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880B1 - Automatic bedpan - Google Patents

Automatic bedpa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880B1
KR100520880B1 KR10-2002-0082275A KR20020082275A KR100520880B1 KR 100520880 B1 KR100520880 B1 KR 100520880B1 KR 20020082275 A KR20020082275 A KR 20020082275A KR 100520880 B1 KR100520880 B1 KR 100520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hamber
dirt
suction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2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55851A (en
Inventor
양성화
Original Assignee
양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화 filed Critical 양성화
Priority to KR10-2002-0082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880B1/en
Publication of KR20040055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8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88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둔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된 둔부지지대(11)와, 대변이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메인챔버(12)와, 소변이 인입되는 보조챔버(14)를 구비하여, 기저귀처럼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성형되는 변기(10)와;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기 위한 1차흡입모터(24)와, 오물을 저장하는 오물챔버(22)와, 상기 오물챔버(22)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메인흡입모터(26)를 구비하는 흡입부(20)와; 물을 저장하는 급수챔버(34)와, 상기 변기(1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모터(32)를 구비하는 급수부(30)와; 그리고 상기 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급수부(30) 및 흡입부(2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40, 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변기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ttocks support 11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uttocks of the user, the main chamber 12 is formed so that the stool is drawn in, and the auxiliary chamber 14 through which urine is drawn, and can be worn like a diaper. Toilet seat 10 is molded in the form; A suction part including a primary suction motor 24 for generating a pressure change, a dirt chamber 22 for storing dirt, and a main suction motor 26 for vacuuming the inside of the dirt chamber 22 ( 20); A water supply unit 30 having a water supply chamber 34 for storing water and a water supply motor 32 for supplying water to the toilet 10; And it relates to an automatic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40, 40 'for driving the water supply unit 30 and the suction unit 20 by detecting a pressure change in the toilet 10,

본 발명에 의하면, 움직이지 못하거나 누워있는 사람 혹은 의식이 없는 사람, 손이나 발이 없는 사람, 특수복을 입는 사람(무균복, 우주복, 잠수복, 방화복, 방독복), 특수 작업장 근무자, 손발이 통제된 사람(환자, 정신질환자, 수감자) 등의 사람이, 화장실로 가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나 쾌적할뿐 아니라, 변을 빨아들이고 물로 비데를 하여 화장지를 사용하지 않고 건조되므로 간편하게 용변을 해결할 수 있고, 특히 거동을 못하여 누워있는 사람이 이불 속에서 타인의 도움 없이도 용이하게 용변을 볼 수 있으며, 부끄러운 곳을 남에게 보일 필요가 없어 존엄성과 자존심을 지킬 수 있으며, 간병인 손에 오물이 묻지 않고 냄새가 나지 않으므로, 빨래감이 생기지 않고 여벌의 옷이나 이불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화장지나 기저귀가 필요없어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고, 각종 에너지 절감, 인력 절감 및 환경오염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또한 별도의 화장실 설치가 불가한 장소에 놓기만 하면 되므로 시설 투자비 절감되고, 동물의 경우도 배변을 자동처리 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 who cannot move or lie down or who is unconscious, who has no hands or feet, who wears special clothes (aseptic clothes, space suits, wet suits, fire suits, gas masks), special workshop workers, hands and feet People (patients, mentally ill and inmates) are not only comfortable in any place without going to the restroom, but they can also be easily solved because they dry without using toilet paper by sucking stools and bideting with water. The person lying on the bed can easily see the toilet in the bed without the help of others, and do not need to show the shame to others so that they can keep their dignity and pride. No laundry, no extra clothes or blankets needed, no need for toilet paper or diapers Instead of saving energy, reducing manpower, and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it also has to be placed in a place where it is impossible to install a separate toilet, thus reducing facility investment costs. Prevent it.

Description

자동식 변기{Automatic bedpan}Automatic toilet bowl {Automatic bedpan}

본 발명은 사람이 화장실에 가지 않고, 장소에 구애되지 않으면서, 절수와 화장지를 사용할 필요 없이 비데와 건조가 자동식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식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움직이지 못하거나 누워있는 사람 혹은 의식이 없는 사람, 손이나 발이 없는 사람, 특수복을 입는 사람(무균복, 우주복, 잠수복, 방화복, 방독복), 특수 작업장 근무자, 손발이 통제된 사람(환자, 정신질환자, 수감자) 등의 사람이, 화장실로 가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나 쾌적할뿐 아니라, 변을 빨아들이고 물로 비데를 하여 화장지를 사용하지 않고 건조되므로 간편하게 용변을 해결할 수 있고, 특히 거동을 못하여 누워있는 사람이 이불 속에서 타인의 도움 없이도 용이하게 용변을 볼 수 있으며, 부끄러운 곳을 남에게 보일 필요가 없어 존엄성과 자존심을 지킬 수 있으며, 간병인 손에 오물이 묻지 않고 냄새가 나지 않으므로, 빨래감이 생기지 않고 여벌의 옷이나 이불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화장지나 기저귀가 필요없어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고, 각종 에너지 절감, 인력 절감 및 환경오염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또한 별도의 화장실 설치가 불가한 장소에 놓기만 하면 되므로 시설 투자비 절감되고, 동물의 경우도 배변을 자동처리 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하는 자동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oilet in which a bidet and drying is automatic without the need for a person to go to the toilet and without being tied to a place, without using water and toilet paper. Persons without people, people without hands or feet, people wearing special clothing (aseptic clothes, space suits, wet suits, fire suits, gas masks), workers in special workshops, persons with controlled limbs (patients, mentally ill, prisoners), Not only does it go to the toilet, it is comfortable in any place, and it does not use toilet paper by sucking stools and bidding with water, so it is easy to solve the toilet. You can see the toilet and don't have to show the shame to others so you can protect your dignity and pride. The caregiver's hands don't get dirt and smell, so there's no need to wash clothes, no extra clothes or blankets are needed, no toilet paper or diapers, no waste, no energy saving, no manpower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t has an excellent effect on prevention and also reduces the investment cost of the facility because it only needs to be placed in a place where a separate toilet cannot be installed, and it also relates to an automatic toilet which can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by automatically treating bowel movements.

종래의 변기는 대부분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것이기 때문에, 노인이나 지체 장애자 등 지체부자유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많은 불편이 따랐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지체부자유자들의 경우 타인의 도움 없이는 변기의 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을 정도였다.Most of the conventional toilets are manufactured for use by the general public, and thus, many inconveniences have been inconvenient for use by the handicapped people such as the elderly and the physically handicapped. In particular, it was said that the use of the toilet was almost impossible without the help of others in the case of the handicapped people who are inconvenient to move.

