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392B1 - 산소 공급 마스크 - Google Patents

산소 공급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392B1
KR102275392B1 KR1020200170428A KR20200170428A KR102275392B1 KR 102275392 B1 KR102275392 B1 KR 102275392B1 KR 1020200170428 A KR1020200170428 A KR 1020200170428A KR 20200170428 A KR20200170428 A KR 20200170428A KR 102275392 B1 KR102275392 B1 KR 102275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oxygen supply
partition member
oxygen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봉주
윤성희
서영
서민조
Original Assignee
서봉주
윤성희
서영
서민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봉주, 윤성희, 서영, 서민조 filed Critical 서봉주
Priority to KR102020017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3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having means for creating a fresh air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와 입이 공간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마스크 착용자가 안정적으로 호흡을 유지할 수 있는 산소 공급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소 공급 마스크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의 상단과 하단 부분을 연결하도록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 상기 마스크본체의 안쪽 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마스크본체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소정 폭의 구획부재; 가운데 부분이 상기 구획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양단이 상기 구획부재의 양단 쪽으로 인출되어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에 각각 연결되고, 내측으로 산소가 공급되는 튜브 형상의 산소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산소공급관에는, 상기 마스크본체를 착용한 착용자의 입을 향하여 소정 지름을 가지는 복수 개의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연통공을 통해 상기 산소공급관 내측의 산소가 상기 구획부재 안에서 상기 마스크본체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소 공급 마스크{Oxygen supply mask}
본 발명은 산소 공급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 착용시 코와 입이 공간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별도의 산소공급장치를 통해 산소가 마스크 안쪽으로 공급되어 마스크 착용자가 신선한 공기로 쉽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산소 공급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미세먼지 등의 공기의 오염과 메르스, 신종 플루, 코로나19 바이러스 등의 병원균의 감염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코와 입을 가리는 마스크의 착용이 생활화되고 있다.
그러나 마스크의 착용 시간이 길어지게 됨에 따라 코와 입으로 호흡하는 공기가 입 주변의 피부에 닿는 시간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고, 또한 입으로 내쉬는 날숨이 그대로 코로 호흡(들숨)되어 입 냄새로 인한 마스크 착용의 거부감과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2026798호의 김서림 방지용 벽을 구비한 수술용 김서림 방지 마스크(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마스크는, 외측 커버 웹층, 필터링 재료층, 그리고 성형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커버 웹층은 외부 대기에 노출되고, 상기 필터링 재료층은 상기 외측 커버 웹층을 상기 외부 대기로부터 유입되는 대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층은 마스크 착용자의 피부 접촉을 위한 부드러운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 라이너 또는 쉘이 포함되는 수술용 마스크 본체; 상기 수술용 마스크 본체의 중간 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마스크 착용자의 코와 입 사이에 위치함으로 상기 마스크 착용자가 입으로 호흡을 내쉴 때 호흡 내의 입김이 입에서 눈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수술용 마스크 본체의 층들을 통과하거나 상기 수술용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착용자의 얼굴이 접촉하지 않는 측면에 생성된 공간으로 내보내기 위한 김서림 방지 벽; 상기 수술용 마스크 본체가 상기 마스크 착용자의 얼굴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술용 마스크 본체의 좌측 위쪽 모서리 지점에 제1 단부가 부착되고 좌측 아래쪽 모서리 지점에 제2 단부가 부착된 제1 귀걸이; 상기 수술용 마스크 본체가 상기 마스크 착용자의 얼굴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술용 마스크 본체의 우측 위쪽 모서리 지점에 제3 단부가 부착되고 우측 아래쪽 모서리 지점에 제4 단부가 부착된 제2 귀걸이; 상기 김서림 방지 벽이 상기 마스크 착용자의 입과 코 사이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술용 마스크 본체의 좌측 중간 주변에 부착된 제1 타이; 및 상기 김서림 방지 벽이 상기 마스크 착용자의 입과 코 사이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술용 마스크 본체의 우측 중간 주변에 부착된 제2 타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귀걸이는, 폴리에스테르와 라이크라 스판덱스가 9:1의 혼용률의 조합으로 제조되고, 상기 조합으로 제조된 물질은 얇은 부재의 스트립으로 절단되고, 상기 스트립은 물질의 특성으로 인해 가장 자리에서 롤 오버되고, 상기 마스크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부분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반원형 단면을 갖도록 하여 귀에 안락함을 제공하고, 무선 주파수 가열 결합으로 상기 수술용 마스크 본체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마스크는 입과 코 사이에 마스크 본체에 김서림 방지 벽이 설치되어 코나 입으로 숨을 들이마신 다음 입으로 내쉬는 공기가 코 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이를 통해 입으로 내쉰 공기가 코 부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김서림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나, 이와 같이 마스크의 내부 공간이 별도의 김서림 방지 벽을 통해 구획되게 됨에 따라 답답함과 호흡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코와 입이 분리되도록 형성된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 착용자가 안정적으로 호흡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마스크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2026798 B1 (2019. 