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246B1 -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 - Google Patents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246B1
KR100523246B1 KR10-2003-0045239A KR20030045239A KR100523246B1 KR 100523246 B1 KR100523246 B1 KR 100523246B1 KR 20030045239 A KR20030045239 A KR 20030045239A KR 100523246 B1 KR100523246 B1 KR 100523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weight
block
perlite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3749A (ko
Inventor
박노일
Original Assignee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박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박노일 filed Critical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5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246B1/ko
Publication of KR20050003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의 복원에 사용되는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미큐라이트 40 ∼ 60중량%, 퍼라이트 20 ∼ 30 중량%, 세피오라이트 10 ∼40 중량%로 구성되는 다공성 광물 혼합재; 상기 다공성 광물 혼합재 80 ∼ 98 중량%에 2 ∼ 20 중량%의 복합비료를 혼합하여 제조된 배양토; 상기 배양토를 생분해성 식물성 섬유소재의 그물망에 식생 복원용 식물의 종자와 함께 블록 형태로 포괄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SOIL BLOCK FOR VEGETATION RECOVERY}
본 발명은 토양의 복원에 사용되는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에 관한 것으로, 식물성 섬유재로 블록 형상의 그물망을 구성한 다음, 그 내부에 버미큐라이트, 퍼라이트, 세피아라이트의 다공성 인공토양 조성물과 식물의 종자를 충전하여, 노출된 토양의 복원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도시와 도로망이 발달함에 따라 토양층이 노출된 절개지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의 복원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식물의 종자를 직접 파종하거나 잔디의 떼를 옮겨 식재하는 방법은 가장 고전적인 방법이면서도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발아 및 증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비에 의하여 종자가 유실되거나 미처 증식하지 못한 식생이 쉽게 파괴되는 것이 단점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시트지에 잔디씨를 포괄시킨 후 짚 등의 보호층으로 적층하여 경사지 등에 덮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 방법의 경우 발아와 최초 착지는 비교적 용이하지만, 토양층에 식생이 밀착하여 자라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잔디의 생장에 필요한 비료나 물을 분산시켜 공급할때 일부만이 흡수되고 대부분이 낭비되며, 수분이 쉽게 증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토양 침식 방지용 매트를 설치 및 고정한 후, 그 위에 식물의 종자와 흙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살포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토양 침식 방지용 매트를 설치하는 작업과, 종자와 토양을 살포하는 작업의 2 단계의 작업이 필요하므로 시공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들어, 시공단계에서 부터 식생기반재, 토양안정제, 천연보습제, 배합비료 등을 집중적으로 사용하여 복원하는 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시공 및 관리가 까다롭고 이러한 방법 역시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 발명의 구성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물성 섬유재로 블록 형상의 그물망을 구성한 다음, 그 내부에 버미큐라이트, 퍼라이트, 세피아라이트의 다공성 인공토양 조성물과 식물의 종자를 충전하여, 노출된 토양의 복원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토양의 복원에 사용되는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미큐라이트 40 ∼ 60중량%, 퍼라이트 20 ∼ 30 중량%, 세피오라이트 10 ∼40 중량%로 구성되는 다공성 광물 혼합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광물 혼합재 80 ∼ 98 중량%에 2 ∼ 20 중량%의 복합비료를 혼합하여 배양토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양토를 생분해성 식물성 섬유소재의 그물망에 식생 복원용 식물의 종자와 함께 블록 형태로 포괄시켜 블록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
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식생 복원에 사용되는 식물의 발아 와 정착이 용이한 초본 식물 배양토 블록을 제시하고자 한다. 식생 복원에는 다양한 형태의 식물이 사용된다.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양잔디와 재래종 잔디 등 잔디종이 있고, 복원하고자 하는 토양의 성상에 따라, 다양한 초본류와 목본류가 사용된다. 또한, 복원하고자 하는 대상이 하천이면 갈대류 등도 사용된다.
