계(98kj/㎡)에 비해서 내 충격성능이 매우 뛰어나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는 스테인레스 패널 용접 시공에 의해서 탱크본체(100)가 건축물(10)의 측벽(11) 외측면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이때, 측벽(11)에는 미리 순차적으로 설치보강패널(102)과 배면판(103)이 부착되어 있다.
건축물(10)의 측벽(11)과 지면사이의 모서리 부위에서는 콘크리트 기저부(180)가 형성되며, 그의 상면에 베이스유니트(170)가 고정되고, 베이스유니트(170)의 배면은 배면판(103)에 용접된다.
도 5b에 보이듯이, 베이스유니트(170)의 상부에는 제1유니트(110) 또는 제2유니트 또는 하기에 설명할 스테인레스강 또는 듀플렉스강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상의 유니트들이 차례로 적층되고, 시공자에 의해서 각각의 유니트들의 연접주변은 바깥쪽에서 용접되거나, 바깥쪽 및 안쪽에서 이중 용접되어 서로 연결된다.
이때, 시공자는 통상적인 건축 자재로 사용되는 비계 구조물(20) 또는 받침 구조물상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하며, 고층으로 갈수록 고층 건축시에 사용되는 별도의 지지 구조물 상에서 작업하게 된다.
또한, 제1유니트(110) 또는 제2유니트가 베이스유니트(170)에 적층 및 용접된 후, 20층 이상의 고층 아파트의 경우에서처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강빔(105)이 배면판(103)과 제1유니트(110)의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용접될 수 있다.
또한, 배면판(10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관의 입구(106a)가 관통하게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입구(106a)로부터 연장된 출수관은 배면판(103)과 설치보강패널(102)을 관통하여 건축물(10) 내부에 미리 설치된 중수도 배관(107a)에 물을 공급하도록 직접적으로 배관되거나, 설치보강패널(102) 사이사이 공간을 따라 연장된 후 중수도 배관(107b)에 배관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배관 설비를 거쳐서 중수도 배관에 배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콘크리트 기저부(180)의 상부에서 제1단을 이루는 베이스유니트(170)가 배치된 이후에는 제2단을 이루는 제1유니트(110)가 베이스유니트(170)의 상부에 적층 배열되고, 이러한 적층 배열 방식과 동일하게 다른 제1유니트들이 상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적층 및 용접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10)의 측벽(11) 전체를 모두 덮도록 다단으로 적층된 베이스유니트(170)와 제1유니트(110)들은 건축물(10)의 높이에 대응한 높이와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단면을 갖는 탱크본체(100)의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최 상단 제1유니트(110')의 배면판에는 건축물 옥상에서 자연수(우수, 눈 녹은 물)를 공급받기 위한 입수관 구멍(10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최 상단 제1유니트(110')의 상부에는 반타원 형상의 탱크상판(190)이 용접되어, 결과적으로 탱크본체(100)의 구조를 밀봉시킨다. 탱크상판(190)에는 개폐 가능한 맨홀(199) 내지 출입문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느러미 형상의 보강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유니트(110, 110')를 사용한 제1실시예에서의 탱크본체(100)의 구조는 플랜지 절곡부위를 탱크 외부로 돌출시키고 있고, 이러한 표면 형상을 매끄럽게 하고 단열 처리를 하기 위해서, 플랜지 절곡부위의 사이공간에 보온 겸용 단열재(118)를 개재시킨 후, 박판의 마감재(117)로 마감 처리한다. 이런 경우, 탱크본체(100)의 구조는 미려한 외관을 갖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드라이피트 등과 같은 마감재가 제1유니트(110, 110')의 외표면에 도포되어 단열재와 마감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2유니트를 사용한 제1실시예에서의 탱크본체(100)의 구조는 플랜지 절곡부위를 탱크 내부로 돌출시키고 있어서, 미려한 외관을 갖고 있으나, 용접선 등을 감추고, 보온 및 단열 처리를 위해서, 별도의 단열재를 탱크본체(100)의 구조의 외표면에 도포 후 도색 등에 의해 마감 처리한다.
도 6을 통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사용상태 또는 응용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건축물(10)은 저층 또는 고층의 연립주택, 저층 아파트, 고층 아파트, 주거 환경을 갖는 어떠한 건물로서, 그의 측벽(11)에 앞서 상세히 설명한 시공 방법에 따라 탱크본체(100)를 일체형으로 갖게 된다.
탱크본체(100)에는 소정 시간동안 빗물을 저장하여 대량의 우수가 저장되고, 이렇게 저장된 화장실, 정원수, 청소 등의 중수도용으로 사용된다.
예컨대, 탱크본체(100)에서 장축의 지름이 10m이고, 단축의 반지름이 3m이며, 높이가 45m일 경우, 수치적으로 대략 계산할 때(타원 면적 = π×장축의 반지름 ×단축의 반지름, 체적 = 면적 ×높이), 탱크본체(100)의 체적은 2120 ㎥이므로, 2000톤이 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다.
탱크본체(100)의 물 저장량은 유니트의 장축의 지름과 단축의 반지름을 조절하여 건축물에서 요구하는 적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탱크본체(100)의 상단 내표면에는 수위센서(191)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런 수위센서(191)는 건축물 물 관리 사업소의 물 관리 제어시스템(도시 안됨)에 연결되어 있다.