09. 24.) KR 10-2019-0140876 A (2019. 12. 20.) KR 10-2019-0072304 A (2019. 06. 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스크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코와 입이 공간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마스크 착용자가 안정적으로 호흡을 유지할 수 있는 산소 공급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소 공급 마스크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의 상단과 하단 부분을 연결하도록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 상기 마스크본체의 안쪽 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마스크본체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소정 폭의 구획부재; 가운데 부분이 상기 구획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양단이 상기 구획부재의 양단 쪽으로 인출되어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에 각각 연결되고, 내측으로 산소가 공급되는 튜브 형상의 산소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산소공급관에는, 상기 마스크본체를 착용한 착용자의 입을 향하여 소정 지름을 가지는 복수 개의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연통공을 통해 상기 산소공급관 내측의 산소가 상기 구획부재 안에서 상기 마스크본체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산소공급관은, 상기 복수 개의 연통공이 형성되는 대신, 상기 산소공급관의 가운데 부분이 절단되어 상기 산소공급관 내측의 산소가 절단된 부분을 통해 마스크 착용자의 입 쪽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소공급관의 절개된 양단을 연결하도록 소정 길이의 스펀지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산소공급관 내측의 산소가 상기 스펀지블록을 통해 마스크 착용자의 입 쪽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구획부재에 상기 구획부재가 마스크 착용자의 인중 부분에 밀착되도록 하는 소정 길이의 보형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보형부재가 상기 구획부재의 자유단 쪽에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면서 자유 변형이 가능한 철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만으로 구획부재에 의해 자연스럽게 코와 입 사이의 인중을 기준으로 상하로 마스크의 내부 공간이 구획되게 되고, 그 결과 입으로 내쉰 공기가 코로 유입되거나 또는 코로 내쉰 공기가 입으로 호흡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산소공급관을 통해 필요에 따라 적정의 산소가 마스크본체의 안쪽으로 공급되면서 마스크 착용자가 불편함 없이 호흡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산소결핍이 심한 경우 입으로 심호흡 할 때도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 공급 마스크의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부재, 산소공급관 및 보형부재가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공급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공급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부재의 예를 보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 공급 마스크가 착용되는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코와 입이 공간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마스크 착용자가 안정적으로 호흡을 유지할 수 있는 산소 공급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본체(10), 귀걸이부(20A, 20B), 구획부재(30) 및 산소공급관(4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핸 마스크 착용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전방' 또는 '바깥쪽'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고, 이와 반대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면을 '후방' 또는 '안쪽'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마스크본체(10)는 미세먼지와 바이러스 균 등을 차단하기 위해 코와 입을 커버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마스크본체(10)는 미세먼지 차단용, 비말 차단용, 의료용(덴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본체(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위에서부터 대략 1/3 지점)에 수평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재봉라인(L)이 형성되고, 이러한 재봉라인(L1)을 통해 후술되는 구획부재(30)의 일단이 마스크본체(10)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게 된다.
귀걸이부(20A, 20B)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마스크본체(10)가 코와 입을 커버하여 밀착되도록 귀에 걸어 착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귀걸이부(20A, 20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마스크본체(10)의 상단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마스크본체(10)의 하단 양측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마스크를 착용하면 귀걸이부(20A, 20B)에 의해 마스크본체(10)의 상단과 하단 부분이 당겨지게 되고, 이에 의해 마스크본체(10)가 피부에 밀착되며, 재봉라인(L)을 따라 설치되는 구획부재(30)를 통해 자연스럽게 상하로 내부 공간이 분리되면서 코와 입이 커버된다.
구획부재(30)는 마스크본체(10)의 안쪽 면(마스크 착용자의 피부와 마주하는 면)에 수평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마스크 착용시 코와 입을 커버하는 공간이 상하로 분리(구획)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획부재(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마스크본체(10)의 안쪽 면을 따라 수평으로 재봉되어 고정된다.
이때 구획부재(30)의 타단은 마스크본체(10)의 양단 쪽으로 갈수록 마스크본체(10)에 재봉되는 일단과 일치되도록 형성되고, 그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부재(30)의 일단(마스크본체(10)와 재봉되는 방향) 길이가 타단(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방향)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호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구획부재(30)에는 마스크 착용자의 인중 부분에 구획부재(30)의 선단이 밀착되도록 하는 소정 길이의 보형부재(50)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보형부재(50)는 구획부재(30)의 자유단 쪽에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면서 자유 변형이 가능한 납작한 철선(철사)으로 이루어진다.
