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155B1 - 비강용 방진마스크 - Google Patents

비강용 방진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155B1
KR100522155B1 KR10-2003-0067501A KR20030067501A KR100522155B1 KR 100522155 B1 KR100522155 B1 KR 100522155B1 KR 20030067501 A KR20030067501 A KR 20030067501A KR 100522155 B1 KR100522155 B1 KR 100522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nasal cavity
nasal
dust mask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1256A (ko
Inventor
이영숙
Original Assignee
이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숙 filed Critical 이영숙
Priority to KR10-2003-0067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155B1/ko
Publication of KR20050031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강용 방진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흡입창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필터의 계속적인 교체사용이 가능하여 위생적이고, 착용자의 비강에 내삽 및 착용할 때 유발될 수 있는 불쾌감 및 거부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착용시에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사전에 예방하고, 고무줄, 끈 등을 사용하여 안면에 착용할 필요없으며, 착용 시 대화 및 음식물의 취식이 용이하며, 먼지나 매연 및 오염된 공기와 이물질을 깨끗하게 정화하여 호흡기 질환 등과 같은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방향액 및 호흡기치료제 등과 같은 기능성제재를 호흡과 함께 흡입할 수 있어 청량감 또는 치료와 같은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비강용 방진마스크{Dustproof Mask for nasal cavity}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흡기를 통해 흡입되는 각종 공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착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으며, 착용에 따른 번거로움 및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비강용 방진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 있는 먼지, 분진 및 각종 유해물질 등이 인체 내에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 천마스크 및 방진마스크 등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일반 천마스크의 경우에는 코와 입주변을 가려서 사용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경우 인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완전히 배출되지 못함으로 인해 호흡에 어려움을 느끼는 동시에 마스크와 코 또는 안면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통하여 정화되지 않거나 걸러지지 않은 공기가 인체에 흡입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호흡으로 발생하는 습한 공기에 의하여 마스크의 여과면이 젖어 공기의 흡입에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배출되지 못한 공기에 의해 마스크 주변에 습기 등이 발생되어 피부의 습진 등을 유발시키는 등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불쾌함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착용 시 코와 입 등을 가려 대화 및 음식물의 취식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고무줄 또는 끈 등을 사용하여 귀에 걸거나 머리에 일일이 체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답답함과 번거로움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흡입창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필터의 계속적인 교체사용이 가능하여 위생적이고, 착용자의 비강에 내삽 및 착용할 때 유발될 수 있는 불쾌감 및 거부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착용시에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사전에 예방하고, 고무줄, 끈 등을 사용하여 안면에 착용할 필요없으며, 착용 시 대화 및 음식물의 취식이 용이하며, 먼지나 매연 및 오염된 공기와 이물질을 깨끗하게 정화하여 호흡기 질환 등과 같은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방향액 및 호흡기치료제 등과 같은 기능성제재를 호흡과 함께 흡입할 수 있어 청량감 또는 치료와 같은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비강용 방진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부에 흡입창이 구비되며,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는 공기정화부와; 상기 공기정화부의 후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삽입부와; 상기 공기정화부의 상측 적소에 구비되는 고정편과 좌, 우측 적소에 구비되는 보조고정편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비강용 방진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흡입창의 좌, 우 적소에는 끼움편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흡입창이 결합되는 공기정화부의 입구측 적소에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필터가 고밀도, 저밀도, 고밀도 또는 저밀도, 고밀도, 저밀도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필터체로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는, 필터가 교체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공기정화부의 상측면에 원형의 주입공이 다수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는, 주입공에 다수개의 관이 연통되게 이루어지는 가지관이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강용 방진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비강용 방진마스크가 비강 내에 삽입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강용 방진마스크(1)는 공기정화부(10)와 삽입부(30)와 고정부(50)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정화부(10)는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부에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창(11)이 구비되고, 상기 흡입창(11)의 좌, 우 적소에는 끼움편(12)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흡입창(11)이 결합되는 공기정화부(10)의 입구측 좌, 우 적소에는 상기 끼움편(12)과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홈(13)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편(12)과 끼움홈(13)에 의하여 상기 흡입창(11)이 상기 공기정화부(10)의 전면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창(11)이 상기 공기정화부(10)의 