물 관리 제어시스템은 수위센서(191)에 감지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각종 밸브와 펌프를 작동시켜 항상 적정량의 수위를 유지시키는 통상의 전기 제어시스템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건축물(10)은 미리 지하에 매설된 여분의 중수도 지하 탱크(300)를 더 제공하고, 건축물(10)의 옥상에 설치된 상수도 옥상 탱크 또는 중수도 옥상 탱크(310)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탱크본체(100)에는 원 C로 표시한 옥상의 여과 입수 구조(200)를 통과하는 빗물, 눈이 녹아 만들어진 물이 저장되며, 이런 물이 탱크본체(100)에 만수 되었을 때, 자연압에 의해서 지하 탱크(300)로 공급될 수 있다.
지하 탱크(300)의 수위센서(301)에 만수를 감지하였을 때, 물 관리 제어시스템은 펌프(302)를 작동시켜서, 옥상에 설치된 중수도 옥상 탱크(310) 쪽으로 지하 탱크(300)의 물을 압송시킬 수 있다.
한편, 건축물(10)은 설계 시공시 중수도와 상수도를 병행으로 이용하는 어떠한 배관을 더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탱크본체(100) 또는 지하 탱크(300) 또는 중수도 옥상 탱크(310)가 모두 텅 비어 있을 때, 사용자는 상수도의 물을 중수도 대체용 수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탱크본체(100)의 배면판(103)에 다수로 배관된 출수관과, 이런 출수관에 연결되고 건축물(10)의 벽체구조를 통과하여 각 층, 각 세대의 주택 내부로 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 중수도 배관을 통해서, 화장실, 정원수, 청소 등에 사용할 중수를 공급한다.
도 7은 상기 도 6의 원 C의 확대 단면도로서, 옥상의 여과 입수 구조(200)를 보여 주고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건축물(10)에는 홈통에 연결관 배수로를 차단하고, 오직 건축물(10)의 옥상에 떨어질 눈 녹은 물 및 빗물을 수집할 수 있는 상대적 저지대인 곳에 여과 입수 구조(200)의 입구를 설치하고 있다.
옥상의 바닥 표면(13)은 여과 입수 구조(200)의 입구까지 소정 경사 구배를 갖고, 수지 페인팅에 의해서 매끄럽고 깨끗한 표면을 갖는다.
또한, 여과 입수 구조(200)의 내부에는 월류벽 구조와 다중 여과망을 구비한다.
월류벽 구조에서, 옥상의 바닥 표면(13)과 인접하는 여과 입수 구조(200)에는 이물질(낙엽, 먼지, 모래, 황사 등)과 섞여 있는 빗물, 또는 눈 녹은 물이 소정 낙차를 갖게 입수 내지 떨어지는 입수용 홈(210)이 형성된다.
입수용 홈(210)의 우측에는 약간 높이를 갖는 제1월류벽(2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월류벽(211)의 상부에는 입자가 큰 이물질(낙엽, 모래 등)을 걸러낼 수 있고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의 이물질과 물이 통과할 수 있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청소가 쉬운 통상의 제1여과망(220)이 구비되어 있다.
물이 흘러가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1여과망(220)의 오른쪽에는 차례로 제1여과챔버(230)와 제2여과챔버(240)가 배열된다.
제1여과챔버(230)와 제2여과챔버(240)의 사이에는 제2월류벽(234)이 형성되며, 이때 제2월류벽(234)의 높이는 옥상의 바닥 표면(13)의 레벨보다 낮은 레벨의 위치에 있어서, 자연압에 의해 제1여과챔버(230)의 물이 제2여과챔버(240)로 월류되도록 한다.
제2월류턱(234)의 상단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물만 통과할 수 있는 제2여과망(221)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제2여과망(221)도 상기 제1여과망(220)과 마찬가지로 분해 조립이 용이하게 제2월류턱(234)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제1여과망(220)을 분리한 후, 소정의 청소 도구를 사용할 경우, 제2여과망(221)을 쉽게 분리하여 입수용 홈(210)과 제1, 제2여과챔버(230, 240)를 청소할 수 있다.
제2여과망(221)의 반대쪽으로 제3여과챔버(240)의 우측에는 설치보강패널(102)과 배면판(103)의 입수관 구멍(106b)을 통과하여 탱크본체(100)의 내부로 출구가 배치되게 입수관(260)이 배관되어 있다.
따라서, 하늘에서 건축물(10)의 옥상으로 떨어지는 빗물과 눈 녹은 물은 입수용 홈(210)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제1월류벽(211)을 오버플로우 하고 제1여과망(220)을 통과하여 제1여과챔버(230)로 유입된다.
이때, 물에 함유되어 있는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이물질은 1차적으로 제1여과망(220)에 걸러진다. 계속적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에 따라서, 제1여과망(220)을 통과한 물은 제1여과챔버(230)를 차 오른 후, 제2월류벽(234)을 오버플로우함과 동시에 제2여과망(221)을 통과하여 제2여과챔버(240)로 유입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이물질들이 제2여과망(221)에 걸러지게 된다. 이렇게 다중으로 여과된 우수 또는 자연수(빗물과 눈 녹은 물)는 제2여과챔버(240)에서 입수관(260)을 통해서 탱크본체(100)의 내부로 채워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건축물(10)의 옥상에 비나 눈이 떨어지는 동안 계속됨으로 써, 결과적으로 시간이 갈수록 탱크본체(100)의 내부에는 우수(빗물), 눈 녹은 물자연수가 축적된다.
이렇게 탱크본체(100)에 충전되는 물은 대기 환경이나 건축물의 옥상의 환경에 따라 사람이 음용하지 못하는 물이다.
