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528B1 - 연료 필러 캡 - Google Patents

연료 필러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528B1
KR100521528B1 KR10-1999-0067577A KR19990067577A KR100521528B1 KR 100521528 B1 KR100521528 B1 KR 100521528B1 KR 19990067577 A KR19990067577 A KR 19990067577A KR 100521528 B1 KR100521528 B1 KR 100521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cap
fuel filler
fuel
elastic pieces
cylindr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5995A (ko
Inventor
오정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528B1/ko
Publication of KR20010065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15/0409Provided with a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2015/0451Sealing means in the closure c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주입파이프에 나사체결 장착되는 숫나사부가 계속하여 체결력을 유지하여 풀어짐이 방지되므로 연료의 외부 누설 및 연료필러 캡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연료필러 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위해 본 발명은 원판부와 원통부가 ㅠ형 단면을 형성하는 연료필러 캡 본체와;
상기 연료필러 캡 본체와 별개체로 형성되며, 하단부는 통체로 형성되고 상부는 U자형 절개부에 의해 2개의 반원형의 탄성편이 기립하여 대향하고 있는 형상으로서 연료주입파이프의 암나사와 나사체결되는 숫나사를 구비한 마개부와;
상기 본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마개부의 탄성편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 지지체와;
상기 스프링 지지체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2개의 탄성편이 각각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발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압축스프링과 동축상으로 상기 탄성편의 외표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료필러 캡 본체의 원통부를 관통하여 바깥으로 돌출하는 막대와;
그 돌출된 막대에 고정된 푸쉬버튼과;
상기 연료필러 캡 본체 원통부 하단에 장착되는 패킹;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필러 캡{Fuel filler cap}
본 발명은 연료탱크에 연료주입을 안내하는 연료주입파이프를 개폐하는 연료필러 캡에 관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같이 연료필러 캡(20) 중 나사타입의 것은 연료필러 캡(20)의 숫나사부(21)를 연료주입파이프의 암나사부에 체결하여 연료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나사체결에만 의존하는 경우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가 체결부위를 통하여 외부로 누설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밀봉을 위하여 패킹(22)을 장착하고 있다.
패킹(22)에 의한 시일링 작용은 나사부의 체결 토오크에 의해 눌려지는 힘으로 패킹(22)이 압축되어 시일링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구조의 연료필러 캡에 의하면 엔진의 진동 및 체결 토오크 부족등의 원인으로 나사의 체결력이 떨어져 연료필러 캡(20)이 풀림으로써 패킹(22)에의 누름력이 약해져 연료가 외부로 누설되거나 연료필러 캡 자체가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연료주입파이프에 나사체결 장착되는 숫나사부가 계속하여 체결력을 유지하여 풀어짐이 방지되므로 연료의 외부 누설 및 연료필러 캡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연료필러 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료필러 캡은
원판부와 원통부가 ㅠ형 단면을 형성하는 연료필러 캡 본체와;
상기 연료필러 캡 본체와 별개체로 형성되며, 하단부는 통체로 형성되고 상부는 U자형 절개부에 의해 2개의 반원형의 탄성편이 기립하여 대향하고 있는 형상으로서 연료주입파이프의 암나사와 나사체결되는 숫나사를 구비한 마개부와;
상기 본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마개부의 탄성편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 지지체와;
상기 스프링 지지체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2개의 탄성편이 각각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발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압축스프링과 동축상으로 상기 탄성편의 외표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료필러 캡 본체의 원통부를 관통하여 바깥으로 돌출하는 막대와;
그 돌출된 막대에 고정된 푸쉬버튼과;
상기 연료필러 캡 본체 원통부 하단에 장착되는 패킹;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 기재에 의하면
상기 막대는 원통부에 O-링을 개재하여 슬라이딩 접촉가능하게 관통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 기재에 의하면
상기 푸쉬버튼은 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필러 캡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며 도 2는 A-A 단면도이다.
도면중 부호 1은 원판부(2)와 원통부(3)가 일체를 이루고 있어 단면이 대략 ㅠ자형을 이루는 연료필러 캡 본체이다.
마개부(4)는 연료필러 캡 본체(1)와는 별개체로 형성되며, 마개부(4)의 외주에는 숫나사(5)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측은 통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반하여 상부측은 U자형 절개부(6)(6)에 의한 반원형의 2개의 탄성편(7)(7)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료필러 캡 본체(1)의 원판부(2)의 중앙내측 하단으로는 스프링지지체(8)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지지체(8)는 탄성편(7)(7) 사이에 위치하도록 그의 하단이 연장되어 있다.
또 스프링지지체(8)의 양단에는 압축스프링(9)(9)의 일단이 고정되고, 압축스프링(9)(9)의 타단은 탄성편(7)(7)의 내면에 고정되고, 스프링지지체(8)와 탄성편(7)(7)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탄발하고 있다.
이 압축스프링(9)(9)과 동축상에는 원형단면의 막대(10)(10)의 일단이 탄성편(7)(7)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막대(10)(10)의 타단은 원통부(3)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원통부(3) 밖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막대(10)(10)의 돌출된 단부에는 각각 호형상의 푸쉬버튼(11)(1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막대(10)(10)가 관통하는 원통부(3)에는 연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O-링(12)(12)이 장착되어 있으며, 원통부(3)의 하단면에도 연료주입파이프(13)의 단부를 눌러 밀봉하는 패킹(14)이 장착되어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연료필러 캡을 연료주입파이프(13)에 장착하기 위하여서는 먼저 엄지와 검지손가락으로 양측의 푸쉬버튼(11)(11)을 누르면 막대(10)(10)를 통하여 서로 대향하고 있는 2개의 탄성편(7)(7)이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변형되며, 이때 압축스프링(9)(9)은 압축되어져 탄성력을 축적한다. 이 상태에서 마개부(4)는 쉽게 연료주입파이프(13)내로의 삽입 및 체결이 가능하다.
마개부(4)가 연료주입파이프(13)내로 삽입된 후 푸쉬버튼(11)(11)으로 부터 손을 떼면 압축스프링(9)(9)의 탄발력에 의해 탄성편(7)(7)이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숫나사(5)의 모든 나사산들이 암나사(14)에 강하게 밀착하여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따라 패킹(14)의 밀착력도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연료필러 캡을 연료주입을 위해 탈거할 때에는 푸쉬버튼(11)(11)을 누르게 되면, 탄성편(7)(7)이 오므라들어 나사(5)(14)의 계합 상태가 완전히 풀어지거나 또는 느슨해지므로 쉽게 탈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U자형으로 상단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2개의 탄성편을 가지는 마개부의 외주에 숫나사를 가공하고 2개의 탄성편은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항상 바깥으로 벌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그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에 대향하여 2개의 탄성편이 오므라들도록 누름작용하는 푸쉬버튼을 연료필러 캡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연료주입파이프에의 탈장착이 용이하고 항상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나사체결력이 유지되므로 임의로 풀어져 밀봉력이 저하되거나 이탈되는 일이 없는 연료필러 캡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필러 캡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연료필러 캡의 A-A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연료필러 캡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필러 캡 본체 2 : 원판부
3 : 원통부 4 : 마개부
5 : 숫나사 6 : 절개부
7 : 탄성편 8 : 스프링 지지체
9 : 압축스프링 10: 막대
11: 푸쉬버튼 12: O-링
13: 연료주입파이프 14: 패킹