전면부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나, 공기정화부(10)의 하부면이나 각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창(11)이 상기 공기정화부(10)의 전면부에 끼움편(12)과 끼움홈(13)에 의하여 끼움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기타 다른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부(10)의 내부에는 공기 중의 분진이나 먼지 등이 정화되기 위한 필터(61)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61)는 미세한 먼지 등을 정화할 수 있는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세한 먼지나 분진 등을 정화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61)가 고밀도, 저밀도, 고밀도 또는 저밀도, 고밀도, 저밀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필터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공기정화부(10)에 구비된 흡입창(11)을 분리한 다음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61)를 교체 및 교환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61)의 계속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부(10)의 상부면 적소에는 방향액 또는 호흡기치료제와 같이 액상으로 이루어진 기능성제재를 주입하기 위한 원형의 주입공(14)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각 주입공(14)을 통하여 주입된 기능성제재를 착용자가 호흡과 함께 흡입하여 청량감을 느낄 수 있으며, 호흡기질환 같은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등의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입공(14)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공기정화부(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각 주입공(14)에는 다수개의 관이 상호 연통되게 이루어지는 가지관(15)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가지관(15)은 상기 필터(61)에 삽입 및 침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지관(15)에 의해 주입공(14)을 통하여 주입되는 액상의 기능성제재 및 호흡기치료제가 상기 공기정화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61)에 골고루 주입 및 분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지관(15)을 구성하는 각 관의 길이가 일정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필터(61) 내에 액상의 기능성제재 및 호흡기치료제의 골고른 분포를 위하여 각 가지관(15)의 길이가 각기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기정화부(10)의 상부에 주입공(14) 및 가지관(15)이 4개로 이루어져 있으나, 그 이상 또는 이하의 갯수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부(10)의 후면부는 코(3)의 비강(5)측에 맞닫아 밀착 및 고정되기 위하여 반원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0)와 연결되기 위한 한 쌍의 연결공(1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부(10)의 좌, 우 단부에는 코(3)의 좌, 우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편(17)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편(17)에 의하여 공기정화부(10)가 코(3)에 밀착결합될 때 착용의 편안함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부(10)의 상측 및 좌, 우측 적소에는 고정부재(18)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18)에는 결합홈(19)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30)는 상기 공기정화부(10)의 후면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튜브(31)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튜브(3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정화부(10)의 각 연결공(16)에 각각 연결되며, 코(3)의 양 측 비강(5)에 삽입되기 위하여 소정간격 상호 이격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튜브(31)가 공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그 내부에 상기 공기정화부(10)의 필터(61)에 의하여 정화된 외부의 공기를 재차 정화하기 위한 보조필터가 각각 구비되어 필터(6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보조필터에 의하여 재차 정화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보조필터는 상기 공기정화부(10)에 구비되는 필터(61)와 개별적 또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튜브(31)의 외주면에는 튜브(31)가 착용자의 비강(5) 내에 삽입된 후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튜브(31)와 비강(5)의 피부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통하여 정화되지 않은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형의 지지링(35)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지지링(35)은 피부와 밀착되기 위하여 실리콘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튜브(31)와 일체 또는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30)는 코(3)의 비강(5) 내에 삽입되기 위하여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연질의 특성을 갖는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3)의 비강(5) 내부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전체적으로 비강(5)구조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50)는 상기 공기정화부(10)의 상측 적소에 구비되는 고정편(51)과 그 좌, 우 적소에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고정편(5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편(51)과 보조고정편(53)은 상기 공기정화부(10)의 상측 및 좌, 우측 적소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8)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편(51)과 각 보조고정편(53)의 일측 단부에는 결합편(55)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공기정화부(10)의 각 고정부재(18)에는 결합홈(19)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55)과 결합홈(19)은 끼움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편(51) 및 각 보조고정편(53)이 상기 고정부재(18)에 결합편(55)과 결합홈(19)의 결합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하다면 상기 고정편(51) 및 보조고정편(53)과 고정부재(18)가 다른 구조로 이루어져 결합 및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편(51)과 각 보조고정편(53)의 일측 단부에 결합편(5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18)에 