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249B1 -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249B1
KR100521249B1 KR10-2003-0077230A KR20030077230A KR100521249B1 KR 100521249 B1 KR100521249 B1 KR 100521249B1 KR 20030077230 A KR20030077230 A KR 20030077230A KR 100521249 B1 KR100521249 B1 KR 100521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hilajit
composition
presen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2529A (ko
Inventor
김기영
박정숙
Original Assignee
김기영
박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영, 박정숙 filed Critical 김기영
Priority to KR10-2003-0077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249B1/ko
Priority to PCT/KR2004/002798 priority patent/WO2005041990A1/en
Publication of KR2005004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0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inanimate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라짓(shilajit) 또는 그 추출물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신체 전반의 신진대사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성기능을 개선하고 생식 기능을 증강시키는 활성이 있어, 자양강장, 성기능 개선 및 불임 치료 등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SHILAJIT OR EXTRACT THEREOF}
본 발명은 실라짓(shilajit) 또는 그 추출물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신체 전반의 신진대사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성기능을 개선하고 생식 기능을 증강시키는 활성이 있어, 자양강장, 성기능 개선 및 불임 치료 등에 효과가 있다.
실라짓(생물명: Asphaltum)은 일명 Mineral Pitch로 불려지고 있으며 하절기에 히말라야, 빈디야 등의 저산지대에 있는 바위에서 배출되는 자연적인 삼출물이다. 실라짓은 점착성의 기질에 식물성 섬유와 미네랄이 포함된 식물성 유기물의 밀집체(compact mass)이며, 수분, 검(gums)류, 알부미노이드(albuminoids), 칼슘, 칼륨, 질소, 실리카, 수지(resin), 식물질(vegetable matter), 마그네슘, 황, 철, 염소, 인, 요오드, 글리코시드, 탄닌산, 벤조산, 비타민 및 효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실라짓은 전통적으로 히말라야 주변국들에서 전반적인 신체 기능 강화, 노화 방지, 혈당강하, 상처치유, 두뇌 기능 강화, 골밀도 증가, 면역기능 강화, 관절염 및 고혈압 치료제로 이용되어져 왔다.
미국특허 제 5,405,613호에는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비타민/미네랄 제제에 첨가하면 비타민/미네랄 제제의 원기회복 활성(energetic properties)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6,440,436호에는 실라짓의 생활성 성분을 정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방법으로 정제한 실라짓 추출물을 피부 보호 및 관리 제제로 이용하거나, 약학적 또는 영양학적 제제로 이용할 수 있음을 상술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서 실리짓의 생리활성 성분은 0.3 중량%의 산소화된 디벤조-알파-피론(oxygenated dibenzo-α-pyrones)과 60 중량%의 저분자량의 풀벤산(fulvic acid)임이 밝혀졌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문헌은 참고 문헌으로서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 없이 신체의 생식 기능을 회복하고 발기부전, 불임 등에 효과가 있는 천연물을 스크리닝 하던 중, 실라짓을 사람에게 투여하는 경우 성기능이 개선되고, 흰 쥐에 투여하면 수컷의 경우 정자수가 증가하고 암컷의 경우는 배란주기를 단축시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 없이 신체의 생식 기능을 회복하고, 불임 치료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천연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또는 생식기능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불임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실라짓은 히말라야 등의 저산 지대에 있는 바위에서 배출되는 자연적인 삼출물로서 검은 갈색의 액체이다. 따라서 시장에서는 액상 또는 이를 건고하여 흑갈색의 고체상 물질로 유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시판되는 고형의 실라짓을 분말이나 과립 형태로 포함하거나, 물에 희석하여 액상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라짓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통상의 물 추출물, 알코올 등을 용매로 한 용매 추출법 등을 적용하여 제조한 조추출물일 수 있으며, 또한 칼럼 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정제한 분획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식물 추출방법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알코올 또는 혼합용매에 의한 추출, 중탕이나 상온에 의한 추출법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라짓의 생리활성(bioactive) 분획을 