이에, 상기와 같은 지체부자유자들의 용변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특허공보 특95-7773호의 『분출과 흡입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가 있다. 상기 『분출과 흡입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는 본건 발명의 발명자가 발명하여 특허등록 받은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Thu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the problem related to the toilet of the handicapped peopl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washing device having a ejection and suction function"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95-7773. The "washing device having a jetting and suction function" is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and patented, and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도 1에는 상기 『분출과 흡입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Figure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washing device having a spray and suction function".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분출과 흡입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는, 노약자나 환자 등이 앉거나 누워서 용변을 볼 때 소변 등의 오물이 외부로 나가지 않도록 전면에 돌출부를 설치하고, 또한 엉덩이가 닿는 부분 즉, 변기의 상부에 넓게 안 쪽으로 테를 두르고 돌아가면서 물헤더를 구비하며, 또한 변기 전면의 돌출부를 물헤더와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헤더 밑에서 물이 변기 바닥면으로 향하도록 물 구멍이 뚫려 있고, 물이 가압호스와 연결튜브를 통하여 변기의 돌출부에 형성된 물헤더를 통해 변기 내부로 흐르도록 구성된다.As shown, the "washing device having a jetting and suction function"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ortion in the front so that dirt, such as urine, does not go out when the old and the elderly or the patient sit or lie down and look at the toilet. It is provided with a water header, which rims inwardly, on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in a wide rim, and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protrusion of the front of the toilet with the water header. Then, a water hole is drilled under the water header to face the bottom of the toilet, and the water flows into the toilet through the water header formed in the protrusion of the toilet through the pressurizing hose and the connecting tub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분출과 흡입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는, 물이 물 구멍을 통해 변기 내부로 분사됨으로써, 배설물을 흐트리고, 배설물이 변기 바닥에 머물러 있지 않도록 오물 흡입관 쪽으로 밀어내어 흡입을 촉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배설물이 바닥에 없게 되므로, 높이가 얕아도 용변에 불편이 없는 구조로 구성된다.In the "washing device having a jetting and suction func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ater is injected into the toilet through the water hole, thereby causing the waste to be discharged and being pushed toward the waste suction pipe so that the waste does not remain at the bottom of the toilet. Will be promoted. And since the excreta does not exist on the floor by the above-mentioned action, it is comprised by the structure which is inconvenient to a toilet even if height is shallow.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분출과 흡입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는, 그 동작이 수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있어서, 특히 지체부자유자들이 직접 상기 세척장치를 이용하기에는 많은 불편이 따른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불편을 줄이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상기 『분출과 흡입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에 대한 개량 발명에 해당된다. 본 발명은 지체부자유자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또한 사람외에 동물들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되었다.However, the "washing device having a jetting and suctioning func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 manual operation, and thus it is particularly inconvenient for the handicapped person to directly use the washing devic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vented to reduce the inconvenience as described above, and corresponds to an improved invention for the "washing device having a spray and suction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be convenient for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the handicapped people, and also to use animals in addition to human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일반인들은 쾌적하고 편안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움직이지 못하거나 누워있는 사람 혹은 의식이 없는 사람, 손이나 발이 없는 사람, 특수복을 입는 사람(무균복, 우주복, 잠수복, 방화복, 방독복), 특수 작업장 근무자, 손발이 통제된 사람(환자, 정신질환자, 수감자) 등의 사람이, 화장실로 가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나 쾌적할뿐 아니라, 변을 빨아들이고 물로 비데를 하여 화장지를 사용하지 않고 건조되므로 간편하게 용변을 해결할 수 있고, 특히 거동을 못하여 누워있는 사람이 이불 속에서 타인의 도움 없이도 용이하게 용변을 볼 수 있으며, 부끄러운 곳을 남에게 보일 필요가 없어 존엄성과 자존심을 지킬 수 있으며, 간병인 손에 오물이 묻지 않고 냄새가 나지 않으므로, 빨래감이 생기지 않고 여벌의 옷이나 이불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화장지나 기저귀가 필요없어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고, 각종 에너지 절감, 인력 절감 및 환경오염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또한 별도의 화장실 설치가 불가한 장소에 놓기만 하면 되므로 시설 투자비 절감되고, 동물의 경우도 배변을 자동처리 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하는 자동식으로 동작되는 자동식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l public to see a comfortable and comfortable toilet, people who are not moving or lying or unconscious, people without hands or feet, special clothes Not only are people wearing (aseptic clothes, space suits, diving suits, fire suits, gas masks), workers at special workplaces, and people with controlled limbs (patients, mentally ill and inmates) comfortable in any place without going to the toilet, Suction and bidet with water and dry without using toilet paper, so that it is easy to solve the toilet, especially the person lying in bed can not easily see the toilet in the comforter without the help of others, It doesn't need to be visible, so you can protect your dignity and self-esteem. There is no need to prepare extra clothes or blankets, no toilet paper or diaper, no waste, no waste, no energy saving, no manpower and no pollution. It is a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toilet which is automatically operated so that the investment in facilities is reduced and only an animal can be placed in an impossible place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by automatically treating bowel movements.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변기는, 사용자의 둔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된 둔부지지대와, 상기 둔부지지대의 단부의 상측에서 대변이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메인챔버와, 상기 메인챔버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챔버연결구와, 상기 챔버연결구의 단부에서 절곡 형성되고 소변이 인입되는 보조챔버를 구비하여, 기저귀처럼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성형되는 변기와;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기 위한 1차흡입모터와, 상기 변기로부터 흡입한 오물을 저장하는 오물챔버와, 오물의 흡입을 위해 상기 오물챔버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메인흡입모터를 구비하는 흡입부와; 물을 저장하는 급수챔버와, 상기 급수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변기에 공급하는 급수모터를 구비하는 급수부와; 그리고 상기 변기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급수부 및 흡입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챔버 및 보조챔버 각각에는,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는 급수구와, 급수되는 물을 와류로 형성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공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챔버에는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는 오물흡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챔버연결구는, 보조챔버로 인입된 오물을 메인챔버로 이동시키기 위해 보조챔버와 메인챔버 각각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butt support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uttocks of the user, the main chamber is formed so that the stool is inserted in the upper side of the end of the butt support, and in the main chamber A toilet bowl having a chamber connector formed to extend upward and an auxiliary chamber bent at an end of the chamber connector and urine drawn therein, the toilet bowl being shaped like a diaper; A suction unit including a primary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a pressure change, a dirt chamber for storing dirt sucked from the toilet, and a main suction motor for vacuuming the inside of the dirt chamber for suction of dirt; A water supply unit including a water supply chamber for storing water and a water supply motor for supplying water inside the water supply chamber to the toilet bowl; And a control unit for sensing a pressure change in the toilet to drive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suction unit, wherein each of the main chamber and the auxiliary chamber includes a water supply port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and water to be supplied as a vortex. A plurality of air holes are formed, and the main chamber is provided with a dirt suction opening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and the chamber connector communicates with the auxiliary chamber and the main chamber, respectively, to move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chamber into the main cha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한편, 상기 오물챔버의 내부에는, 인입되는 오물의 튐을 방지하기 위한 격리판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side the waste chamber, a separator for preventing the introduction of dirt to be introduced is formed.

그리고, 상기 격리판은, 상측 단부가 절곡되고, 폭이 상기 오물챔버의 내측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오물챔버 내부에 대각선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pa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is bent, the width is formed smaller than the inner width of the dirt chamber, and is installed diagonally inside the dirt chamber.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기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급수모터를 구동시키는 급수모터 구동부 및 메인흡입모터를 구동시키는 메인흡입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a pressure change in the toilet, a water supply motor driving unit operated by the pressure sensor, and a main suction moto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main suction motor. It is done.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기에 사용자가 오물을 배출했을 때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1압력센서와, 상기 제1압력센서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1차흡입모터를 구동시키는 1차흡입모터 구동부와, 상기 변기 내부에 오물이 인입되었을 때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2압력센서와, 상기 제2압력센서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급수모터를 구동시키는 급수모터 구동부 및 메인흡입모터를 구동시키는 메인흡입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first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pressure when the user discharges dirt into the toilet, a primary suction motor driving unit operated by the first pressure sensor to drive the primary suction motor; A second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a pressure change when dirt is introduced into the toilet, a water supply motor driving unit operat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to drive the water supply motor, and a main suction motor for driving the main suction mot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e unit.

그리고, 상기 자동식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는 사용자가 기저귀처럼 착용할 수 있도록 변기 착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기 착용부는, 중간부분에 가늘게 형성되는 축소부와, 상기 변기가 내장되는 변기 주머니부와, 상기 오물흡입구가 삽입되는 오물흡입구 삽입공, 상기 축소부에서 연장되면서 넓어지고 상호 접착할 수 있는 한쌍의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automatic toilet, the toilet further comprises a toilet wearing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wear like a diaper, the toilet wearing portion, the narrow portion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the toilet bag portion and the toilet is built-in The dirt suction por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dirt suction port is inserted, extends from the reduction portion,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extensions that can be extended and bonded to each oth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변기의 전체적인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ure 2 schematically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변기는, 변기(10), 흡입부(20), 제어부(40), 급수부(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변기(10)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20)는 상기 변기(10)에 인입된 오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급수부(30)는 상기 변기(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흡입부(20) 및 급수부(30)를 제어하게 된다.As shown, the 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10, the suction unit 20, the control unit 40, the water supply unit 30 and the like. The toilet 10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toilet in a worn state, the suction unit 20 is configured to suck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toilet 10, the water supply unit 30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toilet 10, the control unit 40 detects the pressure change in the toilet 10 to control the suction unit 20 and the water supply unit 3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변기를 구성하는 상기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a, 도 3b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3A and 3B show an embodiment of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기(10)는 사용자의 둔부와 밀착되는 둔부지지대(11)와, 상기 둔부지지대(11)의 단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메인챔버(12)와, 상기 메인챔버(12)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챔버연결구(16)와, 상기 챔버연결구(16)의 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보조챔버(14)로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기 몸에 착용할 수 있도록 기저귀와 같은 형태로 성형된다. 한편, 상기 메인챔버(12)에는 대변이 인입되고, 상기 보조챔버(14)에는 소변이 인입되므로, 상기 변기(10)를 사용자가 몸에 착용했을 때, 상기 메인챔버(12)는 사용자의 항문 부위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보조챔버(14)는 사용자의 사타구니 부위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the toil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tt support 11 in close contact with the buttocks of the user, the main chamber 12 formed above the end of the butt support 11, and the main chamber A chamber connector 16 extending upwardly from 12 and an auxiliary chamber 14 bent at an end of the chamber connector 16 are formed so that the user can wear it on a body such as a diaper. Molded into shap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tool is inserted into the main chamber 12, urine is drawn into the auxiliary chamber 14, when the toilet 10 is worn on the body, the main chamber 12 is the user's anus Is installed to contact the site, the auxiliary chamber 14 is preferably installed to contact the groin area of the user.

그리고, 상기 메인챔버(12)에는 다수의 메인공기구멍(15a)이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상기 보조챔버(14)에는 다수의 보조공기구멍(15b)이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공기구멍(15a, 15b)을 통해 와류 형성을 위한 외부 공기가 상기 메인챔버(12) 및 보조챔버(14) 내로 인입된다. 또한, 상기 메인챔버(12) 및 보조챔버(14)에는 각각 메인급수구(13a)와 보조급수구(13b)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각 급수구(13a, 13b)를 통해 상기 메인챔버(12) 및 보조챔버(14) 내로 물이 급수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연결구(16)는 상기 메인챔버(12) 및 보조챔버(14)와 각각 연통되어 있어서, 상기 보조챔버(14)로 인입된 오물은 상기 챔버연결구(16)를 통해 상기 메인챔버(12)로 이동된 후, 메인챔버(12)로 인입된 오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 된다. 또한, 상기 메인챔버(12)의 후면에는 흡입부(20)와 연결되는 오물흡입구(18)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메인챔버(12) 및 보조챔버(14)로 인입된 오물은 유입된 공기 및 급수된 물과 함께 상기 오물흡입구(18)를 통해 흡입부(20)로 배출되게 된다.A plurality of main air holes 15a are formed obliquely in the main chamber 12,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air holes 15b are formed obliquely in the auxiliary chamber 14, so that the air holes 15a are formed. The outside air for vortex formation is introduced into the main chamber 12 and the auxiliary chamber 14 through, 15b). In addition, the main chamber 12 and the auxiliary chamber 14 is provided with a main water supply port 13a and an auxiliary water supply port 13b, respectively, through the main water supply ports 13a and 13b. And water into the auxiliary chamber (14). In addition, the chamber connector 16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hamber 12 and the auxiliary chamber 14, respectively, so that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chamber 14 is connected to the main chamber (16) through the chamber connector (16). After moving to 12,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main chamber 12. In addition,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chamber 12 is provided with a dirt suction port 18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20,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main chamber 12 and the auxiliary chamber 14 is introduced air and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suction unit 20 through the dirt suction port 18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ied.