상기한 복원용 식물들은 그 자체로도 뛰어난 생장능력을 가진것들이 사용되나, 대체로 복원하고자 하는 대상 토층이 척박한 환경인 경우가 많으므로 복원 후 집중적으로 관리하며, 특히 식물의 빠른 정착을 위하여 시공 단계에서 부터 식생기반재, 토양안정제, 천연보습제, 배합비료 등을 집중 투입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식물의 정착과 식생의 복원이 매우 빠른 장점이 있지만, 비용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것이 단점이다.
본 발명에서는 식생기반재, 토양안정제, 보습제, 배합비료를 시공 단계에서 부터 집중 투입하는 방법의 장점을 인지하고, 이들 시공 소재의 기능을 생분해성 식물성 그물망과 그 내부에 포괄되는 버미큐라이트, 퍼라이트, 세피오라이트의 다공성 광물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본 발명의 버미큐라이트는 질석이라고도 하며, 이의 주요화학성분은 Mg, Fe, Al,Si,O로서 알루미늄, 마그네슘, 철의 수산화규산염으로 된 점토광물이다. 굳기는 1∼2 이며 비중 2.76으로, 회백색 또는 갈색에 진주 광택이 나는 광물이다. 질석은 산에 쉽게 분해되고 양이온 교환능력이 크며, 가열하면 팽창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문암 지대에 속해 있는 광산에서 산출된다.
특히, 질석은 다공질이며, 흡수 능력이 좋아서 내열재료 및 방음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버미큐라이트의 보습능은 내부에 존재하는 무수한 기공이 수분을 유지시켜 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버미큐라이트의 다공성은, 버미큐라이트를 약 300℃ 이상의 고온으로 급격히 가열할 경우, 원래 두께의 20배까지 팽창하는 성질을 이용한것이다. 팽창된 질석은 비중이 0.09보다 작을 정도로 가벼우므로 운반과 이동이 용이하여 경사면과 같이 절개된 토양에 이용할때 시공이 편리하다.
퍼라이트는 화산 활동으로 발생한 용암이 급속히 냉각되어 생성된 유리질 암석으로 2.5%의 결정수를 함유하고 있는 광물이다. 퍼라이트도 버미큐라이와 유사하게 871℃ 이상의 온도에서 급속히 가열하면 결정수가 기화되면서 팽창 퍼라이트라는 가벼운 다공성 입자로 발포된다.
퍼라이트는 건자재, 농원예, 여과 조제에 적용되고 있고, 진주처럼 납빛을 가지며 보통 회색이거나, 약간 푸르스름하나 갈색이나 청색 혹은 적색을 가지는 것도 존재한다. 크게 퍼라이트라고 불리워지는 광물에는 Obsidian(흑요석), Perlite(진주암), Pitch stone(송지암)등이 있으며, 이러한 모두를 통상적으로 퍼라이트라고 칭하기도 한다. 또한 일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팽창시킨 팽창퍼라이트(expanded perlite)도 퍼라이트라고, 하며 통상적으로 말하는 퍼라이트(perlite)란 이러한 팽창퍼라이트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도 이러한 팽창 퍼라이트를 이용하였다.
팽창퍼라이트는 식물이 생육하기에 매우 적합한 물리성 즉, 공극율이 70% 이상으로 높은 통기성을 가지고 있고, 투수계수가 10-3cm/sec 이상으로 높은 배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식물에 필요한 수분함량인 유효수분(0.03∼15기압)값이 40% 이상으로 높은 수분보유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10㎛ 내외의 공극과 500 ㎡/g의 높은 비표면적 때문에 미생물이 서식하기에 매우 좋은 환경을 제공하여 미생물 담체로도 많이 쓰이며, 식물생육시 식물과 공생하여 유용한 물질 및 좋은 서식환경을 조성하는 미생물이 잘 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퍼라이트는 주로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미생물계를 구성하는 용도로 이용하였다.