수득하여 정제된 실라짓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실라짓의 생리활성 분획에는 0.3 중량%의 산소화된 디벤조-알파-피론(oxygenated dibenzo-α-pyrones)과 60 중량%의 저분자량의 풀벤산(fulvic acid)이 포함되며, 이러한 실라짓의 생리활성 분획을 수득하는 방법은 미국특허 제6,440,436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체 전반의 신진대사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성기능을 개선하고, 생식 기능을 강화하는 활성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성인 남성에게 일정 기간 투여하면 발기 횟수가 증가하고 발기 유지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성기능 개선용 또는 생식 기능 강화용 식품 또는 약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남성 불임의 원인으로는 정액이나 정자의 이상, 정자의 이동장애 또는 사정 불능이 있으며, 이중 정자를 만드는 고환 기능에 문제가 있어서 정자 형성에 장애가 있거나 정액 성분에 이상이 생김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남성 불임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여성 불임의 원인은 아주 다양하고 그 원인을 찾는 것도 쉽지않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난관의 통과장애나 무월경, 무배란 주기증, 산발성 무배란증 등의 배란 장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흰 쥐에 투여하면, 수컷의 경우 흰쥐의 고환과 부고환의 정자수가 현저히 증가하고 암컷의 경우 배란주기를 단축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액이나 정자의 이상으로 인한 남성 불임을 치료하거나, 배란 이상으로 인한 여성 불임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최종 산물 총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추가로 식품학적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1종 이상의 담체를 첨가하여 식품 또는 약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식염수, 완충 식염수, 물, 글리세롤 및 에탄올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대상의 연령, 성별, 상태,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배설속도,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1일 10 내지 30g을 경구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기술할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보완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장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실라짓(한약방) 1.25g을 정제수 100ml에 녹여서 수성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라짓 2.50g을 정제수 100ml에 녹여서 수성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라짓 5.00g을 정제수 100ml에 녹여서 수성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웅성 흰 쥐의 장기 중량변화 측정
6주령의 스프래그 다우리(Sprague Dawley)계 웅성 흰쥐(경기도, 삼육동물)를 대조군 및 시험군(1, 2 및 3군)을 각각 6마리씩으로 구성하고, 상기 실시예 3에서 수득한 제제를 체중 1kg당 각각 0mg(대조군), 50mg(1군), 100mg(2군) 및 200mg(3군)씩 6주간 투여하였다.
6주 경과후 흰쥐를 에텔로 마취하고 각 장기 즉 심장, 신장, 비장, 간장, 뇌, 고환 및 부고환을 각각 적출하고 각 장기의 중량을 칭량하였다. 각 장기의 중량을 체중당 중량비로 환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흰 쥐의 장기별 무게(중량비;g(%))
g(%) 체중 비장 신장 심장 좌고환 우고환 좌부고환 우부고환
대조군 평균 445.670 4.418 0.279 0.876 0.350 0.507 0.422 0.423 0.130 0.127
편차 27.330 0.598 0.024 0.098 0.043 0.051 0.034 0.031 0.009 0.009
1군 평균 440.750 4.105 0.248 0.791 0.300 0.464 0.388 0.395 0.128 0.127
편차 24.076 0.447 0.028 0.091 0.015 0.037 0.030 0.036 0.013 0.012
2군 평균 457.857 4.226 0.209 0.785 0.314 0.459 0.372 0.377 0.121 0.127
편차 22.520 0.391 0.015 0.083 0.027 0.020 0.029 0.023 0.008 0.012
3군 평균 445.000 3.955 0.249 0.743 0.332 0.464 0.390 0.399 0.131 0.134
편차 31.282 0.352 0.043 0.089 0.049 0.025 0.040 0.037 0.018 0.012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투여군 모두는 대조군에 비해 장기 무게에 있어 유의성 있는 증감(차이)을 나타내지 않았다.
<시험예 2> 웅성 흰 쥐의 정자수 측정
상기 시험예 1에서 얻은 고환과 부고환은 따로 수집하여 정자수를 측정하였다. 고환의 경우 백막을 벗기고 검체 일정량을 채취하여 40ml의 원심관에 넣고 5ml 증류수를 넣은 다음 호모게나이저로 30초간 씩 2회 분쇄한 후 초음파 세척기로 3분 간 처리하였다.
이 후 분쇄액 100㎕를 취하여 혈구 계산용 슬라이드에 넣고 커버글라스를 덮은 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정자수를 측정하였다.
부고환의 경우는 일정량의 부고환을 취하여 가위로 잘게 분쇄한 후 40ml의 원심관에 넣고 3ml 증류수를 첨가한 다음 호모게나이저로 30초간 씩 3,4회 분쇄한 후 분쇄액 100㎕를 취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정자수를 측정하였다.
