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149B1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 Google Patents
Automatic Excretion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5149B1 KR100795149B1 KR1020060047685A KR20060047685A KR100795149B1 KR 100795149 B1 KR100795149 B1 KR 100795149B1 KR 1020060047685 A KR1020060047685 A KR 1020060047685A KR 20060047685 A KR20060047685 A KR 20060047685A KR 100795149 B1 KR100795149 B1 KR 1007951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zzle
- feces
- dirt
- toilet bowl
- clea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저비용으로 간단한 구조로서 쉬운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흡입 펌프의 흡인 효율을 향상시키고, 정확한 오물 배출 및 세정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자동 배설물 세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출발한 것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와변기케이싱(A)과 세정 수단을 갖춘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K)에 있어서, 상기 와변기케이싱(A)은 좌석부를 재치하는 지지플레이트부(10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부(100)의 후단부에 입설된 들림부(200)를 갖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부(100)는 오물 유로(101)와 배출부(102)를 가지며, 상기 들림부(200)는 상기 오물 유로(101)에 연결된 전면 요(凹)부(113)을 갖고, 상기 오물 유로(101)은 상기 전면 요부(113)보다 더 패인 위치에서 상기 배출부(102)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102)를 향해 폭이 점점 감소하면서 상기 배출부(102)측을 저부로 하는 통 모양을 이룬 오물 저장공간(s)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with a problem to provide an automatic fecal cleaning device that can improve the suction efficiency of the suction pump, and realize accurate dirt discharge and cleaning operation while maintaining easy operation as a simple structure at low cost, and solved this problem. In the automatic excretion processing apparatus (K) equipped with the toilet bowl (A) and the cleaning means as a means for doing this, the toilet bowl (A) is the support plate portion 100 and the support plate portion 100 to place the seat portion ) Has a lifting portion 200 installed in the rear end, the support plate portion 100 has a dirt passage 101 and a discharge portion 102, the lifting portion 200 is the dirt passage 101 And a dirt passage 101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ion 102 at a position more recessed than the front recess portion 113 and having a width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102. Reminding you as it gradually decreases Has a chulbu 102 dust storage accomplished the tubular to the side to the bottom (s).
와변기, 배설물 세정기, 검지센서, 자동세정기 Toilet bowl, excreta cleaner, detection sensor, automatic clean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배설물 자동세정기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feces automatic washing machine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와변기케이싱의 외관 사시도.Figure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bowl casing.
도 3은 와변기케이싱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a toilet bowl.
도 4는 와변기케이싱의 측 단면도.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ilet bowl.
도 5는 자동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fixing device.
도 6은 와변기케이싱의 내부구조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oilet bowl casing.
도 7은 둔부세척용 노즐 및 대변용 노즐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tt cleaning nozzle and feces nozzle.
도 8은 비데용 노즐구조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zzle structure for a bidet.
도 9는 항문용 노즐구조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al nozzle structure;
도 10은 소변 검지센서를 이용해 세정수로서 사용 가능한 각종의 물 및 소변에 대해 전류치를 측정한 실험결과도.10 is an experimental result of measuring the current value for various water and urine that can be used as washing water using a urine detection sensor.
도 11은 중량 센서의 분해사시도.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eight sensor.
도 12는 중량 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1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eight sensor.
도 13은 탱크 덮개로부터 호스 연결부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Fig. 1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hose connection portion is removed from a tank cover.
도 14는 탱크 덮개에 호스 연결부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1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s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a tank cover.
도 15는 호스 연결부의 상부 구조의 외관 사시도.1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hose connecting portion.
도 16은 호스 연결부의 상부 구조의 측면도.Figure 16 is a side view of the top structure of the hose connection.
도 17은 탱크 덮개의 확대사시도.1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tank cover.
도 18은 자동 대변처리 시 배설물 자동세정기 처리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18 is a flow chart showing the automatic feces washing machine processing sequence in automatic feces processing.
도 19는 대변 세정공정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19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of a feces washing step;
도 20은 소변 세정공정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20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of a urine washing step;
도 21은 건조 공정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21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sequence of a drying step;
도 22는 수동 배변처리 시 배설물 자동세정기 처리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Fig. 22 is a flowchart showing the automatic fecal washing machine processing procedure in manual defecation processing.
도 23은 마사지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assager.
도 24는 매입식 자동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mbedded automatic locking device.
도 25는 매입식 자동 고정장치의 눌림부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of the embedded automatic fixing device protrudes.
도 26은 매입식 자동 고정장치의 눌림부가 인체 복부를 눌러주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of the embedded automatic locking device is pressing the human abdomen.
도 27은 안전벨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at belt structure.
도 28은 복대, 매직테이프, 커버를 이용해 인체와 와변기케이싱을 고정하는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thod of fixing the human body and toilet bowl using a bag, magic tape, cover.
도 29는 서스펜더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spender;
도 30은 전면 튜브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3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ront tube;
도 31은 후면 튜브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ar tube.
도 32는 전면 튜브 및 후면 튜브를 팽창시키기 위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3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flow path for discharging air for expanding the front tube and the rear tube;
도 33은 들림부의 내부에 탄성재를 내삽시킨 경우에 선단부가 경사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33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clined state of the tip portion when the elastic material is interpolated inside the lifting portion;
도 34는 인체와 와변기케이싱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부와 들림부를 분리한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Figure 3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separated from the support plate portion and the lifting portion for fixing the human body and the toilet bowl casing.
도 35는 도 34에 나타낸 측면도.35 is a side view shown in FIG. 34;
도 36은 대소변 검지센서의 사시도.3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ecal detection sensor;
도 37은 센서 유니트의 사시도.3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or unit.
도 38은 자외선 LED 및 포트 트랜지스터로 원수 탱크의 원수의 수위를 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Fig. 3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l of raw water in a raw water tank is detected by an ultraviolet LED and a port transistor;
도 39는 자외선 LED로 원수 탱크의 원수의 살균처리를 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Fig. 3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raw water is sterilized in a raw water tank with an ultraviolet LED.
도 40은 와변기케이싱과 침상용 매트를 병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ed the state which used the toilet bowl casing and the bed mat together.
도 41은 건조공기용 노즐관의 구조를 나타낸 측 단면도.Fig. 4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nozzle tube for dry air;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Explanation of the main signs in the drawings *******
1 비데용 노즐관(602)에 배설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installed in
2 항문용 노즐관(603)에 배설되는 솔레노이드 밸브2 Solenoid valve installed in the
3 둔부세정용 노즐관(604)에 배설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 Solenoid valve installed in the butt
4 대변용 노즐관(605)에 배설되는 솔레노이드 밸브4 Solenoid valve installed in the
1~4 유니트화 한 밸브1 to 4 unitized valve
5 에어 배출관(414)으로 에어 공급관(410b)의 겸용으로 배설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which is combined with
6 외부 에어 공급관(415)으로 흡입기관(401c)의 겸용으로 배설되는 솔레노이드 밸브6 Solenoid valve which is discharged to the external
100 지지플레이트부 101 오물 흐름로100
102 배출부 103 오물 유입관102
104 둔부세정용 노즐 105 대변용 노즐104
104, 105, 202, 203 세정 수단 106 발광부104, 105, 202, 203 Cleaning means 106 Light emitting part
107 수광부 108 수신부107
109 전극 핀 110 방수용 씰109
111 외관처리 호스 112 환기통111
113 전면 요(凹)부 113 Front yaw part
200 들림부 201 건조공기용 노즐관200 Lifted 201 Dry air nozzle tube
202 비데용 노즐 203 항문용 노즐202 nozzles for
204 마사지기 205 자동 고정장치204
300 오물수용탱크 302 중량 센서300 Sewage
303 호스 연결부 304 탱크 덮개303
400 흡입 펌프 404 외부 에어공급 필터400
414 에어 배출관 407a 1차 악취제거 필터414
407b 2차 악취제거 필터 408 감압부407b 2nd
409 밸브 410a 에어 공급관409
410b 에어 공급관 410c 에어 공급관410b
411 역지 밸브 412 T자 파이프411 check valve 412 T-shaped pipe
413 압력 스위치 414 에어 배출관 413
415 외부 에어공급관 415 External air supply pipe
500 원수 탱크 501 온수 탱크500
503 솔레노이드 밸브 503 solenoid valve
600 가압 펌프 601 노즐관 600
602 비데용 노즐관 603 항문용 노즐관602
604 둔부세정용 노즐관 605 대변용 노즐관604 nozzle nozzle pipe for buttocks cleaning
606 솔레노이드 밸브 유니트 607 필터 어셈블리606
A 와변기케이싱 B 와변기 후레임A and toilet casing B and toilet frame
B1 지지 프레임 B2 세로 프레임B1 Support frame B2 Vertical frame
C 본체부 D 배설물 수용부C main body D excreta receiving unit
E 세정수 공급부 F 장치 제어부E Washing water supply unit F Device control unit
G 대변 검지센서 H 소변 검지센서G fecal detection sensor H urine detection sensor
G,H 검지 수단 I 대소변 검지 센서G, H Detection means I Urine detection sensor
K 배설물 자동세정기 s 오물 저장 공간K fecal automatic washer s waste storage space
본 발명은 와병생활의 환자나 노인 등이 잠을 자고 있는 상태이거나 깨어 있는 상태를 포함하여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타인의 시중 없이 용변을 처리할 수 있는 자동 배설물 세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excrement cleaning device that can treat the stool without the attendance of others in the state as it is, including the sleeping or awake state of the sick or elderly people in the disease.
종래에도 와병생활의 환자나 노인 등이 누워 있는 상태에서 배설한 용변을 타인의 시중 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와변기 장치가 고안된 바 있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8-322868호에는 측면으로 볼 때 L자 모양의 와변기에 대변 센서, 소변센서와 함께 각종 노즐을 갖춘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Conventionally, a toilet bowl device has been devised so that a toilet disposed in a lying state of a sick patient or an elderly person can be treated without attendanc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8-322868 discloses a technique in which an L-shaped stool in a side view is equipped with various nozzles together with a stool sensor and a urine sensor.
상기 기술은 환자가 용변하는 경우 와변기 들림부를 인체에 밀착시키면서 허리좌석부를 와변기케이싱 위로 재치(올려두거나 얹힘)시키는 것으로서, 용변 후에는 센서가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각종 노즐로부터 세정수를 분출해 신체와 와변기케이싱의 내부를 세정하도록 하고, 오물은 오물 흡입호스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방법으로 자동적으로 와병생활의 환자의 대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The above technique is to place the waist seat on the toilet bowl casing while the toilet se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uman body when it is stool.After the toilet, the sensor detects and automatically flushes the washing water from various nozzles. It is designed to clean the inside of the toilet bowl casing, and the waste is discharged from the dirt suction hose to the outside to automatically process the feces of the sick patient.
그러나 종래 개시된 처리기술은 배설물이 와변기에서 완전하게 배출되거나 용변 후 환자의 허리요추부에 세정처리가 확실히 수행되지 아니하여 사용 환자에게 쾌적한 안락감 및 사용 후의 만족감을 주는 정도에 이르지 못하였다.However, the treatment technology disclosed in the related art does not reach the degree of giving the patient a comfortable comfort and satisfaction after use because the feces are completely discharged from the lavatory bowl or the washing process is not surely performed at the lumbar spine of the patient after the stool.
그러나, 이러한 대변처리기술은 처리요부의 아랫면에 직접 배출부가 형성되 어 있기 때문에 배출부의 관의 폭이 작은 경우, 처리 요부와 배출부와의 사이의 단차에 의해 흡입 펌프로부터 와변기 케이싱 내에 도달할 때까지의 압력 손실이 커져 흡입 펌프의 흡인력만으로는 배설물을 와변기 케이싱 외에 충분히 흡인하는 것이 곤란했다. 배출부의 관의 폭을 크게하여 압력손실을 억제하는 경우에서 보다 큰 흡입 펌프를 채용하는 일도 생각할 수 있지만 장치구성이 대형화되고 조작성이 저하되어 생산단가가 올라가게 된다.However, this stool treatment technique has a discharge portion formed direct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eatment recess, so that when the pipe width of the discharge portion is small, when it reaches the inside of the toilet bowl casing from the suction pump by the step between the treatment recess and the discharge portion. The pressure loss up to increased, and it was difficult to sufficiently suck out the excretion outside the toilet bowl casing only by the suction power of the suction pump. It is conceivable to employ a larger suction pump in the case of suppressing the pressure loss by increasing the width of the discharge pipe, but the production cost increases due to the enlargement of the device configuration and the deterioration of operability.
본원은 와병생활의 환자가 앉은 자세나 누운 자세로 배변처리를 행하고자 하는 특수한 환경조건을 갖는 와변기에 있어서, 조작성이 쉽고 구조가 간편화되어 정확한 오물배출 및 세정동작이 실시 가능할 수 있는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a toilet bowl having a special environmental condition to perform a bowel movement treatment in a sitting or lying posture of patients with sickness, a manure disposal device that can be precisely discharged and washed operation is easy to operate and simplified structure It is to provide.
