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923B1 - 영상신호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신호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923B1
KR100520923B1 KR10-2003-0060503A KR20030060503A KR100520923B1 KR 100520923 B1 KR100520923 B1 KR 100520923B1 KR 20030060503 A KR20030060503 A KR 20030060503A KR 100520923 B1 KR100520923 B1 KR 100520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mory
input
control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1222A (ko
Inventor
최수인
심용길
Original Assignee
빛샘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빛샘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빛샘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0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9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81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9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6Details of a shift regis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Abstract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의 동작 방식을 설정하기 위해 외부입력 모드 선택기와 제어 데이터 메모리에 여러 제어 신호가 입력되고, 다음으로 영상 데이터가 시프트 레지스터를 통해 입력되어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LED 도트 매트릭스 패널에 대한 수직라인 구동을 실행한다.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는 제어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입력 데이터의 비트 수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입력 모드 선택기의 입력 신호와 상기 제어 데이터 메모리에 입력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구동하고자 하는 듀티비에 해당하는 읽기 어드레스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제어 장치의 입력 단자의 수를 줄이고 입력 데이터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의 듀티비를 가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신호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LIGHT EMITTING DIODE DRIVING CONTROL APPARATUS FOR DISPLAYING VIDEO SIGNAL}
본 발명은 전광판 등에 사용되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제어 장치 및 이러한 구동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LED 표시 모듈(modul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ED의 단순한 온/오프(on/off) 뿐만 아니라 영상 신호를 나타내기 위한 계조(gray level) 표시를 할 수 있고, 또한 듀티비(duty ratio)도 가변할 수 있는 구동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광판 시스템은 LED나 소형 형광관 등을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하여, 각종 문자나 그림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적, 녹, 청(R, G, B)의 LED 소자로 구성된 LED 표시 모듈을 조합하여 여러 색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전광판 시스템의 LED 표시 모듈을 구동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크게 다이나믹(Dynamic) 방식과 스태틱(Static)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구동소자의 수가 적고 제조 비용이 낮은 다이나믹 방식이 큰 화면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전광판 시스템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에 16x16의 LED 도트 매트릭스 패널(dot matrix panel)을 구동하는 종래의 다이나믹 구동제어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도 1에서, 각각의 시프트 레지스터(11, 12, 13)에는 적, 녹, 청(R, G, B)의 3가지 LED를 온/오프 하는 입력 데이터(R_DATA, G_DATA, B_DATA)가 입력되고, 출력단자가 다음 구동제어 회로에 캐스케이드(cascade) 형태로 연결되어, 다음 구동제어 회로의 입력단자로 출력 데이터(R_DATA_O, G_DATA_O, B_DATA_O)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시프트 레지스터(11, 12, 13)에는 클럭신호(CLK)가 입력되어, 각 시프트 레지스터(11, 12, 13)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시프트 레지스터(11, 12, 13)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는 래치 신호(LATCH_I)에 의해 래치소자(latch)(14)에 래치되고, 출력 인에이블 회로(17)를 거쳐 LED 도트 매트릭스 패널(10)을 구동한다. 즉, LED 도트 매트릭스 패널(10)에 대한 수직 라인 데이터 구동(column line data driving)이 실행된다. 이와 동시에, 어드레스 디코더(address decoder)(18)로 어드레스 신호(AO~A3)가 입력되고 디코딩 되어 패널(10)을 구동함으로써, LED 도트 매트릭스(10)의 수평 라인 데이터 구동(row line data driving)이 실행된다. 이어서, 어드레스 디코더(18)에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바꾸어 가면서 다음 데이터에 대한 수직 라인 데이터 구동을 실행함으로써, LED 도트 매트릭스(10)의 LED가 온/오프되어 화상이 표시된다.
출력 인에이블 회로(17)는, 수평라인 구동으로 인해 잔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드레스가 바뀌는 시점에서 출력 인에이블 신호(OUT_EN)를 이용하여 수직라인 구동 데이터의 턴 온(turn on) 시간을 적절히 제어한다.