고환의 정자수 측정
고환무게(g) 총정자수/rat 정자수/g 정자수/day
대조군 3.428 5742479.7 1675230 274628
1군 3.445 15665179.4 4547222 745446
2군 3.421 18153365.4 5306450 869910
3군 3.496 20156693.2 5765645 945188
부고환의 정자수 측정
부고환무게(g) 총정자수/rat 정자수/g 정자수/day
대조군 1.048 9730512.6 9282732 1521759
1군 1.121 22131046.1 19742236 3236432
2군 1.138 48476455.7 42597940 6983269
3군 1.175 74201330.3 63150068 10352470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라짓 투여군 모두는 대조군에 비해 고환 및 부고환 모두에서 투여량에 비례하여 정자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라짓 200mg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정자수가 유의성 있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ANOVA test).
<시험예 3> 자성 흰쥐에서 배란 효과 시험
본 시험에서는 27마리의 자성 흰쥐(경기도, 삼육 동물)를 1군당 9마리로 나누어 체중 1kg당 실시예 3의 제제를 각각 0mg, 50mg 또는 200mg씩 투여하였다.
투여 6주 후 각 실험동물의 배란주기를 확인하여 발정기를 나타내는 흰쥐의 수량을 확인하고 난관을 적출하여 난관내의 배란 숫자를 계수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발정기는 Rush의 방법에 따라 치사 직전에 면봉으로 자성 흰쥐의 질분비물을 채취하여 슬라이드 글라스에 묻힌 다음 광학현미경(Nikon YS 100, Japan)으로 질분비물을 관찰하여 판별하였다. 통상적으로 성주기의 분류는 3가지 주요 세포 유형 즉 백혈구, 상피세포 및 각화된 상피세포의 모양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각 성주기의 특징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자성 흰쥐의 성주기에 따른 질 분비물의 현미경적 특징
주기 기간(일) 질분비물의 현미경적 특징
발정정지기 1~3 백혈구만 관찰됨
발정전기 ~1 백혈구 및 유핵 상피세포가 관찰됨
발정초기 0.5~1 상피세포와 약간 각화된 세포가 존재하기도 함
발정기 0.5~1 각화된 세포만 관찰됨
발정후기 ~1 백혈구와 각화된 세포가 관찰됨
배란이 유도된 흰쥐의 수 및 그의 난자수
약물투여량 1일 2일 3일 4일 5일
배란유도수(시험동물수당) 대조군 0/9 1/9 1/7 1/6 0/6
50mg 1/9 1/8 0/7 0/6 0/6
200mg 4/9 2/5 1/3 0/2 0/2
난자수(개체당) 대조군 0 9 10 15 0
50mg 12 8 0 0 0
200mg 11.75 14 16 0 0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50mg 투여군은 배란주기에 있어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00mg 투여군은 발정기에 있는 흰쥐의 수가 뚜렷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Rugh 등에 의하면 자성 흰쥐의 배란 주기는 최소 5일에서 최대 7일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것은 9마리 중 5 ~ 7일간에 걸쳐 1 ~ 2마리가 발정기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본 실험결과 대조군 및 저농도 약물 투여군에서는 5일간 발정기에 있는 흰쥐는 9마리 중 2~3마리에 불과하여 Rugh의 보고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200mg 투여군에 있어서는 5일에 걸쳐 발정기에 있는 흰쥐의 수는 7마리로써 대조군에 비해 2 내지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라짓의 투여는 배란 주기, 특히 발정 정지기를 단축시켜 수태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보이며, 실제 배란주기를 관찰한 결과 대조군 및 저농도 약물 투여군에 비해 200mg 투여군의 경우 발정 정지기 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4> 성기능 개선 시험
35 ~ 50 세의 남성 지원자 7명을 모집하여 상기 실시예 3의 조성물을 3주간 경구투여 후 성욕주기, 발기정도, 발기 유지시간, 발기 횟수 및 사정 성공 여부와 관련한 5가지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성인 남자의 성기능에 미치는 영향
개체 1 2 3 4 5 6 7
약물복용
성욕주기 매일
1~3일
1주
발기정도 완전발기
보통
완전하지 못함
발기유지시간 현저히 개선됨
개선됨
복용전과 비슷함
완전사정도달여부
아니오
발기회수(1회성교시) 1회 이하
2회
3회 이상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기 유지시간이 길어지고 1회 성교시 발기 횟수가 증가한 예는 각각 7명중 6명인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발기 유지시간 및 발기 횟수가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발기정도에 대한 설문결과 개선되었다고 응답한 예는 7명중 2명이었으며, 완전 사정에 도달하지 못하던 5명중 2명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성욕 주기에 대한 질문에서 성욕을 느끼는 주기가 빨라졌다고 응답한 사람, 약간 늦어진 것으로 응답한 사람 및 거의 변화가 없다고 응답한 사람이 혼재되어 있어 변별력이 없었다. 이와같은 결과는 성기능과 성욕이 직선적인 상관 관계가 없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시험에 참가한 7명중 모두에 있어 전반적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약간이라도 성기능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본 시험의 결과는, 상기 제제를 장기 복용시 완전한 사정을 유도하고 나아가서 성적 만족도를 높일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체 전반의 신진대사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성기능을 개선하고 생식 기능을 강화하는 활성이 있으므로 성기능 개선용 건강 식품 또는 약제로 개발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장기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고환과 부고환의 정자수를 선택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시킴으로 인하여 남성 불임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여성의 경우 배란 주기를 단축시킴으로써 배란율 저하의 불임 환자를 위한 불임 치료제로 개발하여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불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임은 정자수 부족으로 인한 남성 불임 혹은 배란 이상으로 인한 여성 불임인 조성물.
