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557B1 - Working record management system of moving c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Working record management system of moving c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557B1
KR100520557B1 KR10-2003-0086650A KR20030086650A KR100520557B1 KR 100520557 B1 KR100520557 B1 KR 100520557B1 KR 20030086650 A KR20030086650 A KR 20030086650A KR 100520557 B1 KR100520557 B1 KR 10052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usage history
floor
vehicle body
numb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53413A (en
Inventor
김달
조성래
김영식
배동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6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557B1/en
Publication of KR20050053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4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557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3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data acquisition, e.g. workpiece 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공장의 자동화 공정 상에서, 상기 플로워 컴플리트(floor complete) & 플로워 리스폿(floor respot) 공정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대차의 일측에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플레이트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대차 감지부와, 상기 대차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감지신호를 변환하여 대차번호로 인식하고, 생산 지시 시스템으로부터 생산서열에 따른 차체의 일련번호정보(SEQ NO)와 차대번호정보(VIN NO)를 수신하여 상기 대차번호와 데이터를 통합하여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저장 및 입,출력부를 통하여 검색 및 출력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통하여 차체공장에서의 대차별 이송 차체의 이력을 대차 사용 이력으로 관리하여 무빙파트 장착 및 검사 공정에서의 불량차체 정보를 이용하여 불량대차 및 그 불량대차가 적용된 차체를 신속하게 검출하여 사전에 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후 라인에서의 불량률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t least one sensing plate configured at one side of the floor complete & floor respot process and configured differently at one side of the bogie on an automated process of a body shop. A balance detection unit for outputting a signal and a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balance detection unit, converts the detection signal to recognize the balance number, and outputs the serial number information (SEQ NO)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equence from the production instruction system; Receives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VIN NO) to generate balance usage history data by integrating the balance number and data, and at the vehicle body factory through a control unit that periodically controls and enables retrieval and output through the input and output unit. The history of the transport body according to the balance is managed by the usage history of the truck. By using the bad body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ct the bad loan and the vehicle body to which the bad loan is applied, and to take an advance action, thereby minimizing the defective rate in the subsequent line. To provide.

Description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WORKING RECORD MANAGEMENT SYSTEM OF MOVING C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WORKING RECORD MANAGEMENT SYSTEM OF MOVING C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공장에서의 대차별 이송 차체의 이력을 대차 사용 이력으로 관리하여 무빙파트 장착 및 검사 공정에서의 불량차체 정보를 이용하여 불량대차 및 그 불량대차가 적용된 차체를 검출하여 사전에 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후 라인에서의 불량률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manage the history of a vehicle transport vehicle for each vehicle in the vehicle body factory as a vehicle usage history, thereby using bad body information in a moving part installation and inspection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by detecting a defective balance and a vehicle body to which the defective balance is applied so as to take a preliminary measure, thereby minimizing a failure rate in a subsequent line.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한 대의 완성차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선택에서부터 제품양산까지 여러 가지 공정을 거쳐 이루어지며, 이러한 공정들은 공장 자동화의 추세에 맞추어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보다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 동시에, 설비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이 지원되고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produce a finished car, automakers go through various processes from selection of materials to mass production, and these processes produce more products in a shorter time by adopting an autom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factory automation. Efforts are underway, and various efforts are under way to make efficient use of the facility.

이러한 관점에서, 차체공장의 대차(즉, 차체파트를 고정시키고 차체가 완성될 때까지 이송을 담당하는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 공정을 예로 하여 살펴보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체공장(BF)의 자동화 공정은 먼저, 플로워 컴플리트(floor complete) & 플로워 리스폿(floor respot) 공정(P1)에서, 대차(101) 상에 가용접된 플로워 패널(103)이 투입되어 2차 스폿 용접을 통하여 차체 플로워 파트를 완성하게 되며, 이렇게 완성된 차체 플로워 파트는 대(101)차를 통하여 다음공정인 차체 빌드(body build) 공정(P2)으로 진입하게 된다.In this regard, referring to an example of an automated process using a bogie of a body shop (that is, a device that fixes a body part and handles transportation until the body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 the body shop BF In the automated process, first, in the floor complete & floor respot process (P1), the floor panel 103 welded on the trolley 101 is introduced and subjected to secondary spot welding. The body floor part is completed, and the body floor part thus completed enters the body build process (P2), which is the next process, through the vehicle 101.