다만, 본 출원인이 개발한 수조형 간이 정수장치(2003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08789호)를 반타원형 또는 반원형으로서 탱크본체(100)와 합체 될 수 있는 외형을 갖게 개조하고, 본 발명에 조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탱크본체(100)의 다단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단이나 중간 중 어느 곳에든 상기 개조한 수조형 간이 정수장치를 모듈 또는 셀 형식으로 적층시킴으로 써, 우수를 음용 가능한 물을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탱크본체(100)는 단순히 우수를 집수하는 물탱크를 뛰어넘어서 건축물별 정수 처리 시스템으로 병용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탱크본체(100)에는 정수설비용 약품 투입기가 설치될 수 있다. 정수설비용 약품 투입기는 본 출원인에 의해 2003년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11169호에 개시된 바 있는 것으로서, 프로그램 된 제어장치를 통해서 소독 약품을 탱크 내부로 투입시키고, 이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5를 통해서, 탱크본체(100)에 사용되는 제3유니트(130)의 다양한 변형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유니트(130)는 벤딩표면부위(139)에 엠보싱 또는 딤플형의 제1표면 돌출 부위(1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상술한 제1유니트(110) 또는 상기 제2유니트(120)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플랜지 형상을 갖는다.
제1표면 돌출 부위(131)는 다양한 크기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마름모꼴, 다이아몬드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표면 돌출 부위(131)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블랭킹 계열'의 판금 가공, '벤딩 및 포밍 계열'의 판금 가공, '드로잉 계열'의 판금 가공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제작되고, 특히 고무 다이 성형기 또는 폼블록 인장 성형기 등에 의해 대량으로 양산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에서 제3유니트(130)는 주름 형상 또는 골 형상의 제2표면 돌출 부위(132)를 플랜지와 연접하는 벤딩표면부위에 형성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2표면 돌출 부위(132)의 주름 또는 골은 벤딩표면부위에서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을 형성하고,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이 서로 섞여서 형성된다.
특히, 제2표면 돌출 부위(132)가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주름 형상일 경우, 축 하중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한 상, 하 플랜지가 제2표면 돌출 부위(132)의 상, 하부위를 일체형으로 잡아주고 있기 때문에, 수압에 의해서 쉽게 변형되지 않는 매우 튼튼한 구조를 갖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변형예에서 제3유니트(130)는 플랜지와 연접하는 벤딩표면부위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축심의 제3-1표면 돌출 부위(133a)와, 그의 좌측과 우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2표면 돌출 부위(133b) 및, 이런 제3-2표면 돌출 부위(133b)의 상, 하측에서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3표면 돌출 형상(133c)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변형예에서 제3유니트(130)는 상, 하부측 플랜지(플랜지 절곡부위)와 연접하는 중앙표면부위를 3개의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평판 부위(134a)형상을 일체형으로 형성한 후, 둔각을 갖게 접어서 제작한다.
이런 제3유니트(130)는 횡방향으로 절단시 반육각 단면 형상을 갖는다.
물론 상, 하부측 플랜지 절곡부위도 상기 중앙표면부위의 단면 형상(반육각형)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중앙의 평판 부위(134a)를 기준으로 배면방향으로 두 팔 벌린 형상을 갖는다.
각각의 사각 평판 부위(134a)에는 십자, 엑스자 형상의 제4표면 돌출 부위(134b)가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변형예에서 제3유니트(130)는 개별적으로 분리된 세 개의 사각 패널(138a)과 두 개의 삼각 연결부재(138b)로 구성된다.
각각의 사각 패널(138a)과 삼각 연결부재(138b)는 전체적으로 반육각 단면 형상을 갖도록 서로 용접되거나 조립부재인 볼트 및 너트에 의해서 조립된다.
즉, 볼트 및 너트에 조립시, 각각의 사각 패널과 삼각 연결부재의 사이에는 각변에 대응한 면적의 고무 패킹과 같은 밀봉부재가 개재된다.
또한, 사각 패널(138a)의 중앙에는 원형상의 제5표면 돌출 부위(135)가 각각 형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변형예로서의 제3유니트(130)는 반사각 단면 형상을 갖도록 일체형으로 절곡되어서 그의 상부와 하부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있다.
플랜지는 중앙의 표면부위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필요에 따라 플랜지 부위만을 용접에 의해서 표면부위의 네 곳의 주변에 부착시킬 수 있다.
각각의 표면부위에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6표면 돌출 부위(136)들이 형성되며, 제6표면 돌출 부위(136)들은 길쭉한 타원형, 삼각형, 육각형, 직선형, 곡선형, 사선형, 절곡형 형상을 갖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역시 다른 변형예로서, 제3유니트(130)는 전체적으로 삼각형 내지 반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고, 제7표면 돌출 부위(137)를 갖는다.
제7표면 돌출 부위(137)들도 길쭉한 타원형, 삼각형, 육각형, 직선형, 곡선형, 사선형, 절곡형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제3유니트(130)들의 단면형상은 평면 또는 벤딩표면을 조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새로운 변형예로서, 제3유니트(130')는 단순히 표면 형상이 앞서 설명한 제3유니트(130)들과 동일 내지 유사하면서도, 다양한 벤딩표면부위(139')와 표면 돌출 부위를 갖지만, 무엇보다도 특이한 부위는, 유니트를 배면방향으로 투영할 경우, 투영면적에 대응한 크기의 직사각형 배면판(136b)을 좌, 우측 플랜지 절곡부위의 배면에 용접되어 있어서 관체 형상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런 특징을 갖는 새로운 제3유니트(130')는 수직한 방향으로 하부와 상부가 관통되어 있다. 이는 하부가 관통되지 않은, 즉 원호부위바닥면(176a)으로 막혀있는 상기 베이스유니트(170)(도 4 참조)와 약간 다른 점이다.