도 3c 및 도 3d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변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3c and 3d show another embodiment of an 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10)는, 변기(10)를 인체 또는 동물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 착용부(50)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변기 착용부(50)는, 중간부분에 가늘게 형성되는 축소부(52)와, 변기(10) 본체가 내장되는 변기 주머니부(58)와, 상기 변기(10) 본체에 형성된 오물흡입구(18)가 삽입되는 오물흡입구 삽입공(56), 상기 축소부(52)에서 연장되면서 넓어지는 형태를 갖는 한쌍의 확장부(54)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볼 때 상기 축소부(52)의 중간부분을 중심으로 대칭 형태를 이루면서 기저귀처럼 신체에 착용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the toil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toilet wearing portion 50 to be worn on the human body or the body of the toilet 10. The toilet wearing portion 50 includes a narrowing portion 52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a toilet bag portion 58 in which the toilet 10 body is built, and a dirt suction port 18 formed in the toilet 10 body. The waste suction port insertion hole 56 is inserted into the expansion portion 54 has a form that extends while extending from the reduction portion 52, the overall view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reduction portion (52) It is symmetrical around its center and can be worn on the body like a diaper.

한편, 상기 축소부(52)는 상기 변기 착용부(50)를 신체 등에 착용했을 때 신체의 가랑이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변기 주머니부(58)는 변기(10) 본체의 둔부지지대(11)가 내장될 수 있도록 주머니 형태로 성형되고, 상기 변기 주머니부(58)의 상면에 형성된 주머니 패드(60)는 신체의 둔부에 접하는 부분이므로 사용자가 상기 변기 착용부를 착용했을 때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두꺼운 패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물흡입구 삽입공(56)은, 사용자가 상기 변기 착용부(50)를 착용했을 때 변기(10) 본체에 형성된 오물흡입구(18)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축소부(52)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확장부(54)는 상기 축소부(52)에서 양쪽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신체에 착용시 각각 등과 배를 감싸줄 수 있도록 넓은 면을 갖는 형태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장부(54)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변기 착용부(50)의 신체 착용시 등과 배에 직접 접촉하는 확장부 내측부분(54a)은 사용자의 안락감을 위해 두꺼운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확장부(54)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확장부 외측부분(54b)은 상기 변기 착용부(50)의 신체 착용시 상호 접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reduction portion 52 is located in the crotch portion of the body when the toilet wearing portion 50 is worn on the body, the toilet bag portion 58 is the buttocks support 11 of the toilet 10 body. It is molded in the form of a pocket so that the built-in, the pocket pad 6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ag portion 58 is in contact with the buttocks of the body so that the user can feel comfortable when wearing the toilet seat wearing portion It is desirable to produce a thick pad. In addition, the dirt suction hole insertion hole 56 is a portion into which the dirt suction hole 18 formed in the toilet 10 body is inserted when the user wears the toilet wearing part 50. 52) is preferably formed. In addition, the pair of extension portions 54 extend in both directions from the reduction portion 52, and are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having a wide surface so as to surround the back and the belly when worn on the body. In addition, the inner part 54a of the expansion part 54 which is formed inside the expansion part 54 and directly contacts the back and the abdomen when the toilet wearing part 50 is worn on the body is formed of a thick material for the user's comfort. Preferably, the expansion portion outer portion 54b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expansion portion 54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bonded to each other when wearing the toilet seat wearing portion 50.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변기 착용부(50)에 있어서, 변기(10) 본체를 상기 변기 주머니부(58)에 내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변기 착용부(50)를 신체에 착용하게 되면, 상기 축소부(52)는 신체의 가랑이 부위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한쌍의 확장부(54)는 각각 신체의 배와 등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변기(10) 본체의 오물흡입구(18)는 상기 오물흡입구 삽입공(56)에 삽입되어 외부의 흡입부(2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확장부 외측부분(54b)은 기저귀처럼 서로 접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이 변기 착용부(50)를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한쌍의 확장부 외측부분(54b)을 상호 접착시키게 되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를 기저귀처럼 착용할 수 있게 된다.In the toilet seat wearing part 5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toilet seat wearing part 50 is worn on a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toilet seat main body is built in the toilet bag bag 58, the reduction part 52 is located in the crotch portion of the body, the pair of expansion portion 54 is located in the stomach and back of the body, respectively, the waste suction port 18 of the toilet 10 body is the waste suction hole insertion hole Inserted into the 56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suction unit 20. In addition, the pair of expansion portion outer portion 54b is configured to be bonded to each other like a diaper, so that the user wears the toilet wearing portion 50 on the body as described above. By adhering 54b) to each other, the user can wear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diap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변기(1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toilet 1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흡입부(20)의 작용으로 인해, 상기 메인챔버(12) 및 보조챔버(14) 내부의 공기는 상기 오물흡입구(18)를 통해 변기(10) 외부로 흡입되고, 그로 인해 상기 각 공기구멍(15a, 15b)을 통해 외부 공기가 각 챔버(12, 14)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급수부(30)의 작용으로 인해, 상기 급수부(30)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메인급수구(13a) 및 보조급수구(13b)를 통해 메인챔버(12)와 보조챔버(14)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메인공기구멍(15a)과 보조공기구멍(15b)이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각 급수구(13a, 13b)를 통해 급수되는 물은 상기 각 공기구멍(15a, 15b)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면서 각 챔버(12, 14) 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와류를 형성하면서 메인챔버(12) 및 보조챔버(14)로 공급되는 물은, 사용자의 항문과 사타구니를 세척하는 기능, 즉 비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또한 상기 각 챔버(12, 14) 내로 인입되는 오물이 보다 원활하게 상기 오물흡입구(18)를 통해 외부로 흡입될 수 있게 하며, 세척된 사용자의 항문과 사타구니 부위를 건조시키는 기능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Due to the action of the suction unit 20, the air inside the main chamber 12 and the sub chamber 14 is sucked out of the toilet 10 through the dirt suction opening 18, and thus, each air hole (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respective chambers 12 and 14 through 15a and 15b. And, due to the ac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30,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30 is the main chamber 12 and the auxiliary chamber 14 through the main water supply port 13a and the auxiliary water supply port 13b. Is supplied. At this time, the main air hole (15a) and the auxiliary air hole (15b) is formed obliquely, the water supplied through each of the water supply port (13a, 13b) flows through each of the air hole (15a, 15b) Air is supplied into each of the chambers 12 and 14, forming a vortex by the air. In addition, the water supplied to the main chamber 12 and the auxiliary chamber 14 while forming the vortex as described above performs a function of washing an anus and a groin of a user, that is, a bidet, and the respective chambers. The dirt introduced into (12, 14) can be suck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rt suction port 18 more smoothly, and also performs the function of drying the anus and groin area of the washed user.

한편, 상기 보조챔버(14)로 인입된 소변은, 와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보조챔버(14) 내로 급수되는 물과 함께, 상기 챔버연결구(16)를 통해 상기 메인챔버(12)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챔버(12)로 인입된 대변은, 와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메인챔버(12) 내로 급수되는 물에 의해 희석되고, 동시에 상기 보조챔버(14)로 인입된 후 챔버연결구(16)를 통해 메인챔버(12)로 이동한 오물과 함께, 상기 오물흡입구(18)를 통해 변기(10) 외부로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the urine drawn into the auxiliary chamber 14 is moved to the main chamber 12 through the chamber connector 16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ied into the auxiliary chamber 14 while forming a vortex. The feces drawn into the main chamber 12 are diluted by water supplied into the main chamber 12 while forming a vortex, and at the same time the chamber connector 16 is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chamber 14. Along with the dirt moved to the main chamber 12 through,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10 through the dirt suction port (18).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흡입부(20)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intake 20 of the toile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20)는 변기(10)로부터 흡입한 오물을 저장하기 위한 오물챔버(22)와, 흡입배관(21) 내부의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기 위한 1차흡입모터(24)와, 오물의 흡입을 위해 상기 오물챔버(22)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메인흡입모터(26)로 구성된다. As shown, the suction unit 20 is a dirt chamber 22 for storing the dirt sucked from the toilet 10, and the primary suction motor 24 for generating a pressure change in the suction pipe 21. And a main suction motor 26 for vacuuming the inside of the dirt chamber 22 for suction of dirt.

