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031B1 -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031B1
KR100521031B1 KR10-2003-0036843A KR20030036843A KR100521031B1 KR 100521031 B1 KR100521031 B1 KR 100521031B1 KR 20030036843 A KR20030036843 A KR 20030036843A KR 100521031 B1 KR100521031 B1 KR 100521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path
headset
audio signal
shortcu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5461A (ko
Inventor
이경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6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031B1/ko
Publication of KR2004010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헤드셋 잭(Headset jack)을 접속한 상태에서 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 신호경로와 헤드셋의 이어폰/HFK(Hands Free Kits) 신호경로를 단축키를 사용하여 바꾸어주는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 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의 메인 오디오신호 경로 또는 헤드셋의 옥스 오디오신호 경로로 오디오 신호가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단축키와, 상기 단축키에 발생된 선택신호에 따라 기준전압과 단축키의 동작전압을 비교하여 그 결과신호를 헤드셋 잭 검출신호로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에서 출력된 헤드셋 잭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단말기의 오디오부 출력신호가 메인 오디오신호 경로 또는 옥스 오디오신호 경로로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메인 CPU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셋이 접속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단말기에 헤드셋이 접속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간단한 단축키 조작으로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해준다.

Description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 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Device the Method for switching the audio path of mobile phone with headset using function key}
본 발명은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 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단말기에 헤드셋 잭(Headset jack)을 접속한 상태에서 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 신호경로와 헤드셋의 이어폰/HFK(Hands Free Kits) 신호경로를 단축키를 사용하여 바꾸어주는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 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부에 장착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하여 송수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에 송수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헤드셋(headset) 또는 이어폰(ear phone) 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기 헤드셋, 이어폰, 헤드폰 등과 같이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소자들은 헤드셋이라 총칭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화 기능은 단말기에 장착된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수행되거나 또는 헤드셋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점점 더 소형화되어 휴대하기가 간편해지고, 또한 기능도 다양화되어 사용되는 등 용도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되는 환경은 매우 복잡해지고 있으며, 또한 위험한 상황에서도 사용되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를 운전하는 중에 전화가 오거나 긴급하게 전화를 걸어야 하는 경우, 현재 상기 헤드셋을 사용하여 통화를 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때 단말기 사용자는 전화를 걸기 위하여 또는 전화를 받기 위하여 헤드셋을 착용하고 또한 단말기의 키 패드를 조작하여야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운전자가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 운전에 집중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돌발적인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되는 환경이 운전 중인 경우와 같이 집중을 요하는 경우에 통화 기능을 수행할 시 간단한 조작으로 통화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말기에서 헤드셋 잭을 단말기에 접속하면 단말기가 짹 접속을 검출해서 오디오 신호 경로를 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 신호경로에서 이어폰/HFK 신호 경로로 자동으로 바꾸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어폰 잭을 접속한 상태에서는 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 신호경로로는 오디오신호 경로가 차단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이어폰 잭을 접속한 상태에서 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 신호경로 사용시 에는 이어폰 잭을 접속 해제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히 단말기 사용자가 운전 중인 경우와 같이 집중을 요하는 경우에 통화 기능을 메인/옥스(Main/Aux)로 스위칭 시키기 위하여 이어폰 잭을 한손 또는 두손을 사용하여 탈착 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시 교통사고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단말기에 헤드셋 잭을 접속한 상태에서 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 신호경로와 헤드셋의 이어폰/HFK 신호경로를 단축키를 사용하여 바꾸어주는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 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의 메인 오디오신호 경로 또는 헤드셋의 옥스 오디오신호 경로로 오디오 신호가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단축키와, 상기 단축키에 발생된 선택신호에 따라 기준전압과 단축키의 동작전압을 비교하여 그 결과신호를 헤드셋 잭 검출신호로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에서 출력된 헤드셋 잭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단말기의 오디오부 출력신호가 메인 오디오신호 경로 또는 옥스 오디오신호 경로로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메인 CPU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어폰 장치의 조작부에 구비된 단축키를 온 시키면 온된 단축키의 하이신호가 단말기의 커넥터를 통해 비교기의 마이너스 단자(-)전압을 그라운드(GND) 전압으로 떨어트려 비교기의 출력신호를 로우로 출력하고,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가 로우로 되면 이를 메인 CPU가 인식하여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경로를 메인 경로인 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 신호경로로 자동 세팅되도록 한다.