또한, 입력 데이터(R_DATA, G_DATA, B_DATA)와 마찬가지로, 클럭 신호(CLK),래치 신호(LATCH_I) 및 출력 인에이블 신호(OUT_EN)는 각각 클럭 출력 신호(CLOCK_O), 래치 출력 신호(LATCH_O) 및 출력 인에이블 출력 신호(OUT_EN_O)로서, 캐스케이드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다음의 LED 모듈의 구동제어 회로로 출력된다.
상기한 종래의 다이나믹 구동제어 회로에서는 R, G, B 입력 신호 각각에 대해 별도의 시프트 레지스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구동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입력 단자[입력핀(input pin)] 의 개수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입력 단자의 수는 화상 표시에서의 듀티비(duty ratio: 표시시간 비율)가 커질수록 배로 증가하기 때문에, 구동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LED 표시 모듈의 설계가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종래의 다이나믹 구동제어 회로에서는 입력 데이터의 크기가 달라질 경우. 이에 따라 구동제어 회로도 다시 설계 제작해야 하므로 LED 표시 모듈의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한편, 전광판 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LED 표시 패널은 제작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용도나 설치 환경에 따라, 구동제어 회로의 듀티비가 설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구동제어 회로는 어느 하나의 듀티비만을 실행할 수 있어서, 듀티비를 변경하려면 구동제어 회로를 새로 설계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전광판 시스템 등에서 상기와 같이 구동제어 회로를 변경하게 되면, 구동제어 회로와 연동하는 시스템 주제어기의 설계도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전광판 시스템의 설계가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LED 패널의 구동제어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제어 장치의 입력 단자의 수를 줄이고 입력 데이터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는 구동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듀티비를 가변할 수 있는 구동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광판 시스템과 같은 표시 시스템의 주제어기에서 구동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구동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LED 구동제어 장치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외부 입력 모드 선택기와,
상기 구동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들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어 신호 버퍼와,
상기 도트 매트릭스 패널에 영상을 표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받아서 저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제어 신호 버퍼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제어 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대한 쓰기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메모리 쓰기 어드레스 발생기와,
상기 제어 신호 버퍼의 제어 신호와 상기 외부 입력 모드 선택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제어 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대한 읽기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메모리 읽기 어드레스 발생기와,
상기 메모리 쓰기 어드레스 발생기에서 발생된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도트 매트릭스 패널에 표시할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와,
상기 제어 신호 버퍼에 저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구동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제어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어 데이터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 쓰기 어드레스 발생기의 어드레스를 디코딩하는 표시라인 어드레스 디코더를 포함한다.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는 상기 제어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입력 데이터의 비트 수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제어 장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구동 방식에 맞게 버퍼링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의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펄스폭 변조 제어를 실행하는 PWM 카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제어 장치는, 자체 발진기의 클럭과 상기 제어 신호 버퍼에 입력된 외부 클럭에 따라, 상기 PWM 카운터를 구동하기 위한 클럭을 발생하는 계조 클럭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제어 장치는,
상기 메모리 쓰기 어드레스 발생기에서 발생된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도트 매트릭스 패널의 각 도트에 대한 컬러 보정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보정 데이터 메모리와,
상기 제어 신호 버퍼에 저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도트 매트릭스 패널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한 휘도 및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휘도 및 화이트 밸런스 메모리와,
상기 휘도 및 화이트 밸런스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받아서, 상기 PWM 카운터의 클럭을 분주시켜, 상기 도트 매트릭스 패널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한 휘도를 조정하는 휘도 제어기와,
상기 휘도 및 화이트 밸런스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받아서, 상기 PWM 카운터의 클럭을 분주시켜, 상기 도트 매트릭스 패널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한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기와,
상기 보정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받아서, 상기 PWM 카운터의 클럭을 분주시켜, 상기 도트 매트릭스 패널의 각 도트의 컬러를 보정하는 도트 보정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읽기 어드레스 발생기는 상기 외부입력 모드 선택기의 입력 데이터와 상기 제어 데이터 메모리에 입력되는 제어 데이터를 입력받아, 구동하고자 하는 듀티비에 해당하는 읽기 어드레스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제어 장치는 전광판 등에 이용되는 발광 다이오드 표시 모듈(LED display module)에 용이하게 실장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16x16 LED 도트 매트릭스(20)를 구동하는 구동제어 장치를 일례로서 나타내었다.