산소공급관(40)은 마스크 착용시 마스크본체(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필요에 따라 적정량의 산소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산소공급관(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구획부재(3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구획부재(30)의 양단 쪽으로 인출되어 귀걸이부(20A, 20B)에 연결된다.
그리고 산소공급관(40)의 일측에는 소정 크기의 관연결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이러한 관연결구를 통해 별도의 산소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와 호스(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되며, 그 결과 필요에 따라 산소공급관(40) 내측으로 적정량의 산소가 공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귀걸이부(20A, 20B)를 귀에 걸면 마스크본체(10)가 착용자의 안면에 따라 자연스럽게 굴곡이 형성되면서 착용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구획부재(30)가 착용자의 인중 부분에 닿아 내부 공간이 구획부재(30)를 기준으로 상하로 구획되게 된다.
또한, 산소공급관(40)의 중간 부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연통공(41)이 형성되고, 이러한 연통공(41)을 통해 산소공급관(40) 내측의 산소가 구획부재(30) 안쪽에서 마스크본체(10)를 통해 형성되는 공간 상으로 배출되게 된다.
위에서는 산소공급관(40)의 중간 부분에 연통공(41)이 형성되는 것으로만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공급관(40)의 중간 부분이 절단되어 절단된 단부를 통해 산소공급관(40) 내측의 산소가 배출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더해 절단된 산소공급관(40)의 양단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의 스펀지블록(42)이 설치되고, 이러한 스펀지블록(42)에 절단된 산소공급관(40)의 양단이 소정 깊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스펀지블록(42)을 통해 산소공급관(40) 내측의 산소가 배출되는 유속이 감소되어 산소가 빠르게 코와 입 쪽으로 배출되어 발생하는 거부감 및 불편함이 감소되게 된다.
이때 스펀지블록(42)은 구획부재(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스펀지블록(32)의 양측면에는 산소공급관(40)이 소정 깊이 삽입되는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절단된 산소공급관(40)이 구멍을 통해 스펀지블록(42)의 양측면에 끼움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또한, 산소공급관(40)은 귀걸이부(20A, 20B)와 구획부재(3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에 의해 산소공급관(40)이 재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산소공급관(40) 상에는 산소공급관(4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길이조절부재(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공급관(40)이 관통 삽입되는 소정 길이의 삽입본체(61)와, 상기 삽입본체(61)의 가운데 부분을 통해 외측으로 "U"자 모양이 되도록 인출되는 산소공급관(40)의 외측 둘레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소정 지름의 탄성밴드(62)를 포함한다.
그리고 삽입본체(61)의 가운데 부분을 통해 외측으로 인출되는 산소공급관(40)에는 "U"자 모양으로 접어지는 부분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소정지름의 이탈방지구(63)가 설치되고, 이러한 이탈방지구(63)를 통해 삽입본체(61)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산소공급관(40)이 삽입본체(61)의 내측으로 재삽입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길이조절부재(60)를 통해 마스크 착용자는 마스크 착용 전후 삽입본체(61)와 이탈방지구(63)를 각각 파지한 채 이탈방지구(63)를 끌어당겨 삽입본체(61)의 가운데 부분으로 인출되는 산소공급관(40)의 인출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산소공급관(40)의 길이가 적절하게 조절된다.
한편,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스크본체(10)가 착용자의 코와 입 주변에 닿는 의료용 마스크(덴탈 마스크)로 구성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미세먼지 차단용(KF94) 마스크본체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산소 공급 마스크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걸이부(20A, 20B)를 귀에 착용하면, 귀걸이부(20A, 20B)에 의해 산소공급관(40)이 자연스럽게 당겨지게 되면서 구획부재(30)가 코와 입 사이의 인중을 가로지르도록 펼쳐져 밀착되게 되고, 이에 의해 마스크본체(10) 안쪽의 코와 입 부분의 공간이 서로 구획되게 된다.