상기 이어폰 장치의 조작부에 구비된 단축키를 오프 시키면 오프된 단축키의 로우신호가 단말기의 커넥터를 통해 비교기의 마이너스 단자(-)전압을 하이 전압으로 상승시켜 비교기의 출력신호를 하이로 출력하고,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가 하이로 되면 이를 메인 CPU가 인식하여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경로를 옥스경로인 헤드셋의 이어폰/HFK 신호경로로 자동으로 스위칭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헤드셋 단말기의 키입력 장치에 구비되어 단말기의 메인 오디오신호 경로와 헤드셋의 옥스 오디오신호 경로로 스위칭 시켜주는 단축키와, 상기 키입력 장치의 단축키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단말기의 오디오부 출력신호를 별도의 핀을 통해 메인 오디오신호 경로 또는 옥스 오디오신호 경로로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메인 CPU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입력 장치에 구비된 특정 단축키는 키패드 상의 특정 키 또는 키들의 조합 일수도 있고, 메뉴 상에서 세팅할 수도 있다.
상기 키입력 장치에 구비된 단축키를 온시키면 온된 단축키의 하이신호를 메인 CPU가 인식하여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경로를 메인 경로인 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 신호경로로 자동 세팅되도록 하고, 상기 키입력 장치에 구비된 단축키를 오프시키면 오프된 단축키의 로우신호를 메인 CPU가 인식하여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경로를 옥스경로인 헤드셋의 이어폰/HFK 신호경로로 자동으로 스위칭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를 단말기의 메인(Main)신호 경로와 옥스(Aux)신호 경로로 스위칭 시켜주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현재 오디오신호 경로에서 단말기의 메인 오디오신호 경로와 헤드셋의 옥스 오디오신호 경로로 스위칭 시켜주는 단축키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축키 입력에 따라 단말기의 오디오부 출력신호를 단말기의 메인 오디오신호 경로 또는 헤드셋의 옥스 오디오신호 경로로 스위칭 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용 이어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일 측면에는 헤드셋용 커넥터(110)가 설치되었고, 커넥터(110)에 단말기용 이어폰 장치(120)의 이어잭(121)을 접속한다.
이때, 단말기용 이어폰 장치(120)는 이어잭(121), 조작부(122), 스피커(123), 이어폰(24) 및 단축키(125)로 구성되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폰 장치(120)를 구성하는 각부의 기능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폰 장치(120)를 사용함으로써, 상대방과 전화통화가 가능하게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헤드셋 제어 회로부의 블록 구성도로서, 단말기(100)의 헤드셋용 커넥터(110)에 비교기(105)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3 은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를 표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메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310)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소정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을 구비하며, 데이터 저장부(320)는 메인 CPU(310)의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및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 스위칭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를 일시 저항한다.
RF 송수신부(330)는 단말기의 송수신단으로부터 음성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 등이 포함된 RF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한편, 기지국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 받아 중간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CPU(310)로 출력한다.
키 입력부(340)는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된 키 및 키 패드 상에 구비된 다수의 숫자 키와 기능 키를 모두 포함하며, 상기 키들에 대한 키 데이터를 메인 CPU(310)로 출력하며, LCD 표시부(350)는 상기 키 입력부(340)에서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대한 표시데이터를 상기 메인 CPU(310)로부터 입력받아 표시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와 시간 등을 표시한다.
오디오부(360)는 메인 CPU(31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음성 데이터를 증폭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하며, 마이크(MIC)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처리 후 메인 CPU(310)로 전달해준다.
헤드세트의 잭 감지신호(JACK_DETECT) 입력부(370)는 비교기(105)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다음 이를 메인 CPU(310)로 전달해준다.
이하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말기(100)의 헤드셋용 커넥터(110)에 이어폰 장치(120)가 접속되지 않았을 때 비교기(105)의 마이너스 단자(-)에 입력되는 단말기(100)의 헤드셋용 커넥터(110) 전압은 없으므로 비교기(105)의 마이너스 단자(-)전압은 그라운드(GND) 전압으로 떨어진다.
비교기(105)의 마이너스 단자(-)전압이 그라운드(GND) 전압으로 떨어지면 비교기(105)의 플러스 단자(+)전압이 VDD 기준전압(Vref)으로 하이전압이므로, 두 전압을 비교한 결과 비교기(105)의 출력(JACK_DETECT)은 로우전압이 된다.