결합홈(19)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고정편(51)과 각 보조고정편(53)에 결합홈(19)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8)에 결합편(55)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고정편(51)과 보조고정편(53)은 상기 공기정화부(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비강용 방진마스크(1)를 휴대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고정편(51)과 보조고정편(53)을 분리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51)과 각 보조고정편(53)의 타측 단부는 비강용 방진마스크(1)를 착용할 때 코(3)의 상측과 좌, 우측을 가압하고, 코(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코(3)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공기정화부(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고정편(51)은 상기 비강용 방진마스크(1)가 코(3)의 비강(5)에 설치될 때 코(3)의 상측부에 맞닫아 비강용 방진마스크(1)를 보다 안정적으로 코(3)에 고정하기 위하여 코(3)의 상측부를 감싸면서 가압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정화부(10)의 좌, 우 양측에 구비되는 각 보조고정편(53)은 상기 방진마스크(1)가 코(3)의 비강(5)에 설치할 때 코(3)의 좌, 우 양측에 맞닿아 비강용 방진마스크(1)를 고정하기 위하여 코(3)의 좌, 우측을 감싸면서 가압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편(51)과 각 보조고정편(53)은 판상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부에는 고무재질의 외피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고정편(51)과 보조고정편(53)의 외피가 비강용 방진마스크(1)의 착용 시 착용자의 신체조건과 관계없이 밀착결합되기 위하여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편(51)과 보조고정편(53)의 외피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나, 실리콘재질 등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면 기타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비강용 방진마스크(1)의 착용은 먼저, 상기 비강용 방진마스크(1)의 삽입부(30)가 비강(5)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한 쌍으로 구비되는 튜브(31)를 비강(5) 내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공기정화부(10)에 구비되는 돌출편(17)에 의하여 공기정화부(10)가 코(3)의 좌, 우측부와 밀착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착용자가 계속적으로 힘을 부가하여 상기 공기정화부(10)의 상측과 좌, 우측 적소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편(51)과 보조고정편(53)이 코(3)의 상측과 좌, 우측에 끼움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코(3)의 비강(5)에 삽입 및 장착된 상기 비강용 방진마스크(1)는 공기정화부(1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흡입창(11)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그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61)에 의하여 정화된 다음 한 쌍의 튜브(31)를 통하여 비강(5)내로 흡입된다.
한편, 상기 각 튜브(31)의 내측에 보조필터를 삽입설치하여 필터(61)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1차 정화하고, 1차 정화된 공기를 각 튜브(31)에 설치되는 보조필터에 의하여 2차 정화한 다음 비강(5)내로 흡입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부(10)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61)는 고밀도, 저밀도, 고밀도 또는 저밀도, 고밀도, 저밀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필터체로 이루어져 외부의 먼지나 매연 및 오염된 공기와 이물질을 보다 깨끗하게 정화하여 비강(5)내로 흡입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61)가 고밀도, 저밀도, 고밀도 또는 저밀도, 고밀도, 저밀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3중 필터체로 이루어져 있으나, 보다 정화된 공기를 비강(5)내로 흡입하기 위하여 3중 이상의 다중 필터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튜브(3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링(35)은 정화되지 않은 외부 공기가 비강 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코(3)의 내부에 삽입된 각 튜브(31)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비강용 방진마스크(1)는 공기정화부(10)의 상측과 좌, 우측 적소에 구비되는 고정편(51)과 보조고정편(53)에 의하여 코(3)에 착용된 상태에서 벗겨지거나 이탈되지 않으므로 착용자가 상기 비강용 방진마스크(1)를 착용한 후에 작업 및 업무를 처리하기가 매우 유리하며, 공기정화부(10)의 좌, 우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편(15)에 의하여 상기 비강용 방진마스크(1)의 착용시 착용자가 느낄 수 있는 거부감 및 불편함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창(11)이 공기정화부(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필터(61)를 계속적으로 교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먼지나 매연 및 오염된 공기와 이물질을 깨끗하게 정화하여 호흡기 질환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부(10)의 주입공(14) 내에 액상으로 이루어진 방향액 또는 호흡기치료제 등과 같이 액상으로 이루어진 기능성제재를 주입하여 착용자가 호흡과 함께 흡입하여 청량감 또는 호흡기질환 같은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등의 부가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흡입창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필터의 계속적인 교체사용이 가능하여 위생적이고, 착용자의 비강에 내삽 및 착용할 때 유발될 수 있는 불쾌감 및 거부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착용시에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사전에 예방하고, 고무줄, 끈 등을 사용하여 안면에 착용할 필요없으며, 착용 시 대화 및 음식물의 취식이 용이하며, 먼지나 매연 및 오염된 공기와 이물질을 깨끗하게 정화하여 호흡기 질환 등과 같은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방향액 및 호흡기치료제 등과 같은 기능성제재를 호흡과 함께 흡입할 수 있어 청량감 또는 치료와 같은 부가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강용 방진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A-A'선 단면도,
도 3은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비강용 방진마스크가 비강 내에 삽입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비강용 방진마스크, 3...코,
5...비강, 10...공기정화부,
11...흡입창, 12...끼움편,
13...끼움홈, 14...주입공,
15...가지관, 16...연결공,
17...돌출편, 18...고정부재,
19...결합홈, 30...삽입부,
31...튜브, 35...지지링,
50...고정부, 51...고정편,
53...보조고정편, 55...결합편,
61...필터.

