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330B1 -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 - Google Patents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330B1
KR100521330B1 KR1019980028041A KR19980028041A KR100521330B1 KR 100521330 B1 KR100521330 B1 KR 100521330B1 KR 1019980028041 A KR1019980028041 A KR 1019980028041A KR 19980028041 A KR19980028041 A KR 19980028041A KR 100521330 B1 KR100521330 B1 KR 100521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heat
semiconductor device
board
dissip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297A (ko
Inventor
박재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28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330B1/ko
Publication of KR2000000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3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H05K7/20418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the radiating structures being additional and fastened onto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디바이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히트 싱크와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다른 부품을 통하여 방출시키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는 제 1 방열 부재, 제 2 방열 부재, 바텀 실드 그리고 리어 브라켓과의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반도체 디바이스는 보드에 장착되어 있다. 제 1 방열 부재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상면에 접촉된다. 제 2 방열 부재는 반도체 디바이스가 장착된 보드의 반대면에 접촉된다. 제 1 방열 부재는 바텀 실드에 접촉된다. 제 2 방열 부재는 바텀 실드와 리어 브라켓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발생되는 열은 제 1 방열 부재, 제 2 방열 부재를 통해 상기 바텀 실드 그리고 리어 브라켓 등으로 넓게 분산되기 때문에 그 방열이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a radiator structure for Computer System}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디바이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히트 싱크와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다른 부품을 통하여 방출시키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이 고성능화되고 소형화 되어 가는 추세에 대응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되는 반도체 디바이스들도 고집적화 되고 소형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디바이스의 발열량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 시스템은 이러한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열 구조가 매우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컴퓨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2) 하우징(104) 바닥면상에 마더 보드(106)가 설치된다. 상기 마더 보드(106)의 소정 위치에는 CPU(108)와 비디오 콘트롤러 칩(110) 등의 반도체 디바이스들이 장착된다. 상기 마더 보드(108) 위에는 서브 보드(112)가 설치된다. 이 서브 보드(112)는 스크류(120)로 상기 마더 보드(106)상에 형성된 고정 보스(114)에 고정된다. 상기 서브 보드(112)는 상기 마더 보드(106)와 연동되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보드이다. 한편, 상기 CPU(108)에는 히트 싱크(116)가 장착된다. 이 히트 싱크(116)는 상기 CPU(108)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 장치이다. 상기 CPU(108)에는 이러한 히트 싱크 외에도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된 비디오 콘트롤러 칩(110)은 발열량이 극히 낮았기 때문에 방열장치가 장착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비디오 콘트롤러 칩(110)의 처리속도와 집적도의 증가로 발열량이 매우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비디오 콘트롤러 칩(110)이 작동할 때 그 표면에서 약 90도 이상의 온도가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비디오 콘트롤러 칩에서 발생되는 열은 본체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그 열은 마더 보드(106)로 전달되어 상기 마더 보드(106)상에 장착된 각종 반도체 소자들을 열화(劣化)시키게 된다. 그 결과 각종 반도체 소자들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수명이 단축되며, 심한 경우에는 컴퓨터 시스템의 오동작이나 고장 발생의 한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는 하우징 내부에서 보드상에 장착된 반도체 디바이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실드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서브 보드와;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고 상기 서브 보드를 지지하며 열이 상기 실드를 통해서도 방열되도록 하는 제 1 방열 부재와;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가 장착된 보드의 반대면에 설치되어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고 열이 상기 실드를 통해서도 방열되도록 하는 제 2 방열 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와 제 1 방열 부재, 상기 메인 보드와 제 2 방열 부재 사이에는 접촉성과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서어멀 패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드에 설치된 주변 장치 포트들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방열 부재는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브라켓을 통해서도 방열되도록 상기 브라켓에 접촉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는 비디오 콘트롤러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방열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방열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가 적용된 휴대용 컴퓨터가 도시되어 있다. 