도 2의 구동제어 장치는 먼저 구동제어의 전반적인 동작 방식을 결정하는 설정 신호들이 외부입력 모드 선택기(23)로 입력되고, 구동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본 제어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A0, A1, A3, A3)들이 제어 신호 버퍼(22)에 입력된다.
외부입력 모드 선택기(23)로 입력되는 신호로서는, 제어 데이터의 입력 방식을 결정하는 PIN/REGISTER 및 PRE1/TEST 신호와, 구동소자(line driver)에 데이터가 인가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LINEOUT_N/P와 COLOUT_N/P 신호와, 듀티비에 따라 각 구동제어 장치의 위치에 해당하는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POSITION0~POSITION3 신호와, 구동제어 장치의 패널에 대한 출력 구동을 선택하는 DRIVE_MTRX 신호가 있다.
제어 데이터는 PIN/REGISTER 및 PRE1/TEST 신호에 따라 외부 핀(PIN), 외부 제어기(PRE1), 및 내부 레지스터(REGISTER) 중 하나를 통해 입력되어 설정된다. 여기서, TEST 신호는 구동제어 장치를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다. 외부 핀(PIN)을 통한 입력은 제어 데이터 30비트 중 일부가 외부 핀(PIN)에 의해 설정되고 나머지는 내부에서 미리 설정되는 경우이고, 외부 제어기(PRE1)를 통한 입력은 30비트의 제어 데이터가 모두 후술하는 시프트 레지스터(21)를 통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는 경우이고, 내부 레지스터(REGISTER)를 통한 입력은 제어 데이터 30 비트가 모두 내부에서 미리 설정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LINEOUT_N/P 신호에 따라 구동소자는 수평라인의 출력 로직(output logic)을 액티브 로우(active low) 또는 액티브 하이(active high)로 구동하고, 마찬가지로 COLOUT_N/P 신호에 따라 수직라인의 출력 로직을 액티브 로우(active low) 또는 액티브 하이(active high)로 구동한다.
상기 DRIVE_MTRX 신호는 출력 구동을 1x16 구동으로 할 것인지 2x8 구동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상기 POSITION0~POSITION3 신호는 상기 구동제어 장치의 듀티비를 가변하기 위한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제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결정하는 제어 신호 등이 입력된 후, R, G, B의 LED를 온/오프하는 입력 데이터(R_DATA, G_DATA, B_DATA)가 시프트 클럭(S_CRK)에 의해 10비트x3x16 시프트 레지스터(21)에 입력된다. 또한,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21)를 통해서 구동제어 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보정 데이터, 제어 데이터 등도 입력된다.
시프트 레지스터(21)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1x3x16, 2x3x16, 4x3x16, 6x3x16, 8x3x 16, 10x3x16 비트의 시프트 레지스트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데이터에 의해 직렬 및 병렬로 입력 방식을 변환할 수 있다. 직렬일 경우에는 R 입력단자를 통해서 R, G, B 데이터가 모두 입력되고, G, B 입력단자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입력 단자(입력 핀)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21)의 입력 데이터는 1비트에서 최대 10비트까지 선택할 수 있다. 즉, 제어 데이터 메모리(26)에 저장된 제어 데이터 값에 따라 1, 2, 4, 6, 8, 10 비트의 데이터 선택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 데이터를 적절히 변경하여 입력함으로써, 단순히 문자만 표시하고자할 경우에는 LED 온/오프 구동만 하고, 고화질의 영상 신호를 표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최대 10비트(1024 계조)까지의 신호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21)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들은 제어 신호(VD/CD, CRTL/BRT, LATCH)에 따라, 내부 메모리인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26), 보정(correction) 데이터 메모리(50), 제어 데이터 메모리(27), 휘도 및 화이트 밸런스(brightness and white balance) 메모리(51)에 각각 저장된다.
여기서 제어 신호 VD/CD는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26)와 보정 데이터 메모리(50)를 선택하는 신호이고, CTRL/BRT는 제어 데이터 메모리(27)와 휘도 및 화이트 밸런스 메모리(51)를 선택하는 신호이고, LATCH는 메모리에 데이터 쓰기를 실행하는 신호이다.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26)는 LED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30x16x16 비트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이고, 보정 데이터 메모리(50)는 16x16 도트 매트릭스 패널(20)의 각 도트에 대한 컬러 보정을 위한 15x16x16 비트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이다.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26)는 데이터의 읽기/쓰기가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듀얼포트 램(dualport RA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 데이터 메모리(27)는 구동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30 비트 제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이고, 휘도 및 화이트 밸런스 메모리(51)는 16x16 비트 도트 매트릭스 패널(20)의 R, G, B 컬러의 휘도와 화이트 밸런스를 제어하기 위한 20 비트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이다.