상기 차체 빌드(body build) 공정(P2)으로 진입된 차체의 플로워 파트상에는 양측 사이드 패널과 루프 패널 및 양측 휀더 등의 차체파트들이 조립되어 가용접되며, 다음공정인 차체 리스폿(body respot) 공정(P3)에서, 2차 용접에 의해 차체파트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Body parts such as both side panels, roof panels, and both side fenders are assembled and welded on the floor parts of the vehicle body entered into the body build process (P2), and the next process, the body respot process. At P3, assembly of the vehicle body part is completed by secondary welding.

이와 같이, 차체 리스폿 공정(P3)을 통하여 조립이 완성된 차체파트는 상기 대차(101)를 통하여 다시, 차대번호(VIN NO; 혹은 자동차 등록번호) 타각 공정(P4)으로 이송되어 차대번호를 타각한 후, 상기 대차(101)와 분리된 상태로, 상기 대차(101)는 리턴되어 상기 플로워 컴플리트(floor complete) & 플로워 리스폿 (floor respot) 공정(P1)에서 다시 사용되며, 상기 차체(105)는 오버헤드 행거(미도시)에 의해 이송되어 도어, 트렁크 리드, 후드 등의 무빙파트를 장착한 후, 불량차체를 검사하는 무빙파트 장착 및 검사 공정(P5)을 거쳐 다음공장인 도장공장(PF) 및 의장공장(TF)으로 이송된다.In this way, the body parts completed assembly through the vehicle body spot process (P3) is transferred to the vehicle chassis number (VIN NO; or vehicle registration number) rudder process (P4) again through the cart 101 to obtain the chassis number. After rudder, in the state separated from the trolley 101, the trolley 101 is returned and used again in the floor complete & floor respot process P1, and the vehicle body ( 105 is moved by an overhead hanger (not shown) to mount moving parts such as doors, trunk lids, hoods, etc., and then moves to the next factory through a moving part installation and inspection process (P5) for inspecting defective bodies. (PF) and chairman factory (TF).

이와 같이, 차체공장(BF)의 각 공정간 차체(105)의 이송을 주로 담당하는 이송수단으로 상기와 같이 대차(101)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차(101)는 일반적으로 지그(Jig)나 기타 장비들을 이용하여 차체(105)의 각 파트를 고정하게 된다. As such, the trolley 101 is mainly used as a transfer means mainly responsible for the transfer of the vehicle body 105 between the processes of the body shop BF, and the trolley 101 is generally a jig. Or other equipment to fix each part of the vehicle body 105.

그러나 상기 지그나 기타 장비가 파손 또는 고장난 불량대차(즉; 차체파트를 아래에서 잡아주는 것은 대차의 지그인데, 이 지그가 고장난 것을 불량대차라 함)를 이용하여 상기 차체(105)를 이송하는 경우에는 최초 플로워 컴플리트(floor complete) & 플로워 리스폿(floor respot) 공정(P1)에서부터 상기 플로워 패널(103)이 상기 불량대차 상에 틀어진 상태로 안착되거나 완전히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각 공정으로 이송된다.However, when the jig or other equipment is transported to the vehicle body 105 by using a bad truck (that is, it is a jig of the truck that holds the body parts from below, which is broken). In the first floor complete & floor respot process P1, the floor panel 103 is transferred to each process in a state where it is settled on the bad balance or is not completely fixed.

즉, 상기 대차(101) 상의 플로워 패널(103)에 뒤틀림이 발생하거나 고정되지 않음에 따른 흔들림 발생으로 차체 빌드(body build) 공정(P2)에서 각 파트들이 뒤틀린 상태 그대로 용접되어 용접 불량이 발생하게 되며, 차체(105)가 뒤틀려 있어, 무빙파트 장착 및 검사 공정(P5)에서 각 파트의 정도가 일치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That is, due to the vibration caused by the distortion or not fixed to the floor panel 103 on the trolley 101, each part is welded as it is in the body build process (P2) as it is welded to cause poor welding The vehicle body 105 is distorted, which includes a problem that the degree of each part does not coincide in the moving part mounting and inspection step P5.