이런 새로운 제3유니트(130')는 탱크본체를 형성하기 전 유니트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유니트들보다 구조적으로 더욱 큰 강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운반 시에도 그의 형상이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상기 모든 표면 돌출 부위(131, 132, 133a, 133b, 133c, 134b, 135, 136, 137)들은 표면 함몰 부위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에서는 콘크리트 블록형의 제4유니트 또는 벽돌을 조적식으로 쌓아 올려 탱크본체를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16까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탱크본체를 콘크리트 블록 조적식 시공방법에 의해 형성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블록형 제4유니트(140)를 사용한다.
콘크리트 블록형 제4유니트(140)는 앞서 설명한 반타원형, 반원형, 사각형, 삼각형, 반육각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갖게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성형된다.
콘크리트 블록형 제4유니트(140)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절곡형 테두리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콘크리트 블록형 제4유니트(140)는 축방향으로 유니트의 두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철근 체결용 구멍(14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제4유니트(140)의 좌, 우측 주변의 배면에서 원주면으로, 상기 제1철근 체결용 구멍(141)들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2철근 체결용 구멍(142)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1철근(143)들은 콘크리트 지지부재로서, 탱크본체(100)의 축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앞서 설명한 콘크리트 기저부의 철근과 연장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4유니트(140)를 조적식으로 쌓아 올려 시공할 때, 제1철근 체결용 구멍(141)에 각각 체결된다.
이런 경우, 제4유니트(140)들은 콘크리트 기저부로부터 다단계로 조적식으로 쌓아 올려진 후,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인접하는 테두리 표면에 통상의 콘크리트 접착제, 콘크리트 몰타르 등과 같은 콘크리트 연결부재 내지 고착수단을 개재시켜서, 콘크리트 양생 후 유니트들끼리 서로 고착되게 하며, 그 결과, 고층 건축물의 높이까지 연장되면서 탱크본체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고층 건축물의 측벽에 다수의 앵커볼트 및 스터드볼트를 설치하거나, 건축물의 콘크리트 시공시 보강 철근(144)들을 건축물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여기에서, 앵커볼트, 스터드볼트, 보강 철근(144)은 또 다른 콘크리트 지지부재이다. 상기 돌출된 상기 고정볼트 또는 보강 철근(144)들은 제2철근 체결용 구멍(142)에 삽입되어 상기 콘크리트 연결부재(콘크리트 접착제, 콘크리트 몰타르), 볼트 너트 결합 수단 등에 의해서 제1철근(143)과 결합되거나, 또는 용접에 의해서 용접된다.
이후, 제4유니트(140)에 의한 탱크본체의 내표면 부위에는 누수를 방지할 목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여 라이닝 시공이 된다.
물론, 제4유니트(140)들은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시에 콘크리트와 철제 거푸집(스테인레스 스틸 거푸집)을 샌드위치 구조로서 일체형을 이루게 만든 새로운 변형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별도의 라이닝 시공이 필요하지 않는다. 또한, 시공경제상, 물이 실제 닿는 내표면은 스테인레스 스틸의 철제 거푸집이 놓이게 되고, 물이 닿지 않는 외표면은 일반 스틸의 철제 거푸집이 사용된다.
이때, 스테인레스 스틸의 철제 거푸집은 콘크리트 양생후 콘크리트와 일체형이 되도록, 거푸집의 각종 돌출 부위가 콘크리트와 접촉하도록 배치하며, 이에 반해 일반 스틸 철제 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 후 쉽게 양생된 콘크리트로부터 분리되도록, 매끄러운 표면이 콘크리트와 접촉하도록 하면 된다.
이렇게 스테인레스 철제 거푸집 일체형 제4유니트(140)는 별도의 라이닝 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단순 용접 작업에 의해 기밀한 내표면을 탱크본체에 제공하게 된다.
이런 조적식 탱크본체도 역시 단열재와 마감재로 감싸지거나, 그의 외표면이 도색 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에서는 건축물의 콘크리트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콘크리트 철근 재질의 탱크본체를 제공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6과 도 17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탱크본체(100)는 건축물(10)의 철근 및 콘크리트 타설시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런 경우, 제3실시예에 따른 탱크본체(100)는 콘크리트 일체형 시공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건축물(10)의 외벽체(14)로서 형성된다.
건축물(10)의 외벽체(14)의 단면형상은 반타원, 반원, 반사각형, 삼각형, 반육각형, 반달형으로서, 외벽체(14)의 내부에도 반타원, 반원, 반사각형, 삼각형, 반육각형, 반달형의 공간이 형성되어, 이 공간에 빗물이 저장 및 보관된다.
이런 외벽체(14)는 일반적인 건축물의 콘크리트 및 철근 시공방법과 같이, 건축물의 측벽과 함께 높이 방향으로 시공되고, 탱크본체(100)로 형성 후 단열재로 감싸지거나 도색 된다.
콘크리트 탱크본체(100)의 하부에는 각종 배관을 갖는 콘크리트 기저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콘크리트 기저부의 상부로 외벽체(14)의 내부에는 앞서 설명한 베이스유니트(170)가 안착되게 된다.
물론, 콘크리트 탱크본체(100)의 내표면에는 통상의 스테인레스 라이닝 시공방법에 의해서 스테인레스 스틸이 라잉닝 시공되거나, 각종 수지 코팅 내지 도료 등으로 페인트가 칠해진다.