상기 오물챔버(22)의 내부에는 오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비어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오물챔버(22)는 오물흡입구(18)와 흡입배관(21)에 의해 변기(10)와 연결되고, 상기 1차흡입모터(24) 및 메인흡입모터(26)와 각각 진공배관(25, 25')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오물챔버(22)의 일측면에는 상기 흡입배관(21)과 연통되는 오물배출구(23)가 설치되고, 오물챔버(22)의 상부면에는 상기 메인흡입모터(26)와 오물챔버(22)를 연결하는 진공배관(25)과 연통되는 공기흡입구(27-1)가 설치된다. An empty storage space is formed in the dirt chamber 22 to store dirt, and the dirt chamber 22 is connected to the toilet 10 by a dirt suction port 18 and a suction pipe 21. The first suction motor 24 and the main suction motor 26 are connected by vacuum pipes 25 and 25 ', respectively.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waste chamber 22 is provided with a waste discharge port 23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ipe 21, the upper surface of the waste chamber 22, the main suction motor 26 and the waste chamber ( An air suction port 27-1 communicating with the vacuum pipe 25 connecting the 22 is provided.

따라서,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또는 제어부의 자동 제어에 의해 상기 1차흡입모터(24)가 작동되면, 상기 변기(10)에 형성된 메인공기구멍(15a) 및 보조공기구멍(15b)을 통해 외부 공기가 변기(10) 내부로 흡입된 후, 상기 흡입배관(21)을 통해 변기(10) 외부로 배출되고, 이때 사용자가 대변 또는 소변 등의 오물을 배출하게 되면, 상기 변기(10)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양이 변하면서 흡입배관(21) 내부에 압력의 변화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배관(21) 내부에 발생되는 압력 변화를 감지한 제어부(40)에 의해 메인흡입모터(26)가 작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primary suction motor 24 is operated by the user's manual operation or by automatic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 outside air is provided through the main air hole 15a and the auxiliary air hole 15b formed in the toilet 10. After being sucked into the toilet 10,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10 through the suction pipe 21, and when the user discharges dirt such as feces or urine, the suction is taken into the toilet 10. As the amount of external air is changed, a pressure change is generated in the suction pipe 21. As described above, the main suction motor 26 is operated by the controller 40 which detects a pressure change generated in the suction pipe 21.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어부(40)에 의해 메인흡입모터(26)가 작동되면, 오물챔버(22) 내부의 공기가 진공배관(2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오물챔버(22)의 내부는 진공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오물챔버(22)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되면, 변기(10)에 인입된 오물은, 급수부(30)에 의해 공급된 물과, 공기구멍(15a, 15b)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 공기와 함께, 상기 메인흡입모터(26)의 작동에 의해 오물흡입구(18), 흡입배관(21) 및 오물배출구(23)를 거쳐서 오물챔버(22) 내로 흡입되게 된다.Then, when the main suction motor 26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40 as described above, the air inside the dirt chamber 2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acuum pipe 25, the interior of the dirt chamber 22 It becomes a vacuum state.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side of the waste chamber 22 is in a vacuum state,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toilet 10 is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unit 30 and the outside supplied through the air holes 15a and 15b. The air is sucked into the dirt chamber 22 through the dirt suction port 18, the suction pipe 21, and the dirt discharge port 23 by the operation of the main suction motor 26.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구(27-1)에는 오물의 흡입 방지와 냄새 제거를 위한 1차필터, 2차필터로 구성되는 필터부(29)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필터 중 일부는 상기 1차흡입모터(24) 또는 메인흡입모터(26)에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ir suction port 27-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filter unit 29 including a primary filter and a secondary filter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dirt and removing odors may be installed. It may be installed in the differential suction motor 24 or the main suction motor 26.

한편, 상기 오물챔버(22)의 상면에는 수위조절부(27)가 설치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조절부(27)는 진공배관(25)과 연통되는 공기흡입구(27-1)와, 상기 공기흡입구(27-1)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갖는 수위조절구(27-2), 상기 수위조절구(27-2)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27-4), 상기 수위조절구(27-2)를 둘러싸는 외부지지대(27-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위조절구(27-2)는 부력이 있어서 물에 뜨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지지대(27-3) 및 하부지지대(27-4)는 물이 상기 수위조절부(27) 내부로 스며들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27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rt chamber 22, for example, as shown,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27 is an air suction port 27 in communication with the vacuum pipe 25 -1), a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27-2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suction port 27-1, a lower support 27-4 supporting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27-2, and It is composed of an outer support (27-3) surrounding the water level control (27-2). In addition,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27-2 is formed of a material floating in water due to buoyancy, and the external support 27-3 and the lower support 27-4 have water inside the water level adjusting part 27.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to be permeable into.

따라서, 상기 오물챔버(22)에 변기(10)로부터 흡입된 오물 중 액상 오물이 수위조절부(27)의 하부지지대(27-4)의 높이 만큼 차게 되면, 상기 수위조절구(27-2)가 부력에 의해 인입된 상기 액상 오물에 뜨게 되고, 상기 액상 오물이 계속해서 차오름에 따라 상기 수위조절구(27-2)도 점점 올라가서, 결국 수위조절구(27-2)가 상기 수위조절부(27) 상부에 형성된 공기흡입구(27-1)를 막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위조절구(27-2)가 공기흡입구(27-1)를 막게 되면, 더이상 메인흡입모터(26)가 오물챔버(2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오물챔버(22)의 내부는 더 이상 진공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변기(10)로부터 오물이 더 이상 오물챔버(22) 내로 흡입되지 못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수위조절부(27)는 오물챔버(22) 내부에 저장되는 오물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오물챔버(22) 내부에 오물이 가득차서 수위조절부(27)에 의해 흡입부(20)가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에는, 상기 오물챔버(22) 내부에 저장된 오물을 배출시키면, 흡입부(20)가 원래의 기능을 다시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f the liquid dirt of the dirt sucked from the toilet 10 in the waste chamber 22 is filled by the height of the lower support (27-4) of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27, the water level control port (27-2) Is floated in the liquid filth introduced by buoyancy, and as the liquid filth continues to rise, the water level control port 27-2 also gradually rises, so that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27-2 becomes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 27) The air inlet 27-1 formed in the upper portion is block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level control port 27-2 blocks the air intake port 27-1, the main suction motor 26 no longer sucks air in the dirt chamber 22, so that the dirt chamber ( Since the interior of the tank 22 no longer maintains a vacuum state, the dirt from the toilet 10 can no longer be sucked into the dirt chamber 22, so that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27 is finally equipped with the dirt chamber 22. It controls the amount of dirt stored inside. When the suction unit 20 does not perform the function by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27 because the soil is filled inside the waste chamber 22 as described above, the waste stored in the waste chamber 22 is discharged. In this case, the suction unit 20 can normally perform the original function again.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물챔버(22)의 내부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격리판(2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격리판(28)은 오물챔버(22) 내로 인입되는 오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여, 오물이 상기 공기흡입구(27-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오물이 오물배출구(23)를 통해 오물챔버(22) 내로 흡입될 때, 오물챔버(22) 내로 인입되는 오물은 흡입력에 의해 바닥에서 튀어오르게 된다. 만일, 상기 격리판(28)이 오물챔버(22) 내에 설치되지 않게 되면, 상기 튀어오르는 오물 중 일부는 상기 공기흡입구(27-1)를 통해 오물챔버(22)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오물챔버(22) 내에 경사지게 설치된 상기 격리판(28)으로 인해, 오물이 튀어올라도 상기 격리판(28)에 부딪힌 후 다시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inside of the dirt chamber 22, the separator 28 is installed obliquely in a diagonal direction, and the separator 28 is that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dirt chamber 22 is splashed. By preventing, the dirt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suction port (27-1). That is, when the dirt is sucked into the dirt chamber 22 through the dirt discharge port 23,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dirt chamber 22 springs up from the bottom by the suction force. If the separator 28 is not installed in the dirt chamber 22, some of the jumping dir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irt chamber 22 through the air suction opening 27-1. However, due to the separator 28 installed inclined in the dirt chamber 22, even if the dirt pops up, it will fall back downward after hitting the separator 28.