또한, 상기 무빙파트 장착 및 검사 공정(P5)에서, 작업자가 차체(105)의 불량을 발견하지 못할 경우에는 불량 생산차 발생으로 인한 고객 신뢰도에 악영향을 주게되며, 작업자가 상기 무빙파트 장착 및 검사 공정(P5)에서 불량차체를 발견했다 하더라도 해당차체를 이송한 대차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전체 대차를 일일이 살펴보아야 하고, 미처 발견하지 못한 차체의 도장 및 의장공장(PF,TF) 투입분도 의심해 보아야 하는 등, 하나의 불량대차로 인한 조치시간이 길어, 불량 생산차의 발생 확률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moving part mounting and inspection process (P5), when the worker does not find a failure of the vehicle body 105, it adversely affects the customer reliability due to the generation of defective production, and the worker installs and inspects the moving part. Even if a defective body is found in the process (P5), it is not possible to know the balance that transported the body. Therefore, the whole vehicle should be examined in detail. In this case, the tim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one poor loan is long, and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defective production car increases.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차체공장에서의 자동화 공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대차를 인식하여 해당대차가 이송한 차체의 이력을 자동으로 남기도록 하고, 무빙파트 장착 및 검사 공정에서 불량차체 발생 시, 이를 이송한 불량대차와, 상기 불량대차가 적용된 차체를 모두 검색하여 상기 차체공장과 도장공장 및 의장공장의 각 공정상에서 작업중인 불량차체를 신속하게 점검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법에 의한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필요로 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efficiently manage the automation process in the body shop, the vehicle is automatically recognized and the history of the car body transferred by the vehicle is automatically left, and when a bad body occurs in the moving part installation and inspection process, Using the new balance to search for the bad trucks that have been transferred and the car bodies to which the bad trucks are applied, and to quickly check and take measures for the bad cars in operation in each process of the body shop, paint shop, and design factory. A history management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are required.

즉, 본 발명은 차체공장의 불량대차와, 이 불량대차에 의한 불량차체의 신속한 조치를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공장에서의 대차별 이송 차체의 이력을 대차 사용 이력으로 관리하여 무빙파트 장착 및 검사 공정에서의 불량차체 정보를 이용하여 불량대차 및 그 불량대차가 적용된 차체를 신속하게 검출하여 사전에 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후 라인에서의 불량률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for the quick bogie of the bad body of the body shop and the bad body caused by the bad body,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age the history of the body-specific transfer car body in the body shop as the balance usage history Using the vehicle body information in the moving part installation and inspec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ct the defective vehicle and the vehicle body to which the defective vehicle is applied and to take an advance action, thereby minimizing the defective rate in the subsequent line. It is to provide a history management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은 대차 상에 가용접된 플로워 패널이 투입되어 2차 스폿 용접을 통하여 차체 플로워 파트를 완성하는 플로워 컴플리트(floor complete) & 플로워 리스폿(floor respot) 공정; 완성된 차체 플로워 파트상에 양측 사이드 패널과 루프 패널 및 양측 휀더 등의 차체파트들이 조립되어 가용접하는 차체 빌드(body build) 공정; 2차 용접에 의해 상기 차체파트의 조립을 완료하는 차체 리스폿(body respot) 공정; 상기 완성된 차체파트에 차대번호를 타각하는 차대번호 타각 공정; 및 오버헤드 행거에 의해 이송되는 차체 상에 도어, 트렁크 리드, 후드 등의 무빙파트를 장착한 후, 불량차체를 검사하는 무빙파트 장착 및 검사 공정을 포함하는 차체공장의 자동화 공정상에서,In the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 floor complete & floor spot in which a floor panel welded on a balance is input and completes a body floor part through a second spot welding. floor respot process; A body build process in which body parts such as both side panels, roof panels, and both side fenders are assembled and welded on the completed body floor part; A body respot process of completing the assembly of the vehicle body part by secondary welding; A chassis number barning step of striking a chassis number to the completed vehicle body part; And moving parts, such as doors, trunk lids, and hood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carried by the overhead hanger, and then moving parts mounted and inspected to inspect the defective vehicle body.