그리고, 콘크리트 탱크본체(100)의 외표면은 건축물의 도료나 코팅 마감재 등과 동일한 마감재를 칠하여,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게 된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에서는 합성수지 패널 시공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합성수지재질의 제5유니트를 볼트 및 너트로 결합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22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탱크본체(100)는 합성수지 패널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제5유니트(150)들로 조립 시공된 것으로서, 강도는 스테인레스 스틸보다 약간 떨어지지만, 용접장치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단순 조임 공구와 조립부재인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여 조립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5유니트(150)는 앞서 설명한 유니트와 동일 내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판금 공법이 아닌 플라스틱 몰딩 공법에 의해서 스테인레스 스틸의 유니트들보다 더욱 미려하고 화려하며 복잡한 입체 형상을 갖고 있다.
제5유니트(150)는 FRP, SMC, 유리강화섬유 등 어떠한 구조재용 합성수지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랜지 절곡부위(152, 153)는 벤딩표면부위(151)와 일체형으로 몰딩 성형되며, 각각 플랜지 절곡부위에는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 구멍들이 형성된다.
각각의 제5유니트(150)들은 조립 시공시, 인접하는 주변의 사이에 수밀 재질 또는 고무 재질의 밀봉부재(154 : 패킹)가 개재된다.
또한, 제5유니트(150)들로 만들어진 탱크본체(100)의 탱크상판에는 별도의 건물용 환풍기(155)들과 맨홀(출입문)을 탱크상판(190)에 더 구비시킬 수 있다.
건물용 환풍기(155)들과 맨홀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서, 앞서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5유니트(150)들로 조립 시공된 탱크본체(100)의 외표면에는 단열 및 보온을 위한 마감재나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발포형 기포벽돌 내지 발포형 마감재 등이 도포되어서, 화려하고 미려한 질감을 갖게 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10)의 측벽(11) 외표면에는 앵커볼트, 스터드볼트 등에 의해서 설치보강패널(102)이 밀착되게 고정된다.
설치보강패널(102)의 좌, 우측 주변에는 제5유니트(150)들을 향하는 쪽 주변에 다수의 볼트 구멍(102a)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볼트구멍(102a)들은 제5유니트(150)의 합성수지재질 또는 스테인레스재질의 배면판(103)에 형성된 관통구멍(103a)들과, 배면쪽 패킹(156)의 관통구멍(156a)들과, 제5유니트(150)의 좌, 우측 플랜지 절곡부위에 형성된 관통구멍(150a)들과 각각 모두 일치한다.
상기 구멍(102a, 103a, 156a, 150a)들에는 조립볼트가 체결되고, 설치보강패널(102)에서 너트가 조여짐으로써, 제5유니트(150)와 패킹(156)과 배면판(103)과 설치보강패널(102)이 상호 고정된다.
그리고, 제5유니트(150)의 상, 하부의 플랜지 절곡부위(152, 157)와 상, 하부쪽 패킹(도시 안됨)에도 서로 일하는 관통구멍들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단계로 적층시공되면서 볼트 및 너트에 조립된다.
도 20은 제5유니트(150')의 변형예를 이용하여 유니트 삽착형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변형된 제5유니트(150')는 유니트의 두께보다 약간 더 협소한 구멍의 상부(158)와, 이런 상부(158)의 외경을 삽입시킬 수 있는 내경 크기를 갖는 하부(159)로 이루어져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볼트 조립용 유니트이다.
각각의 변형된 제5유니트(150')의 상부(158)와 하부(159)에는 볼트 시공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구멍들이 서로 일치하고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런 변형된 제5유니트(150')의 하부(159) 내경에는 패킹(154a)을 개재한 상태에서 다른 제5유니트(150")의 상부(158")가 삽입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 삽착 시공형 탱크본체를 이루게 된다.
특히, 변형된 제5유니트(150, 150")의 좌, 우측 주변에는 폭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조립 부위(150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곳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구멍을 통해서 설치보강패널에 볼트 시공된다.
또한, 변형된 제5유니트(150, 150")의 벤딩표면부위에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형상의 표면 돌출 및 함몰 부위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변형된 제5유니트(150, 15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서 또 다시 변형 제작 후, 용접에 의해 서로 축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들의 탱크본체(100)의 외표면에는 앞서 언급한 단열재를 개재한 상태에서 박판으로 마감하는 것을 비롯하여, 단열과 시공의 용이성을 모두 만족하는 발포형 기포벽돌 내지 발포형 마감재(108) 등이 도포된다.
이때, 발포형 기포벽돌 내지 발포형 마감재(108)는 상기 유니트(110)의 외표면에 고착되어서, 내구성, 단열성, 방음성, 표면 질감, 도색성을 증가시키는 매우 뛰어난 마감소재로서, 세라믹타일, 스톤코트, 드라이피트 등이 있다.
물론 마감재(108)의 외표면에는 건축물과 동일 내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색상과 질감을 갖는 일반 도색이 칠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탱크본체(100)의 외표면에는 높이방향으로 소정 높이 간격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핸드레일(400)이 설치되어 있고, 핸드레일(400)을 연결하는 연결사다리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탱크상판(190)의 외부쪽 테두리에는 안전을 위해서 수직하게 핸드레일 또는 난간(4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난간(410) 또는 핸드레일(400)은 탱크본체(100)의 유지 보수, 청소 및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지면에서 건축물의 옥상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탱크본체(100)의 외표면에 고정된 수직형 사다리, 또는 옥상쪽에서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양한 종류의 사다리(수직형, 레일형, 나선형)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5실시예>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에서는 지지빔을 이용한 시공원리와 제6유니트 및 각종 부가 구성 요소들이 제공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실시예들과 동일 내지 유사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27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2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지지빔을 이용한 시공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에서 제6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들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해치형 출입문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6과 도 27은 본 발명의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다른 사용상태도들이다.