비교기(105)의 출력(JACK_DETECT)이 로우전압으로 되면 상기 로우전압을 헤드세트의 잭 감지신호(JACK_DETECT) 입력부(370)가 감지하여 신호를 메인 CPU(310)에 제공하며, 상기 헤드세트의 잭 감지신호 입력부(37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 CPU(310)는 오디오신호의 경로를 메인 경로인 단말기의 오디오부(360)통한 메인 스피커/마이크(SPK/MIC) 신호경로로 설정을 바꾸어준다.
한편, 단말기(100)의 헤드셋용 커넥터(110)에 이어폰 장치(120)가 접속되었을 때 비교기(105)의 마이너스 단자(-)에 입력되는 단말기(100)의 헤드셋용 커넥터(110) 전압은 하이전압으로 비교기(105)의 마이너스 단자(-)전압은 그라운드(GND)에서 하이전압으로 상승한다.
비교기(105)의 마이너스 단자(-)전압이 하이전압으로 상승하면 비교기(105)의 플러스 단자(+)전압인 VDD 기준전압(Vref)보다 높은 하이전압이므로, 두 전압을 비교한 결과 비교기(105)의 출력신호인 헤드셋의 잭 감지신호(JACK_DETECT)는 하이 전압이 된다.
비교기(105)의 출력(JACK_DETECT)이 하이전압으로 되면 상기 하이전압을 헤드세트의 잭 감지신호(JACK_DETECT) 입력부(370)가 감지하여 신호를 메인 CPU(310)에 제공하며, 상기 헤드세트의 잭 감지신호 입력부(37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 CPU(310)는 오디오신호의 경로를 옥스(Aux)경로인 헤드셋의 이어폰/HFK(Hands Free Kits) 신호경로로 설정을 바꾸어준다.
따라서 커넥터(110)를 통한 헤드셋의 스피커신호(HEADSET_SPK_P)와 마이크신호(HEADSET_MIC_P)를 공급해줌으로써 단말기(100)의 오디오신호 경로를 메인 경로(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 신호경로)로부터 옥스(Aux)경로(헤드셋의 이어폰/HFK 신호경로)로 변경시켜준다.
이때 본 발명의 이어폰장치(120)의 조작부(122)에 구비되어 있는 단축키(125)를 온(On)시키면, 온된 단축키(125)의 하이신호가 단말기(100)의 커넥터(110)를 통해 비교기(105)의 마이너스 단자(-)전압을 그라운드(GND) 전압으로 떨어트린다.
즉, 단말기(100)의 커넥터(110)에 이어폰장치(120)와 같은 헤드셋이 접속되어 연결되어있는 상태에서 이어폰장치(120)의 조작부(122)에 구비되어 있는 단축키(125)를 온(On)시키면, 온된 단축키(125)의 하이신호가 단말기(100)의 커넥터(110)를 통해 비교기(105)의 마이너스 단자(-)전압을 그라운드(GND) 전압으로 떨어트린다.
비교기(105)의 마이너스 단자(-)전압이 그라운드(GND) 전압으로 떨어지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00)의 오디오신호 경로는 메인 경로(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 신호경로)로 세팅된다.
상기와 반대로 이어폰장치(120)의 조작부(122)에 구비되어 있는 단축키(125)를 오프(Off)시키면, 오프된 단축키(125)의 로우신호가 단말기(100)의 커넥터(110)를 통해 비교기(105)의 마이너스 단자(-)전압을 그라운드(GND) 전압으로부터 하이전압으로 상승시킨다.
즉, 단말기(100)의 커넥터(110)에 이어폰장치(120)와 같은 헤드셋이 접속되어 연결되어있는 상태에서 이어폰장치(120)의 조작부(122)에 구비되어 있는 단축키(125)를 오프(Off)시키면, 오프된 단축키(125)의 로우신호가 단말기(100)의 커넥터(110)를 통해 비교기(105)의 마이너스 단자(-)전압을 하이전압으로 상승시킨다.
비교기(105)의 마이너스 단자(-)전압이 하이전압으로 상승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00)의 오디오신호 경로는 옥스(Aux)경로(헤드셋의 이어폰/HFK 신호경로)로 설정을 변경시켜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어폰장치(120)의 조작부(122)에 구비되어 있는 단축키(125)이외에 단말기의 키입력부(320)에 구비된 특정 단축키를 이용한다.
키입력부(320)에 구비된 특정 단축키는 키패드 상의 특정 키 또는 키들의 조합 일수도 있고, 메뉴 상에서 세팅할 수도 있다.