또한, 산소공급관(40)에 산소공급장치와 연결된 호스를 연결하여 내측으로 산소를 공급하면, 마스크본체(10)의 안쪽으로 적정량의 산소가 공급되면서 마스크 착용자가 상대적으로 깨끗한 공기를 호흡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만으로 구획부재를 통해 자연스럽게 미스크의 내부 공간이 코와 입 사이의 인중을 기준으로 상하로 구획되고, 그 결과 입으로 내쉰 공기가 코로 유입되거나 또는 코로 내쉰 공기가 입으로 호흡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산소공급관을 통해 필요에 따라 적정의 산소가 마스크본체의 안쪽으로 공급되면서 마스크 착용자가 불편함 없이 안정적으로 호흡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0: 마스크본체 20A, 20B: 귀걸이부
30: 구획부재 40: 산소공급관
41: 관통공 42: 스펀지블록
50: 보형부재 60: 길이조절부재
61: 삽입본체 62: 탄성밴드
63: 이탈방지구 L: 재봉라인

Claims (5)

  1. 소정 크기를 가지는 마스크본체(1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상단과 하단 부분을 연결하도록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20A, 20B);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안쪽 면에 상기 마스크본체(10)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소정 폭의 구획부재(30);
    가운데 부분이 상기 구획부재(30)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양단이 상기 구획부재(30)의 양단 쪽으로 인출되어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20A, 20B)에 각각 연결되고, 내측으로 산소가 공급되는 튜브 형상의 산소공급관(40);
    을 포함하고,
    상기 산소공급관(40)은,
    가운데 부분이 절단되어 상기 산소공급관(40) 내측의 산소가 절단된 부분을 통해 마스크 착용자의 입 쪽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산소공급관(40)의 절개된 양단을 연결하도록 소정 길이의 스펀지블록(42)이 설치되며, 상기 산소공급관(40) 내측의 산소가 상기 스펀지블록(42)을 통해 마스크 착용자의 코와 입 쪽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공급 마스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30)에는,
    상기 구획부재(30)가 마스크 착용자의 인중 부분에 밀착되도록 하는 소정 길이의 보형부재(5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공급 마스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형부재(50)는,
    상기 구획부재(30)의 자유단 쪽에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면서 자유 변형이 가능한 철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공급 마스크.
KR1020200170428A 2020-12-08 2020-12-08 산소 공급 마스크 KR102275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428A KR102275392B1 (ko) 2020-12-08 2020-12-08 산소 공급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428A KR102275392B1 (ko) 2020-12-08 2020-12-08 산소 공급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392B1 true KR102275392B1 (ko) 2021-07-09

Family

ID=7686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428A KR102275392B1 (ko) 2020-12-08 2020-12-08 산소 공급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3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498B1 (ko) * 2017-12-27 2019-01-31 주식회사 매경 고기능 필터가 구비된 마스크
KR20190072304A (ko) 2017-12-15 2019-06-25 강정수 마스크윈도우 김서림 방지 구조
KR102026798B1 (ko) 2017-09-12 2019-09-30 김인기 김서림 방지용 벽을 구비한 수술용 김서림 방지 마스크
KR20190140876A (ko) 2019-09-23 2019-12-20 김인기 김서림 방지용 벽을 구비한 수술용 김서림 방지 마스크
KR20200016489A (ko) *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영역분리구조를 갖는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798B1 (ko) 2017-09-12 2019-09-30 김인기 김서림 방지용 벽을 구비한 수술용 김서림 방지 마스크
KR20190072304A (ko) 2017-12-15 2019-06-25 강정수 마스크윈도우 김서림 방지 구조
KR101944498B1 (ko) * 2017-12-27 2019-01-31 주식회사 매경 고기능 필터가 구비된 마스크
KR20200016489A (ko) *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영역분리구조를 갖는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
KR20190140876A (ko) 2019-09-23 2019-12-20 김인기 김서림 방지용 벽을 구비한 수술용 김서림 방지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320B2 (en) Nasal canula and mouthpiece assembly and method
EP0181842B1 (en) Gas collection device
KR101134604B1 (ko) 개선된 얼굴 마스크
WO2016204455A1 (ko) 마스크
KR20200113318A (ko) 끈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WO2022040760A1 (en) Hygiene mask with seal forming structure
KR101956637B1 (ko)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
JP2022528729A (ja) いびき防止装置
KR20170093560A (ko) 마스크
KR102086137B1 (ko) 기능성이 향상된 마스크
CN205434739U (zh) 一种吸气过滤装置
JP2014111193A (ja) マスク、マスク用ノーズアダプタ、およびマスクセット
KR102275392B1 (ko) 산소 공급 마스크
KR20220048890A (ko) 김서림이 방지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
JP3230429U (ja) マスク用セパレータ及びマスク
KR102476836B1 (ko) 투명마스크
KR102219597B1 (ko) 호흡 개선용 마스크
US20220117331A1 (en) Augmented face mask
KR20170095647A (ko) 마스크
KR102532613B1 (ko) 보건용 마스크 및 그 생산방법
US20220168535A1 (en) Breathing guide apparatus and mask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0494533Y1 (ko) 마스크용 가드
US20230404188A1 (en) Surgical mask having sliding-down and fogging preventing function
US20230240391A1 (en) Hygiene mask with seal forming structure
KR200497995Y1 (ko) 유해가스 배출기가 구비된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