KR10-2003-0077230A 2003-11-03 2003-11-03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521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230A KR100521249B1 (ko) 2003-11-03 2003-11-03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PCT/KR2004/002798 WO2005041990A1 (en) 2003-11-03 2004-11-02 Composition containing shilajit or extrac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230A KR100521249B1 (ko) 2003-11-03 2003-11-03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587A Division KR20050080461A (ko) 2005-07-22 2005-07-22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529A KR20050042529A (ko) 2005-05-10
KR100521249B1 true KR100521249B1 (ko) 2005-10-17

Family

ID=3454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230A KR100521249B1 (ko) 2003-11-03 2003-11-03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21249B1 (ko)
WO (1) WO2005041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6475A2 (en) * 2010-10-27 2012-05-03 Sanzyme Limited Composition for improving sexual health
KR102278512B1 (ko) * 2021-01-19 2021-07-20 정진욱 광화학 반응시켜 카나비디올 및 풀빅산을 함유하며, 상기 카나비디올 및 풀빅산 성분이 식용 곤충, 파충류, 연체류, 및 가축류로의 천이 가능한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41990A1 (en) 2005-05-12
KR20050042529A (ko) 2005-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h et al. Cinnamomum camphora (Kapur)
Deraniyagala et al. Antinociceptive effect and toxicological study of the aqueous bark extract of Barringtonia racemosa on rats
ES2628223T3 (es) Mezclas de plantas en una tintura madre espagírica para la tos seca en bebés
US7115286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n orally administered inhibitor of biting insects
Widowati et al. The use of betel (Piper betle) leaves for maintaining the health of women and children at various ethnic groups in Indonesia
JP4613012B2 (ja) 乾癬を治療するための医薬の調製におけるジャショウシの全クマリン類の使用
KR100894439B1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601390B1 (ko) 혼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0521249B1 (ko)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Reddy Madhuca indica: An untapped forest tree for its medicinal uses
EP1900372B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male fertility
Marx et al. Urginea sanguinea: medicinal wonder or death in disguise?
KR20050080461A (ko) 실라짓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N101361950A (zh) 一种具有活血、散瘀、止痛等保健功效的妇科中药及其制备方法
Panda Aloe vera handbook cultivation, research finding, products, formulations, extraction & processing
CN110384785B (zh) 一种用于治疗病毒性感冒的外用中药药液及其制备方法
US20090297643A1 (en) Botanical composition and its uses
KR100541424B1 (ko) 항염증성 생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E2015877C3 (de) Arzneimittel zur Behandlung der Prostatahypertrophie
CN104540513A (zh) 用于治疗与关节疾病相关疼痛的植物组合物
KR20050118820A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EP1338303B1 (en) Detoxifying phytotherapeutic composition from two plant extract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20040088450A (ko) 조직배양 산삼 부정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Jaipuriar Herbs of Tribal Land Jharkhand, India
RU2119348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34;бальзам карелина&#34;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