세피오라이트는 섬유상의 함수 규산마그네슘 광물에 속하며 섬유상과 토상으로 분류될 수 있다. 토상분은 부분적으로 섬유상 구조를 갖는 점토이다. 일반적으로 백색이 아닌 회색 다갈색으로 섬유상 이외에 괴상 판상 점토상으로 산출된다. 화학조성은, SiO2 55.7%, MgO 24.9%, H2O 19.4% 이며 산지는 스페인, 미국, 중국이 대표적이다.
세피오라이트는 비표면적이 커서( 230 - 380m2/g) 결정구조의 미세기공에 의해 가스를 흡착할 수 있으며 가공처리에 의해 액체 흡착력이 상승된다. 따라서, 또한, 단열성이 좋아 식물의 뿌리에 급격한 온도 변화를 막아주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버미큐라이트가 쉽게 부스러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비하여, 세피오라이트는 점도 증진의 효과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상호 보완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다공성 광물의 각각의 기능은 버미큐라이트 40 ∼ 60중량%, 퍼라이트 20 ∼ 30 중량%, 세피오라이트 10 ∼40 중량%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다공성 광물은 보습성, 보온성, 점성 등의 특성은 일반 토양에 비하여 매우 탁월하나, 식물의 생장에 필수적인 영양 성분은 부족하므로 상기 다공성 광물로 구성된 다공성 광물 혼합재에 일정 정도의 복합비료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고, 그 비율은 2 내지 20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였다.
복합 비료는 사용하는 식물에 따라 다른 종류의 것을 사용해야 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비료의 종류 및 사용법은 당해 분야에서는 통상적으로 알려져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언급을 생략한다.
상기한 다공성 광물 혼합재와 복합 비료를 혼합한 배양토는,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11)으로 제조된다. 도 1의 블록(11)은 식물성 소재의 섬유를 이용하여 블록 형태의 그물망으로 제조한 다음 여기에 배양토와 식물의 종자를 포괄한 것으로서, 이러한 형태의 그물망은 통상적인 편직기나 직조기를 이용하면 손쉽게 제조할 수 있고, 여기에 사용되는 식물성 섬유는 면직물 등 각종 식물의 섬유소로 직조된 것이면 충분하다.
도 2는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11)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식물성 소재의 그물망(21)에 배양토(22)와 식물의 종자(23)가 포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배양토 블록(11)을 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것으로서, 경사면(3) 형태의 절개지에 블록(11)을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1 :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을 이용한 식생 복원예
30o의 경사와 5 m2의 면적을 가지는 경사면에 본 발명의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을 시공한 후, 성장 속도를 뗏장으로 이식한 양잔디와 비교하였다.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은 경사면에 시공한 후 하루 1회씩 물을 분무해주었고, 동일한 양의 물을 이식한 잔디 뗏장에도 공급해 주었다. 또한, 양자의 면적과 경사도는 동일한 조건이었다. 이하 표 1은 두가지 방법을 비교한 것으로서, 양 방법으로 이식했을때 이식 기간 별로 양잔디의 평균 길이를 측정한 것이다. 표 1에 잘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의 배양토 블록으로 시공했을때 20일 이후 잔디의 평균 성장 속도가 기존 방법에 비하여 매우 빠름을 알 수 있다.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의 식물 생장 속도 비교
시공 후 시간(day) 복원식물 배양토 블록의양잔디 평균 길이(cm) 뗏장 이식 양잔디 평균 길이(cm)
4 0 6
8 1 6
12 4 7
16 6 10
20 10 10
24 12 11
또한, 시공후 24일이 경과 한 후 단위 면적당 양잔디의 단위 면적당 양잔디의 밀도도 본 발명의 배양토 블록이 약 2배 이상 높았다.