메모리 쓰기(write) 어드레스 발생기(24)에서는 어드레스 신호(A0~A3)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26)와 보정 데이터 메모리(50)에 대한 데이터 쓰기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어드레스에 따라 제어신호(VD/CD, CRTL/BRT)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에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다.
데이터 버퍼(28)는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26)에 저장된 데이터를 1x16 구동 또는 2x8 구동에 적합하도록 버퍼링한다.
펄스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카운터(29)는 데이터 버퍼(28)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에 대하여, 후술하는 계조 클럭 발생부(40)의 클럭에 따라 펄스폭 변조 제어를 실행한다.
계조 클럭 발생부(40)는 PWM 카운터(29)를 구동하기 위한 클록을 발생하는 회로로서, 계조 클럭 발생기(41), 계조 클럭 분주기(42), 계조 클럭 선택기(43)로 구성된다. 계조 클럭 발생부(40)는 자체 발진기의 클럭과 제어 신호 버퍼(22)에 입력된 외부 클럭(G_CLK)에 따라 적절한 기본 클럭을 선택한다. 이러한 계조 클럭 발생부(40)는 PWM 카운터(29)의 클럭을 5MHz에서 80MHz까지 배수 단위로 증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럭의 변화에 의해 LED 패널(20)의 전체 밝기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제어 데이터만 바꾸면 LED 패널의 밝기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휘도 제어기(52)는 휘도 및 화이트 밸런스 메모리(51)에 저장된 5비트 데이터를 받아서, PWM 카운터(29)의 클럭을 분주시켜, 패널(20)의 LED에 대한 휘도를 조정한다. 한편, 화이트 밸런스 제어기(53)는 휘도 및 화이트 밸런스 메모리(51)에 저장된 15비트 데이터를 받아서, PWM 카운터(29)의 클럭을 분주시켜, 패널(20)의 LED에 대한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한다.
도트 보정 제어기(54)는 보정 데이터 메모리(50)에 저장된 각 컬러별 5비트 데이터를 받아서, PWM 카운터(29)의 클럭을 분주시켜, 패널(20)의 각 도트의 컬러를 보정한다.
상기와 같이, PWM 카운터(29)는 계조 클럭 발생부(40)에 의한 클럭과 휘도 제어기(52), 화이트 밸런스 제어기(53), 도트 보정 제어기(54)에 의한 클럭 분주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26)의 데이터에 대한 PWM 제어를 실행한다.
PWM 카운터(29)의 출력은 출력 인에이블 회로(30)와 16도트x3컬러 LED 구동소자(31)를 통해 LED 도트 매트릭스 패널(20)에 인가되어, LED에 대한 수직라인 구동이 실행된다.
동시에, 상기 메모리 읽기(read) 어드레스 발생기(25)는 상기한 제어 메모리의 30비트 제어 데이터에 따라 메모리 읽기 어드레스를 발생시킨다. 이 때, 메모리 읽기 어드레스는 제어 신호 LOAD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된다.
상기한 메모리 읽기 어드레스는 표시 라인 어드레스 디코더(32)에 의해 디코딩되어 16라인 구동소자(33)를 통해, LED 도트 매트릭스 패널(20)에 인가되어, LED에 대한 수평라인 구동이 실행된다.