도 23과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측변 외표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빔, 즉 'I'자 수직 지지빔(161)이 반타원형, 반원형, 반사각형, 삼각형, 반육각형 형상을 갖도록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열된다.
이들 수직 지지빔(161)들은 지면 또는 콘크리트 기저부(180)에서 건축물의 옥상까지 축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이들 수직 지지빔(161)들의 소정 높이 간격에는 원호형상(반타원, 반원을 포함), 사각형상, 반육각형상, 삼각형상의 가로 지지빔(162)들이 상기 수직 지지빔(161)들과 용접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후, 수직 지지빔(161)들의 사이에는 소정 길이와 폭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트립 코일(163)이 삽입된 후, 스트립 코일(163)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펼쳐지면서 각각의 수직 지지빔(161) 또는 가로 지지빔(162)의 내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약간의 판금작업과 양 끝단부를 용접하는 용접작업을 현장에서 직접 수행하여 제6유니트(160)로 하여금 반원형, 반타원형, 반육각형, 반사각형, 삼각형 등의 형상을 갖게 한다.
제6유니트(160)는 기본적으로 플랜지가 없는 것으로서, 상호 용접 및 볼트 시공에 의해서 다단으로 연결되어 탱크본체(100)를 형성하게 된다.
제6유니트(160)는 수직 지지빔(161) 또는 가로 지지빔(162)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경우에 따라, 수직 지지빔(161) 또는 가로 지지빔(162)은 제6유니트(160)의 안쪽에 배열될 수 있다.
앞서 유니트들처럼 제6유니트(160)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될 수 있다.
물론 탱크본체(100)의 하단에 베이스유니트가 배치되며, 그의 최 상단에는 탱크상판(190)이 용접되는 것은 앞서의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탱크본체(100)는 탱크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하는데 사용하는 내부 사다리(420 : 수직형, 나선형, 핸드레일형)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단 또는 중간단 또는 상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치형 출입문(430)이 결합되어 있다.
해치형 출입문(430)은 다수의 스터드볼트와 너트 결합에 의해서 도어(431)를 도어 구멍(432) 주위에 탈부착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압력 용기에 사용되는 사용자 출입문이다.
해치형 출입문(430)은 베이스유니트를 비롯하여, 모든 다단의 유니트에 적용되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건축물(10)의 측벽(11)에 지지되는 본 발명의 탱크본체(100)는 고층 건축물뿐만 아니라, 복층 이상이지만 저층(2층에서 6층 정도)의 건축물에도 사용 가능하다하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연립주택인 경우, 지하층을 비롯하여 3에서 4층 정도의 높이를 갖고, 화단 내지 건축물 사이공간이 연립주택의 측벽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탱크본체(100)는 연립주택과 같은 저층 건축물(10)의 측벽을 지지기반으로 하는 반원형, 반타원형, 사각형, 삼각형, 반육각형으로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는 구조물로서 설치 가능하다.
탱크본체(100)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방식으로 다양하게 설치 가능하며, 저층 건축물의 옥상에 모이는 우수를 앞서 설명한 여과 입수 구조(200)로 집수하여 저장한다.
또한, 탱크본체(100)는 저층 건축물(10)의 모든 세대별로 배관을 구비함으로 써, 거주자들로 하여금 각종 중수 개념의 용수로 상기 저장한 빗물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비례하여 수돗물을 아낄 수 있게 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탱크본체(100)는 건축물의 양쪽 측벽을 사용하고, 또한 두개 이상의 측벽을 갖는 건축물(10)에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고층 건축물이 삼각형 구조로 형성될 경우, 적어도 3개 이상의 측벽이 단순 지지벽 형태로 형성됨으로 써,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탱크본체(100)는 다수개로 설치 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는 도시지역에서 우수를 집수하여 보관함으로써, 환경 미화, 가로수 물 공급, 가정의 중수도, 도심 내부의 자연 생태 공간에 필요한 물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도시지역의 물 순환 체계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는 터파기 공사 등 별도의 토목 공사를 요구하지 않아 매우 경제적 시공이 가능함과 동시에, 협소한 설치 면적에 대용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신개념의 우수 집수 설비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는 플랜지 절곡구조를 갖게 제작한 스테인레스 스틸의 유니트를 적층 및 용접시공 함에 있어 건축물의 측벽을 지지기반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높은 높이를 가지면서도 고층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면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종 시공방법을 통해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구조적 강성이 큰 경량 구조물로서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는 스테인레스강, 듀플렉스강과 같이 내식성, 내구성, 내충격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반 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므로 전체 경제성을 따져볼 때 매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는 자연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도심지 물 고갈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면서 환경 친화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는 스테인레스 패널 용접 시공, 콘크리트 일체형 시공, 콘크리트 블록 조적식 시공, 합성수지 패널 시공, 유니트 삽착형 시공, 지지빔을 이용한 시공, 볼트 조립식 시공 등과 같은 다양한 시공 방법에 의해서 건축물에 맞게 축조되어 다양한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는 다중으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 입수 구조를 통해 비교적 깨끗하게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는 탱크본체에 수조형 간이 정수장치를 모듈 또는 셀 형식으로 적층시킴으로 써, 우수를 음용 가능한 물을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는 듀얼 콘형 구조로서 수압에 견디면서도 침강하는 우수에 혼합된 각종 이물질을 분리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 배출구조의 베이스유니트, 핸드레일, 출입문, 사다리 등의 부가 시설을 통해서, 청소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우수에 섞인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배치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설치보강패널과 배면판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제1유니트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b 내지 도 3e는 도 3a에 도시된 원 A 단면의 다양한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3f는 제2유니트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g 내지 도 3k는 도 3f에 도시된 원 B 단면의 다양한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콘크리트 기저부와 베이스유니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도시된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스테인레스 패널 용접 시공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원 C의 확대 단면도,