상기 격리판(28)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separator 28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판(28)은 오물챔버(22) 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격리판(28)의 상측 끝부분은 "ㄱ" 형태로 절곡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격리판(28)의 절곡된 모서리 부분은 오물챔버(22)의 덮개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상기 격리판(28)의 모서리 부분과 오물챔버(22)의 덮개 사이에는 약간의 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틈 사이로는 공기만 지나갈 수 있고, 물은 지나갈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오물챔버(22)로 인입되어 바닥면에 부딪혀서 튀어오른 오물 등은, 상기 격리판의 절곡된 부분(28-1)에 막혀서 다시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격리판(28)의 폭이 오물챔버(22)의 폭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도면상에서 오물챔버(22)의 우하단 공간에 저장되는 오물 중 액상은 상기 격리판(28)과 오물챔버(22)의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오물챔버(22)의 좌상단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As shown, the separator 28 is inclined in a diagonal direction in the dirt chamber 22, the upper end of the separator 28 is bent in the form of "a". On the other hand, since the bent edge portion of the separator 28 does not contact the cover of the dirt chamber 22, a slight gap is formed between the edge portion of the separator 28 and the cover of the dirt chamber 22. do. And, only air can pass between the gaps, and water cannot pass. Then, the dirt and the like introduced into the dirt chamber 22 and bounced off the bottom surface are blocked by the bent portion 28-1 of the separator and fall back to the bottom surface. On the other hand, the width of the separator 28 is formed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dirt chamber 22, so that the liquid phase of the dirt stored in the lower right space of the dirt chamber 22 on the drawing is the separator 28 and The gap between the bodies of the waste chamber 22 is moved to the upper left space of the waste chamber 22.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격리판(28)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separator 28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배출구(23)가 오물챔버(22) 내에서 오물챔버(22)의 벽 방향으로 휘어져 있어서, 변기(10)로부터 흡입된 오물 및 물, 그리고 공기는 상기 오물배출구(23)를 통해 오물챔버(22)로 인입되면서, 오물챔버(22)의 벽면에 부딪히게 된다. 이때, 상기 오물챔버(22)의 벽면에 부딪힌 오물, 물, 공기 중에서 물은 그 점도로 인해 벽면을 타고 오물챔버(22)의 바닥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물챔버(22)의 벽에 부딪힌 나머지 오물 등은 오물챔버(22)의 바닥면에 부딪힌 후 튕겨서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오물챔버(22)의 바닥면에서 튕긴 오물 등은 격리판(28)에 부딪혀서 다시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오물 등은 오물챔버(22)의 바닥면(도면상에서 오물챔버의 우하단 공간)에 쌓이게 되고, 그 중에서 공기는 분리되어 격리판(28)과 오물챔버(22)의 벽면 사이에 형성된 틈 및 격리판(28)의 절곡된 모서리 부분과 오물챔버(22)의 덮개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오물챔버의 좌상단 공간으로 이동한 후 공기흡입구(27-1)로 흡입된다.As shown, the waste outlet 23 is bent in the waste chamber 22 in the direction of the wall of the waste chamber 22, so that the dirt and water sucked from the toilet 10, and air is the waste outlet 23 As it enters into the waste chamber 22 through, it hits the wall surface of the waste chamber 22. At this time, the water in the dirt, water, air hit the wall surface of the dirt chamber 22 flows to the bottom of the dirt chamber 22 due to its viscosity. Then, the remaining dirt and the like hitting the wall of the dirt chamber 22 hits the bottom surface of the dirt chamber 22 and bounces up to rise. However, the dirt bounced off the bottom surface of the dirt chamber 22 hits the separator 28 and falls back to the bottom surface, and while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dirt and the like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dirt chamber 22 (drawings). In the upper and lower right spaces of the waste chamber, and air is separated from the gap formed between the separator 28 and the wall surface of the waste chamber 22, and the bent edge portion of the separator 28 and the waste chamber ( 22) is moved to the upper left space of the waste chamber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cover and is sucked into the air suction port (27-1).

한편, 변기(10)에 인입된 오물을 흡입할 때에는, 상기 메인흡입모터(26)에 의한 강력한 공기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오물챔버(22)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게 됨으로써, 상기 격리판(28)과 오물챔버(22)의 벽면이 밀착되어 상기 격리판(28)과 오물챔버(22)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지 않아서, 도면상에서 오물챔버(22)의 우하단 공간으로 인입되는 오물은 오물챔버(22)의 좌상단 공간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오물이 전부 오물챔버(22) 내부로 인입되면, 메인흡입모터(26)에 의한 공기 흡입력이 떨어지게 되어, 다시 격리판(28)과 오물챔버(22)의 벽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고, 상기 틈을 통해 오물챔버(22)의 우하단 공간에 쌓인 오물 중 액상 부분이 좌상단 공간으로 이동하여, 오물챔버(22)의 좌우 공간에는 액상 부분이 수평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오물챔버(22)의 좌상단 공간에 저장되는 액상 오물이 쌓여서 상기 수위조절부(27)에 이르게 되면, 상기와 같은 수위조절부(27)의 기능이 수행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suctioning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toilet 10, due to the strong air suction force by the main suction motor 26, the inside of the dirt chamber 22 to make a vacuum state, the separator 28 And the wall surface of the waste chamber 22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a gap is not formed between the separator 28 and the waste chamber 22, so that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lower right space of the waste chamber 22 in the drawing is a waste chamber ( It does not move to the upper left space of 22). However, when all the dirt is introduced into the waste chamber 22, the air suction force by the main suction motor 26 is dropped,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separator 28 and the wall surface of the waste chamber 22 again. The liquid portion of the dirt accumulated in the lower right space of the waste chamber 22 is moved to the upper left space through the gap, and the liquid portion is horizontal in the left and right spaces of the waste chamber 22. Then, when the liquid dirt stored in the upper left space of the waste chamber 22 accumulates and reaches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27, the function of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27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변기의 흡입부(20)는,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변기(10)를 사용할 때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시작하면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제어부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하게 살펴본다.Meanwhile, the suction unit 20 of the 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by manual operation when the user uses the toilet 10 to view the toilet, or, when the user starts to see the toilet, by the controller.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driven automatically,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급수부(30)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5 shows an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unit 30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부(30)는 급수챔버(34)와 급수모터(32)로 구성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챔버(34) 및 급수모터(32) 외에, 상기 급수챔버(34) 내에 저장된 물이 충분한지를 감지하는 급수감지센서(35)와, 급수모터(32)의 작동을 제어하고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급수조절밸브(36), 그리고 변기(1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온도조절부(37)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the water supply unit 30 may be composed of a water supply chamber 34 and the water supply motor 32, more preferably, in addition to the water supply chamber 34 and the water supply motor 32, the water supply chamber ( 34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sensor 35 for detecting whether there is enough water,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36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motor 32 and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The temperature may be composed of a temperature control unit 37 and the like.

상기 급수챔버(34)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형태로 성형되고, 또한 상기 급수챔버(34)는 상기 변기(10)와 급수배관(31)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챔버(34)에 저장된 물은 급수모터(32)에 의해서 퍼올려져서 급수배관(31)을 따라 변기(10)로 공급되고, 상기 공급된 물은 메인급수구(13a)와 보조급수구(13b)를 통해 메인챔버(12)와 보조챔버(14)의 내부에 각각 공급된다. The water supply chamber 34 is formed in a form having an empty storage space to store water, and the water supply chamber 34 is connected by the toilet 10 and the water supply pipe 31. T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hamber 34 is pumped up by the water supply motor 32 is supplied to the toilet 10 along the water supply pipe 31, the supplied water is supplemented with the main water supply port (13a) It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main chamber 12 and the auxiliary chamber 14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13b,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급수챔버(34) 내에 설치된 급수감지센서(35)는 급수챔버(34) 내에 저장된 물이 충분한지를 감지하고, 만일 저장된 물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경보를 울리고 급수부(3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급수감지센서(35)의 동작은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n, the water supply sensor 35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chamber 34 detects whether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hamber 34 is sufficient, and if there is not enough water stored, an alarm sounds and the water supply unit 30 operates. It can be configure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sensor 35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0.

또한, 상기 급수모터(32)에 연결 설치된 급수조절밸브(36)는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되어 급수모터(32)를 구동 및 정지시키는 기능과, 또한 급수부(30)의 기능이 정지되었을 때 급수배관(31)을 따라 이동하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배관(31)을 따라 이동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부(37)가 상기 급수부(30)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36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motor 3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0 to drive and stop the water supply motor 32, and the func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30 is stopped. When the water flowing along the water supply pipe 31 can be configured to also perform a function to prevent backflow. In additio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7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moving along the water supply pipe 31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unit 30.

다음에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제어부(40)에 대한 일 실시예를 살펴본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2 looks at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unit 40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어부(40)는 압력센서(42)와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로 구성된다. 상기 압력센서(42)는 흡입배관(21) 또는 진공배관(25, 25')에 연결 설치되어, 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ler 40 includes a pressure sensor 42, a water supply motor driver 44, and a main suction motor driver 46. The pressure sensor 42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21 or the vacuum pipes 25 and 25 'so as to sense a pressure change in the toilet 10.

예를 들면, 사용자가 변기의 사용을 위해 수작업을 통해 흡입부(20)의 1차흡입모터(24)를 작동시키게 되면, 변기(10)에 형성된 메인공기구멍(15a)과 보조공기구멍(15b)을 통해 외부 공기가 변기(1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는 흡입배관(21) 및 진공배관(25, 25')을 통해 변기(1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1차흡입모터(24)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오물이 변기(10) 내부로 인입되면, 그 오물로 인해 변기(10)의 메인챔버(12)에 설치된 오물흡입구(18)가 일부 또는 전부 막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오물이 오물흡입구(18)를 막게 되는 것과 같은 이유로 인해, 상기 흡입배관(21) 및 진공배관(25, 25')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이 양이 달라져서, 상기 배관(21, 25, 25') 내부의 압력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즉, 오물의 인입으로 인해 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압력 변화는 상기 흡입배관(21) 및 진공배관(25, 25')으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오물의 인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는, 상기 흡입배관(21) 또는 진공배관(25, 25')에 연결 설치되는 압력센서(42)에 의해 감지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operates the primary suction motor 24 of the suction unit 20 by hand for use of the toilet, the main air hole 15a and the auxiliary air hole 15b formed in the toilet 10.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toilet 10 through the), the introduc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10 through the suction pipe 21 and the vacuum pipe (25, 25 '). As described above, when dirt is introduced into the toilet 10 while the primary suction motor 24 is operated, the dirt suction port 18 installed in the main chamber 12 of the toilet 10 due to the dirt is Some or all are blocked. Due to the same reason that the dirt blocks the dirt suction port 18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air moving through the suction pipe 21 and the vacuum pipes 25 and 25 'is changed so that the pipes 21, 25, and 25 are different. ') The pressure inside will change. That is, a change in pressure inside the toilet 10 occurs due to the introduction of dirt, and the pressure change is transmitted to the suction pipe 21 and the vacuum pipes 25 and 25 '.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change inside the toilet 10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dirt is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42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21 or the vacuum pipes 25 and 25 '.