이 휴대용 컴퓨터는 대표적인 노트북 컴퓨터를 도시한 것으로, 랩탑 컴퓨터, 팜탑 컴퓨터등 다른 종류의 휴대용 컴퓨터로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용 컴퓨터(10)는 본체와 디스플레이 패널부로 구성된다. 본체는 바텀 하우징과 톱 하우징을 갖고 있다. 이 톱 하우징과 바텀 하우징의 결합에 의해서 본체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이 내부 공간에는 일반적으로 마더 보드와 다수개의 전자 카드 어셈블리들이 설치된다. 이것들은 다수개의 반도체 디바이스들을 가지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 구조는 제 1 히트 싱크(30), 제 2 히트 싱크(32), 서어멀 패드(thermal pad;40), 바텀 실드(bottom shield;16) 그리고 리어 브라켓(rear bracket;18)과의 어셈블리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1 히트 싱크(30)와 제 2 히트 싱크(32)는 비디오 콘트롤러 칩(22)에 접촉되어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히트 싱크와 제 2 히트 싱크는 알류미늄(aluminum) 또는 알류미늄 합금(aluminum alloy)과 같이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블록(block) 또는 플레이트(plat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블록 또는 플레이트의 일면에는 핀들(fins)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트 싱크(30)는 상기 비디오 콘트롤러 칩(22)의 상부면에 면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휴대용 컴퓨터의 내부 공간이 허락 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디오 콘트롤러 칩(22)과 제 1 히트 싱크(30)의 접촉면 사이에는 접촉성과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서어멀 패드(40)가 끼워져 부착된다. 상기 비디오 콘트롤러 칩(22)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서어멀 패드(40)를 통해 제 1 히트 싱트(30)로 전달된다. 상기 제 1 히트 싱크(30)는 상기 바텀 실드(16)에 접촉되는 제 1 접촉 부분(30a)을 갖는다. 상기 바텀 실드는 휴대용 컴퓨터의 EMI 개선을 위해 설치되며 그 재질은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히트 싱크(32)는 비디오 콘트롤러 칩(22)이 장착된 마더 보드(20)의 저면에 면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마더 보드(20)의 저면과 제 2 히트 싱크(32)의 접촉면 사이에는 서어멀 패드(40)가 끼워져 부착된다. 상기 비디오 콘트롤러 칩(22)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서어멀 패드(40)를 통해 제 2 히트 싱트(32)로 전달된다. 상기 제 2 히트 싱크(32)는 상기 바텀 실드(16)와 리어 브라켓(18)에 각각 접촉되는 제 2 접촉 부분(32a)과 제 3 접촉 부분(32b)을 갖는다. 상기 리어 브라켓(18)은 상기 보드(20)에 설치된 그리고 주변 장치측 포트들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다양한 형태의 주변 장치 포트들(26)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이다. 상기 리어 브라켓(18)는 알류미늄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은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두 개의 히트 싱크(30,32)와 바텀 실드(16) 그리고 리어 브라켓(18)을 이용하여 방열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용된 상기 바텀 실드(16)와 리어 브라켓(18)도 하나의 히트 싱크로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이 분야의 종사자들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마더 보드에는 DC/DC 컨버터 보드(DC/DC converter board;24)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마더 보드에 설치되는 보드를 DC/DC 컨버터 보드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DC/DC 컨버터 보드(24)는 다른 서브 보드로 대체하여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서브 보드란 메인 보드와 연동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보드를 말한다. 상기 DC/DC 컨버터 보드(24)는 상기 마더 보드(20)에 설치된 커넥터(20a)에 접속되어 상기 마더 보드(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 1 히트 싱크(30)의 상면에는 상기 DC/DC 컨버터 보드(24)를 지지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 보스(30b)가 돌설되어 있다. 상기 DC/DC 컨버터 보드(24)는 상기 제 1 히트 싱크(30)의 지지 보스(30b)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마더 보드(20)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히트 싱크는 서브 보드를 지지 고정 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방열 구조에서의 열 방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방열 작용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휴대용 컴퓨터가 작동되기 시작하면, 상기 비디오 콘트롤러 칩(22)이 구동되면서 열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비디오 콘트롤러 칩(22)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면과 하부면에 부착된 서어멀 패드(40)를 통하여 제 1 히트 싱크(30)와 제 2 히트 싱크(32)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제 1 히트 싱크(30)로 전달된 열은 일단에 형성된 제 1 접촉 부분(30a)을 통해 상기 바텀 실드(16)로 분산 전달되면서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히트 싱크(32)로 전달된 열은 일단에 형성된 제 2 접촉 부분(32a)을 통해 상기 바텀 실드(16)로 분산 전달된다. 또한, 그 열은 제 3 접촉 부분(32b)을 통해 상기 리어 브라켓(18)으로 분산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비디오 콘트롤러 칩(22)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제 1 히트 싱크(30), 제 2 히트 싱크(32)에서도 방열되고 동시에 상기 바텀 실드(16) 그리고 리어 브라켓(18) 등으로 넓게 분산되기 때문에 방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중요한 의미는 히트 싱크들(30,32)과 연결되는 바텀 실드(16)와 리어 브라켓(18)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방열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비디오 콘트롤러 칩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열 부재로 전달된 후, 다시 컴퓨터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에 분산 전달된다. 따라서, 열 분산 면적이 넓기 때문에 방열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비디오 콘트롤러 칩이 방열 부재에 의해 실드와 브라켓에 접촉됨으로서 EMI 성능 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방열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방렬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방열작용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휴대용 컴퓨터 12 : 본체