상기 플로워 컴플리트(floor complete) & 플로워 리스폿(floor respot) 공정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대차의 일측에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플레이트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대차 감지부; 상기 대차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감지신호를 변환하여 대차번호로 인식하고, 생산 지시 시스템으로부터 생산서열에 따른 차체의 일련번호정보(SEQ NO)와 차대번호정보(VIN NO)를 수신하여 상기 대차번호와 데이터를 통합하여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저장 및 입,출력부를 통하여 검색 및 출력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A balance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one sensing plate configured at one side of the floor complete & floor respot process and differently configured at one side of the balance to output a signal;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balance detection unit and converts the detection signal to recognize the balance number, and the serial number information (SEQ NO) and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VIN NO)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equence from the production instruction system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integrating the balance number and the data to generate the balance usage history data, and periodically retrieving and outputting the balance usage data through the storage and input / output units.

상기한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생산 지시 시스템으로부터 생산서열에 따른 차체의 일련번호정보(SEQ NO)와 차대번호정보(VIN NO)를 수신하는 제1단계; 플로워 컴플리트(floor complete) & 플로워 리스폿(floor respot) 공정으로 대차 진입에 따른 대차상의 감지 플레이트를 대차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2진수의 대차 아이디 번호(대차 ID NO)로 수신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수신한 2진수의 대차 아이디 번호(대차 ID NO)를 다시 10진수의 대차번호(대차 NO)로 변환하여 대차번호를 인식하는 제3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수신한 차체의 일련번호정보(SEQ NO)와 차대번호정보(VIN NO)를 상기 대차번호와 함께, 데이터 통합 과정을 거쳐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생성된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저장하는 제5단계; 상기 각 단계에 이어, 외부 입력부를 통하여 검색 요청 신호가 있는가는 판단하여 검색 요청 신호가 있으면, 검색 및 그 결과를 출력하고, 검색 요청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2단계로 리턴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first step of receiving serial number information (SEQ NO) and chassis number information (VIN NO) of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 production sequence from a production instruction system; It is a floor complete & floor respot process that detects the detection plate on the balance according to the balance entering through the balance detector and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as the balance ID number (balance ID NO) in binary. Step 2; A third step of recognizing the balance number by converting the balance ID number (balance ID NO) of the binary number received in the second step into a balance number (balance NO) of the decimal number again; A fourth step of generating balance usage history data through a data integration process, together with the balance number, the serial number information (SEQ NO) and the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VIN NO) received in the first step; A fifth step of periodically storing the balance usage history data generated in the fourth step; After each of the above step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search request signal through the external input unit, and if there is a search request signal, the search and the result are output. If there is no search request signal, the sixth step returned to the second step is performed. Inclu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ferr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상태의 차체공장의 자동화 공정의 시스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 상의 대차 감지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로써,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체공장(BF)의 자동화 공정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플로워 컴플리트(floor complete) & 플로워 리스폿(floor respot) 공정(P1)을 두어, 대차(1) 상에 가용접된 플로워 패널(3)이 투입되어 2차 스폿 용접을 통하여 차체 플로워 파트를 완성하게 되며, 이렇게 완성된 차체 플로워 파트는 대차(1)를 통하여 다음공정인 차체 빌드(body build) 공정(P2)으로 진입하게 된다.2 is a system diagram of an automated process of a vehicle body factory in a state where a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lance detection unit on a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n automated process of a vehicle body factory (BF)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first performed as a floor complete. ) And floor respot process (P1), the floor panel 3 welded on the trolley 1 is introduced to complete the body floor part through the secondary spot welding. The body floor part enters the body build process P2 which is the next process through the trolley 1.

상기 차체 빌드(body build) 공정(P2)으로 진입된 차체의 플로워 파트상에는 양측 사이드 패널과 루프 패널 및 양측 휀더 등의 차체파트들이 조립되어 가용접되며, 다음공정인 차체 리스폿(body respot) 공정(P3)에서, 2차 용접에 의해 차체파트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Body parts such as both side panels, roof panels, and both side fenders are assembled and welded on the floor parts of the vehicle body entered into the body build process (P2), and the next process, the body respot process. At P3, assembly of the vehicle body part is completed by secondary welding.