Claims (5)

  1.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부에 흡입창이 구비되며,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는 공기정화부와; 상기 공기정화부의 후면에 구비되고, 내부에 보조필터가 구비되는 한 쌍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삽입부와; 상기 공기정화부의 상측 적소에 구비되는 고정편과 좌, 우측 적소에 구비되는 보조고정편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비강용 방진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흡입창의 좌, 우 적소에는 끼움편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흡입창이 결합되는 공기정화부의 입구측 적소에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방진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고밀도, 저밀도, 고밀도 또는 저밀도, 고밀도, 저밀도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필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방진마스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교체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방진마스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의 상측면에 원형의 주입공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방진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에 다수개의 관이 연통되게 이루어지는 가지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방진마스크.
KR10-2003-0067501A 2003-09-29 2003-09-29 비강용 방진마스크 KR100522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501A KR100522155B1 (ko) 2003-09-29 2003-09-29 비강용 방진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501A KR100522155B1 (ko) 2003-09-29 2003-09-29 비강용 방진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256A KR20050031256A (ko) 2005-04-06
KR100522155B1 true KR100522155B1 (ko) 2005-10-18

Family

ID=37236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501A KR100522155B1 (ko) 2003-09-29 2003-09-29 비강용 방진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1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256A (ko)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320B2 (en) Nasal canula and mouthpiece assembly and method
WO2003097168A1 (fr) Masque nasal
KR101434255B1 (ko) 착용감이 향상된 코 마스크
EP2140902A1 (en) Nasal mask for treating sleep breathing disorders, such as sleep apnea
US7451764B2 (en) Nasal mask
KR100897161B1 (ko) 비강내 삽입형 호흡정화 마스크
KR102177023B1 (ko) 끈이 없고 입을 감싸면서 코에 삽입하여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KR101856620B1 (ko) 기능성 황사 마스크
WO2022270834A1 (ko) 재사용형 마스크
KR100522155B1 (ko) 비강용 방진마스크
KR200389362Y1 (ko) 습기방지용 안면 마스크
KR20190030427A (ko) 마우스피스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KR100522154B1 (ko) 비강용 방진 마스크
WO2018230892A1 (ko) 비공 마스크
KR20160135568A (ko) 코마개 탈착형 마스크
KR102365565B1 (ko) 실용성을 향상시킨 마스크
KR102573128B1 (ko) 비말 감염 예방용 플라스틱 마스크
KR102406693B1 (ko) 끈이 없고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KR101926707B1 (ko) 코 마스크
KR102385355B1 (ko) 공급관과 폐기 배출공이 개별 구비된 의료용 위생 마스크
KR200442422Y1 (ko) 홀딩부재 및 패딩부재를 갖는 기관 삽관용 튜브 고정구
KR200179958Y1 (ko) 안면 마스크
KR20210133808A (ko)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KR102000404B1 (ko) 비강용 정화필터장치
KR102316855B1 (ko) 코 호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