또한, 본원 발명은 와병생활의 환자 또는 노인의 입장에서 편리하고 필요한 각종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배설물 자동세정기로서, 저비용으로 간단하고 쉬운 구조에 의한 조작성을 유지하면서도 흡인 효율을 향상시켜 적확한 오물 배출 및 세정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자동 배설물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that can satisfy various requirements that are convenient and necessary from the standpoint of the sick or elderly people of the sick life, while maintaining the operability by a simple and easy structure at low cost to improve the suction efficiency and accurate di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excrement cleaning device that can realize discharge and cleaning operations.
청구항 1항에 기재된 발명은, 인체의 배설 부위를 가리도록 장착되는 와변기 케이싱과 상기 와변기케이싱에 배설되어 유체를 분출해 세정을 실시하는 세정 수단을 구비한 자동 배설물세정장치로서, 상기 와변기케이싱은 허리요추부를 재치하는 지지 플레이트부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부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들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부는 배설된 대변을 받도록 오목하게 홈을 이룬 오물유로와 상기 오물유로 내의 배설물을 와변기케이싱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들림부는 상기 오물 유로에 연결되고 배설된 소변을 받도록 오목하게 만들어진 전면 요부를 가지며, 상기 오물 유로는 상기 전면 요부보다 더욱 패이는 위치에서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로 향해 폭이 점점 감소하면서 상기 배출부측을 저부로 하는 통 모양을 이룬 오물 저장 공간을 갖는 자동 배설물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An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a toilet toilet casing mounted to cover an excretory part of a human body, and an automatic excrement wash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washing means disposed in the toilet bowl casing to eject and clean the fluid. The casing includes a support plate portion for mounting the lumbar lumbar region and a lif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portion, wherein the support plate portion deflects the filthy flow path recessed to receive the excreted feces and the excrement in the filthy flow path.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of the gas casing, wherein the lifting portion has a front recess connected to the dirt passage and made concave to receive the excreted urine, wherein the dirt passage has a more recessed position than the front reces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outlet side while gradually decreasing in width toward the outl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ecal washing apparatus having a tubular waste storage space.
청구항 2항에 기재된 발명은 자동 배설물 세정장치의 세정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세정 수단은 인체의 항문의 세정을 실시하는 항문용 노즐과 인체의 둔부의 세정을 실시하는 둔부세정용 노즐과 인체의 음부의 세정을 실시하는 비데용 노즐과 상기 오물 유로에 퇴적한 대변을 상기 배출부로 향해 씻어주면서 상기 오물 유로의 세정을 실시하는 대변용 노즐을 갖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자동 배설물 세정장치의 대변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 상기 대변용 노즐은 상기 오물 유로에 퇴적한 대변을 분쇄하는 강도로 유체를 분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자동 배설물 세정장치의 대변용 노즐의 분출 방향에 관한 것으로, 상기 대변용 노즐에 의한 유체의 분출 방향은 상기 오물 유로의 저면으로 향한 방향을 포함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자동 배설물 세정장치의 노즐의 배설위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항문용 노즐을 상기 전면 요부의 저면의 하단부에 배설하고, 상기 비데용 노즐을 상기 전면 요부의 저면으로 상기 항문용 노즐보다 윗쪽의 위치에 배설하고, 상기 대변용 노즐을 상기 오물 유로에, 상기 배출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배설하고, 상기고용 노즐을 상기 오물 유로에 상기 배출부와 반대측의 단부의 대변용 노즐보다 윗쪽의 위치에 배설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자동 배설물 세정장치의 노즐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항문용 노즐, 비데용 노즐, 대변용 노즐, 둔부세정용 노즐은 각각 유체를 분출하는 복수의 구멍을 갖고, 각 구멍의 지름, 배치, 방향을, 해당 노즐이 분출해야 할 유체의 유속, 유량, 분출 범위, 분출 방향으로 응해 설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이하, 상기 특허청구범위를 갖는 기술사상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예시하고 본원의 기술사상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support the technical idea having the claims,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걸리는 배설물 자동세정기를 (K)로 표시하여본원의 구성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dicated by (K) the excreta automatic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환자에 장착되는 와변기케이싱(A)과 와변기케이싱(A) 내부의 배설물 또는 오수를 흡인하여 축적하는 본체부 (C)와, 본체부(C)와 와변기케이싱(A)을 접속하는 외관 처리 호스(111)를 포함하고 있다. 외관 처리호스(111)의 내부에는 오물을 흡입 반송하기 위한 오물유입관(103)과 세정수를 송수하기 위한 각종 노즐관(602, 603, 604, 605)이 삽입되어 관통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automatic excrement cleaner K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C for sucking and accumulating excrement or sewage inside the toilet bowl casing A and the toilet bowl casing A mounted on a patient, and a main body portion ( C) and an
와변기케이싱(A) 내의 배설물 및 오수는 본체부(C)의 흡인 기구에 의해 오물 유입관(103)을 통해 본체부(C)에 흡인되어 축적된다.The excreta and sewage in the toilet bowl casing A are sucked and accumulated by the body part C through the
와변기케이싱(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자면, 도 2는 와변기케이싱(A)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그 정면도이며, 도 4는 그 측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변기케이싱(A)은 개괄적으로는 인체의 허리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바, 구체적으로는 와변기케이싱(A)은 약식으로 지지플레이트부(100)와 그 후단에 들림부(200)를 갖고 전체 형상을 측면으로 볼 때 '⊂'자형이 되도록 일체가 형성되고 있다.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toilet bowl casing, Fig.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bowl casing A, Fig. 3 is a front view thereof, and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thereof. As shown in FIG. 2, the toilet bowl casing A is generally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waist of the human body, and specifically, the toilet bowl casing A is abbreviated as a
지지플레이트부(100)는 후부로 향해 점차적으로 가느다란 폭 모양이 되는 형상을 갖고 있으며, 들림부(200)는 지지플레이트부(100)의 후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져 그 중도로부터 점차 앞 방향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가 전방으로 들리거나 기울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환자가 지지플레이트부(100)에 앉은 자세나 누운 상태로 배변 등을 행할 때 들림부(200)는 전방으로 들려져서 대퇴부로부터 허벅지부에 걸쳐 윗쪽에서 감싸는 형태가 된다.The
지지플레이트부(100)의 상면은 허리부를 밀착 재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약간 오목부형상으로 하여, 그 중앙에 허리부가 재치 시 항문 위치에서 후방으로 향해 배설물을 모아 세정 및 흡인을 시키기 위한 오물유로(101)를 오목하게 하여 요(凹)부를 형성하고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이 오물유로(10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凹)부를 형성하는 저 면(101a) 및 양 측면(101b)이 소정의 곡률을 갖고 횡단면에서 약어 U자 모양이 되도록 매끄러운 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들림부(200)에는 오물유로(101)에 연결 배설되어 배설물을 받기 위한 전면요(凹)부(113)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오물유로(101)와 전면요(凹)부(113)와의 주변에는 타원형의 환상을 이루어 허리부와 인체 무릎부에 걸쳐서 밀착시키는 방수용 씰(110)이 마련되어 있다. 방수용 씰(110)은 실리콘 등의 탄력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여 와변기케이싱(A)과 인체와의 사이의 밀착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As shown in Fig. 3, the
와변기케이싱(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유로(101)의 끝단으로 또한 들림부(200)의 하부로 전면요(凹)부(113)보다 배출부(102) 측 오목한 위치에 오물저장공간(s)을 형성하고, 이 오물저장공간(s)의 끝단에는 배출부(102)가 연결되어 있다. 이 오물저장공간(s)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유로(101)의 끝단과 곡률이 일치하도록 매끄럽게 연결 배설되어 배출부(102)를 향해 유로 폭을 서서히 감소시켜 배출부(102) 측을 저부로 하는 통 모양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 4, the toilet bowl casing A is concave at the discharging
들림부(200)의 하단 양측 테두리는 인체 무릎 사이에 협지 가능한 형상으로 만들어 환자가 무릎 사이에 들림부(200)를 끼운 상태에서, 대퇴부를 지지플레이트부(100)의 후부 상면으로 재치하여 걸친 자세로 환자의 항문으로부터 들림부(200)의 하부 배출부(102)에 이르는 공간에 오물저장공간(s)이 형성되게 하고, 오물저장공간(s)은 오물 유로(101)로부터 전면요(凹)부(113)에 걸쳐 방수용 씰(110)에 의해 폐색 되므로 인체와의 사이에 완전한 밀폐상태의 공간이 형성된다.The lower edges of both sides of the
와변기케이싱(A)은 인체의 항문 바로 아래의 위치에 오물유로(101)를 마련하 고 있으므로 다량의 배설물에 대해서도 충분히 대처 가능한 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으며, 또한 와변기케이싱(A)은 배출부(102)에 도달하기까지 오물저장공간(s)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인체의 각부, 또는 와변기케이싱(A) 내부를 세정하는 세정공정에 의해 와변기케이싱(A) 내의 세정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으며, 세정공정에 있어서 오물 저장공간(s)의 효과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toilet bowl casing (A) is provided with a
들림부(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선단부(200a)에 인체와 와변기케이싱(A)을 고정하기 위한 자동고정장치(205)가 착탈이 가능토록 갖추고 있다. 도 2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고정장치(205)는 자동고정장치(205)를 선단부(200a)에 체결하기 위한 배설커버(205a)와, 인체의 복부를 눌러주어 인체와 와변기케이싱(A)을 잡아매는 눌림부(205c)와, 눌림부(205c)에 의한 인체의 미는 정도를 조절하는 스프링(205b)을 갖고 있다. 자동고정장치(205)는 눌림부(205c)에 스프링(205b)을 개입시켜 배설커버(205a)에 감합시키는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다. 자동고정장치(205)는 배설커버(205a)에 구비되어 지는 배설구멍(205d)을 선단부(200a)에 끼워넣는 방법으로 고정된다. 환자가 와변기케이싱(A)을 착용하려면 눌림부(205c)가 스프링(205b)의 탄성력에 근거해 도면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며 인체에 눌려지므로, 와변기케이싱(A)과 인체와의 자동고정이 가능해지며, 눌림부(205c)는 촉감 및 쿠션성이 양호한 소재, 예를 들면 우레탄 등의 소재로부터 제공된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도 6은 와변기케이싱(A)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상세도로서, 와변기케이싱(A)은 도 6에 나타나듯이 약식형상의 테두리부를 갖는 지지 프레임(B1)과 그 후 부 구석에 입설한 세로 프레임(B2)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으로서의 와변기후레임(B)을 그 내부에 갖는다. 지지 프레임(B1)은 환자의 체중에 의해 와변기케이싱(A)이 왜곡하지 않게 소정의 강성을 갖고 있고, 세로 프레임(B2)은 들림부(200)(도 4 참조)의 경사회전에 의해 와변기케이싱(A)과 인체와의 밀폐 상태가 무너져 내부의 배설물이나 세정수가 새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가진다.Fig. 6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oilet bowl casing A, in which the toilet bowl casing A has a support frame B1 having an outline-shaped edge portion and a vertically placed post-second corner. The toilet toilet frame B as a frame constituted by the frame B2 is provided therein. The support frame B1 has a predetermined rigidity so that the toilet bowl casing A is not distorted by the weight of the patient, and the vertical frame B2 is vortexed by the inclined rotation of the lifting unit 200 (see FIG. 4). The sealing state between the machine casing A and the human body is collapsed, and thus, it has a predetermined rigidity so as to prevent inconvenience of leaking of excrement or washing water therein.