상기와 같이, 변기(10)의 메인챔버(12) 내부에 오물이 인입되고, 그로 인해 변기(10) 내부에 발생하는 압력 변화가 압력센서(42)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압력센서(42)는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모터 구동부(44)는 급수부(30)의 급수모터(32)를 직접 구동시키거나, 또는 급수조절밸브(36)를 통해 급수모터(32)를 구동시켜서 급수부(30)를 동작시키게 되고, 상기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는 흡입부(20)의 메인흡입모터(26)를 구동시켜서 변기(10)에 인입된 오물을 흡입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하나의 압력센서(42)에 의해 급수모터 구동부(44)와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상기 급수모터 구동부(44)와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압력센서를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dirt is introduced into the main chamber 12 of the toilet 10, and thus a pressure change generated inside the toilet 10 is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42, the pressure sensor 42. The water supply motor driving unit 44 and the main suction motor driving unit 46 is operated. The water supply motor driver 44 directly drives the water supply motor 32 of the water supply unit 30 or drives the water supply motor 32 through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36 to operate the water supply unit 30. The main suction motor driving unit 46 drives the main suction motor 26 of the suction unit 20 to suck in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toilet 10.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the water supply motor drive unit 44 and the main suction motor drive unit 46 is configured to operate at the same time by one pressure sensor 42, the water supply motor drive unit 44 and the main suction motor drive unit 46.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install a separate pressure sensor for operating the.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압력센서(42), 급수모터 구동부(44),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의 제어 외에도, 급수감지센서(35)를 제어하여 급수챔버(34)에 저장된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온도조절부(37)를 제어하여 변기(1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control of the pressure sensor 42, the water supply motor driver 44, and the main suction motor driver 46, 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water supply sensor 35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hamber 34. 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and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7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toilet 10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변기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수작업으로 흡입부(20)의 1차흡입모터(24)를 구동시키면, 변기(10)에 형성된 공기구멍(15a, 15b)을 통해 외부 공기가 변기(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오물이 변기(10)의 메인챔버(12)와 보조챔버(14)로 각각 인입되면, 상기 보조챔버(14)로 인입된 오물은 메인챔버(12)와 연통된 챔버연결구(16)를 따라서 메인챔버(12)로 이동되어, 결국 변기(10) 내부로 인입되는 모든 오물이 메인챔버(12) 내부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챔버(12)로 인입되는 오물이 메인챔버(12) 후면에 설치된 오물흡입구(18)의 일부 또는 전부를 막게 되면, 흡입배관(21) 및 진공배관(25, 25')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에 의한 압력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흡입배관(21) 또는 진공배관(25, 25')에 연결 설치된 제어부(40)의 압력센서(42)에 의해 상기 압력 변화가 감지된다.When the user manually drives the primary suction motor 24 of the suction unit 20 to see the toilet, external air flows into the toilet 10 through the air holes 15a and 15b formed in the toilet 10. do. In the above state, when the dirt is introduced into the main chamber 12 and the auxiliary chamber 14 of the toilet 10,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chamber 14 is connected to the chamber chamber 12 i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hamber 12. All the dirt which is moved along the 16 to the main chamber 12 and eventually introduced into the toilet 10 is drawn into the main chamber 12. Then, when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main chamber 12 blocks a part or all of the dirt suction port 18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chamber 12, the suction pipe 21 and the vacuum pipes 25 and 25 '. The change in pressure caused by the moving air is generated, and the pressure change is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42 of the control unit 40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21 or the vacuum pipes 25 and 25 '.

상기와 같이 압력센서(42)에 의해 압력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압력센서(42)에 연결 설치된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가 작동되어, 상기 급수모터 구동부(44)는 급수부(30)의 급수모터(32)를 구동시켜서 변기(1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는 흡입부(20)의 메인흡입모터(26)를 구동시키고, 상기 메인흡입모터(26)는 오물챔버(22)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서 상기 변기(10)로 인입된 오물을 흡입하게 된다.When the pressure change is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42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supply motor driving unit 44 and the main suction motor driving unit 46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42 is operated, the water supply motor driving unit 44 Drive the water supply motor 32 of the water supply unit 30 to supply water to the toilet 10. On the other hand, the main suction motor drive unit 46 drives the main suction motor 26 of the suction unit 20, the main suction motor 26 makes the dirt chamber 22 in a vacuum state to the toilet 10 Inhaled dirt will be sucked into.

상기와 같이 급수모터(32)가 구동되면, 급수챔버(34) 내부에 저장된 물이 급수배관(31)을 통해 변기(10)로 이동한 후, 메인급수구(13a)와 보조급수구(13b)를 통해 메인챔버(12) 및 보조챔버(14)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각 챔버(12, 14)로 공급되는 물은, 각 공기구멍(15a, 15b)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면서 공급되고, 인입되는 대변 및 소변과 함께 오물흡입구(18)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와류를 형성하면서 공급되는 물은, 비데와 같은 세척 기능과 함께, 변기(10) 내부의 오물이 보다 원활하게 오물흡입구(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배출된 오물은 메인흡입모터(26)에 의해 흡입배관(21)을 거쳐서 오물챔버(22)로 이동된다.When the water supply motor 32 is driven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hamber 34 moves to the toilet 1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31, and then the main water supply port 13a and the auxiliary water supply port 13b. It is supplied to the main chamber 12 and the auxiliary chamber 14 through the).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supplied to each of the chambers 12 and 14 is supplied while forming a vortex by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each of the air holes 15a and 15b, and the dirt suction port 18 together with the introduced feces and urine. To be discharged. The water supplied while forming the vortex as described above, with the washing function such as the bidet, performs the function to allow the dirt inside the toilet 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rt suction port 18 more smoothly, the discharge The collected dirt is moved to the dirt chamber 22 via the suction pipe 21 by the main suction motor 26.

그리고, 흡입배관(21)을 통해 이동한 오물은 오물배출구(23)를 통해 오물챔버(22)로 인입되고, 상기 인입된 오물은 오물챔버(22)의 하면에 쌓이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오물챔버(22)의 하면에 쌓이는 오물은 격리판(28)에 의해 튀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챔버(22)의 우하단 공간에 쌓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우하단 공간에 쌓이는 오물 중 액상 오물은 격리판(28)과 오물챔버(22)의 벽면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오물챔버(22)의 좌상단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Then, the dirt moved through the suction pipe 21 is introduced into the waste chamber 22 through the waste discharge port 23, and the introduced waste is accumul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ste chamber 22. At this time, the dirt accumul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ste chamber 22 as described above is prevented from being splashed by the separator 28, and thus, as shown in Figure 4, is accumulated in the bottom right space of the waste chamber 22. As described above, the liquid waste among the waste accumulated in the lower right space moves to the upper left space of the waste chamber 22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separator 28 and the wall surface of the waste chamber 22.

상기와 같은 작동이 반복되면, 상기 오물챔버(22)의 좌상단에 저장되는 액상 오물의 양이 많아지게 되고, 액상 오물의 표면이 오물챔버(22)에 설치된 수위조절부(27)에 이르게 되면, 수위조절부(27)의 수위조절구(27-2)가 상기 액상 오물의 표면을 따라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수위조절구(27-2)가 상승하여 공기흡입구(27-1)를 막게 되면, 더 이상 오물챔버(22) 내부의 공기가 메인흡입모터(26)에 의해 흡입되지 못하게 되므로 오물챔버(22) 내부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오물챔버(22)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되지 않으면, 변기(10)로 인입되는 오물도 더 이상 오물챔버(22)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결국 오물챔버(22)에 저장되는 오물의 양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게 된다.If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 the amount of liquid dirt stored in the upper left of the dirt chamber 22 increases, and when the surface of the liquid dirt reaches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27 installed in the dirt chamber 22, The water level adjusting unit 27-2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unit 27 rises along the surface of the liquid dirt. When the water level control port 27-2 is raised to block the air intake port 27-1, the air inside the dirt chamber 22 is no longer sucked by the main suction motor 26, so the dirt chamber 22 The inside will not be able to maintain a vacuum. If the inside of the waste chamber 22 does not become a vacuum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waste introduced into the toilet 10 may no longer move to the waste chamber 22, and thus the waste stored in the waste chamber 22. The amount of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급수부(3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변기(10) 내부로 인입된 오물이 오물챔버(22)로 흡입되어 더 이상 오물이 오물흡입구(18)를 막지 않게 되면, 진공배관(25, 25')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는 급수부(30)가 동작하기 전의 압력 상태로 회복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압력 변화를 감지한 압력센서(42)가 상기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급수모터 구동부(44)는 급수모터(32)의 구동을 중단시켜서 급수챔버(34)의 물이 변기(10)로 공급되는 것을 중단시키게 되고, 상기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는 메인흡입모터(26)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Then, in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supply unit 30 operat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toilet 10 is sucked into the dirt chamber 22 and no more dirt blocks the dirt suction port 18, the vacuum pipe Air moving through 25 and 25 'is restored to the pressure state before the water supply unit 30 operates. In addition, when the pressure sensor 42 which senses the pressure change as described above operates the feedwater motor driver 44 and the main suction motor driver 46, the feedwater motor driver 44 is connected to the feedwater motor 32. By stopping the driving,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chamber 34 is stopped from being supplied to the toilet 10, and the main suction motor driving unit 46 stops the driving of the main suction motor 26.