이와 같이, 차체 리스폿 공정(P3)을 통하여 조립이 완성된 차체파트는 상기 대차(1)를 통하여 다시, 차대번호(VIN NO; 혹은 자동차 등록번호) 타각 공정(P4)으로 이송되어 차대번호를 타각한 후, 상기 대차(1)와 분리된 상태로, 상기 대차(1)는 리턴되어 상기 플로워 컴플리트(floor complete) & 플로워 리스폿(floor respot) 공정(P1)에서 다시 사용되며, 상기 차체(5)는 오버헤드 행거(미도시)에 의해 이송되어 도어, 트렁크 리드, 후드 등의 무빙파트를 장착한 후, 불량차체를 검사하는 무빙파트 장착 및 검사 공정(P5)을 거쳐 다음공장인 도장공장(PF) 및 의장공장(TF)으로 이송하도록 이루어진다.In this way, the body parts completed assembly through the vehicle body spot process (P3) is transferred to the vehicle chassis number (VIN NO; or vehicle registration number) rudder process (P4) again through the cart (1) to obtain the chassis number After rudder, in the state separated from the trolley 1, the trolley 1 is returned and used again in the floor complete & floor respot process P1, and the vehicle body ( 5) is transported by an overhead hanger (not shown) to mount moving parts such as doors, trunk lids, hoods, etc., and then moves to the next factory through a moving part installation and inspection process (P5) for inspecting defective bodies. (PF) and design factory (TF).

이러한 구성의 차체공장(BF)의 자동화 공정에서, 본 발명은 상기 플로워 컴플리트(floor complete) & 플로워 리스폿(floor respot) 공정(P1)의 일측에 대차 감지부(7)가 구성되어 상기 대차(1)의 일측에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플레이트(9)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대차 감지부(7)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감지신호를 변환하여 대차번호로 인식하고, 생산 지시 시스템(11)으로부터 생산서열에 따른 차체의 일련번호정보(SEQ NO)와 차대번호정보(VIN NO)를 수신하여 상기 대차번호와 데이터를 통합하여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저장 및 입력부(13) 및 출력부(15)를 통하여 검색 및 출력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automated process of the body shop BF of such a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ance detection unit 7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floor complete & floor respot process P1, and the balance ( 1) detects at least one or more sensing plates 9 configured differently on one side and outputs a signal thereof, and receives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balance sensing unit 7 to convert the sensing signal to the balance number. Receive the serial number information (SEQ NO) and chassis number information (VIN NO)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equence from the production instruction system 11 to integrate the balance number and data to generate the balance usage history data It includes a control unit 17 for controlling the search and output through the storage and input unit 13 and the output unit 15 periodically.

상기 감지 플레이트(9)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대차(1) 상의 일측에, 5개의 장착 위치(t1,t2,t3,t4,t5)를 갖는 지지판(19)을 통하여 대차(1)마다 서로 다른 장착 위치나 혹은 개수로 장착되는데, 도 3에서는 상기 "t2","t5"의 장착 위치에 하나씩의 감지 플레이트(9)를 장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ensing plate 9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olley 1 through a support plate 19 having five mounting positions t1, t2, t3, t4 and t5. Each of (1) is mounted in different mounting positions or numbers, and FIG. 3 shows an example in which one sensing plate 9 is mounted at the mounting positions of "t2" and "t5".

그리고 상기 대차 감지부(7)는 상기 각 대차(1) 상의 일측에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감지 플레이트(9)를 각각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17)로 출력하도록 상기 지지판(19)의 각 장착 위치(t1,t2,t3,t4,t5)에 대응하는 5개의 근접센서(21)로 이루어진다. And the balance detection unit 7 is mounted on each of the support plate 19 to detect the detection plate (9) configured differently on one side on each balance (1) and output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7) It consists of five proximity sensors 21 corresponding to positions t1, t2, t3, t4, t5.