단말기(100)의 커넥터(110)에 이어폰장치(120)와 같은 헤드셋이 접속되어 연결되어있는 상태에서 키입력부(320)에 구비된 특정 단축키를 온시키면 온된 키입력부(340)의 하이신호가 메인 CPU(310)로 전달된다.
메인 CPU(310)는 키입력부(320)로부터 하이신호를 전달받아 오디오부(360)의 오디오신호 경로를 메인 경로인 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SPK/MIC) 신호경로로 자동 세팅한다.
즉, 상술한 이어폰장치(120)의 조작부(122)에 구비되어 있는 단축키(125)를 온(On)시킨 효과와 똑같은 결과로서 키입력부(320)에 구비된 특정 단축키를 온시킴으로써 오디오부(360)의 오디오신호 경로를 메인 경로인 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SPK/MIC) 신호경로로 자동 세팅한다.
상기와 반대로 단말기(100)의 커넥터(110)에 이어폰장치(120)와 같은 헤드셋이 접속되어 연결되어있는 상태에서 키입력부(320)에 구비된 특정 단축키를 오프시키면 오프된 키입력부(340)의 로우신호가 메인 CPU(310)로 전달된다.
메인 CPU(310)는 키입력부(320)로부터 로우신호를 전달받아 오디오부(360)의 오디오신호 경로를 메인 경로인 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SPK/MIC) 신호경로로부터 옥스(Aux)경로(헤드셋의 이어폰/HFK 신호경로)로 자동으로 스위칭시켜준다.
즉, 상술한 이어폰장치(120)의 조작부(122)에 구비되어 있는 단축키(125)를 오프(Off)시킨 효과와 똑같은 결과로서 키입력부(320)에 구비된 특정 단축키를 오프시킴으로써 오디오부(360)의 오디오신호 경로를 메인 경로인 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SPK/MIC) 신호경로로부터 옥스(Aux)경로(헤드셋의 이어폰/HFK 신호경로)로 자동으로 스위칭시켜준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 스위칭 방법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로서, 동작이 시작되면 단말기의 현재 오디오 신호 경로(401)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단말기의 현재 오디오 신호 경로(401)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단축키를 입력(402)하면 입력된 단축키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403)하여 온 상태이면 단말기의 현재 오디오 신호 경로를 메인 경로인 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SPK/MIC) 신호경로(404)로 자동 세팅한다.
상기 단말기의 현재 오디오 신호 경로가 메인 경로인 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SPK/MIC) 신호경로(404)로 자동 세팅되면 옥스(Aux)경로인 헤드셋의 이어폰/HFK 신호경로는 자동으로 차단된다.
상기 단축키 입력(40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단말기의 키입력부(320)에 구비된 특정 단축키를 이용한다.
키입력부(320)에 구비된 특정 단축키는 키패드 상의 특정 키 또는 키들의 조합 일수도 있고, 메뉴 상에서 세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축키 입력(40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어폰장치(120)의 조작부(122)에 구비되어 있는 단축키(125)를 이용한다.
상기 단축키 입력(402)은 본 발명의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의 단축키 입력이 가능하다.
상기 판단(403)결과 단축키가 오프 상태이면 단말기의 현재 오디오 신호 경로를 옥스(Aux)경로인 헤드셋의 이어폰/HFK 신호경로(405)로 자동으로 스위칭시켜준다.
상기 단말기의 현재 오디오 신호 경로가 옥스(Aux)경로인 헤드셋의 이어폰/HFK 신호경로(405)로 자동으로 스위칭 되면 메인 경로인 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SPK/MIC) 신호경로(404)는 자동으로 차단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에 헤드셋 잭(Headset jack)을 접속한 상태에서 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 신호경로와 헤드셋의 이어폰/HFK(Hands Free Kits) 신호경로를 단축키를 사용하여 스의칭시켜줌으로써, 헤드셋이 접속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단말기에 헤드셋이 접속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간단한 단축키 조작으로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해준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용 이어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헤드셋 제어 회로부의 블록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 스위칭 방법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말기 110 : 커넥터
121 : 이어잭 120 : 이어폰 장치
122 : 조작부 123 : 스피커
124 : 이어폰 125 : 단축키

Claims (18)

  1.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를 단말기의 메인(Main)신호 경로와 옥스(Aux)신호 경로로 스위칭 시켜주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메인 오디오신호 경로 또는 헤드셋의 옥스 오디오신호 경로로 오디오 신호가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단축키와,
    상기 단축키에 발생된 선택신호에 따라 기준전압과 단축키의 동작전압을 비교하여 그 결과신호를 헤드셋 잭 검출신호로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에서 출력된 헤드셋 잭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단말기의 오디오부 출력신호가 메인 오디오신호 경로 또는 옥스 오디오신호 경로로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메인 CPU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 스위칭 장치.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를 온시키면 온된 단축키의 하이신호가 단말기의 커넥터를 통해 비교기에 전달되어 상기 비교기의 마이너스 단자(-)전압을 그라운드(GND) 전압으로 떨어트려 비교기가 로우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비교기에서 출력된 로우신호가 메인 CPU에 전송되면 상기 메인 CPU가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경로를 단말기의 메인 스피커/마이크 신호경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 스위칭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를 오프시키면 오프된 단축키의 로우신호가 단말기의 커넥터를 통해 비교기에 전달되어 상기 비교기의 마이너스 단자(-)전압을 하이 전압으로 상승시켜 비교기가 하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비교기에서 출력된 하이신호가 메인 CPU에 전송되면 상기 메인 CPU가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경로를 옥스경로인 헤드셋의 이어폰/HFK 신호경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 스위칭 장치.