와변기후레임(B)에는 인체의 각 부위를 세정하기 위해 세정수를 분사하는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이 각각의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또한, 와변기후레임(B)에는 오물유로(101) 내에 배출된 대변 등의 오물을 감지해 대변을 본 것을 감지하여 그 후의 전기적 제어기구가 개입되어 각종의 제어작동 예를 들면, 상기 각종 노즐(104, 105, 202, 203)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나 오물의 배출 등의 작동을 이루기 위한 각종 센서(106, 107, 108, 109)가 각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toilet bowl frame B,
이와 같이 와변기케이싱(A)은 와변기후레임(B)에,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이나 각종 센서(106, 107, 108, 109), 그 외 자동 대변을 본 후 처리에 필요한 전기부재 등을 배설한 후, 우레탄 등의 케이스 소재를 분출 발포시키는 방법 등으로 커버링 되어 그 외관구성이 형성된다. 덧붙여, 와변기케이싱(A)에 의해 커버링된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이나 각종 센서(106, 107, 108, 109) 등은 와변기케이싱(A) 내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각종 센서류(106, 107, 108, 109)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것으로 하고 우선,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In this way, the toilet bowl casing A is subjected to the processing after the toilet bowl frame B is viewed with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변기케이싱(A)은 전면 요(凹)부(113) 저면의 하 단부에 배설된 항문용 노즐(203)과 전면요(凹)부(113) 저면의 항문용 노즐(203)보다 윗쪽 위치에 배설된 비데용 노즐(202)을 가지고 있다. 또 와변기케이싱(A)은 오물유로(101)의 배출부(102)와 반대 측의 단부에 배설된 대변용 노즐(105)과 오물유로(101)의 배출부(102)와 반대 측 단부에 걸리는 대변용 노즐(105)보다 위쪽 위치에 배설된 둔부세정용 노즐(104)을 가지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에는, 각각 둔부세정 노즐관(604), 대변용 노즐관(605), 비데용 노즐관(602), 항문용 노즐관(603)이 접속되어 있다.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에는, 각각 각 노즐관(604, 605, 602, 603)을 개재시켜 본체부(C)로부터 세정수가 공급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As shown in FIG. 4, the toilet bowl casing A has an anus in the bottom of the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둔부세정 노즐(104)은 분사 범위로서 환자의 엉덩이 부분에 부착한 배설물을 세정수에 의해 세정하기 위한 노즐이다. 둔부세정 노즐(104)은 둔부세정 분사구멍(104a)을, 그 분사 방향이 환자의 둔부를 향하도록 복수로 갖고 있어 보다 광범위의 세정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둔부의 곡면에 대응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모양으로 배설되고 있다. 둔부세정 분사구멍(104a)은, 가장 대변이 부착하는 환자의 둔부 중앙부에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중앙으로 향해 분사구멍 지름을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둔부세정 노즐(104)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4.68l ㎖/min, 평균 유속은, 0.012 m/s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7, the
대변용 노즐(105)은 주로 세정수의 분사 수압에 의해 대변을 세세하게 분쇄하면서 대변을 오물유로(101)로부터 배출부(102)로 향하여 흘러가게 하는 처리(이 하, '대변분쇄처리'라고 한다.)를 행하기 위한 노즐이다. 대변용 노즐(105)은 꽁지용 노즐(104)의 하부 오물유로(101)의 저면 측에 배설되고 있다. 대변용 노즐(105)은 대변 분쇄용 분사구멍(105a)을, 그 분사 방향이 오물유로(101)의 저면으로, 한편 대변이 가장 모이기 쉬운 인체의 항문 직하에 향하도록 복수로 갖고 있다. 대변 분쇄용 분사구멍(105a)은 그 분사범위로서 대변이 가장 모이기 쉬운 개소인 오물유로(101) 중앙으로 향해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중앙으로 향해 분사 구멍 지름을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련구성으로 오물유로(101) 중앙에 퇴적하는 대변이 가장 먼저 분쇄되어 세정수가 배출부(102)로 향해 흐르는 유로가 확보되게 된다. 따라서, 대변용 노즐(105)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에서 높이 쌓인 대변이 세정수의 흐름을 막아 이로 인해 세정수가 오물유로(101)로부터 흘러넘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대변용 노즐(105)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4.8l ㎖/min, 평균 유속은 0.013 m/s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변용 노즐(105)은 후술하는 가압펌프(600)에 연통되고, 온수 탱크(501)로부터의 온수를 대변용 노즐(105)로부터 매분 3 L, 수압 1 kgf/㎠ 의 세정수로서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 대변용 노즐(105)은 대변 분쇄용 분사구멍(105a)의 윗 쪽에서, 둔부세정 분사구멍(104a)의 하부에 센서 세정용 구멍(105b)을 마련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세정용 구멍(105b)은 그 분사 방향이 배출부(102) 근방에 배설된 후술하는 적외선 센서의 수광부(107)에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센서 세정용 구멍(105b)은, 대변 분쇄 처리에 가세하고 대변 분쇄 처리를 끝낸 후에, 대향하는 위 치에 배치된 수광부(107)에 세정수를 분사해 그 표면을 세정하여 적외선 센서의 오동작을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도 8에 나타내는 비데용 노즐(202)은, 주된 분사 범위로서 인체의 음부에 묻는 배설물을 세정하기 위한 노즐이며 남녀의 구별이나 체형의 차이에 상관없이 음부를 세정할 수가 있도록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비데용 노즐(202)은 비데용 분사구멍(202a)을 그 분사 방향이 환자의 음부를 향하도록 복수로 갖고 있다. 비데용 분사구멍(202a)은 둔부세정 노즐(104)의 둔부세정용 분사구멍(104a) 및 대변용 노즐(105)의 대변 분쇄용 분사구멍(105a)과 비교해 구멍 지름을 작게 하고 구멍 수를 많이 구성하고 있다. 관계 구성으로 광범위의 세정을 하면서, 세정수의 분사압을 적당히 억제할 수가 있어 인체 중에서 특히 섬세한 음부에 대해서 부드럽게 세정이 가능해진다. 비데용 노즐(202)은, 와변기케이싱(A) 내부에 비산하는 소변의 세정을 실시하기 위해서, 그 측부 전체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소변 처리 분사구멍(202b)을 갖고 있다. 비데용 노즐(202)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4.68l ㎖/min, 평균 유속은, 0.010 m/s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문용 노즐(203)은 분사 범위로서 환자의 항문 및 항문 주변에 부착하는 배설물을 세정하기 위한 노즐이며, 그 중앙에 배설된 복수의 항문 중앙 분사구멍(203a)으로 항문중앙 분사구멍(203a)의 양측 측면으로 배설된 복수의 항문주변 분사구멍(203b)을 가지고 있다. 항문 중앙 분사구멍(203a)은 그 분사 방향이 환자의 항문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항문 주변 분사구멍(203b)은 그 분사 방향이 항문의 주변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항문 중앙 분사구멍(203a)의 구멍 지름은 항문 주변 분사구멍(203b)와 비교해 크고, 한편 대변 분쇄용 분사구멍(105a) 및 둔부세정용 분사구멍(104a)의 구멍 지름과 거의 동일한 구멍 지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계구성으로 항문 중앙 분사구멍(203a)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을 크게 하여 인체의 항문의 깊게까지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항문 주변 분사구멍(203b)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을 적당히 억제해 인체 그 중에서 특히 섬세한 항문 주위에 대해서 부드럽게 세정이 가능하게 한다. 항문용 노즐(203)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4.8l ㎖/min, 평균 유속은, 0.019 m/s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9, the
덧붙여 보다 효과적인 세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대변 분쇄용 분사구멍(105a)이나, 항문 중앙 분사구멍(203a)에 대해서는 오리피스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오리피스구조로 하는 것으로 세정수의 분사 범위를 넓힐 수가 있고 세정수의 수량을 억제하면서 인체의 광범위를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in order to enable more effective cleaning, an orifice structure may be adopted for the stool crushing
또, 상술한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에는 본체부(C)보다 각종 노즐관(602, 603, 604, 605)을 개입시켜 세정수 뿐만 아니라 공기가 공급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즉, 세정수에 의해 환자의 각 부위를 세정한 후, 공기를 내뿜는 것으로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노즐(104, 105, 202, 203)로부터 와변기케이싱(A)내에 공기가 공급될 때에 이 공기를 와변기케이싱(A)내로부터 바깥 공기로 보내기 위해 통기공(112)이 들림부(200)의 소정 개소에 뚫려서 구비되어 있다.Moreover, the
각종 센서(106, 107, 108, 109)의 구성에 대해 상술한다. 도 4에 도시한 바 와 같이, 와변기케이싱(A)에는, 오물유로(101) 배출부(102)와 반대 측의 끝 부분에 적외선 센서의 발광부(106)가 배설되며, 배출부(102)의 전 가장자리 위쪽에는 적외선 센서의 수광부(107)가 배설됨과 동시에, 발광부(106)에 인접해 적외선 센서의 수신부(108)가 배설되고 있다. 이러한 발광부(106), 수광부(107) 및 수신부(108)는 오물유로(101)에 있어서의 대변을 검지하는 대변 검지 센서(G)로서 기능 한다. 와변기케이싱(A)에는 그 밖에 오물저장공간(s) 저면에 소변을 검지하는 소변검지센서(H)가 배설되고 있다.The structure of the
대변 검지 센서(G)는, 발광부(106)에 의해 발신된 적외선이 대향하는 수광부(107)로 수신되었는지 아닌지에 근거하여 발광부(106)와 수광부(107)의 사이, 즉 오물유로(101)에 대변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검지하고, 수광부(107)는 적외선 이외의 주위의 빛에 의해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주위의 빛이 닿기 어려운 배출부(102)의 상부에 배설되어 있다.The feces detection sensor G is located between the
여기서, 환자가 와변기케이싱(A)을 쿠션성의 높은 침대 상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자중에 의해 압박되는 것으로 와변기케이싱(A)이 패임으로써, 오물유로(101)가 기울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럴 경우 와변기케이싱(A) 내에서의 세정, 배설물의 흡인이 불충분하게 되어 발광부(106)가 오물유로(101)내에 남은 세정수 중에 가라앉아 적외선이 수광부(107)까지 도달하지 않는 상태가 되고 그 결과, 대변 검지센서(G)가 대변을 검지했을 경우와 같은 상태가 되므로, 와변기케이싱(A)이 오작동을 일으키게 된다.Here, when the patient uses the toilet seat casing A on a cushion-high bed, the
이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변 검지 센서(G)는, 도 7에 나타내듯 이 와변기케이싱(A)의 기울기를 검지하기 위한 수신부(108)를 발광부(106)의 근방에 갖추고 있다. 수신부(108)는 발광부(106)에 서로 이웃이 되도록 배설되고 있어 발광부(106)으로부터 측방에 발신되는 적외선을 검지 가능하나, 발광부(106) 및 수신부(108)가 수몰된 경우에는 적외선을 검지할 수 없게 되어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malfunction, the stool detection sensor G is equipped with the
따라서, 대변 검지 센서(G)는, 발광부(106)가 오물유로(101) 내에 남은 세정수중에 가라앉아, 수광부(107) 및 수신부(108)의 모두가 적외선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와변기케이싱(A)에 기울어지는 것을 검지할 수 있는 구성을 이루게 된다. 대변 검지 센서(G)는, 와변기케이싱(A)이 기울어지는 것을 검지했을 경우 본체부(C)에 배설된 도시하지 않는 표시부에 대해 에러 표시를 나타내고, 본체부(C)는 모든 기능을 정지한다. 덧붙여 와변기케이싱(A)이 기우는 상황이 발생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신부(108)를 따로 마련하지 않고 발광부(106) 및 수광부(107)만으로 대변 검지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stool detection sensor G sinks in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또한, 도 4에 나타내듯이 소변 검지 센서(H)는 전후에 서로 이웃이 되도록 배설된 한 벌의 전극 핀(109)을 갖추고 있다. 특히, 전극 핀(109)은 본체부(C)와 도시하지 않는 도전선을 개입시켜 접속되고 있어, 본체부(C)로부터 어느 쪽이든 한편의 전극 핀(109)에 미약한 전류를 흘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소변 검지 센서(H)는 전극 핀(109)간이 걸리는 미약한 전류에 의해 세정수 또는 소변을 도체로서 흐르게 했을 때의 전류치를 검지하는 구성을 가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urine detection sensor H is equipped with a pair of
일반적으로 소변에는 상당한 양의 염분이 함유되어 있어, 세정수와 소변과는 염도의 차이가 있으므로 전기 전도율의 차이가 발생하여 소변 검지센서(H)가 검지 하는 전류치는 세정수와 소변이 각각 다른 값이 된다. 도 10(a)은 소변 검지 센서(H)를 이용하여 세정수로서 사용 가능한 각종의 물에 대해 전류치를 측정한 실험 결과이며, 도 10(b)은 임의로 선택한 피험자(A)~(E)의 소변에 대해 전류치를 측정한 실험 결과이다. 덧붙여 소변센서 수치는 A/D컨버터를 이용해 전압치로 변환한 전류치이다. 또 예를 들면 도 10(b)에 대해 「소변(A)」는 피험자(A)의 소변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In general, urine contains a considerable amount of salt, and since there is a difference in salinity between washing water and urine, a difference in electrical conductivity occurs, and the current value detected by the urine detection sensor (H) is different from that of washing water and urine. Becomes FIG. 10 (a) is an experimental result of measuring a current value for various types of water which can be used as washing water using a urine detection sensor (H), and FIG. 10 (b) shows an arbitrarily selected subject (A) to (E). This is an experimental result of measuring the current value in urine. In addition, the urine sensor value is the current value converted into a voltage value using an A / D converter. For example, in FIG. 10 (b), "urine (A)"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urine of the subject (A).
도 10으로부터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소변은 물과 비교해 염도가 높고, 이 염도의 차이에 대응해 양자의 뇨 센서 수치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된다. 따라서, 소변 검지 센서(H)에 의해 전극 핀(109)간의 전류치를 검지하고 예를 들면 소변센서 수치에 대해서 2.0 V의 한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세정수와 소변을 확실히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can be clearly seen from Fig. 10, urine has a high salinity compared with water, and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urine sensor values of both in response to the difference in salinity. Therefore, the urine detection sensor H detects the current value between the electrode pins 109 and, for example, makes it possible to reliably discriminate the washing water and urine by using a limit value of 2.0 V for the urine sensor value.