그리고 상기 제어부(17)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차 감지부(7)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2진수의 대차 아이디 번호(대차 ID NO)로 수신하고, 이를 다시 10진수의 대차번호(대차 NO)로 변환하여 이를 인식하는 신호 변환부(23)와, 차체공장(BF)의 생산 지시 시스템(11)으로부터 생산서열에 따른 차체의 일련번호정보(SEQ NO)와 차대번호정보(VIN NO)를 수신하여 상기 대차번호(대차 NO)와 함께, 데이터를 통합하여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통합부(25), 및 상기 데이터 통합부(25)에서 생성된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를 이를 주기적으로 저장하고, 외부 입렵부(13) 및 출력부(15)를 통하여 대차 사용 이력을 검색 및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대차 품질 관리부(27)로 구분된다. And the controller 17, as shown in Figure 4,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balance detector 7 as the balance ID number (bogie ID NO) of the binary number, it is again the decimal balance The serial number information (SEQ NO) and the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SEQ NO)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equence from the signal conversion unit 23 and the production instruction system 11 of the vehicle body factory (BF) to convert the number (balance NO) and recognize it; VIN NO) and the balance number (balance NO), the data integration unit 25 for integrating the data to generate the balance usage history data, and the balance usage history data generated by the data integration unit 25 It is divided into a balance quality control unit 27 which periodically stores this, and controls to retrieve and output the balance usage history through the external trapping unit 13 and the output unit 15.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을 제어하여 차체공장에서의 대차별 이송 차체의 이력을 대차 사용 이력으로 관리하기 위한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 5에서 도시한 흐름도를 통하여 살펴보면, 먼저, 상기 차체공장(BF)의 생산 지시 시스템(11)으로부터 생산서열에 따른 차체(5)의 일련번호정보(SEQ NO)와 차대번호정보(VIN NO)를 수신한다.(S10) Accordingly,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the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for controlling the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o manage the history of the transfer vehicle body for each balance in the body shop as the balance usage history, is shown in FIG. Looking through, first, serial number information (SEQ NO) and chassis number information (VIN NO) of the vehicle body 5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equence is received from the production instruction system 11 of the vehicle body factory (BF). )

이어서, 상기 플로워 컴플리트(floor complete) & 플로워 리스폿(floor respot) 공정(P1)으로 대차(1)가 진입하면, 이에 따른 대차(1)상의 감지 플레이트(9)를 상기 5개의 근접센서(21)를 통하여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2진수의 대차 아이디 번호(대차 ID NO, 상기 예에 따르면; 01001)로 수신한다.(S20)Subsequently, when the trolley 1 enters into the floor complete & floor respot process P1, the sensing plates 9 on the trolley 1 are moved to the five proximity sensors 21. And detects the detected signal as a binary ID number (balance ID NO, according to the above example; 01001) in binary (S20).

이 때, 대차 아이디 번호(01001)는, 상기 5개의 근접센서(21) 중에서, 감지 플레이트(9)를 감지한 근접센서(21)가 2진수 "1"의 신호를 출력하고, 감지 플레이트를 감지하지 못한 근접센서(21)가 2진수 "0"의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5개의 근접센서(21)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신호에 따른 "1"과 "0"의 배열을 각 자리수 (예;(01001)2)로 하여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balance ID number (01001), the proximity sensor 21 of the five proximity sensors 21, the sensing plate 9 detects the output of the binary "1" signal, and detects the sensing plate Failed proximity sensor 21 outputs a binary "0" signal to the array of "1" and "0" according to each signal output from the five proximity sensor 21 each digit (eg; ( 01001) 2 ).

이러한 2진수의 대차 아이디 번호(대차 ID NO)로 이루어지는 감지신호는 제어기(17)내의 신호 변환부(23)에서, 다시 10진수의 대차번호(대차 NO, 예; (01001)2=9)로 변환하여 대차번호(대차 NO = 9)를 인식하게 되며,(S30) 동시에, 제어부(17) 내의 데이터 통합부(25)에서, 상기 차체의 일련번호정보(SEQ NO)와 차대번호정보(VIN NO)를 상기 대차번호(대차 NO)와 함께, 데이터 통합과정을 거쳐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S40)The detection signal consisting of such a balance ID number (balance ID NO) of the binary number is returned to the balance number of the decimal number (balance NO, eg; (01001) 2 = 9) by the signal conversion unit 23 in the controller 17. By converting, the balance number (balance NO = 9) is recognized (S30). At the same time, the data integrating unit 25 in the control unit 17, the serial number information (SEQ NO) and the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VIN NO) of the vehicle body. ) Together with the balance number (balance NO), through the data integration process to generate the balance usage history data (S40).

