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787B1 -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787B1
KR100522787B1 KR10-2003-0036485A KR20030036485A KR100522787B1 KR 100522787 B1 KR100522787 B1 KR 100522787B1 KR 20030036485 A KR20030036485 A KR 20030036485A KR 100522787 B1 KR100522787 B1 KR 100522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r
cavity
water
sink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5186A (ko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텍
Priority to KR10-2003-0036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787B1/ko
Publication of KR20040105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7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의 주방에 설치되며 다수의 서랍과 수납장이 요소에 구획 형성되며 설거지용 세척수가 담겨지는 세척조, 싱크대의 적어도 어느 일 부분에 설정된 공간을 갖고 형성되며 전방이 개방된 캐비티, 캐비티의 내측에 장착되며 마주하는 내측면 상, 하측 적어도 어느 일측에 가이드 레일이 장착되되 적어도 상측과 전방이 개방된 캐비넷 및 캐비넷의 가이드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며 정수기가 배열된 본체로 구비되는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에 있어서, 정수기는 가이드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 바가 양측에 구비된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측에 배열된 전기장치 및 정수용 부품과, 베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며 캐비티의 개구된 면적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게 구비되어 캐비티의 개구부에 그 표면이 노출되고 선반과 급수용 콕크가 배치된 프론트 부, 및 프론트 부의 어느 일 측에 장착되며 전기장치와 전기 접속되어 전기 장치를 동작시키는 콘트롤 패널을 포함하며, 프론트 부의 전방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체인 프론트 패널이 장착되고, 프론트 패널의 후방에 위치되는 베이스의 일 측에는 콘트롤 패널과 전기 접속되어 선택적으로 점등되어 프론트 패널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정수기를 비치해야 하는 별도의 공간 확보를 요하지 않으므로 정수기의 비치에 의해 손실되었던 주방 또는 거실의 공간 일부를 효율적으로 활용한다.

Description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A water purifier using receipt for sink}
본 발명은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를 비치해야 하는 별도의 공간 확보를 요하지 않으므로 정수기의 비치에 의해 손실되었던 주방 또는 거실의 공간 일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정수기는 통에 담겨진 생수를 공급받아 정수기에 거꾸로 장착한 상태에서 필요할 때마다 조금씩 배수시키며 사용하는 것과, 관체에 의해 수도꼭지와 연결되어 수도꼭지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에 함유된 콜로이드, 유기물, 이온 같은 용존 물질을 삼투압, 역삼투막, 중공 사막식 필터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분리 제거하며 자체적으로 정화 및 소독하며 사용하는 것으로 크게 나뉘어진다.
또 정수기는 기능적으로 온수로 데우거나 차갑게 냉각시켜 냉수로 사용하는 것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도꼭지와 연결되어 수돗물을 직접 정화시키며 음용할 수 있는 정수기는 기능은 대동소이하지만 주로 높이가 낮은 탁상형(또는 보급형)과 높이가 높은 스탠드형(업소용 또는 고급형)으로 크게 나뉘어지는데 탁상형의 경우 가격은 저가인 반면 높이가 낮으므로 사용할 때 허리를 숙여야하는 불편함이 수반되었다.
따라서 그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탁상형 정수기의 경우 정수기를 싱크대의 한쪽 구석에 올려놓고 사용하거나, 또는 정수기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올려놓기 위한 별도의 보조 테이블을 비치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소품가구를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 손실을 감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높이가 높은 스탠드형 정수기의 경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므로 허리를 많이 숙일 필요가 없어 사용상 편리성은 부여하는 장점과 정수기를 올려놓기 위한 별도의 테이블을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탁상형 또는 스탠드형 정수기의 경우 전부 일장일단은 있지만 독립적인 개체로 사용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설치장소를 필요로 한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그러한 구조적인 문제점은 정수기를 비치해야 하는 별도의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발생시켰고, 그에 따라 정수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인 주방 또는 거실의 공간 일부가 손실된다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정수기는 일정한 기간동안 상술했던 수돗물에 함유된 콜로이드, 유기물, 이온 같은 용존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필터 등 내부 부품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하는데, 이때에는 정수기의 본체를 분리한 후 내부 부품을 교체해야 하므로 부품을 교체하는 작업공정이 번거로웠을 뿐만 아니라 정수기가 설치된 주변 장소를 어지럽히게 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정수기는 수돗물을 정화 및 소독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한다는 근본적인 기능 외에 별다른 기능이 부여되지 않아 다양한 기능과 변화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일반적인 정수기에서 발생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수기를 비치해야 하는 별도의 공간 확보를 요하지 않으므로 정수기의 비치에 의해 손실되었던 주방 또는 거실의 공간 일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수기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콜로이드, 유기물, 이온 같은 용존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필터 등 내부 부품의 교체시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주변환경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수기에서 은은한 조명을 발하게 함으로써 특히 밤에도 별도의 조명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이 용이함은 물론, 실내 장식의 효과도 부여할 수 있는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는, 실내의 주방에 설치되며 다수의 서랍과 수납장이 요소에 구획 형성되며 설거지용 세척수가 담겨지는 세척조, 상기 싱크대의 적어도 어느 일 부분에 설정된 공간을 갖고 형성되며 전방이 개방된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내측에 장착되며 마주하는 내측면 상, 하측 적어도 어느 일측에 가이드 레일이 장착되되 적어도 상측과 전방이 개방된 캐비넷 및 상기 캐비넷의 가이드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며 정수기가 배열된 본체로 구비되는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 바가 양측에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열된 전기장치 및 정수용 부품과,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캐비티의 개구된 면적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게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의 개구부에 그 표면이 노출되고 선반과 급수용 콕크가 배치된 프론트 부, 및 상기 프론트 부의 어느 일 측에 장착되며 상기 전기장치와 전기 접속되어 전기 장치를 동작시키는 콘트롤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부의 전방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체인 프론트 패널이 장착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의 후방에 위치되는 상기 베이스의 일 측에는 상기 콘트롤 패널과 전기 접속되어 선택적으로 점등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비넷의 하측에는 슬라이딩 가능한 서랍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비넷의 하측에는 상기 싱크대와의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다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의 제1,2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적용되는 정수기의 캐비넷을 분리한 상태의 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정수기는 주방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싱크대(10)에 장착된다.