사용자의 용변이 끝날 때까지 상기와 같은 과정은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사용자가 용변을 끝낸 후 1차흡입모터(24)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면 상기의 과정은 중단된다.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repeatedly until the user's toilet is finished. If the user stops driving the primary suction motor 24 after the toilet is finished, the process is stopped.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제어부(40')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unit 40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어부(40')는 제1압력센서(42a)와 1차흡입모터 구동부(43), 제2압력센서(42b)와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로 구성된다. 상기 제1압력센서(42a)는 상대적으로 미세한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변기(10)에 사용자가 대변 또는 소변 등의 오물을 배출했을 때 발생하는 변기(10) 내부의 미세한 압력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흡입모터 구동부(43)는 상기 제1압력센서(42a)와 연결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제1압력센서(42a)가 변기(10) 내부의 미세한 압력 변화를 감지하면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압력센서(42a)가 1차흡입모터 구동부(43)를 작동시키면, 상기 1차흡입모터 구동부(43)는 흡입부(20)의 1차흡입모터(24)를 구동시켜서 흡입부(20)를 동작시키게 된다.As shown, the controller 40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42a and a primary suction motor driver 43, a second pressure sensor 42b and a feed water motor driver 44', and a main suction motor driver 46. '). The first pressure sensor 42a is a sensor for detecting a relatively minute pressure, and detects a minute pressure change inside the toilet 10 generated when a user discharges dirt such as feces or urine to the toilet 10. do. In addition, the primary suction motor driver 43 is connected to the first pressure sensor 42a so that the first pressure sensor 42a is activated when the first pressure sensor 42a detects a slight pressure change in the toilet 10. When the first pressure sensor 42a operates the primary suction motor driving unit 43 as described above, the primary suction motor driving unit 43 drives the primary suction motor 24 of the suction unit 20. To operate the suction unit 20.

그리고, 상기 제2압력센서(42b)는, 오물로 인해 변기(10)의 메인챔버(12) 하단에 설치된 오물흡입구(18)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막혔을 때처럼, 상대적으로 제1압력센서(42a)에 비해 큰 압력 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압력센서(42b)에 의해 압력 변화가 감지되면,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가 작동되고, 상기 급수모터 구동부(44')는 급수모터(32)를 구동시켜서 급수부(30)를 동작시키며, 상기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는 메인흡입모터(26)를 구동시켜서 오물챔버(22)를 진공 상태로 만들게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흡입모터(26)의 작동에 의해 오물챔버(22)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되면, 변기(10) 내부로 인입된 오물은 흡입배관(21)을 거쳐서 오물챔버(22)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급수모터 구동부(44')와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가 각각 별도의 압력센서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ressure sensor 42b has a relatively first pressure sensor 42a, as when some or all of the dirt suction ports 18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chamber 12 of the toilet 10 are blocked by dirt. Will detect a large pressure change. When the pressure change is detect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42b, the feed water motor driver 44 'and the main suction motor driver 46' are operated, and the feed water motor driver 44 'is operated with a feed water motor (44'). 32 to drive the water supply unit 30, the main suction motor driving unit 46 'drives the main suction motor 26 to make the dirt chamber 22 in a vacuum state. When the inside of the waste chamber 22 becomes a vacuum state by the operation of the main suction motor 26 as described above, the dirt introduced into the toilet 10 is moved to the waste chamber 22 through the suction pipe 21. do. On the other hand, the feed water motor drive 44 'and the main suction motor drive 46'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a separate pressure sensor,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의 제1압력센서(42a)와 제2압력센서(42b)가 어느 정도의 압력 변화에 대해 감지할 것인가는 정해져 있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값을 미리 설정하여, 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가 상기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값이 되면, 상기 각 압력센서(42a, 42b)가 그 압력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not determined how much pressure change the first pressure sensor 42a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42b will detect, and if necessary, an appropriate value is set in advance, and the inside of the toilet 10 is provided. When the pressure change of the predetermined value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pressure sensors 42a, 42b is preferably configured to detect the pressure chang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변기의 작동에 있어서, 변기(10)와, 흡입부(20), 그리고 급수부(30)의 작용은 상기에서 상세하게 언급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그 구성이 다른 제어부(40')의 작용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변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ction of the toilet 10, the suction unit 20, and the water supply unit 30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here, and th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with reference to the action of the automatic toile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entering on the action of the other control unit 40 '.

용변을 보는 사용자가 변기(10)에 오물을 배출시키게 되면, 제어부(40')의 제1압력센서(42a)가 변기(10) 내부의 미세한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1차흡입모터 구동부(43)를 작동시키고, 상기 1차흡입모터 구동부(43)는 흡입부(20)의 1차흡입모터(24)를 구동시켜서 흡입부(20)를 동작시키게 된다. 흡입부(20)의 작동 중에 오물이 변기(10) 내부로 인입되어 더 큰 압력변화가 발생하면, 그 때의 압력 변화를 제어부(40')의 제2압력센서(42b)가 감지하여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는 급수부(30)의 급수모터(32) 및 흡입부(20)의 메인흡입모터(26)를 구동시키게 된다.When the user viewing the toilet discharges dirt into the toilet 10, the first pressure sensor 42a of the controller 40 ′ detects a minute pressure change inside the toilet 10 to detect the primary suction motor driver 43. The primary suction motor driving unit 43 drives the primary suction motor 24 of the suction unit 20 to operate the suction unit 20. If dirt is introduced into the toilet 10 during operation of the suction unit 20, and a larger pressure change occurs, the pressure change at that time is sens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42b of the controller 40 'and the water feed motor The drive unit 44 'and the main suction motor drive unit 46' are operated. The water supply motor driver 44 ′ and the main suction motor driver 46 ′ drive the water supply motor 32 of the water supply unit 30 and the main suction motor 26 of the suction unit 20.

그리고, 상기 제1압력센서(42a)와 제2압력센서(42b)는 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를 계속해서 감지하게 되므로, 상기 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서 상기 1차흡입모터(24)와 급수모터(32), 그리고 메인흡입모터(26)의 동작도 구동과 정지를 반복하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pressure sensor 42a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42b continuously detect the pressure change in the toilet 10, the primary suction motor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in the toilet 10. The operation of the 24, the feed water motor 32, and the main suction motor 26 can also be configured to repeat driving and stopping.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용변을 보기 위해 별도의 동작을 요하지 않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변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차량 내부에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변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운전자 및 탑승자는 운전 중에도 용변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does not need a separate operation to see the toilet, so that the toile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In particular, the 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occupant can fix the toilet while driving.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변기에 의하면, 흡입과 급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는 쾌적하고 간편하게 용변을 해결할 수 있고, 움직이지 못하거나 누워있는 사람 혹은 의식이 없는 사람, 손이나 발이 없는 사람, 특수복을 입는 사람(무균복, 우주복, 잠수복, 방화복, 방독복), 특수 작업장 근무자, 손발이 통제된 사람(환자, 정신질환자, 수감자) 등의 사람이, 화장실로 가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나 쾌적할뿐 아니라, 변을 빨아들이고 물로 비데를 하여 화장지를 사용하지 않고 건조되므로 간편하게 용변을 해결할 수 있고, 특히 거동을 못하여 누워있는 사람이 이불 속에서 타인의 도움 없이도 용이하게 용변을 볼 수 있으며, 부끄러운 곳을 남에게 보일 필요가 없어 존엄성과 자존심을 지킬 수 있으며, 간병인 손에 오물이 묻지 않고 냄새가 나지 않으므로, 빨래감이 생기지 않고 여벌의 옷이나 이불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화장지나 기저귀가 필요없어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고, 각종 에너지 절감, 인력 절감 및 환경오염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또한 별도의 화장실 설치가 불가한 장소에 놓기만 하면 되므로 시설 투자비 절감되고, 동물의 경우도 배변을 자동처리 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and water supply is made automatically, the user can comfortably and easily resolve the toilet, a person who is not moving or lying or unconscious person, hands or feet Persons who are not present, people who wear special clothes (aseptic clothes, space suits, diving suits, fire suits, gas masks), workers at special workplaces, or persons with controlled limbs (patients, mental illnesses, prisoners) Not only is it comfortable, it sucks up the stools and bidets with water to dry it without using toilet paper, so it is easy to solve the stool, especially the person lying on the bed can easily see the stool without the help of others. You don't need to show embarrassing places so you can protect your dignity and self-esteem. Because the smell does not, there is no need to ppalraegam this does happen prepare clothes and quilts extra, I do not need a makeover over the diaper without waste does not occur, and an excellent effect on various energy-saving, labor-saving and pollution prevention In addition, the facility investment cost is reduced because it only needs to be placed in a place where a separate toilet cannot be installed, and in case of animals, it is possible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by automatically treating defecation.

도 1은 종래의『분출과 흡입기능을 구비한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shing apparatus having a spray and suction func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변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측단면도이고,Figure 3a,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c,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변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측면도이고,Figure 3c, 3d is a plan view,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변기의 흡입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take part of an 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변기의 급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ater supply unit of an 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식 변기의 제어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ntrol unit of an 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변기 11.....둔부지지대10 ... toilet seat 11. Buttock support

12.....메인챔버 14.....보조챔버12 ..... Main chamber 14 ..... Secondary chamber

13a....메인급수구 13b....보조급수구 13a .... Main Water Supply 13b .... Secondary Water Supply

15a....메인공기구멍 15b....보조공기구멍15a .... main air hole 15b .... auxiliary air hole

16.....챔버연결구 18.....오물흡입구16 ..... Chamber fitting 18 ..... Soil intake

20.....흡입부 21.....흡입배관20 .... Suction unit 21 ..... Suction line

22.....오물챔버 23.....오물배출구22 ... Stain chamber 23 ..... Sewage outlet

24.....1차흡입모터 25.....진공배관24 ..... primary suction motor 25 ..... vacuum piping

25'....진공배관 26.....메인흡입모터25 '.... Vacuum piping 26 ..... Main suction motor

27.....수위조절부 27-1...공기흡입구27 ..... level control part 27-1 ... air intake

27-2...수위조절구 27-3...외부지지대27-2 ... Water level regulator 27-3 ... External support

27-4...하부지지대 28.....격리판27-4.Low support 28 ..... isolating plate

28-1...격리판의 절곡된 부분 29.....필터부28-1.Bent part of the separator 29 .....