여기서, 상기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대차의 투입 날짜시간정보와 해당 대차번호 및 전체 차대번호 정보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6, the balance usage history data includes input date time information of the balance, the balance number, and the total balance number information.

이렇게 생성된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는 제어부(17) 내의 대차 풀질 관리부(27)에 주기적으로 저장되며,(S50) 상기 단계(S50)에 이어, 외부 입력부(13)를 통하여 검색 요청 신호가 있는가는 판단하여 검색 요청 신호가 있으면, 검색 및 그 결과를 출력부(15)를 통하여 출력하고, 검색 요청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S20)로 리턴된다.(S60)The balance usage history data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periodically stored in the balance pool management unit 27 in the controller 17 (S50). Following step S5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search request signal through the external input unit 13. If there is a search request signal, the search and the result ar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5, and if there is no search request signal,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ep S20.

상기에서 검색 요청 신호는 입력부(13)를 통하여 불량차체의 차대번호(VIN NO) 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The search request signal may be defined as inputting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VIN NO) information of the defective vehicle through the input unit 13.

즉, 지그나 기타 장비가 파손 또는 고장난 불량대차를 이용하여 차체를 이송하는 경우에는 최초 플로워 컴플리트(floor complete) & 플로워 리스폿(floor respot) 공정(P1)에서부터 플로워 패널(3)이 상기 불량대차 상에 틀어진 상태로 안착되거나 완전히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각 공정으로 이송됨으로, 상기 대차(1) 상의 플로워 패널(3)에 뒤틀림이 발생하거나 고정되지 않음에 따른 흔들림 발생으로 차체 빌드(body build) 공정(P2)에서 각 파트들이 뒤틀린 상태 그대로 용접되어 용접 불량이 발생하게 되며, 차체(5)가 뒤틀려 있어, 무빙파트 장착 및 검사 공정(P5)에서 각 파트의 정도가 일치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나타내게 된다.That is, when the vehicle body is transported by using a defective bogie in which a jig or other equipment is broken or broken, the floor panel 3 starts from the first floor complete & floor respot process P1. The body build process is caused by distortion caused by distortion or not being fixed to the floor panel 3 on the trolley 1 as it is transported to each process in a state of being settled or not completely fixed. In P2, each part is welded as it is in a warped state, and a welding defect occurs, and the vehicle body 5 is distorted, thereby showing a problem such that the degree of each part does not coincide in the moving part mounting and inspection process P5. do.

이 때, 상기 무빙파트 장착 및 검사 공정(P5)에서, 작업자가 불량대차에 의한 불량차체의 차대번호(VIN NO)를 입력부(13)를 통하여 검색한 후, 이를 출력부(15)를 통하여 출력하면, 도 7에서와 같은 검색 테이블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in the moving part mounting and inspection process (P5), the operator retrieves the vehicle body number (VIN NO) of the defective vehicle body due to the poor loan through the input unit 13, and then output it through the output unit 15 In this case, the search table as shown in FIG. 7 can be secured.

즉, 상기 검색 테이블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불량차체의 차대번호(VIN NO)가 KNEBA24323D390146 인 경우, 상기 불량차체를 이송한 불량대차의 대차번호가 3번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후 공정에서 상기 불량대차에 의해 이송된 차체의 차대번호는 각각 2003년 09월23일 12시 32분의 KNEBA24323D390121과 2003년 09월23일 09시 00분의 KNEBA24323D390127임을 확인할 수 있어, 모든 공정에서의 불량차체를 점검 및 수리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신속하게 그 정보를 제공해주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search table, when the vehicle vehicle number (VIN NO) of the defective vehicle body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is KNEBA24323D390146,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alance number of the defective vehicle which transported the defective vehicle body is 3 times. The chassis numbers of the bodies transferred by the defective bogie are KNEBA24323D390121 at 12:32 on September 23, 2003 and KNEBA24323D390127 at 09:09 on September 23, 2003, respectively. It will provide the information quickly so that you can take action such as repair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차체공장에서의 대차별 이송 차체의 이력을 대차 사용 이력으로 관리하여 무빙파트 장착 및 검사 공정에서의 불량차체 정보를 이용하여 불량대차 및 그 불량대차가 적용된 차체를 신속하게 검출하여 사전에 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후 라인에서의 불량률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managing the history of the transport vehicle body for each balance in the body shop as the balance usage history to use the bad body information in the moving parts mounting and inspection process Therefore, by quickly detecting the bad loan and the vehicle body to which the bad loan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fective rate in the subsequent line.