Claims (3)

  1. 원판부와 원통부가 ㅠ형 단면을 형성하고 있는 연료필러 캡 본체와;
    상기 연료필러 캡 본체와 별개체로 형성되며, 하단부는 통체로 형성되고 상부는 U자형 절개부에 의해 2개의 반원형의 탄성편이 기립하여 대향하고 있는 형상으로서 연료주입파이프의 암나사와 나사체결되는 숫나사를 구비한 마개부와;
    상기 본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마개부의 탄성편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 지지체와;
    상기 스프링 지지체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2개의 탄성편이 각각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발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압축스프링과 동축상으로 상기 탄성편의 외표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료필러 캡 본체 원통부를 관통하여 바깥으로 돌출하는 막대와;
    그 돌출된 막대에 고정된 푸쉬버튼과;
    상기 연료필러 캡 본체의 원통부 하단에 장착되는 패킹;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러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는 원통부에 O-링을 개재하여 슬라이딩 접촉가능하게 관통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러 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은 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러 캡.
KR10-1999-0067577A 1999-12-31 1999-12-31 연료 필러 캡 KR100521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577A KR100521528B1 (ko) 1999-12-31 1999-12-31 연료 필러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577A KR100521528B1 (ko) 1999-12-31 1999-12-31 연료 필러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995A KR20010065995A (ko) 2001-07-11
KR100521528B1 true KR100521528B1 (ko) 2005-10-12

Family

ID=1963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577A KR100521528B1 (ko) 1999-12-31 1999-12-31 연료 필러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5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1946A1 (ja) * 2013-07-23 2015-01-29 ヤンマー株式会社 タンクキャップ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851U (ko) * 1985-07-10 1987-01-27
JPH0582635U (ja) * 1992-04-10 1993-11-09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キャップ
KR950017690U (ko) * 1993-12-30 1995-07-22 연료 캡
KR19990027637U (ko) * 1997-12-24 1999-07-15 양재신 자동차 파워스티어링 오일 리저버 캡
KR19990030322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오일 필러 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851U (ko) * 1985-07-10 1987-01-27
JPH0582635U (ja) * 1992-04-10 1993-11-09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キャップ
KR950017690U (ko) * 1993-12-30 1995-07-22 연료 캡
KR19990027637U (ko) * 1997-12-24 1999-07-15 양재신 자동차 파워스티어링 오일 리저버 캡
KR19990030322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오일 필러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995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0039001A8 (en) Arrangement for resealing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s
GB8716514D0 (en) Bottle caps
GB2072780A (en) Connector fitting for the quick and releasable connection of synthetic piping
BR0212688A (pt) Tampa roscada
KR100521528B1 (ko) 연료 필러 캡
KR200443289Y1 (ko) 케이블 방수용 패킹구조체
ES2068719T3 (es) Tapon roscado para el cierre de una botella o similar.
EP0623504A1 (en) Upper bearing assembly for a bicycle steerer tube
KR960008529Y1 (ko) 화장품 용기패킹과 캡패킹의 밀폐구조
KR101312938B1 (ko) 사출금형의 냉각 파이프를 밀폐시키는 마개
KR200270031Y1 (ko) 관 연결구
CN220375203U (zh) 一种牙膏包装瓶
KR200244811Y1 (ko) 밀폐용 병뚜껑
KR0119353Y1 (ko) 캔용 합성수지 와테
CN221051565U (zh) 一种酒矛的泄压装置以及酒矛
JPH02209682A (ja) 弁ハウジング組立体及び固着防止リング
CN218705273U (zh) 一种气密罐
EP0386348A1 (fr) Bouchon à visser
KR200306017Y1 (ko) 관 폐쇄용 캡을 밀폐하는 패킹
KR970005985Y1 (ko) 에어펌프와 생수병의 밀폐결합장치
KR200217938Y1 (ko) 원터치 용기 캡
KR950007035Y1 (ko) 굴곡관 연결구의 누수방지장치
DE3869993D1 (de) Drehverschluss fuer behaelter.
KR200315764Y1 (ko) 배관 연결구
KR200305503Y1 (ko) 케이블 수중 실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