덧붙여 전극 핀(109)은, 부식방지를 위해 표면을 금도금하고 상술한 한편의 전극 핀(109)에 인가전압의 +극과 ―극이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계 구성에 의해 어느 쪽이든 한편의 전극 핀(109)만이 산화해 부식하는 것이나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으로 검지 정밀도가 저하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환자가 대변을 보거나 또는 배뇨를 하면, 와변기케이싱(A)은 대변센서(G) 및/또는 소변 센서(H)에 의해 대변 및/또는 소변을 검지해 그 검출 신호를 본체부(C)로 송신하고 검출 신호를 수신한 본체부(C)는, 각종 노즐관(602, 603, 604, 605)에 세정수를 공급하고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의 각각으로부터 세정수가 와변기케이싱(A) 내에 분사된다. 이것에 의해 환자의 둔부, 음부 및 항문이 세정되는 한편, 대변 및/또는 소변이 배출부(102)에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환자의 각 부위와 와변기케이싱(A) 내부를 세정하는 세정 공정을 끝낸 후에, 본체부(C)는 각종 노즐관(602, 603, 604, 605) 내부에 잔류하는 세정수를 흡인하여 물기를 없애고 각종 노즐관(602, 603, 604, 605)에 공기를 공급하여 환자의 엉덩이, 음부 및 항문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 공정이 실행된다.When the patient sees the stool or urinates by this configuration, the toilet bowl casing A detects the stool and / or urine by the stool sensor G and / or the urine sensor H, and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main body. The main body portion C, which has been sent to (C) and received the detection signal, supplies the washing water to the
본체부(C)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C)는 와변기케이싱(A)의 오물을 수용하는 배설물 수용부(D)와 와변기케이싱(A)으로부터의 대변을 보거나 또는 배뇨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그 후의 세정 동작 등의 각종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제어부(F)와 와변기케이싱(A)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부(E)를 갖고 있다.The main body portion C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the main body portion C views the feces from the excrement accommodation portion D and the toilet casing A for receiving the dirt of the toilet bowl casing A or receives a detection signal of urination. And a washing unit supply unit (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toilet bowl casing (A) and the apparatus control unit (F) for performing various operations such as washing operation thereafter.
배설물 수용부(D)는 오물수용탱크(300)를 갖고 있어 오물수용탱크(300)는 오물 유입관(103)을 개입시켜 와변기케이싱(A)의 배출부(102)로 접속되어 있다. 오물 수용 탱크(300)는 그 내부의 오물을 버리기 위해 본체부(C)로부터 이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물수용탱크(300)의 저부 부근에는 오물수용탱크(300) 내에 저장된 오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 센서(302)가 배설되고 이 중량 센서(302)는 오물수용탱크(300) 내에 소정중량(예를 들면, 8 kg)의 오물이 모이면 교환시기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장치제어부(F)에 송신하여 장치제어부(F)의 소정의 개소에 배설된 도시하지 않는 표시부에 오물수용탱크(300) 내의 오물을 버리는 교환 시기를 알리는 취지가 표시하게 한다.The excrement accommodation portion D has a
중량센서(302)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본체부(C)의 도시하지 않는 케이스에 중량센서(302)가 노출하도록 고정된 고정보디(302e) 상에 포트리플렉터(302e)를 재치하고 그 위로부터 고정 캡(302c)를 씌운 다음, 고정보디(302e)에 스프링(302b)를 삽입해서 센서 커버(302a)로 커버링시켜 조립할 수 있다. 중량 센서(302)는 오물수용 탱크(300)의 중량에 감응하여 스프링(302b)이 신축하는 것으로서 센서 커버(302a)가 고정보디(302e)에 대해서 상하 움직이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량 센서(30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수용탱크(300) 저부에 배설된 센서용 요(凹)부(300a)를 센서커버(302a)에 감합시킨 상태로 오물수용탱크(300)이 센서커버(302a)위로 재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센서용 요(凹)부(300a)와 센서커버(302a)를 오물수용탱크(300)가 본체부(C)의 도시하지 않는 케이스 내에 있어 소정의 방향 위치를 차지할 때만 감합하도록 되어 있다.The
포트 리플렉터(302d)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져 수광부가 검지한 빛의 강도에 근거해 센서커버(302a)의 이면까지의 거리를 검지하고 중량 센서(302)는 포트 리플렉터(302d)가 검지한 센서커버(302a)까지의 거리에 근거해 오물수용탱크(300)의 중량을 검지하게 된다.The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물수용탱크(300)의 상부 출구에는, 오물수용탱크(300)의 밀폐상태를 확보하기 위한 탱크덮개(304)가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배설되어 있다. 탱크덮개(304)는 개폐되는 도시하지 않는 타원형의 개구부를 가진다. 탱크 덮개(304)에는 오물수용탱크(300)로 오물유입관(103)을 접속하고 한편, 탱크덮개(304)의 개구부에 연계되어 오물수용탱크(300)의 마개의 역할도 감당하며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타원상의 호스연결부(303)가 착탈이 자유 롭게 배설되어 있다. 오물수용탱크(300)와 도시하지 않는 본체부(C)의 케이스, 탱크 덮개(304)의 개구부와 호스 연결부(303)는, 각각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접속에 소정의 방향성을 갖고 있어 이들의 소정 방향성을 만족시킨 후 접속되지 않으면 이것들이 양호하게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것들이 양호하게 결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탱크덮개(304)가 오물수용탱크(300)에 대해서 느슨해진 상태가 되는 것 등에 의해 오물수용탱크(300) 내의 밀폐상태가 확보되지 않도록 구성된다.13 to 17, at the upper outlet of the waste
탱크덮개(304)의 상부에는 호스연결부(303)를 탱크덮개(304)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쇠장식(310)이 배설되어 있다. 고정쇠장식(310)의 양단은 탱크덮개(304)상에서 회동 자유롭게 배설되어 있어 호스연결부(303)를 탱크덮개(304)에 접속한 상태로 고정 쇠장식(310)을 일으켜 호스연결부(303)의 상부를 탱크덮개(304)에 눌러지는 것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호스연결부(303)의 상부에는 도 15에 나타나듯이 케이스(307)가 배설되고, 이 케이스(307)에는 한 벌의 전극 핀(308)이 소정의 간격을 두어 고정 지지를 받고 있다. 전극 핀(308)은 한 벌의 신호선(309)에 접속되고 있어 이 신호선(309)는 본체부(C) 내의 도시하지 않는 제어회로에 접속되고 있어 이 제어회로로부터 신호선(309)의 어느 쪽이든 한편에 전류를 흘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전극 핀(308)은 오물수용탱크(300)에 탱크덮개(304)를 장착하고 탱크덮개(304)에 호스연결부(303)를 장착하고, 고정쇠장식(310)을 일으키는 고정쇠장식(310)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는 전극핀(308) 사이에 고정쇠장식(310)을 개입시켜 전기를 흐르게 하고 이 통전에 의한 전류를 본체부(C) 내의 제어회로가 검지하는 것으로 탱크덮 개(304)와 호스연결부(303)과 접속되고 있는 것을 검지한다. 탱크덮개(304)와 호스연결부(303)와의 접속 상황이 나쁘고, 오물수용탱크(300) 내의 밀폐상태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기재한 통전이 검지되지 않고 본체부(C)는 모든 기능을 정지하고 본체부(C)의 도시하지 않는 표시부에 에러 표시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오물수용탱크(300)가 배설물 수용부(D)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본체부(C)가 오동작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As shown in FIG. 15, a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덮개(304)의 오물수용탱크(300) 내부 측에는 한 벌의 내부 뚜껑체(305)를 갖출 수 있고, 이 한 벌의 내부 뚜껑체(305)는 호스 연결부(303)가 탱크덮개(304)로부터 이탈했을 때에 탱크덮개(304)의 개구부를 오물수용탱크(300) 내부 측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뚜껑체(305)에는 스프링(306)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이 주어지고 호스 연결부(303)를 떼어낸 상태에서는 내부 뚜껑체(305)가 스프링(306)의 밀어주는 힘에 의해 탱크덮개(304)의 개구부를 오물수용 탱크(300) 내부로부터 닫히게 된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 연결부(303)를 탱크덮개(304)에 삽입하여 접속된 상태에서는 내부 뚜껑체(305)가 하부 수직상태로 열린 형태가 된다. 관계구성에 의하면, 본체부(C)로부터 오물수용탱크(300)를 떼어내 안의 오물을 버릴 때, 호스 연결부(303)를 오물수용탱크(300)로부터 떼어내도 탱크덮개(304)의 개구부의 내부 뚜껑체(305)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어, 오물수용탱크(300)내의 오물의 냄새나 오물 자체가 외부에 유출되지 않고 오물수용 탱크(300)를 안전하게 운반할 수가 있다. 오물수용탱크(300)를 소정의 장소까지 옮긴 후 탱크덮개(304)를 떼어내 오물수용탱크(300)의 상부의 출구로부터 오물을 버리게 된다.As shown in FIG. 13, the
또, 도 15에 나타나듯이 호스 연결부(303)에는 오물유입관(103)과 서로 인접하게 흡입기관(401a)이 접속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수용탱크(300)는 흡입기관(401a)을 개입시켜 장치 제어부(F)에 접속되고 있다. 오물수용탱크(300)의 내부는 후술하는 장치제어부(F)에 있어서 흡입펌프(400)의 작동에 의해 흡입기관(401a)을 개입시켜 공기가 흡입되고 부압상태가 형성되어 오물 유입관(103)을 개입시켜 오물을 와변기케이싱(A)으로부터 흡인할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 the
세정수 공급부(E)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수로서의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탱크(500)와 와변기케이싱(A)내에 공급하는 세정수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온수탱크(501)와, 원수 탱크(500)로부터 온수탱크(501)의 급수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503)를 갖추고 있다. 온수탱크(501)는 원수탱크(500)로부터 솔레노이드 밸브(503)를 개입시켜 공급된 원수를 가열하는 관 히터(502)와,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505)와, 수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506)를 갖추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E includes a
세정수 공급부(E)는 수위센서(505)를 통하여 온수탱크(501) 내의 수위가 급수를 필요로 하는 상태인 것을 검지하면 솔레노이드 밸브(503)를 열어 원수 탱크(500)로부터 온수탱크(501)에 소정량의 원수를 공급하고, 수위센서(505)로 온수탱크(501) 내부가 원수로 채워져 소정의 수위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면 수위 센서(505)의 검지 신호에 근거해 솔레노이드 밸브(503)을 닫아 원수 공급을 차단한다.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E opens the
세정수 공급부(E)는 온수 탱크(501)내의 원수의 온도를 온도센서(506)로 검지하고, 환자가 도시하지 않는 온도제어회로를 개입시켜 설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관계 원수를 관 히터(502)로 가열해 온수로 한다. 그럼으로써 온수탱크(501) 중의 온수를 세정수로 와변기케이싱(A) 내에 송수하는 세정공정을 실행할 때 환자는 항상 적정온도의 세정수가 공급되므로 양호한 사용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온수탱크(501)의 저부 측면으로 배설된 출구는 송수관(504a)을 개입시켜 장치 제어부(F)에 접속되고, 이 송수관(504a)을 개입시켜 온수탱크(501) 내에서 가열된 세정수가 장치 제어부(F)에 공급된다. 덧붙여 솔레노이드 밸브(503) 대신에 플로트 밸브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원수탱크(500)로부터 온수탱크(501)에의 원수공급을 조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E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raw water in the
장치 제어부(F)는 배설물 수용부(D)와 흡입기관(401a)을 개입시켜 접속되고 있고, 또한 세정수 공급부(E)와 송수관(504a)을 개입시켜 접속된다. 장치 제어부(F) 내에 있어 흡입기관(401a)은 밸브로서의 흡기 밸브(409), 감압부로서의 진공 탱크(408), 흡입기관(401b), 1차 악취 제거 필터(407a), 압력 스위치(413), 흡입기관(401c), 솔레노이드 밸브 6의 NO포트, 솔레노이드 밸브 6의 COM 포트, 흡입기관(401d)를 거쳐 흡입 펌프(400)의 흡기구(402)에 접속되고 있다. 또, 흡입 펌프(400)의 배기구(405)는, 솔레노이드 밸브 5의 COM 포트에 접속되어 솔레노이드 밸브 5의 NO포트는, 에어 배출관(414)을 개입시켜, 2차 악취 제거 필터(407b)에 접속되어 있다.The apparatus control part F is connected through the excreta accommodation part D and the