즉, 싱크대(10)는 통상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서랍(11)과 수납장(12)이 요소에 구획 형성되며 설거지용 세척수가 담겨지는 세척조(13)가 구비되는데 이들 구성요소는 이미 오래 전부터 사용되던 싱크대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특징부는, 상기 싱크대(10)의 적어도 어느 일 부분은 설정된 공간을 가지며 전방이 개방된 개비티(14)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14)의 내측 벽에는 마주하는 위치에 평행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5)이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15)에는 정수기 본체(20)가 활주되며 선택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장착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정수기 본체(20)의 캐비넷(21)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5)에 지지되는 지지레일(16)이 구비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 예로는, 상기 캐비티(14)의 내측 공간과 대동소이한 외형을 갖는캐비넷(21)이 장착되고, 상기 캐비넷(21)의 양 내측에는 가이드 레일(15)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15)에는 정수기 본체(20)가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레일(16)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또, 이를 위해서는 상기 지지레일(16)은 정수기 본체(20)의 양측 상, 하방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에는 전기장치(23) 및 정수용 부품(24) 등이 배치된다.
물론, 정수기 본체(20)는 그 전방에 선반(25)과 급수용 콕크(26)가 배치된 프론트 부(27)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부(27)의 전방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체인 프론트 패널(28)이 장착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후방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28)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29)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이를 위해서는,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적당한 곳에는 상기 전기장치(23)와 상기 조명부(29)에 대해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며 제어하는 콘트롤 패널(C)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비넷(21)의 하측에는 정수기 본체(20)와 함께 또는 단독적으로 활주되는 서랍(3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캐비넷(21)의 하측에는 상기 싱크대와의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다리(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한 실시예의 정수기 본체는 그 위치가 싱크대의 어느 한 곳에 한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요구 및 소비자층의 사용을 감안하여 그 높낮이와 설치 위치가 선택적으로 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사용할 때에는 도 1 또는 도 3과 같은 상태이다.
상기한 상태는 도면표현을 생략한 수도전과 별도의 호스가 연결되어 정수기 측으로 물을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되고, 사용자는 콕크(26)를 이용하여 물을 배수 음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상태는 선택적으로 콘트롤 패널(C)을 동작시켜 상기 조명부(29)를 점등하여 그 빛을 상기 프론트 패널(28)을 통하여 전방으로 비취도록 함으로써 조명효과를 부여하거나, 또는 야간에 실내등을 점등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수기의 위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하던 중 정수기 본체(20)에 장착된 각종 전기장치(23)와 정수용 부품(24)등의 수리 및 교체를 요할 경우, 즉, 애프터서비스가 필요할 경우 프론트 부(27)를 잡은 상태에서 전방으로 인출한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 부(27)를 전방으로 인출하게되면 정수기 본체(20)에 장착된 지지레일(16) 또는 캐비넷(21)의 양측에 장착된 지지레일(16)은 캐비넷(21)의 내측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15) 또는 캐비티(14)를 형성하는 내측면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도 2 또는 도 4와 같이 전방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본체(20)의 상측에 배열된 전기장치(23)와 정수용 부품(24)들은 외부로 노출되어 수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한정하여 도면 표현을 하고 설명을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 변경은 등가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어 하기에 표현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 의하면 정수기를 비치해야 하는 별도의 공간 확보를 요하지 않으므로 정수기의 비치에 의해 손실되었던 주방 또는 거실의 공간 일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정수기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콜로이드, 유기물, 이온 같은 용존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필터 등 내부 부품의 교체시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주변환경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기에서 은은한 조명을 발하게 함으로써 특히 밤에도 별도의 조명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이 용이함은 물론, 실내 장식의 효과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정수기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정수기가 인출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정수기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정수기가 인출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제2 실시 예의 정수기에서 캐비넷을 분리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정수기 본체에 전기부품 및 정수부품이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싱크대 11,30;서랍