이 때, 출력 인에이블 회로(30)는, 수평라인 구동으로 인해 잔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드레스가 바뀌는 시점에서 출력 인에이블 신호(OUT_EN)를 이용하여 수직라인 구동 데이터의 턴 온(turn on) 시간을 적절히 제어한다. 또한, 워치독 타이머(44)는 상기 PWM 카운터(29)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본 클럭 및 기타 중요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구동소자의 출력을 오프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제어 장치의 듀티비 가변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제어 장치는 듀티비에 따라 적용되는 개수가 결정되는데, 16x16 도트 매트릭스에서 듀티비가 1/16일 경우에는 하나의 구동제어 장치로 수평라인을 스캔하게 되고, 듀티비가 1/8일 경우 2개의 구동제어 장치가 적용된다, 즉, 듀티비가 1/8일 경우 구동제어 장치 하나는 상위 8 라인의 표시를 담당하고, 다른 하나는 하위 8 라인을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듀티비가 1/4일 경우 4개의 구동제어 장치가 적용되어 각각 4 라인씩 표시하게 된다. 구동제어 장치가 16개가 적용되어 각각 1라인씩 표시하게 되면 스태틱 구동과 동일하게 동작하게 된다.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POSITION0~POSITION3 신호와 제어 데이터의 듀티 마스크 (duty mask) 데이터(여기서는 4비트를 사용)가 메모리 읽기 어드레스 발생기(25)에 입력되어, LOAD 신호에 따라 각 구동제어 장치에 대한 읽기 어드레스가 결정된다. 결정된 어드레스는 표시라인 어드레스 디코더(32)에 입력되어 디코딩됨으로써, 패널(20)의 해당 라인을 구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POSITION0~POSITION3 신호와 제어 데이터의 듀티 마스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각 구동제어 장치에 해당하는 읽기 어드레스를 결정함으로써, 해당 듀티비에 맞게 패널의 수평라인 구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칩 내에서 자유자재로 듀티비를 가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제어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외부 입력 모드 선택기(23)에 구동제어 장치의 동작 방식을 결정하는 신호들이 입력되고, 시프트 레지스터(21)에 입력 데이터가 저장됨과 동시에 제어 신호 버퍼(22)에 여러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 데이터 메모리(27)에 제어 데이터가 입력되어 구동제어 장치의 듀티비 등이 설정된다.
즉, 외부 입력 모드 선택기(23)에 입력되는 신호와 제어 데이터 메모리(27)에 입력되는 제어 데이터에 의해, 구동을 위한 여러 동작들이 선택되고 설정된다.
다음으로, 계조 클럭과 휘도, 화이트 밸런스 및 도트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PWM 클럭을 적절히 분주시킨다. 이 기능은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어 휘도 및 화이트 밸런스 데이터, 도트 보정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가 각 메모리에 LATCH 신호에 의해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LOAD 신호에 의해 LED 도트 매트릭스 패널(20)에 대한 수직라인 구동을 실행한다. 동시에 상기 표시 라인 어드레스 디코더(32)에 의해 수평라인 구동도 실행함으로써, 패널(20)의 LED를 동작시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LED 구동제어 장치는 ASIC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ASIC으로 만들어진 본 발명의 LED 구동제어 장치는 전광판의 기본 단위인 LED 표시 모듈에 용이하게 실장될 수 있으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LED 전광판에 표준화된 제어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제어 장치는 R, G, B 입력 데이터의 전송을 직렬 또는 병렬로 선택할 수 있다. 직렬로 전송할 경우, 구동제어 장치의 입력 단자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인쇄회로 보드의 설계가 단순해져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단자의 감소 효과는 LED 표시 패널의 듀티비가 큰 경우에는 더욱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LED 구동제어 장치는 입력 데이터의 비트 수를 가변하여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LED의 단순한 온/오프에서부터 최대 10비트의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LED 구동제어 장치는 듀티비를 가변적으로 선택하여 구동할 수 있다. 즉, 전광판 시스템에서 듀티비가 1/16~1/1 까지 변경되어도 제어 방식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1/16 듀티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설계해 두면 1/2, 1/4, 1/8, 1/16의 듀티비도 모두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전광판 시스템의 설계 및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LED 구동제어 장치는 계조 클럭 발생기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PWM 회로에 대한 클럭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클럭의 변화에 의해 LED 패널의 전체 밝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듀티비 가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부분 블록도.