14 : 하우징 16 : 바텀 실드
18 : 리어 브라켓 20 : 마더 보드
22 : 비디오 콘트롤러 칩 24 : DC/DC 컨버트 보드
30 : 제 1 히트 싱크 30a : 제 1 접촉 부분
30b : 지지 보스 32 : 제 1 히트 싱크
32a : 제 2 접촉 부분 32b : 제 3 접촉 부분
40 : 서어멀 패드

Claims (4)

  1. 하우징 내부에서 보드상에 장착된 반도체 디바이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실드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서브 보드와;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고 상기 서브 보드를 지지하며 상기 실드와 접촉되는 제 1 방열 부재와;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가 장착된 보드의 반대면에 설치되어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고 상기 실드와 접촉되는 제 2 방열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 1 방열 부재 및 제 2 방열 부재 그리고 실드로 전달되어 방열 되므로써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와 상기 제 1 방열 부재, 상기 메인 보드와 상기 제 2 방열 부재 사이에는 접촉성과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서어멀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드에 설치된 주변 장치 포트들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방열 부재는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브라켓을 통해서도 방열되도록 상기 브라켓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는 비디오 콘트롤러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
KR1019980028041A 1998-07-11 1998-07-11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 KR100521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041A KR100521330B1 (ko) 1998-07-11 1998-07-11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041A KR100521330B1 (ko) 1998-07-11 1998-07-11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297A KR20000008297A (ko) 2000-02-07
KR100521330B1 true KR100521330B1 (ko) 2006-01-12

Family

ID=19543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041A KR100521330B1 (ko) 1998-07-11 1998-07-11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210B1 (ko) * 1999-01-20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방열장치
KR100731365B1 (ko) * 2005-11-02 2007-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Pod 카드의 냉각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8100A (ja) * 1991-03-27 1992-10-21 Fujitsu Ltd チップ・イン・ボード
JPH06118123A (ja) * 1992-10-01 1994-04-28 Nec Corp 半導体リキッドバーンイン装置用の冷却治具
JPH06188361A (ja) * 1992-05-11 1994-07-08 Nec Corp マルチチップモジュール基板
KR970066796A (ko) * 1996-03-13 1997-10-13 김광호 방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8100A (ja) * 1991-03-27 1992-10-21 Fujitsu Ltd チップ・イン・ボード
JPH06188361A (ja) * 1992-05-11 1994-07-08 Nec Corp マルチチップモジュール基板
JPH06118123A (ja) * 1992-10-01 1994-04-28 Nec Corp 半導体リキッドバーンイン装置用の冷却治具
KR970066796A (ko) * 1996-03-13 1997-10-13 김광호 방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297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2001B2 (en) External conductive heat dissipating device for microcomputers
KR100310099B1 (ko) 반도체집적회로장치용방열장치및그것을구비하는휴대용컴퓨터
US7640968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with a heat pipe
US20110075369A1 (en) Electronic device
US7177147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for computer hard drive
US5910884A (en) Heatsink retention and air duct assembly
US20050286229A1 (en) Modular heat-dissipation assembly structure for a PCB
US20050036288A1 (en) Mother board with a ventilation-enhancing member
US7990720B2 (en) Electronic system with heat dissipation structure
KR19990030713A (ko) 전자 시스템의 방열장치 및 방열장치가 사용된 컴퓨터 시스템
JP2000269671A (ja) 電子機器
KR100464990B1 (ko) 회로보드 지지체
JPH1174427A (ja) 回路素子の放熱構造
JP2008010768A (ja) 電子機器および実装構造体
US20060104034A1 (en) Heat-dissipating device
US20030210524A1 (en) Computer assembly for facilitating heat dissipation
US20080218964A1 (en) Desktop personal computer and thermal module thereof
JP2003318337A (ja) 電子機器
US20070097625A1 (en) Printed circuit board with a heat dissipation device
JP2006339223A (ja) Cpuの放熱構造
KR20060016236A (ko) 데스크 탑 퍼스널 컴퓨터에 삽입되는 확장 기판 구조
KR100521330B1 (ko) 컴퓨터 시스템의 방열 구조
KR101358146B1 (ko) 냉각파이프를 이용한 공랭식 냉각장치
US20100181049A1 (en) Heat dissipation module
KR100538210B1 (ko) 휴대용 컴퓨터의 방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