세정 공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각종 센서(G, H)에 의해 오물을 검지한 후 와 변기케이싱(A) 내의 오물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하는바, 구체적으로는 오물수용탱크(300) 내에는 흡입펌프(400)의 작동에 의해 공기가 흡인되고, 부압이 유지되어 와변기케이싱(A) 내로부터 오물유입관(103), 오물수용탱크(300), 흡입펌프(400)를 향해 공기가 흐르며, 이 공기는 와변기케이싱(A) 내 오물의 악취를 수반하는 공기이지만 오물수용탱크(300)와 흡입 펌프(400)와의 사이에 대비한 1차 악취 제거필터(407a)에 의해 악취가 제거된다. 1차 악취제거필터(407a)에 의해 악취가 제거되는 것과 동시에 부식성이 있는 가스도 제거되므로 흡입펌프(400)의 부식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Looking at the cleaning process, after detecting the dirt by the various sensors (G, H) and to perform the process of removing the odor due to the dirt in the toilet casing (A), specifically in the
또한, 흡입펌프(400)의 배기구(405)에서 2차 악취제거필터(407b)로 향해 흐른 공기는 2차 악취제거필터(407b)로 더욱 악취를 제거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외부에 공기를 배출할 때에 2차 악취제거필터(407b)를 갖춰 악취의 외부 유출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1차 악취제거필터(407a)만을 갖추었을 때보다 악취제거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ir flowing from the
한편, 송수관(504a)은 필터(507), 송수관(504b), 가압펌프(600), 송수관(504c), T자 파이프(412), 노즐관(601), 각종 솔레노이드 밸브 1, 2, 3, 4, 각종 노즐관(602, 603, 604, 605)을 거쳐, 와변기케이싱(A) 내의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에 접속되고 있다. 즉, 세정수 공급부(E)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가압 펌프(600)에 의해 가압하는 것으로 세정수를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으로부터 와변기케이싱(A) 내에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이 된다. 필터(507)는 가압펌프(600)에 이물이 유입하지 않도록 세정수 중에 혼입하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세정 공정에 대해서는 와변기케이싱(A) 내의 오물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는 공정을 실행한 후에 상술한 대변 분쇄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흡입 펌프(400)를 동작해 와변기케이싱(A) 내의 흡인을 유지하면서, 솔레노이드 밸브 4를 열어 가압 펌프(600)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대변용 노즐(105)에 의해 세정수를 분사해 대변 분쇄처리가 수행된다. 대변 분쇄처리에 의해 분쇄된 대변은 세정수와 함께 배출부(102)에 향하여 밀려나 그 일부가 오물유입관(103)을 개입시켜 오물수용탱크(300)내에 흡인, 수용된다.As for the cleaning process, the above-mentioned stool pulverizing process is executed after performing the process of removing the odor by the dirt in the toilet bowl casing (A). Specifically, while operating the
그러나, 흡입 펌프(400)의 흡인력만으로는 와변기케이싱(A) 내의 오물을 오물 수용탱크(300) 내에 완전하게 흡인 수용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 펌프(400)로 오물 수용 탱크(300)와의 사이에 흡입펌프(400)의 흡인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진공탱크(408)를 배치하고, 진공 탱크(408) 내에 진공 상태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다 강한 부압을 발생시켜 와변기케이싱(A) 내의 오물을 효율 좋게 흡인할 수가 있는 구성을 이룬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suck and hold the dirt in the toilet bowl casing A in the
구체적으로 흡입펌프(400)를 동작한 상태로 흡기밸브(409)를 닫아 와변기케이싱(A)으로부터 오물수용탱크(300)에의 오물의 흡인을 정지하고 흡입펌프(400)의 흡인을 계속 실시하는 것으로 진공탱크(408) 내에 진공 상태를 형성한다. 그 사이, 와변기케이싱(A)내에서 대변 분쇄 처리에 의해 세세하게 분쇄된 대변은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오물저장공간(s)으로 밀려나지만, 흡기밸브(409)가 닫혀져 있기 때문에 배출부(102)로부터 오물유입관(103)으로 흡인될 것이 없다. 따라서, 오물저장공간(s)에 대해 대변을 포함한 세정수의 흐름이 막혀 대변을 포함한 세정수가 상하에 선회하는 것 같은 소용돌이의 흐름을 일으킨다.(이하, '와류현상'이라고 한다.) 와류현상에 의해 대변이 한층 세세하게 분쇄되어 세정수와 충분히 혼합되는 것과 동시에 와변기케이싱(A) 내에서 특히 오물이 부착하기 쉬운 배출부(102) 부근이 충분히 세정되게 한다.Specifically, by closing the
그 다음에는, 진공탱크(408)의 내부압력을 흡입펌프(400)로 진공탱크(408)의 사이에 배치된 압력스위치(413)로 검지해, 내부압력이 최대 진공압에 도달하는 순간에 흡기 밸브(409)를 연다. 이 순간, 진공탱크(408)에 형성된 최대 진공압에 의해 와류현상으로 세정수와 충분히 혼합된 대변은 배출부(102)로부터 오물유입관(103)을 거쳐 오물수용탱크(300)로 단번에 흡입 수용되게 된다. 덧붙여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 진공탱크(408) 내에 수분이 모이기 때문에 진공탱크(408)의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마개를 배치하고 이 마개를 뽑는 것으로 진공 탱크(408) 내의 배수를 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T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세정공정 종료 후에 각종 노즐(104, 105, 202, 203)로부터 공기를 분사해 인체를 건조하는 구성이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펌프(400)의 배기구(405)는, 솔레노이드 밸브 5의 COM 포트에 접속되어 솔레노이드 밸브 5의 NC포트는 에어공급관(410b), 역지밸브(411), 에어공급관(410c), T자 파이프(412), 노즐관(601), 각종 솔레노이드 밸브 1, 2, 3, 4, 각종 노즐관(602, 603, 604, 605)를 거쳐 와변기케이싱(A)내의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에 접속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is configured to inject air from
한편, 흡입 펌프(400)의 흡기구(402) 측에는 외부에어공급필터(404)를 갖출 수 있고 외부 에어공급필터(404)는 외부 에어공급관(415)를 개입시켜 솔레노이드 밸브 6의 NC포토에 접속되어 솔레노이드 밸브 6의 COM 포토는 흡기구(402)에 접속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건조 공정에 대해서는 솔레노이드 밸브 2, 3, 솔레노이드 밸브 5, 6의 NC포트 및 역지밸브(411)를 연 상태로 흡입펌프(400)를 가동하는 것에 의해 외부 에어공급필터(404)로부터 공기를 끌어들여 걸러준 공기를 건조공기로서 와변기케이싱(A)내에 배송한다. 따라서 외부 에어공급필터(404)로부터 받아들여진 공기를 건조공기로서 둔부세정용 노즐(104) 및 항문용 노즐(203)로 송출하고 인체 및 와변기케이싱(A)내의 건조를 수행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와변기케이싱(A) 내에 배송되어진 공기는 환기통(112)로부터 와변기케이싱(A)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역지밸브(411)는 세정공정 시에는 닫혀져 있으므로 흡입 펌프(400)에 세정수가 역류하지 않는다.In the drying process, air is drawn from the external
덧붙여 장치 제어부(F)에 대해서, 각종 솔레노이드 밸브 1, 2, 3, 4는 1개로 유니트(단위)화 되어 1개의 유입구와 4개의 유출구에서 관로를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유니트(606)를 구성하고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 유니트(606)는, 4개의 유출구를 도시하지 않는 제어 회로를 개입시켜 선택적으로 차례차례 개폐 동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계되는 구성에 의해 관로 구성을 간소화해 부품 의수를 줄일 수가 있고 또, 조립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In addition, about the apparatus control part F, the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 5, 6, 외부 에어공급필터(404), 1차 악취제거필터(407a), 2차 악취제거필터(407b), 압력 스위치(413)는 1개로 유니트화 되어 필터 어셈블리(607)을 구성하고 있다. 관계되는 구성에 의해 관로 형성을 간략화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가 있고 또 조립성을 향상할 수가 있는 것 외에 각종 필터(404, 407a, 407b)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이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의 순서 및 기능의 흐름을 설명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describes the flow of the procedure and function in the case of actually using.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대변, 소변을 각종 센서(G, H)의 검지에 의해 판별해, 각 세정 공정을 자동적으로 실시하는 자동 배변처리 모드와 환자의 조작 지시가 있는 경우에 실시하는 수동 배변처리 모드를 갖고 있다.The feces automatic washing machine (K) determines the feces and urine by the detection of the various sensors (G and H), and performs the manual defecation processing mode which performs each washing process automatically and when there is an operation instruction of a patient. It has a bowel movement mode.
도 18은, 자동 배변처리 모드 시의 배설물 자동세정기(K)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flow chart)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도시하지 않는 전원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본체의 전원이 투입되면 소변 검지 센서(H)의 검출치에 근거해 오물유로(101)에 소변이 존재하는지 않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a1).FIG. 18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of the excreta automatic washing machine K in the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mode. As shown in FIG. 18, when the power of the main body is turned on by the operation of a power switch (not shown),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has urine flowing into the
이 판단의 결과 소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Sa1:NO)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대변 검지 센서(G)의 검출치에 근거해 오물유로(101)에 대변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a2). 이 판단의 결과 대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Sa2:NO)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재차 소변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처리 순서를 스텝 Sa1에 되돌린다. 한편 대변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Sa2:YES), 즉, 오물 유로(101)에 대변만이 존재하는 경우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대변 세정 공정을 실행한다(스텝 Sa4).When urine does not exist as a result of this determination (step Sa1: NO),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judges whether feces exist in the
또, 스텝 Sa1에 대해 소변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Sa1:YES),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오물유로(101)에 대변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a3). 이 판단의 결과 대변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Sa3:YES) 즉, 오물 유로(101)에 소변 및 대변이 존재하는 경우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대변을 처리하는 대변 세정 공정을 실행한다(스텝 Sa4).In addition, when urine exists in step Sa1 (step Sa1: YES), the excreta automatic washing machine K determines whether feces exist in the dirt flow path 101 (step Sa3). As a result of this determination, when feces are present (step Sa3: YES), that is, when urine and feces are present in the
한편,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대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Sa3:NO), 즉, 오물유로(101)에 소변만이 존재하는 경우 소변을 처리하는 소변세정공정을 실행한다(스텝 Sa5).On the other hand, the excreta automatic washing machine K carries out a urine washing step of processing urine when there is no feces (step Sa3: NO), that is, when only urine is present in the dirt flow path 101 (step Sa5). .
대변세정공정(스텝 Sa4) 또는 소변세정공정(스텝 Sa5)을 종료 후,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인체 및 와변기케이싱(A) 내의 건조를 하기 위한 건조 공정을 실행한다(스텝 Sa6).After completion of the feces washing step (step Sa4) or the urine washing step (step Sa5),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executes a drying step for drying the human body and the toilet bowl casing A (step Sa6).