도 8 내지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제3유니트의 다양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콘크리트 블록 조적식 시공을 설명하기 위한 제4유니트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콘크리트 일체형 시공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합성수지 패널 시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확대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에서 제5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들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20은 제5유니트의 변형예를 이용한 유니트 삽착형 시공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마감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확대도,
도 22는 본 발명의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핸드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지지빔을 이용한 시공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에서 제6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들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해치형 출입문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6과 도 27은 본 발명의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의 다른 사용상태도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건축물 11 : 측벽
100 : 탱크본체 110 : 제1유니트
120 : 제2유니트 130 : 제3유니트
140 : 제4유니트 150 : 제5유니트
160 : 제6유니트 170 : 베이스유니트
180 : 콘크리트 기저부 190 : 탱크상판

Claims (32)

  1. 삭제
  2. 우수를 집수하기 위한 물 저장공간을 갖되, 상기 건축물과 조화롭게 설치되도록, 상기 측벽에 지지되는 쪽을 배면에 일치시킨 반달형, 반타원형, 반원형, 반사각형, 반육각형 및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의 구조재와;
    상기 구조재를 적층 및 용접하여 시공하여 상기 측벽 전반을 지지 기반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측벽 주위의 지면으로부터 상기 건축물의 옥상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탱크본체(100)를 포함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에 있어서,
    상기 구조재는 원호 형상 또는 아치형상으로 만곡된 벤딩표면부위(111)와, 상기 벤딩표면부위(111)와 동일하게 만곡되면서도 상기 벤딩표면부위(111)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수직하게 일체형으로 바깥쪽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상하 플랜지(112, 113)들과, 상기 벤딩표면부위(111)의 양측 끝단에서 장축의 지름 방향과 일치하도록 각각 일체형으로 바깥쪽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좌우 플랜지(114, 115)들로 이루어져 있는 제1유니트(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3. 우수를 집수하기 위한 물 저장공간을 갖되, 상기 건축물과 조화롭게 설치되도록, 상기 측벽에 지지되는 쪽을 배면에 일치시킨 반달형, 반타원형, 반원형, 반사각형, 반육각형 및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의 구조재와;
    상기 구조재를 적층 및 용접하여 시공하여 상기 측벽 전반을 지지 기반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측벽 주위의 지면으로부터 상기 건축물의 옥상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탱크본체(100)를 포함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에 있어서,
    상기 구조재는 원호 형상 또는 아치형상으로 만곡된 벤딩표면부위(121)와, 상기 벤딩표면부위(121)와 동일하게 만곡되면서도 상기 벤딩표면부위(121)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수직하게 일체형으로 안쪽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상하 플랜지(122, 123)들과, 상기 벤딩표면부위(121)의 양측 끝단에서 장축의 지름 방향과 일치하도록 각각 일체형으로 안쪽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좌우 플랜지(124, 125)들로 이루어져 있는 제2유니트(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4. 우수를 집수하기 위한 물 저장공간을 갖되, 상기 건축물과 조화롭게 설치되도록, 상기 측벽에 지지되는 쪽을 배면에 일치시킨 반달형, 반타원형, 반원형, 반사각형, 반육각형 및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의 구조재와;
    상기 구조재를 적층 및 용접하여 시공하여 상기 측벽 전반을 지지 기반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측벽 주위의 지면으로부터 상기 건축물의 옥상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탱크본체(100)를 포함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에 있어서,
    상기 구조재는 상, 하부측 플랜지와 연접하고 둔각을 갖게 접어진 3개의 사각형 평판 부위(134a)로서, 반육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3유니트(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5. 우수를 집수하기 위한 물 저장공간을 갖되, 상기 건축물과 조화롭게 설치되도록, 상기 측벽에 지지되는 쪽을 배면에 일치시킨 반달형, 반타원형, 반원형, 반사각형, 반육각형 및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의 구조재와;
    상기 구조재를 적층 및 용접하여 시공하여 상기 측벽 전반을 지지 기반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측벽 주위의 지면으로부터 상기 건축물의 옥상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탱크본체(100)를 포함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에 있어서,
    상기 구조재는 개별적으로 분리되고 원형상의 제5표면 돌출 부위(135)가 각각 형성된 세 개의 사각 패널(138a)과,
    상기 사각 패널(138a)의 사이에 배열되는 두 개의 삼각 연결부재(138b)와,
    상기 사각 패널(138a)과 상기 삼각 연결부재(138b)의 접촉면 사이에 개재된 밀봉부재와,
    상기 사각 패널(138a)과 상기 삼각 연결부재(138b)와 상기 밀봉부재를 볼트 및 너트와 용접에 의해서 조립시킨 제3유니트(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6. 우수를 집수하기 위한 물 저장공간을 갖되, 상기 건축물과 조화롭게 설치되도록, 상기 측벽에 지지되는 쪽을 배면에 일치시킨 반달형, 반타원형, 반원형, 반사각형, 반육각형 및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의 구조재와;
    상기 구조재를 적층 및 용접하여 시공하여 상기 측벽 전반을 지지 기반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측벽 주위의 지면으로부터 상기 건축물의 옥상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탱크본체(100)를 포함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에 있어서,