12;수납장 13;세척조
14;캐비티 15;가이드 레일
16;지지레일 20;정수기 본체
21;캐비넷 23;전기장치
24;정수용 부품 25;선반
26;콕크 27;프론트 부
28;프론트 패널 29;조명부
"C";콘트롤 패널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실내의 주방에 설치되며 다수의 서랍과 수납장이 요소에 구획 형성되며 설거지용 세척수가 담겨지는 세척조, 상기 싱크대의 적어도 어느 일 부분에 설정된 공간을 갖고 형성되며 전방이 개방된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내측에 장착되며 마주하는 내측면 상, 하측 적어도 어느 일측에 가이드 레일이 장착되되 적어도 상측과 전방이 개방된 캐비넷 및 상기 캐비넷의 가이드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며 정수 기가 배열된 본체로 구비되는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 바가 양측에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열된 전기장치 및 정수용 부품과,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캐비티의 개구된 면적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게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의 개구부에 그 표면이 노출되고 선반과 급수용 콕크가 배치된 프론트 부, 및
    상기 프론트 부의 어느 일 측에 장착되며 상기 전기장치와 전기 접속되어 전기 장치를 동작시키는 콘트롤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부의 전방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체인 프론트 패널이 장착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의 후방에 위치되는 상기 베이스의 일 측에는 상기 콘트롤 패널과 전기 접속되어 선택적으로 점등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하측에는 슬라이딩 가능한 서랍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하측에는 상기 싱크대와의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다리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
KR10-2003-0036485A 2003-06-05 2003-06-05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 KR100522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485A KR100522787B1 (ko) 2003-06-05 2003-06-05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485A KR100522787B1 (ko) 2003-06-05 2003-06-05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186A KR20040105186A (ko) 2004-12-14
KR100522787B1 true KR100522787B1 (ko) 2005-10-20

Family

ID=3738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485A KR100522787B1 (ko) 2003-06-05 2003-06-05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7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522B1 (ko) 2016-10-31 2017-03-24 율진프라임 (주) 싱크대용 정수기
KR101923352B1 (ko) 2018-08-14 2019-02-27 지병욱 싱크대용 정수기
KR102155960B1 (ko) 2019-04-25 2020-09-14 지병욱 기능성 필터 샤워기
KR102136585B1 (ko) 2020-01-30 2020-07-23 지수진 기능성 샤워기
KR102429798B1 (ko) 2020-12-30 2022-08-04 지병욱 살균기능을 갖는 필터 샤워기
KR102349534B1 (ko) 2021-03-29 2022-01-10 지병욱 싱크대용 정수기
KR102363673B1 (ko) 2021-06-16 2022-02-15 지병욱 항균 및 살균 기능을 갖는 기능성 샤워기
KR102532918B1 (ko) 2021-08-18 2023-06-23 지병욱 항균 및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정수기
KR102653144B1 (ko) 2021-12-17 2024-03-29 지병욱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
KR20230151165A (ko) 2022-04-25 2023-11-01 지병욱 자동 살균 필터샤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186A (ko) 2004-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787B1 (ko)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
US11578478B2 (en) Water center appliance and AIO faucet
CN201314752Y (zh) 冰箱消毒柜饮水机组合机
CN101332021A (zh) 集成厨房电器
KR200310203Y1 (ko) 정수기와 살균기가 구비된 싱크대
KR200293011Y1 (ko)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
JP2010057753A (ja) 洗面化粧台
CN105455452A (zh) 一种两用橱柜
CN201328534Y (zh) 一种具有抽拉式操作台及水槽的多功能组合厨房
CN102669959A (zh) 一种隐含式大容积多层次集成水槽
CN202135958U (zh) 一种集成水槽
KR200399773Y1 (ko) 벽걸이형 이온 냉온정수기
KR100537644B1 (ko) 정수기
CN202665371U (zh) 一种带顶部置物柜的多功能浴室柜
CN202665375U (zh) 一种带双洗漱盆的多功能浴室柜
KR20230150040A (ko) 싱크대 설치형 살균장치
CN215190037U (zh) 一种多功能一体桌
CN214342202U (zh) 一种解毒洗碗机的碗盘支架
CN215532888U (zh) 一种便于组装的智能餐边柜
KR100537641B1 (ko) 정수기
CN201252990Y (zh) 集成厨房电器
CN217771804U (zh) 一种隐藏式食物切割板的集成灶
CN211922869U (zh) 一种带照明灯的集成式水槽
CN220759307U (zh) 一种高安全性自洁型实验室柜台
CN201658030U (zh) 卫浴整体消毒冷藏储物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