도 19는 대변세정공정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flow chart)인바,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초기 상태에 대해 각종 솔레노이드 밸브 1, 2, 3, 4로 솔레노이드 밸브 5, 6의 NC포트와 흡기 밸브(409)와 역지 밸브(411)를 닫고 있다. 또,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초기 상태에 대해 솔레노이드 밸브 5, 6의 NO포트를 열고 있다. 도 19에 나타나듯이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우선 흡기 밸브(409)를 열고(스텝 Sb1), 흡입 펌프(400)을 시동(스텝 Sb2)한다. 이것에 의해, 와변기케이싱(A) 내부의 대변에 의한 악취 또는 대변의 일부가 오물수용탱크(300)에 흡인된다. 동시에 와변기케이싱(A) 내의 악취를 포함한 공기는 오물유입관(103), 오물수용탱크(300), 흡입펌프(400)로 향해 흘러 흡기구(402) 앞의 1차 악취제거필 터(407a) 및 배기구(405) 뒤의 2차 악취제거필터(407b)를 거쳐 악취가 제거되고 나서 외부에 방출된다.FIG. 19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ing sequence of the feces washing process, and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shows the NC ports of the
계속해서 솔레노이드 밸브 4를 연 후에(스텝 Sb3), 가압 펌프(600)를 소정 시간만 가동한다(스텝 Sb4). 이것에 의해 온수 탱크(501)내의 온수가 대변용 노즐관(605)에 송수되어 대변용 노즐(105)로부터 세정수로서 분사되어 대변 분쇄 처리를 실행한다. 대변 분쇄 처리에 의해 분쇄되어 오물유로(101) 방향으로 밀린 대변은, 오물 저장 공간(s)으로 와류현상에 의해 세정수와 충분히 혼합된다(이하, '와류현상에 의한 혼합 동작'이라고 한다).Subsequently, after opening the solenoid valve 4 (step Sb3), the
그 다음에,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진공 탱크(408) 내를 진공상태로 하기 위해서 흡기밸브(409)를 닫아 진공형성을 개시한다(스텝 Sb5). 압력스위치(413)에 근거하는 내부 압력의 검출치가 최대 진공압(예를 들면, 600 mmHg)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린 후(스텝 Sb6:YES)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압력 스위치(413)으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근거해 도시하지 않는 제어장치를 개입시켜 가압펌프(600)를 가동해(스텝 Sb7), 흡기밸브(409)를 연다(스텝 Sb8). 이 순간 진공 탱크(408)에 형성된 최대 진공압에 의해 와류현상에 의한 혼합동작 후의 대변은 배출부(102)로부터 오물 유입관(103)을 개입시켜 오물수용탱크(300)에 단번에 흡입 수용된다(이하, '진공 흡입 동작'이라고 한다).Then,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closes the
그리고,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가압펌프(600)을 정지하고(스텝 Sb9), 다시 대변검지센서(G)의 검출치에 근거해 오물유로(101)내에 잔변이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한다(스텝 Sb10). 이 판단의 결과, 잔변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Sb10:YES) 배설 물 자동세정기(K)는 재차 와류현상에 의한 혼합동작 및 진공흡입동작을 반복할 수 있도록 처리순서를 스텝 Sb5에 되돌린다. 그리고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와류현상에 의한 혼합동작 및 진공흡입동작을 대변 검지센서(G)가 대변을 검지하는 것이 없어질 때까지 반복한다.Then,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stops the pressure pump 600 (step Sb9), and again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y residue in the
다음에, 오물유로(101)내에 잔변이 검지되지 않게 되면(스텝 Sb10:NO),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솔레노이드 밸브 4를 닫고(스텝 Sb11) 그 다음에 솔레노이드 밸브 3을 열고(스텝 Sb12) 가압 펌프(600)를 소정의 시간만 가동한다(스텝 Sb13). 이것에 의해 온수 탱크(501)로부터 온수가 둔부세정 노즐관(604)에 송수되어 둔부세정노즐(104)로부터 세정수로서 분사되어 환자의 엉덩이 부근에 부착한 대변을 세정한다(이하, '둔부의 세정 동작'이라고 한다).Next, when no residue is detected in the dirt flow path 101 (step Sb10: NO),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closes the solenoid valve 4 (step Sb11), and then opens the solenoid valve 3 (step Sb12). The
다음에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솔레노이드 밸브 3을 닫고(스텝 Sb14), 그 다음에 솔레노이드 밸브 2를 열고(스텝 Sb15) 가압펌프(600)를 소정의 시간만 가동한다(스텝 Sb16). 이것에 의해 온수탱크(501)으로부터 온수가 항문용 노즐관(603)에 송수되어 항문용 노즐(203)로부터 세정수로 분사되어 환자의 항문 부근에 부착한 대변을 세정한다(이하, '항문의 세정 동작'이라고 한다). 게다가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둔부, 즉 엉덩이의 세정동작 및 항문의 세정동작을 세정회수가 3회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한다(스텝 Sb18:YES). 이것에 의해 환자의 둔부 및 항문 부근의 세정을 완벽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Next,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closes the solenoid valve 3 (step Sb14), then opens the solenoid valve 2 (step Sb15), and operates the
다음에, 세정회수가 3회에 도달하면(스텝 Sb18:NO),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솔레노이드 밸브 1을 열고(스텝 Sb19), 가압펌프(600)를 소정 시간만 가동한다 (스텝 Sb20). 이것에 의해 온수탱크(501)로부터 온수가 비데용 노즐관(602)에 송수 되어 비데용 노즐(202)로부터 세정수로서 분사되어 환자의 음부 부근에 부착한 대변을 세정한다(이하, '비데의 세정 동작'이라고 한다).).Next, when the number of times of washing reaches three times (step Sb18: NO),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opens the solenoid valve 1 (step Sb19), and operates the
다음에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솔레노이드 밸브 1을 닫고(스텝 Sb21), 흡입 펌프(400)를 정지하고(스텝 Sb22) 그 다음에 각종 솔레노이드 밸브 1, 2, 3, 4, 솔레노이드 밸브 5, 6의 NC포트 및 역지 밸브(411)를 열고(스텝 Sb23), 흡입 펌프(400)를 소정의 시간만 가동한다(스텝 Sb24).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건조공정(스텝 Sa6)이 진행되기 전에 흡입 펌프(400)를 가동하여 비데용 노즐관(602), 항문용 노즐관(603), 꽁지용 노즐관 (604), 대변용 노즐관(605)의 각 노즐 관내에 외부 에어공급필터(404)로부터 수중에 넣은 공기를 송풍시켜 수분을 제거한다(이하, '노즐 관내의 수분 제거 동작'이라고 한다).Next,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closes solenoid valve 1 (step Sb21), stops the suction pump 400 (step Sb22), and then
그리고,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각종 솔레노이드 밸브 1, 2, 3, 4, 솔레노이드 밸브 5, 6의 NC포트 및 역지 밸브(411)를 닫고(스텝 Sb25), 대변 세정 공정을 종료한다.Then,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closes the NC ports and
도 20은 소변 세정공정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flow chart)이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우선 흡기 밸브(409)를 열어(스텝 Sc1) 흡입펌프(400)를 시동하고(스텝 Sc2) 그 다음에 솔레노이드 밸브 1, 3을 연 후(스텝 Sc3) 가압펌프(600)를 소정 시간만 가동한다(스텝 Sc4). 이것에 의해, 소변이 오물수용탱크(300)에 흡인됨과 동시에 엉덩이의 세정동작 및 비데의 세정동작이 실행된다.20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of a urine washing step. As shown in FIG. 20, the slurry automatic washing machine K first opens the intake valve 409 (step Sc1), starts the suction pump 400 (step Sc2), and then opens the
다음에,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솔레노이드 밸브 1, 3을 닫고(스텝 Sc5), 솔레노이드 밸브 4를 열고(스텝 Sc6) 그 다음에, 흡기 밸브(409)를 닫은 후(스텝 Sc7), 흡입 펌프(400)를 가동한다(스텝 Sc8). 이것에 의해, 진공 탱크(408) 내의 진공 형성을 개시한다.Next, the slurry automatic washing machine K closes the solenoid valves 1 and 3 (step Sc5), opens the solenoid valve 4 (step Sc6), and then closes the intake valve 409 (step Sc7). 400 is started (step Sc8). This starts vacuum formation in the
그리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가압 펌프(600)를 가동하여 원수탱크(500) 중의 온수탱크(501)로부터 송수된 온수를, 대변용 노즐관(605)을 개입시켜 대변용 노즐(105)로부터 세정수로 분사하고, 소변을 오물유로(101) 방향으로 밀어 낸다(스텝 Sc9). 그리고, 거의 동시에 흡기밸브(409)를 연다(스텝 Sc10). 이 순간 진공탱크(408)에 형성된 최대진공압에 의해 소변은 배출부(102)로부터 오물 유입관(103)을 개입시켜 오물수용탱크(300)에 단번에 흡입 수용된다.After the predetermined time passes,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operates the pressure pump (600) to defecate the hot water received from the hot water tank (501) in the raw water tank (500) through the feces nozzle tube (605). It sprays with the washing water from the
그 후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가압펌프(600)를 정지하고(스텝 Sc11) 그 다음에 흡입펌프(400)를 정지한 후(스텝 Sc12) 솔레노이드 밸브 4를 닫고(스텝 Sc13), 소변 세정공정을 종료한다After that, the slurry automatic washing machine K stops the pressure pump 600 (step Sc11), then stops the suction pump 400 (step Sc12), closes the solenoid valve 4 (step Sc13), and washes the urine. Exit
덧붙여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상술의 대변 세정공정 및 소변 세정공정에 대해 1차 악취제거필터(407a), 및 2차 악취제거필터(407b)를 개입시켜 오물수용탱크(300)에 흡입 수용되는 오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가급적으로 흡입펌프(400) 외에 배출되지 않게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is sucked into the
도 21은 건조공정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flow chart)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우선 솔레노이드 밸브 4를 열고 (스텝 Sd1) 그 다음에 흡기밸브(409)를 닫은 후(스텝 Sd2) 흡입펌프(400)를 가동하고, 진공 탱크(408)내의 진공형성을 개시한다(스텝 Sd3). 그리고 소정시간 경과후에,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가압펌프(600)를 가동해 원수탱크(500) 중의 온수탱크(501)로부터 송수된 온수를, 대변용 노즐관(605)를 개입시켜 대변용 노즐(105)로부터 분사한다(스텝 Sd4).21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of a drying step. As shown in FIG. 21, the slurry automatic washing machine K first opens the solenoid valve 4 (step Sd1), then closes the intake valve 409 (step Sd2), and operates the
상기 분사는 대변용 노즐관(605)로부터 대변용 노즐(105)의 사이에 세정수를 충전하고 다음번의 세정 공정 시에 대변용 노즐(105)로부터 즉석에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동작(이하, '충전 동작'이라고 한다.)이다.The spray is used to fill the washing water between the
다음에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흡기밸브(409)를 열고(스텝 Sd5) 그 순간에, 진공탱크(408)에 형성된 최대진공압에 의해, 충전 동작에 의해 분사된 온수는 배출부(102)로부터 오물 유입관(103)을 개입시켜 오물수용탱크(300)에 단번에 흡입 수용된다.Next,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opens the intake valve 409 (step Sd5), and at that moment, the hot water injected by the filling operation is discharged from the
다음에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가압펌프(600)를 정지하고(스텝 Sd6) 그 다음에 흡입펌프(400)를 정지한 후에(스텝 Sd7) 솔레노이드 밸브 4를 닫는다(스텝 Sd8). 그 후 흡기 밸브(409)를 닫고(스텝 Sd9), 그 다음에 솔레노이드 밸브 2, 3, 솔레노이드 밸브 5, 6의 NC포트 및 역지 밸브(411)를 연 후(스텝 Sd10) 흡입 펌프(400)를 가동한다(스텝 Sd11). 흡입 펌프(400)를 소정 시간만 가동하고 건조 공정을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외부 에어공급필터(404)로부터 받아들여진 공기를 건조공기로서 꽁지용 노즐(104) 및 항문용 노즐(203)로부터 배송하고 인체 및 와변기케이싱(A) 내의 건조를 실시한다.Next,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stops the pressure pump 600 (step Sd6), and then stops the suction pump 400 (step Sd7) and closes the solenoid valve 4 (step Sd8). Thereafter, the
그리고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일련의 처리에 의해 인체 및 와변기케이싱(A) 내의 세정공정(스텝 Sa2 또는 스텝 Sa3) 및 건조공정(스텝 Sa6)을 종료하면 재차 대변 및 소변의 검지를 실행하기 위하여 처리 순서를 스텝 Sa1에 되돌린다.As shown in FIG. 18, when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completes the washing process (step Sa2 or step Sa3) and the drying process (step Sa6) in the human body and the toilet bowl casing A by a series of treatments. The processing sequence is returned to step Sa1 in order to detect feces and urine.
그런데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의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동작 모드로서 자동 대변처리 모드 외에 환자의 조작 지시가 있었을 경우에 실시하는 수동 대변처리 모드를 갖는다. 이 수동 대변처리 모드에 대해서는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대변 검지센서 및 소변 검지센서에 의한 센싱을 실시하지 않고, 환자가 대변 세정 공정 및 소변 세정공정의 어느 쪽이든 한편을 행하기 위한 조작 지시를 받아들였을 경우에 대변 처리를 실행한다. 덧붙여 환자는 배설물 자동세정기(K)의 소정의 장소에 배치된 조작 패널이나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해 조작지시를 실시한다. 이하 이 수동 대변처리 모드 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By the way, as mentioned above, the excreta automatic washing machine K of this embodiment has a manual stool processing mode implemented when there exists an operation instruction of a patient other than an automatic stool processing mode as an operation mode. In this manual feces processing mode,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does not sense by the stool sensor and the urine detection sensor, and receives an operation instruction for the patient to perform either the stool cleaning process or the urine cleaning process. If so, credit processing is performed. In addition, the patient performs an operation instruction using an operation panel or a remote controller arranged at a predetermined place of the excreta automatic washing machine K. The operation in the manual stool processing mod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2는 수동 대변처리 모드 시의 배설물 자동세정기(K)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flow chart)이다.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소변 세정지시가 있었을 경우에는(스텝 Sf1:YES) 상술한 자동 대변처리 모드의 소변 세정공정과 같은 순서에서 소변 세정공정을 실행한다(스텝 Sf4). 또 소변 세정 지시가 없고(스텝 Sf1:NO) 대변 세정지시가 있었을 경우에는(스텝 Sf2:YES) 상술한 자동 대변처리 모드의 대변 세정공정과 같은 순서에서 대변 세정공정을 실행한다(스텝 Sf3). 한편 소변 세정지시가 없고(스텝 Sf1:NO), 한편 대변 세정 지시도 없는 경우에는(스텝 Sf1:NO) 지시가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Fig. 2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ing sequence of the feces automatic washing machine K in the manual feces processing mode. When there is an urine washing instruction (step Sf1: YES),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executes the urine washing process in the same procedure as the urine washing process in the automatic feces processing mode described above (step Sf4). When there is no urine washing instruction (step Sf1: NO) and a stool washing instruction (step Sf2: YES), the stool washing step is executed in the same procedure as the stool washing step in the automatic stool processing mode described above (step Sf3).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urine washing instruction (step Sf1: NO) and no stool washing instruction (step Sf1: NO), the apparatus waits until the instruction is given.
그리고, 대변 세정공정(스텝 Sf3) 또는 소변 세정공정(스텝 Sf4)을 종료 후,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와변기케이싱(A) 내의 건조를 하기 위해서 상술한 자동 대변처리 모드의 건조공정과 같은 순서에서 건조공정을 실행하고(스텝 Sf5) 수동 대변처리 모드를 종료한다.Then, after the feces washing step (step Sf3) or the urine washing step (step Sf4) is finished, the excrement automatic washing machine K is the same as the drying step of the automatic feces processing mode described above for drying in the toilet bowl casing A. The drying step is executed in step (step Sf5), and the manual stool processing mode is terminated.