본 발명의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을 이용하여 토양층의 식생을 복원한 결과 기존의 통상적인 방법에 비하여 식물의 생장 속도 및 생장 밀도가 매우 높아, 절개지 등 토양이 노출된 곳의 식생 복원에 매우 우수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원식물 배양토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원식물 배양토 블록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원식물 배양토 블록을 도시한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복원식물 배양토 블록
21 : 그물망
22 : 배양토
23 : 종자
3 : 경사면

Claims (1)

  1. 다공성 광물 혼합재 80 ∼ 98 중량%에 2 ∼ 20 중량%의 복합비료를 혼합하여 제조된 배양토를 생분해성 식물성 섬유소재의 그물망에 식생 복원용 식물의 종자와 함께 블록 형태로 포괄시켜 제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광물 혼합재는 굳기 1 ~ 2이며 비중이 2.76인 버미큐라이트 40 ∼ 60중량%, 공극율이 70%이고 투수계수가 10-3cm/sec인 퍼라이트 20 ∼ 30 중량%, 비표면적이 230 ~ 380㎡/g인 세피오라이트 10 ∼4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
KR10-2003-0045239A 2003-07-04 2003-07-04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 KR100523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239A KR100523246B1 (ko) 2003-07-04 2003-07-04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239A KR100523246B1 (ko) 2003-07-04 2003-07-04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749A KR20050003749A (ko) 2005-01-12
KR100523246B1 true KR100523246B1 (ko) 2005-10-20

Family

ID=3721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239A KR100523246B1 (ko) 2003-07-04 2003-07-04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2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378B1 (ko) 2009-02-27 2011-06-21 주식회사 동부휀스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56062C1 (ru) * 2014-02-04 2015-07-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ая академия Министерства внутренних дел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олгоградская академия МВД России) Состав для очистки и рекультивации почвы от нефтяных загрязнений
CN104119162B (zh) * 2014-08-12 2016-08-24 许盛英 粉煤灰压缩营养土的生产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378B1 (ko) 2009-02-27 2011-06-21 주식회사 동부휀스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749A (ko)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The microstructure and formation of biological soil crusts in their early developmental stage
CN100436723C (zh) 多功能绿化植物毯
CN107710945B (zh) 一种沙丘边坡复绿装置及沙丘边坡复绿方法
CN107836288B (zh) 一种危险坡加固复绿装置和危险坡加固复绿方法
CN107750746B (zh) 一种沙漠固沙绿化装置及沙漠固沙绿化方法
KR100486931B1 (ko) 생태환경조성 및 수질 정화용 부도체와 그 제조방법
Osman et al. Physical properties of forest soils
KR101412522B1 (ko) 사면 녹화용 식생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CN107231845A (zh) 生态修复毯、制备方法及其应用
JP2010252766A (ja) 織物植生マット及び人工ゼオライト等のナノ複合酸化物材料を使用する屋上、ベランダ、グランド及び砂漠の緑化方法
JP2971868B1 (ja) 無土壌植栽用セラミックブロック及びその使用方法
CN105409523A (zh) 一种沙漠土壤化方法
CN109006363B (zh) 一种基于建筑垃圾和园林废弃物的复合基质及其制备方法
KR100523246B1 (ko) 복원 식물 배양토 블록
JP2009011190A (ja) 軽量人工土壌の製造方法および軽量人工土壌基盤の造成方法
KR101283612B1 (ko) 비탈면 식생기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AU688078B2 (en) Pourable vegetation soil substrate,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Beardsley et al. Recreation site management: how to rehabilitate a heavily used campground without stopping visitor use
JP3479053B2 (ja) 植物生育ボード
KR20120030205A (ko) 비탈면을 안정화하기 위한 녹화토양조성물.
JPH06165617A (ja) 人工土壌及び植栽工法
CN105340506A (zh) 新型屋顶绿化佛甲草的驯化方法
JP4139461B2 (ja) 植物育成用人工土壌の製造方法
KR102585436B1 (ko) 케나프를 이용한 친환경 상토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N1323514A (zh) 一种楼顶无土绿化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