    상기 구조재는 원호 형상 또는 아치형상으로 만곡된 상기 벤딩표면부위의 주변에서 일체형으로 절곡된 플랜지를 갖고, 상기 벤딩표면부위의 배후 부위를 밀봉하는 직사각형 배면판(136b)을 갖고, 상부와 하부에 관통된 관체 형상의 제3유니트(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7. 우수를 집수하기 위한 물 저장공간을 갖되, 상기 건축물과 조화롭게 설치되도록, 상기 측벽에 지지되는 쪽을 배면에 일치시킨 반달형, 반타원형, 반원형, 반사각형, 반육각형 및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의 구조재와;
    상기 구조재를 적층 및 용접하여 시공하여 상기 측벽 전반을 지지 기반으로 사용하도록, 상기 측벽 주위의 지면으로부터 상기 건축물의 옥상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탱크본체(100)를 포함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에 있어서,
    상기 구조재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바닥과 배면과 벤딩표면부위(171)로 반달형, 반원형, 반사각형, 반타원형, 반육각형, 삼각형 및 원호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형성한 탱크 형상과; 상기 벤딩표면부위(171)에서 일체형으로 절곡된 상, 하, 좌, 우 플랜지(172, 173, 174, 175)와; 상기 탱크 형상의 내부에서 수압에 견디면서도 침강하는 우수에 혼합된 각종 이물질을 분리 배출시키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 제1콘형 구조물(177)과 제2콘형 구조물(178)을 갖는 슬러지 배출구조로 이루어진 베이스유니트(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8. 제2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니트(110)와 상기 제2유니트(120)와 상기 제3유니트(130, 130')와 상기 베이스유니트(170) 각각은 'ㄱ'형, 'ㄴ'형, 'ㄷ'형, 'ㅁ'형, 'ㅇ'형 및 삼각형 단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게 벤딩표면부위(111, 121)에서 일체형으로 절곡된 플랜지(112, 112a, 112b, 112c, 112d, 122, 122a, 122b, 122c, 122d)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9. 제2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니트(110)와 상기 제2유니트(120)와 상기 제3유니트(130, 130')와 상기 베이스유니트(170) 각각은 엠보싱 또는 딤플형의 제1표면 돌출 부위(131)와, 주름, 골 형상의 제2표면 돌출 부위(132)와, 십자, 엑스자 형상의 제4표면 돌출 부위(134b)와, 원형상의 제5표면 돌출 부위(135)와, 길쭉한 타원형, 삼각형, 육각형, 직선형, 곡선형, 사선형, 절곡형의 제6표면 돌출 부위(136)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10. 제2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100)의 바닥면을 지지도록 상기 탱크본체(10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표면적을 갖고, 상기 탱크본체(100)와 관통하게 연결된 배관을 구비한 콘크리트 기저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11. 제2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재는 최 상단 제1유니트(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반원형, 반타원형, 반사각형, 반육각형 및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탱크상판(190)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12. 삭제
  13. 삭제
  14. 제2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100)는 세라믹타일, 스톤코트, 드라이피트 및 발포형 기포벽돌 중 어느 하나로 된 마감재(108)로 덮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03-0029485A 2003-05-09 2003-05-09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KR100523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485A KR100523751B1 (ko) 2003-05-09 2003-05-09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485A KR100523751B1 (ko) 2003-05-09 2003-05-09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380U Division KR200322504Y1 (ko) 2003-05-09 2003-05-09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543A KR20040095543A (ko) 2004-11-15
KR100523751B1 true KR100523751B1 (ko) 2005-10-26

Family

ID=3737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485A KR100523751B1 (ko) 2003-05-09 2003-05-09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342B1 (ko) 2012-08-09 2014-01-23 (주) 하나환경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223B1 (ko) * 2009-07-23 2010-03-29 (주)동명산업 조립식 물탱크용 하부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342B1 (ko) 2012-08-09 2014-01-23 (주) 하나환경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543A (ko) 2004-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6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collection, retention and redistribution of rainwater and methods of construction of the same
US7603823B2 (en) Wall panel and wall panel system
JP3771937B2 (ja) 水の保存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80149188A1 (en) Modular blocks for rainwater recovery system
CN205444984U (zh) 拼装式环卫室
CN105735406A (zh) 一种公共建筑屋面雨水利用收集和储存装置
US201200005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Collection, Retention, and Redistribution of Rainwater and Methods of Construction of the Same
KR101143511B1 (ko) 우수저류조
KR100523751B1 (ko)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KR200322504Y1 (ko) 건축물 일체형 우수 집수탱크
CN201695511U (zh) 雨水回收储水装置
KR102517879B1 (ko) 모듈형 조립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재순환형 리사이클링 패시브 하우스
WO2007016721A1 (en) Storage of water, rainwater or grey water or other liquids beneath a concrete floor slab
KR100486852B1 (ko) 저장탱크를 이용한 배수지
AU2006101080B4 (en) Water collection system
WO2022054084A1 (en) Rain water supply and storage gravity system
JP5360446B1 (ja) 鉄筋コンクリートスラブ内における雨水貯留構造
JP2007303203A (ja) 建物
KR200399673Y1 (ko) 빗물 저장탱크
KR200321334Y1 (ko) 콘크리트 철제패널 일체형 다중 격벽 물탱크
CN210563042U (zh) 可收集雨水落水管
KR20050004976A (ko) 보강 샌드위치 벽체구조를 갖는 정수처리 탱크
Besjak et al. New Heights in Sustainability— Pertamina Energy Tower
WO2005111324A1 (en) Water storage means
AU2005225106B2 (en) Water storage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