이상,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몇 가지를 도면에 근거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것들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발명에 명시된 기재의 구성과 모양을 근거로 해서 당업자의 지식에 근거해 여러 가지의 변형, 개량을 베푼 다른 형태로 본원 발명을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based on the knowledg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configuration and shape of the substrate described in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of improvement.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고정장치(205)의 눌림부(205c)의 표면에 인체의 복부를 마사지하기 위한 마사지기(204)를 배치할 수 있다. 마사지기(204)는 표면을 실리콘 패드로 형성하고 저주파 출력에 의해 장(腸)에 자극을 줘 대변을 재촉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시하지 않는 저주파 발생기로부터 유도되는 플레이트상의 치료유도자로 이루어지는 마사지기(204)를 눌림부(205c)의 표면에 붙이는 것으로 구성한다. 마사지기(204)로 인체 복부를 마사지하는 것으로써, 장이 자극되고 대변을 원활하게 배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3, the
또한 자동 고정장치(205) 대신에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입식 자동고정장치(209)를 적용하여 인체와 와변기케이싱(A)을 고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매입식 자동 고정장치(209)는 선단부 (200a)의 안쪽에서 전면 요(凹)부(113)의 상부에 배설된 배설 요(凹)부(209a)에 배설된다. 매입식 자동고정장치(209)는 매입식 자동고정장치(209)를 배설요(凹)부(209a)에 달기 위한 설치커버(209b)로 인체의 미 는정도를 조정하는 한 벌의 스프링(209c)로 인체의 복부를 눌러주어 고정하기 위한 눌림부(200d)를 가지고 있다. 매입식 자동고정장치(209)는, 눌림부(200d)를 스프링(209c)를 개입시켜 배설커버(209b)에 감합하는 것으로 조립할 수 있어 배설커버(209b)를 배설요(凹)부(209a)에 접착하는 것으로 고정된다. 환자가 와변기케이싱(A)를 착용하려면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눌림부(200d)가, 스프링(209b)의 탄성력에 근거해 도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여 인체에 눌려지므로, 와변기케이싱(A)와 인체와 자동고정이 가능해진다. 눌림부(200d)는 ABS 수지로부터 완성되어 표면 마무리함으로써 촉감 및 쿠션성의 양호한 소재, 예를 들면, 우레탄 등의 소재를 발포해 성형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4, instead of the
또한, 자동 고정장치(205) 대신에 도 27에 나타내는 안전벨트(206)을 적용하여 인체와 와변기케이싱(A)를 고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각 안전벨트(206)은 그 일단을 지지플레이트부(100)의 양측면에 장착시켜 인체의 요부를 양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그 외단이 들림부(200)의 전면에서 버클(206a)로 고정된다. 버클(206a)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안전 벨트(206)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stead of the
또한, 자동 고정장치(205) 대신에 도 28에 나타내는 복대(207) 매직 테이프(207a, 207b), 커버(207c)를 이용하여 인체와 와변기케이싱(A)를 고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커버(207c)는 인체 복부 측 및 요부 측에 매직 테이프(207a, 207b)를 갖고 와변기케이싱(A)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복대(207)을 허리좌석부에 장착한 상태로 와변기케이싱(A)를 장착하고 매직 테이프(207a, 207b)로 복 대(207)을 고정하는 것으로 인체와 와변기케이싱(A)가 고정된다Instead of the
또한, 자동 고정장치(205) 대신에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스펜더(208)을 적용하여 인체와 와변기케이싱(A)를 고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서스펜더(208)은 그 양단에 열린 형상의 훅(208a, 208b)를 갖추어 선단부 (200a)의 외측에 배설된 고정부(208c)와 지지플레이트부(100)의 외측에 배설된 고정부(208c)와 같은 형상의 도시하지 않는 고정부와 훅(208a, 208b)를 각각 걸어두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환자가 와변기케이싱(A)를 장착할 때는 우선 와변기케이싱(A)를 신체에 착용하고 양견부에 서스펜더(208)을 건 후에 고정부(208c)와 고정부(208d)와 훅(208a, 208b)를 각각 걸어두기 하는 것으로 인체와 와변기케이싱(A)가 고정된다.In addition, instead of the
또한, 자동 고정 장치(205) 대신에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형상의 튜브인 전면튜브(210) 및 후면튜브(211)을 적용하여 인체와 와변기케이싱(A)를 고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전면튜브(210)은 인체의 복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선단부 (200a)의 안쪽에 전면 요(凹)부(113)의 상부에 배설되고 후면튜브(211)은 인체의 허리좌석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플레이트부(100)의 안쪽 표면에 배설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0 and 31, instead of the
전면튜브(210)은 한편의 측면으로 배설된 공기압입구(210a)와 공기압 입구(210a)의 반대측 측면으로 배설된 공기배출구(210b)를 갖추고 있어 후면튜브(211)도 같은 모양으로 공기압입구(211a)와 공기배출구(211b)를 갖추고 있다. 또 공기압입구(210a) 및(211a)는 도 32에 나타나듯이 솔레노이드 밸브 유니트(606)에 증설된 솔레노이드 밸브 7, 8에 각각 접속되고 있다.The
관계되는 구성 하에서 솔레노이드 밸브 5, 6의 각각의 NC포트, 역지 밸브(411), 솔레노이드 밸브 7, 8을 연 상태로 흡입펌프(400)를 가동하는 것으로 외부 에어공급필터(404)로부터 공기를 받는다. 관계되는 공기는 솔레노이드 밸브 7, 8을 개입시켜 각각 공기압 입구(210a, 211a)에 공급되고 전면튜브(210) 및 후면튜브(211)가 팽창한다. 따라서 팽창한 전면튜브(210) 및 후면 튜브(211)가 각각 복부와 요부에 밀착되어 인체와 와변기케이싱(A)에의 고정이 가능해진다.Receiving air from the external
인체로부터 와변기케이싱(A)을 떼어내려면 공기 배출구(210b, 211b)에 장착된 도시하지 않는 밸브를 개방해 배기하고, 전면튜브(210) 및 후면밸브(211)를 수축시킨다. 덧붙여 전면튜브(210) 또는 후면튜브(211) 중 어느 쪽이든 한편만을 배설하여 인체와 와변기케이싱(A)과의 고정을 실시하는 구조라고 해도 좋다.To remove the toilet bowl casing A from the human body, a valve (not shown) mounted on the
또한,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변기케이싱(A)에 자동고정장치(205)를 장착하지 않고, 들림부(200)의 내부에 도시하지 않는 탄성재를 안에 삽입하여 선단부 (200a)가 미리 내측으로 굽어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관계 구성에 의해 환자가 와변기케이싱(A)을 착용하려면 선단부 (200a)를 Z방향으로 열면 들림부(200) 내의 도시하지 않는 탄성재의 탄성력에 의해 선단부(200a)가 복부를 눌러주어 인체와 와변기케이싱(A)와의 고정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3, the
또한, 도 34및 도 35에 나타나듯이 와변기케이싱(A)는 지지플레이트부(100)와 들림부(200)를 분리시킨 구성의 것이나, 인체와 와변기케이싱(A)을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와변기케이싱(A)은 지지플레이트부(100)와 지지플레이트부(100)의 후단에 배설된 경첩부(120)와 경첩부(120) 회전에 의해 회동이 자유자재 되도록 배설된 들림부(200)를 갖고 있다.34 and 35, the toilet bowl casing A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경첩부(120)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나사 체결부를 갖출 수 있어 경첩부(120)를 오른쪽 나사 방향으로 돌리는 것으로 들림부(200)의 위치의 고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플레이트부(100)에 배설된 오물유로(101)는 들림부(200)의 전면 요(凹)부(113)로 분리되어 있어 오물유로(101)은 대변을 처리하고 전면 요(凹)부(113)는 소변을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면요(凹)부(113)의 소정의 개소에는 소변을 배출하는 소변 배출용호스(121)가 접속되어 이 소변 배출용호스(121)는 오물유로(101)로 소정의 개소에 접속되고 있다.The
관계 구성하에서 환자가 와변기케이싱(A)을 착용하려면 경첩부(120)를 느슨하게 하고 나서 지지플레이트부(100)에 허리좌석부를 재치한 상태로 들림부(200)를 경첩부(120) 주위로 회동시켜 복부와 밀착시킨 후, 경첩부(120)를 오른쪽 나사 방향으로 돌려 고정하는 것으로 인체와 와변기케이싱(A)과의 고정이 가능해진다.Under the constitution, the patient loosens the
또한, 대변 검지 센서(G) 소변 검지 센서(H)로 각각 대변 소변을 검지하도록 구성하는 대신에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변과 소변의 검지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대소변 검지 센서(I)를 채용해도 좋다. 도 36은 대소변 검지 센서(I)의 개략도이다. 대소변 검지 센서(I)는 한 벌의 센서유니트(114)를 갖고, 센서 유니트(114)는 소정의 간격을 두어 절연체(119)에 의해 고정 지지를 받고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the stool detection sensor (G) and the urine detection sensor (H) configured to detect fecal urine,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36, the fecal detection sensor (I) capable of simultaneously detecting feces and urine is provided. You may employ | adopt. 36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feces detection sensor I. FIG. The small urine detection sensor I has a pair of
각 센서 유니트(114)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벌의 리드 선(118)을 갖는 온도센서(116)와 온도센서(116)의 외부 주위를 감싸는 도전체(115)를 갖고, 도전체(115)는 한 개의 리드 선(117)을 갖고 있다. 온도 센서(116)로서는 예를 들 면 서미스터 등이 이용되고 도전체(115)로서는 예를 들면 도전성 페인트, 탄소고무, 스텐레스 등이 이용된다. 도전체(115)는 온도센서(116)의 측정 정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의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 리드선(118)과 리드선(117)과는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대소변 검지센서(I)는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벌의 리드선(118)과 한 벌의 리드선(117)을 갖고 있다.Each
리드 선(118)은 도시하지 않는 본체부(C)와 접속되고 있어 본체부(C)로부터 전류를 흘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온도센서(116)의 저항값은 온도 변화에 수반해 변동하므로 본체부(C)는 온도센서(116)의 저항값의 변화에 수반하는 전류치의 변화에 근거해 온도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드선(117)은, 각각 도시하지 않는 본체부(C)와 접속되고 있어 본체부(C)로부터 어느 쪽이든 한편에만 전류를 흘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소변 검지센서(I)는 도전체(115)의 사이가 세정수 또는 소변에 의해 흐르게 했을 때의 전류치에 근거해 수분을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세정수와 소변과의 구별은 상술한 소변 검지센서(H)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 한다.The
관계 구성에서 대소변 검지 센서(I)는 온도센서(116)이 온도를 검지하고, 한편 도전체(115)가 수분을 검지했을 경우 소변이 검지 된 취지의 검출신호를 도시하지 않는 본체부(C)에 송신한다. 한편 대소변 검지센서(I)는 온도센서(116) 만이 반응하여 온도를 검지했을 경우 대변이 검지된 취지의 검출신호를 도시하지 않는 본체부(C)에 송신한다.In the related constitution, the urine detection sensor I has a body portion C that does not show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that urine is detected when the
대소변 검지센서(I)는 와변기케이싱(A)내에 있어 도 4에 나타나는 상술한 소 변 검지센서(H)와 같은 위치에 배설된다. 따라서 대소변 검지센서(I)는, 대변과 소변을 확실히 구별하고 판단할 수가 있으므로 대변센서(G)와 소변센서(H)를 병용할 필요가 없어 조립성을 향상할 수가 있고 또 전기 배선을 간소화 할 수가 있다.The small urine detection sensor I is dispos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above-described urine detection sensor H shown in FIG. 4 in the toilet bowl casing A.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stool detection sensor (I) can reliably distinguish feces and urine, and thus, there is no need to use the stool sensor (G) and the urine sensor (H) together, thereby improving assembly performance and simplifying electrical wiring. There is a number.