  5. 삭제
  6.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를 단말기의 메인(Main)신호 경로와 옥스(Aux)신호 경로로 스위칭 시켜주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 단말기의 키입력 장치에 구비되어 단말기의 메인 오디오신호 경로와 헤드셋의 옥스 오디오신호 경로로 스위칭 시켜주는 단축키와,
    상기 키입력 장치의 단축키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단말기의 오디오부 출력신호를 별도의 핀을 통해 메인 오디오신호 경로 또는 옥스 오디오신호 경로로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메인 CPU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 스위칭 장치.
  7. 청구항 6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장치에 구비된 특정 단축키는 키패드 상의 특정 키 또는 키들의 조합 이거나, 단말기의 메뉴상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 스위칭 장치.
  8. 청구항 6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장치에 구비된 단축키를 오프시키면 오프된 단축키의 로우신호를 메인 CPU가 인식하여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경로를 옥스경로인 헤드셋의 이어폰/HFK 신호경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 스위칭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3-0036843A 2003-06-09 2003-06-09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 KR100521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843A KR100521031B1 (ko) 2003-06-09 2003-06-09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843A KR100521031B1 (ko) 2003-06-09 2003-06-09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461A KR20040105461A (ko) 2004-12-16
KR100521031B1 true KR100521031B1 (ko) 2005-10-11

Family

ID=3738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843A KR100521031B1 (ko) 2003-06-09 2003-06-09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7742A (ja) 2005-08-30 2007-03-15 Kyocera Corp 携帯電話機
CN108769433A (zh) * 2018-08-28 2018-11-06 深圳市有钱科技有限公司 切换手机音频播放模式的方法、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461A (ko)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198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arphone switching, earphone, and earphone system
US8155337B2 (en) Compatible circuit and method for 4- and 5-pole earphones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US6594366B1 (en) Headset/radio auto sensing jack
EP2493082B1 (en) Land mobile radio and adapter for use with standard mobile phone headset
KR20100034229A (ko) 이어폰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방법
US20050130697A1 (en) Dual action selector switch for use with cellular telephones
JP3492541B2 (ja) 無線通信機
KR100521031B1 (ko) 단축키를 이용한 헤드셋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경로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
US20030060242A1 (en) Microphone switchover circuit
JP2005094442A (ja) 無線通信装置及び音情報伝達装置
KR101023308B1 (ko)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장치 및그 제어 방법
KR2003561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음악 기기를 겸용으로 사용하기위한 다기능 이어폰 장치
US11343367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switch for internal/external speaker-microphone mechanism used in radio and PTT communications
KR100306487B1 (ko) 핸드프리용 스피커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JP2001177632A (ja) 移動体通信端末
CN219372568U (zh) 一种带双接口多功能发射器的耳机
KR100475466B1 (ko) 이어마이크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KR100638203B1 (ko) 다중 오디오 신호 입력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654551B1 (ko) 외부 스피커 모드 전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그 스피커 모드 전환 방법
KR1003658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셋 감지장치
KR1003978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시 동작제어장치
KR2002002835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자동제어방법 및 장치
KR20000044465A (ko) 충전기를 이용한 무선단말기의 핸즈프리 장치
KR19990083896A (ko) 휴대폰의 핸드 프리 통화 및 라디오수신기 간 통화전환회로
KR20060030948A (ko) 이동통신 단말의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