Claims (6)

  1. 발광 다이오드 도트 매트릭스 패널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외부 입력 모드 선택기,
    상기 구동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들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어 신호 버퍼,
    상기 도트 매트릭스 패널에 영상을 표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받아서 저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
    상기 제어 신호 버퍼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제어 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대한 쓰기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메모리 쓰기 어드레스 발생기,
    상기 제어 신호 버퍼의 제어 신호와 상기 외부 입력 모드 선택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제어 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대한 읽기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메모리 읽기 어드레스 발생기,
    상기 메모리 쓰기 어드레스 발생기에서 발생된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도트 매트릭스 패널에 표시할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
    상기 제어 신호 버퍼에 저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구동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제어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어 데이터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쓰기 어드레스 발생기의 어드레스를 디코딩하는 표시라인 어드레스 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는 상기 제어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입력 데이터의 비트 수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구동 방식에 맞게 버퍼링하는 데이터 버퍼,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 메모리의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펄스폭 변조 제어를 실행하는 PWM 카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자체 발진기의 클럭과 상기 제어 신호 버퍼에 입력된 외부 클럭에 따라, 상기 PWM 카운터를 구동하기 위한 클럭을 발생하는 계조 클럭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쓰기 어드레스 발생기에서 발생된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도트 매트릭스 패널의 각 도트에 대한 컬러 보정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보정 데이터 메모리,
    상기 제어 신호 버퍼에 저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도트 매트릭스 패널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한 휘도 및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휘도 및 화이트 밸런스 메모리,
    상기 휘도 및 화이트 밸런스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받아서, 상기 PWM 카운터의 클럭을 분주시켜, 상기 도트 매트릭스 패널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한 휘도를 조정하는 휘도 제어기,
    상기 휘도 및 화이트 밸런스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받아서, 상기 PWM 카운터의 클럭을 분주시켜, 상기 도트 매트릭스 패널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한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기, 및
    상기 보정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받아서, 상기 PWM 카운터의 클럭을 분주시켜, 상기 도트 매트릭스 패널의 각 도트의 컬러를 보정하는 도트 보정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읽기 어드레스 발생기는 상기 외부입력 모드 선택기의 입력 데이터와 상기 제어 데이터 메모리에 입력되는 제어 데이터를 입력받아, 구동하고자 하는 듀티비에 해당하는 읽기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
KR10-2003-0060503A 2003-08-30 2003-08-30 영상신호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 KR100520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503A KR100520923B1 (ko) 2003-08-30 2003-08-30 영상신호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503A KR100520923B1 (ko) 2003-08-30 2003-08-30 영상신호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938U Division KR200334697Y1 (ko) 2003-08-30 2003-08-30 영상신호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222A KR20030081222A (ko) 2003-10-17
KR100520923B1 true KR100520923B1 (ko) 2005-10-17

Family

ID=32388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503A KR100520923B1 (ko) 2003-08-30 2003-08-30 영상신호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9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950B1 (ko) * 2004-06-29 2011-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펄스폭 변조를 이용한 통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222A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6190B1 (en) Flexible color modulation tables of ratios for generating color modulation patterns
US20210201738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1038411B (zh) 液晶驱动器件
US760236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501501B1 (ko) 광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및 이 광원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6784868B2 (en) Liquid crystal driving devices
US7864139B2 (en) Organic EL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apparatus
JPH07199861A (ja) ドットマトリクス発光ダイオード表示器の発光光度調整装置
US20070211179A1 (en) Colour display device
JP2008533519A (ja) バックライト式lcd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11189238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3338438B1 (ja) 液晶駆動装置及び階調表示方法
JP4874931B2 (ja) 表示装置
KR100520918B1 (ko)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의 휘도를 조절하는 구동제어 장치
KR100520923B1 (ko) 영상신호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
KR200334697Y1 (ko) 영상신호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
KR100520924B1 (ko) 다중 모드 구동을 위한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 및발광 다이오드 표시 모듈
KR100517558B1 (ko) 테스트 핀을 구비한 반도체 집적 회로 및 그것의 테스트방법
KR100520921B1 (ko) 영상 표시 패널용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회로 및 발광다이오드 표시모듈
KR200334695Y1 (ko)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의 휘도를 조절하는 구동제어 장치
KR200334698Y1 (ko) 다중 모드 구동을 위한 발광 다이오드 구동제어 장치 및발광 다이오드 표시 모듈
KR1006373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밝기 조정회로 및 조정방법
KR20090015196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1089935A (zh) 一种用于液晶显示器驱动的灰度混合调制低功耗电路
WO2006134853A1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装置、並びに走査信号線駆動方法及び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