30.....급수부 31.....급수배관30 ..... Water Supply 31 .. Water Supply Piping

32.....급수모터 34.....급수챔버32 ..... Water supply motor 34 ..... Water supply chamber

35.....급수감지센서 36.....급수조절밸브35 ..... Water supply sensor 36 ..... Water supply valve

37.....온도조절부 40.....제어부37 ..... temperature control part 40 ..... control part

40'....제어부 42.....압력센서40 '... control section 42 ... pressure sensor

42a....제1압력센서 42b....제2압력센서42a ... first pressure sensor 42b ... second pressure sensor

43.....1차흡입모터 구동부 44.....급수모터 구동부43 ..... 1st suction motor drive 44 ..... water supply motor drive

44'....급수모터 구동부 46.....메인흡입모터 구동부44 '.... Water Supply Motor Drive 46 ..... Main Suction Motor Drive

46'....메인흡입모터 구동부 50.....변기 착용부46 '.... Main suction motor drive part 50 ..... Toilet seat part

52.....축소부 54.....확장부52 ..... reduction 54 ..... extension

54a....확장부 내측부분 54b....확장부 외측부분54a .... inside of the extension 54b .... outside of the extension

56.....오물흡입구 삽입공 58.....변기 주머니부56 ... Suction inlet hole 58 ..... Toilet seat

60.....주머니 패드60 ..... Pocket Pad

Claims (6)

사용자의 둔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된 둔부지지대(11)와, 상기 둔부지지대(11)의 단부의 상측에서 대변이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메인챔버(12)와, 상기 메인챔버(12)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챔버연결구(16)와, 상기 챔버연결구(16)의 단부에서 절곡 형성되고 소변이 인입되는 보조챔버(14) 및, 상기 메인챔버(12)와 보조챔버(14)를 통해 인입된 용변을 배출시키도록 상기 메인챔버(12)의 후면에 설치되는 오물흡입구(18)를 구비하여, 기저귀처럼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성형되는 변기(10)와;A buttock support 11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uttocks, the main chamber 12 is formed so that the stool is drawn in the upper side of the end of the buttock support 11, and formed extending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main chamber 12 The chamber connector 16 is bent, the auxiliary chamber 14 bent at the end of the chamber connector 16 and urine is drawn in, and the toilet drawn through the main chamber 12 and the auxiliary chamber 14 is discharged. A toilet 10 having a dirt suction opening 18 installed at a rear surface of the main chamber 12 so as to be worn as a diaper; 상기 변기(10)의 오물흡입구(18)와 연결되는 흡입배관(21)과, 상기 흡입배관(21) 내부의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기 위한 1차흡입모터(24)와, 상기 변기(10)의 오물흡입구(18)를 통해 유출되는 용변을 저장하도록 상기 흡입배관(21)이 연통되는 오물챔버(22) 및, 용변의 흡입을 위해 상기 오물챔버(22)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메인흡입모터(26)를 구비하는 흡입부(20)와; A suction pipe 21 connected to the dirt suction port 18 of the toilet 10, a primary suction motor 24 for generating a pressure change in the suction pipe 21 , and the toilet 10 of the toilet 10. The waste chamber 22 to which the suction pipe 21 communicates to store the toilet flowing out through the waste suction port 18, and the main suction motor which makes the inside of the waste chamber 22 vacuum for suction of the toilet. A suction part 20 having a 26; 물을 저장하는 급수챔버(34)와, 상기 급수챔버(34) 내부의 물을 상기 변기(10)에 공급하는 급수모터(32)를 구비하는 급수부(30)와; 그리고A water supply unit 30 having a water supply chamber 34 for storing water and a water supply motor 32 for supplying water inside the water supply chamber 34 to the toilet bowl 10; And 상기 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급수부(30) 및 흡입부(2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40, 40')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control unit 40, 40 'for driving the water supply unit 30 and the suction unit 20 by detecting a pressure change in the toilet 10, 상기 메인챔버(12) 및 보조챔버(14) 각각에는, 상기 급수부(30)와 연결되는 급수구(13a, 13b)와, 급수되는 물을 와류로 형성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공기구멍(15a, 15b)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변기.Each of the main chamber 12 and the auxiliary chamber 14 has a water supply port 13a, 13b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30, and a plurality of air holes 15a, 15b for forming water to be vortexed. Automatic toilet bow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챔버(22)의 내부에는, 인입되는 오물의 튐을 방지하기 위한 격리판(2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변기.2. An automatic toi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parator (28) is formed inside the waste chamber (22) to prevent splashing of incoming di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28)은, 상측 단부가 절곡되고, 폭이 상기 오물챔버(22)의 내측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오물챔버(22) 내부에 대각선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변기.3. The separator 28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is bent, the width is formed smaller than the inner width of the dirt chamber 22, and is installed diagonally inside the dirt chamber 22. Automatic toilet se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변기(10)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42)와, 상기 압력센서(42)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급수모터(32)를 구동시키는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26)를 구동시키는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변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40 is operated by the pressure sensor 42 and the pressure sensor 42 for detecting a pressure change in the toilet 10 to drive the water supply motor 32 Automatic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supply motor drive unit 44 and the main suction motor drive unit 46 for driving the main suction motor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변기(10)에 사용자가 오물을 배출했을 때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1압력센서(42a)와, 상기 제1압력센서(42a)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1차흡입모터(24)를 구동시키는 1차흡입모터 구동부(43)와, 상기 변기(10) 내부에 오물이 인입되었을 때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2압력센서(42b)와, 상기 제2압력센서(42b)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급수모터(32)를 구동시키는 급수모터 구동부(44') 및 메인흡입모터(26)를 구동시키는 메인흡입모터 구동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변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40 'is connected to the first pressure sensor 42a and the first pressure sensor 42a for detecting a change in pressure when the user discharges the dirt into the toilet 10. And a primary suction motor driver 43 for operating the primary suction motor 24, a second pressure sensor 42b for detecting a pressure change when dirt is introduced into the toilet 10. And a water supply motor driver 44 'which is operat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42b to drive the water supply motor 32 and a main suction motor driver 46' that drives the main suction motor 26. Automatic toilet bowl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10)는 사용자가 기저귀처럼 착용할 수 있도록 변기 착용부(50)를 더 포함하고,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ilet 10 further comprises a toilet wearing portion 50 so that the user can wear like a diaper, 상기 변기 착용부(50)는, 중간부분에 가늘게 형성되는 축소부(52)와, 상기 변기(10)가 내장되는 변기 주머니부(58)와, 상기 오물흡입구(18)가 삽입되는 오물흡입구 삽입공(56), 상기 축소부(52)에서 연장되면서 넓어지고 상호 접착할 수 있는 한쌍의 확장부(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변기.The toilet wearing portion 50 includes a narrowing portion 52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a toilet bag portion 58 in which the toilet 10 is embedded, and a dirt suction opening into which the dirt suction opening 18 is inserted. Ball (56), an automatic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expansion (54) that extends from the reduction portion (52) to be widened and mutually bonded.
KR10-2002-0082275A 2002-12-23 2002-12-23 Automatic bedpan KR1005208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275A KR100520880B1 (en) 2002-12-23 2002-12-23 Automatic bedp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275A KR100520880B1 (en) 2002-12-23 2002-12-23 Automatic bedp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851A KR20040055851A (en) 2004-06-30
KR100520880B1 true KR100520880B1 (en) 2005-10-12

Family

ID=3734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275A KR100520880B1 (en) 2002-12-23 2002-12-23 Automatic bedpa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88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279B1 (en) * 2006-04-29 2007-08-23 권희준 Vacuum toilet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851A (en)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5002B2 (en)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KR100797578B1 (en) Automatic Excretion Cleaner
JP4119462B2 (en)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JP4643523B2 (en)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US6128788A (en) Water closet and nursing bed device with same
KR20130028282A (en) Automatic excretion cleaner
JP4116652B2 (en)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JP2008119172A (en) Nursing underwear, nursing mat, and nursing system
KR100795149B1 (en) Automatic Excretion Cleaner
KR100520880B1 (en) Automatic bedpan
KR100829524B1 (en) Automatic Excretion Cleaner
KR20040037290A (en) Chamber pot the has of function a smell compulsion removal
KR100829525B1 (en) Automatic Excretion Cleaner
KR200307582Y1 (en) Automatic urinal
KR100959093B1 (en) A automatic excretion cleaning apparatus having whirlpool structure
KR100905530B1 (en) Automatic excretion cleaner
KR100520879B1 (en) Automatic closestool
KR200447310Y1 (en) Bidet with a bad smell-removing function
KR200438551Y1 (en) A toilet stool having equipment of removing odour and preventing its backflow
JP3104064B1 (en) Excrement disposal device
KR200307244Y1 (en) Automatic cleaner
JPH0244224B2 (en) HAIBENYOJIDOSENJOSOCHI
JP4699959B2 (en)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KR200262931Y1 (en) Bedpan
JP4167278B2 (en)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