도 38 및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수탱크(500) 내에서는 원수(W)의 수위 센싱과 함께 살균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38 및 도 39는 원수탱크(500)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원수탱크(500)는 그 내벽면 상부의 소정 개소에 배설된 자외선 LED(508)와, 자외선 LED(508)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설된 포트트랜지스터(509)를 갖추고 있다. 또, 원수탱크(500)의 상부에는 원수(W)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500a)를 갖출 수 있어 원수탱크(500) 하부에는 출수구(500b)가 갖춰져 있다. 주입구(500a)는 도시하지 않는 전자 밸브를 개입시켜 수도의 수도꼭지에 접속되고 있어 포트트랜지스터(509)에 검지에 감응하여 전자밸브의 개폐를 실시하는 것으로 수도로부터의 주수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출수구(500b)는 도 1에 나타낸 솔레노이드 밸브(503)로 접속되고 있다.38 and 39, in the
원수탱크(500)는 자외선 LED(508)로부터 소정 시간간격으로 자외선(UV)을 발신하여 대향하는 포트트랜지스터(509)로 자외선(UV)를 수신하는 것으로 수위를 체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수탱크(500) 내의 원수(W)가 소정의 수위에 못 미치는 경우 포트트랜지스터(509)는 수신한 자외선(UV)에 근거하는 소정의 전압치(예를 들면 4.1 V이상)을 검지하고 이 상태에 대해 전자 밸브가 열려 원수 탱크(500)내에 주입구(500a)로부터 원수(W)가 공급된다. 원수탱크(500) 내의 원수(W)가 소정의 수위에 도달했을 경우 도 39에 나타나듯이 자외선 LED(508)와 자외선(UV)는 원수(W)중에서 난반사하므로 포트트랜지스터(509)가 검지하는 전압치가 감소한다(예를 들면, 3.4 V이하). 원수탱크(500) 내의 원수가 소정의 수위에 도달했을 경우 상술의 전압치의 변화에 근거해 원수(W)의 공급을 정지함과 동시에 자외선 LED(508)로부터 연속적으로 자외선(UV)을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원수(W)의 살균 처리를 실시한다.The
또한, 도 40에 나타나듯이 와변기케이싱(A)의 사용 시에 와변기케이싱(A)와 세트를 이룬 침상용 매트(11)를 이용해도 좋다. 침상용 매트(11)는 와변기케이싱(A)을 장시간 착용할 때의 허리의 피로를 막기 위한 것으로 환자가 좌석부를 지지플레이트부(100)상에 재치하여 모로 누웠을 때에 환자의 요부보다 상반신 측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침상용 매트 (11)은 지지플레이트부(100)과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져 측면으로 지지플레이트부(100)의 표면형상에 따라 형성된 요(凹)부(11a)와 요(凹)부(11a)가 형성된 옆의 단부에 대해 요(凹)부(11a)의 양측으로, 그 각 단부와 고정되는 벨트(11b)를 갖추고 있다. 침상용 매트(11)는 요(凹)부(11a)에 지지플레이트부(100)를 감합시킨 다음 벨트(11b)를 들림부(200)의 배면 측에 거는 방식으로 와변기케이싱(A)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0, when using the toilet bowl casing A, you may use the needle-
침상용 매트(11)의 재질은 환자의 허리부에 의해 상반신의 부담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서 저 반발성의 소재, 예를 들면 라텍스 등이 이용된다. 침상용 매트(11)의 표면의 소정 개소에는 도시하지 않는 환기용 구멍이 수 개소 뚫어지고 있어 환기성을 향상시켜 습진, 욕창 등의 각종피부 트러블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와변기케이싱(A)과 인체가 접촉하는 부분의 촉감 및 흡습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와변기케이싱(A)의 외부 표면을 섬유재로 만든 커버로 피복 해도 좋다.As the material of the
상술의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외부 에어공급 필터(404)로부터 끌어들인 상온의 공기를 건조공기로 하여 각종 노즐(104, 105, 202, 203)로 분사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노즐관(602, 603, 604, 605)에 도시하지 않는 일정한 온도 히터를 밀착시켜 일정한 온도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각종 노즐(104, 105, 202, 203)로 분사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 the air at room temperature drawn from the external
또한, 상기의 구성에 추가하여 가열된 건조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유로를 별도로 구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와변기케이싱(A)은 도 41에 나타나듯이 가열된 건조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건조공기용 노즐관(201)을 갖춘 구성이라고 해도 좋다. 건조공기용 노즐관(201)의 한편의 단부는 환기통(112)에 접속되어 있고 한편의 단부는 외관 처리호스(111) 내에 삽통하고 있다. 또 외관 처리호스(111)는 도시하지 않는 관 히터부 유로를 개입시켜 흡입 펌프(400)(도 1 참조)의 배기구(405)에 접속되고 있다. 흡입펌프(40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도시하지 않는 관 히터부 유로를 개입시켜 가열된 후 외관 처리호스(111), 건조공기용 노즐관(201)을 거쳐 환기통(112)로부터 와변기케이싱(A) 내에 건조공기로서 송풍 된다. 건조공기로서 송풍 된 공기는 와변기케이싱(A)의 임의의 개소에 배설된 환기통(122)에 의해 바깥 공기로 방출된다. 관계 구성에 의해 와변기케이싱(A) 내에 가열된 건조공기를 송풍할 수가 있으므로 와변기케이싱(A) 내의 건조 효과를 향상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flow path for injecting heated dry air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Specifically, the toilet bowl casing A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청구항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와변기 케이싱은 좌석부를 재치하는 지지 플레이트부와 지지 플레이트부의 후단부에 연결된 들림부를 가지고, 지지 플레이트부는 배설된 대변을 받도록 오목하게 홈을 이룬 오물 유로를 구비하고, 오물 유로 내의 배설물을 와변기 케이싱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를 가지고, 들림부는 오물 유로에 연결되어 배설된 소변을 받도록 오목하게 만들어진 전면 요부를 가지고, 오물 유로는 전면 요부보다 패이는 위치에서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어 배출부로 향해 폭이 점점 감소하여, 배출부측을 저부로 하는 통 모양을 이룬 오물 저장 공간을 가지므로, 환자는 지지 플레이트부상에 좌석부를 재치하고, 자연스럽게 인체 무릎사이에 배치되어 배설을 자연스럽고 안정되게 실시할 수가 있고, 배설 후의 오물을 세정·흡인할 때에 오물을 집중적으로 오물 유로에 모아 배출부에 반송할 수가 있으며, 또한, 오물 저장 공간에 있어 대변과 세정수가 충분히 혼합되어 흡인하기 쉬워지며, 한편, 흡입 펌프로부터 와변기 케이싱내에 도달할 때까지의 압력 손실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오물의 흡인 효율을 최대한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 the toilet bowl casing has a support plate for mounting the seat portion and a lift portion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late portion, and the support plate portion has a concave groove having a concave groove to receive the excreted feces. And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excrement in the dirt passage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bowl casing, the lifting portion having a concave front portion which is concave to receive the excreted urine connected to the waste passage, and the waste passage is discharged at a position that is more than the front recess. Since the width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discharge part and connected to the part, and has a tub-shaped dirt storage space with the discharge part at the bottom, the patient is placed on the support plate part, and is naturally disposed between the human knees and excreted. We can perform naturally and stably, and we wash and aspirate dirt after excretion At this time, the wastes can be concentrated in the waste flow path and conveyed to the discharge section, and the feces and the washing water are sufficiently mixed in the waste storage space to facilitate suction, while the suction pumps reach the inside of the toilet bowl casing. By minimizing the pressure loss, the suction efficiency of the dirt can be improved to the maximum.
청구항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세정 수단은 인체의 항문의 세정을 실시하는 항문용 노즐과 인체의 좌석부의 세정을 실시하는 둔부세정용 노즐과 인체의 음부의 세정을 실시하는 비데용 노즐과 오물 유로에 퇴적한 대변을 배출부로 향해 개수대 상기 오물 유로의 세정을 실시하는 대변용 노즐을 가지므로, 대변용 노즐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에 의해 오물 유로에 용량의 큰 대변이 체류하는 것을 방지하 면서, 신속하고 확실히 배출부로 향해 흘러가게 할 수가 있다. 또한, 항문용 노즐, 둔부세정 노즐, 비데용 노즐의 각종 노즐에 의해 항문, 엉덩이, 음부에 응해 적격에 인체의 각부정도를 세정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와변기 케이싱 내의 세정도 실시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청구항 3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대변용 노즐은 오물 유로에 퇴적한 대변을 분쇄하는 강도로 유체를 분출함으로써, 세정수의 분사 수압에 의해 대변을 세세하게 분쇄하고, 대변을 오물 유로로부터 배출부에 향하여 흘러가게 할 수가 있어 배출부로부터 와변기 케이싱 외에 대변을 흡인하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청구항 4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대변용 노즐에 의한 유체의 분출 방향은 오물 유로의 저면으로 향한 방향을 포함함으로써, 대변이 가장 모이기 쉬운 인체의 항문 직하로 향해 세정수가 분사되게 되고, 오물 유로중앙에 퇴적하는 대변이 최먼저 분쇄되며, 세정수가 배출부로 향해 흐르는 유로를 확보할 수가 있어 대변용 노즐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에 있어, 대변에 의해 튀어오르거나 막혀서 배출되지 못한 세정수가 오물 유로로부터 흘러넘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항문용 노즐을 전면 요부의 저면의 하단부에 배설하고, 비데용 노즐을 전면 요부의 저면에 항문용 노즐보다 윗쪽의 위치에 배설하고, 대변용 노즐을 오물 유로에 배출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배설하고, 고용 노즐을 오물 유로에 배출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대변용 노즐보다 윗쪽의 위치에 배설함으로써, 각종 노즐에 의해 대변 분쇄 처리와 인체의 각 부위 및 와변 기 케이싱 내의 세정을 차례차례 진행시켜 세정 효과를 향상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항문용 노즐, 비데용 노즐, 대변용 노즐, 둔부세정용 노즐은 각각 유체를 분출하는 복수의 구멍을 가지고, 각 구멍의 지름, 배치, 방향을 해당 노즐이 분출해야 할 유체의 유속, 유량, 분출 범위, 분출 방향으로 응해 설정함으로써, 각종 노즐에 의해 최적의 조건으로 인체의 각 부위 및 와변기 케이싱 내부의 세정도 실시할 수가 있어 세정 효과를 한층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7685A KR100795149B1 (en) | 2006-05-26 | 2006-05-26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7685A KR100795149B1 (en) | 2006-05-26 | 2006-05-26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3855A KR20070113855A (en) | 2007-11-29 |
KR100795149B1 true KR100795149B1 (en) | 2008-01-16 |
Family
ID=39091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7685A KR100795149B1 (en) | 2006-05-26 | 2006-05-26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514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2657B1 (en) * | 2011-05-30 | 2012-05-03 | 박종미 | Offensive odor preventing device for disposition device of excretions |
KR101440899B1 (en) * | 2012-06-12 | 2014-09-17 | 주식회사 이노메카 | Automatic excrement treating apparatus and Excrement collection diar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3244B1 (en) * | 2008-05-01 | 2010-06-16 |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 A joining member for cleanser vessel of automatic disposing patient's excreta |
KR101679751B1 (en) | 2014-07-21 | 2016-11-25 | 가부시키가이샤 에이켄 | Auto bed with apparatus for evacuation |
KR101983492B1 (en) | 2018-01-05 | 2019-05-28 | 김낙주 | A diaper for hygien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22868A (en) * | 1995-05-30 | 1996-12-10 | Niles Parts Co Ltd | Excrement treating device |
JP2001112800A (en) | 1999-10-18 | 2001-04-24 | Niles Parts Co Ltd | Excretion disposal device |
JP2002058692A (en) | 2000-08-18 | 2002-02-26 | Oki Jushi Kogyo Kk | Automatic excretion treating device |
WO2006046532A1 (en) | 2004-10-29 | 2006-05-04 | Manabu Ise | Excrement treating device |
-
2006
- 2006-05-26 KR KR1020060047685A patent/KR10079514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22868A (en) * | 1995-05-30 | 1996-12-10 | Niles Parts Co Ltd | Excrement treating device |
JP2001112800A (en) | 1999-10-18 | 2001-04-24 | Niles Parts Co Ltd | Excretion disposal device |
JP2002058692A (en) | 2000-08-18 | 2002-02-26 | Oki Jushi Kogyo Kk | Automatic excretion treating device |
WO2006046532A1 (en) | 2004-10-29 | 2006-05-04 | Manabu Ise | Excrement treating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2657B1 (en) * | 2011-05-30 | 2012-05-03 | 박종미 | Offensive odor preventing device for disposition device of excretions |
KR101440899B1 (en) * | 2012-06-12 | 2014-09-17 | 주식회사 이노메카 | Automatic excrement treating apparatus and Excrement collection diar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3855A (en) | 2007-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65002B2 (en) |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 |
KR100797578B1 (en)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 |
KR100709961B1 (en)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 |
JP4119462B2 (en) |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 |
JP4643523B2 (en) |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 |
JP4567757B2 (en) | Automatic urine processing equipment | |
KR101015717B1 (en) | Automatic processing apparatus for human body's excrement | |
JP4116652B2 (en) |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 |
JP2016523170A (en) |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 |
KR101299185B1 (en)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 |
JP2009183423A (en) | Detection system for toilet unit for use in supine position | |
KR20080000414A (en)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 |
KR101575140B1 (en) | Excrement Treating Apparatus Fit for Human Body | |
KR100795149B1 (en)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 |
JP2008036018A (en) | User-worn device and automatic excretion disposal apparatus | |
KR100829525B1 (en)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 |
KR101072842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patient's urine and feces automatically | |
KR100829524B1 (en)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 |
JPWO2005041829A1 (en) | Excrement disposal device | |
KR101544566B1 (en) | Excrement Treating Apparatus Having Contact Member | |
JP4167278B2 (en) |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 |
JP4699959B2 (en) |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 |
KR100905530B1 (en) | Automatic excretion cleaner | |
JP2008149042A (en) | Automatic excrement disposal apparatus | |
JP2008029759A (en) | Automatic defecation disposa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