또한, 불량 생산차 발생률을 낮추어 고객 신뢰도를 높이며, 불량차체 방지로 인한 제조 원가를 절감 및 생상라인의 가동률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lowers the incidence of defective production cars, increases customer reliability, and is effective in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due to preventing defective bodies and improving the utilization rate of the production line.

도 1은 일반적인 차체공장의 자동화 공정의 시스템도이다. 1 is a system diagram of an automated process of a typical car body factor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상태의 차체공장의 자동화 공정의 시스템도이다.2 is a system diagram of an automated process of a body shop in a state where a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 상의 대차 감지부의 구성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balance detection unit on the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른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의 개념도이다.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alance usage history data according to a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한 검색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ook-up table according to the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대차 상에 가용접된 플로워 패널이 투입되어 2차 스폿 용접을 통하여 차체 플로워 파트를 완성하는 플로워 컴플리트(floor complete) & 플로워 리스폿(floor respot) 공정; 완성된 차체 플로워 파트상에 양측 사이드 패널과 루프 패널 및 양측 휀더 등의 차체파트들이 조립되어 가용접하는 차체 빌드(body build) 공정; 2차 용접에 의해 상기 차체파트의 조립을 완료하는 차체 리스폿(body respot) 공정; 상기 완성된 차체파트에 차대번호를 타각하는 차대번호 타각 공정; 및 오버헤드 행거에 의해 이송되는 차체 상에 도어, 트렁크 리드, 후드 등의 무빙파트를 장착한 후, 불량차체를 검사하는 무빙파트 장착 및 검사 공정을 포함하는 차체공장의 자동화 공정상에서,A floor complete & floor respot process in which a floor panel welded on a trolley is input to complete a body floor part through secondary spot welding; A body build process in which body parts such as both side panels, roof panels, and both side fenders are assembled and welded on the completed body floor part; A body respot process of completing the assembly of the vehicle body part by secondary welding; A chassis number barning step of striking a chassis number to the completed vehicle body part; And moving parts, such as doors, trunk lids, and hood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carried by the overhead hanger, and then moving parts mounted and inspected to inspect the defective vehicle body. 상기 플로워 컴플리트(floor complete) & 플로워 리스폿(floor respot) 공정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대차의 일측에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플레이트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대차 감지부;A balance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one sensing plate configured at one side of the floor complete & floor respot process and differently configured at one side of the balance to output a signal; 상기 대차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감지신호를 변환하여 대차번호로 인식하고, 생산 지시 시스템으로부터 생산서열에 따른 차체의 일련번호정보(SEQ NO)와 차대번호정보(VIN NO)를 수신하여 상기 대차번호와 데이터를 통합하여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저장 및 입,출력부를 통하여 검색 및 출력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balance detection unit and converts the detection signal to recognize the balance number, and the serial number information (SEQ NO) and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VIN NO)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equence from the production instruction system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integrating the balance number and data to generate balance usage history data, and periodically retrieving and outputting the balance usage data through the storage and input / output unit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 플레이트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plate 상기 각 대차 상의 일측에, 다수개의 장착 위치를 갖는 지지판을 통하여 대차마다 서로 다른 장착 위치 혹은 개수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n one side of each balance, through the suppor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positions are mounted in different mounting positions or number for each tru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차 감지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lance detecting unit 상기 각 대차 상의 일측에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감지 플레이트를 각각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다수개의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for sensing each sensing plate configured differently on one side of each balance and outpu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대차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2진수의 대차 아이디 번호로 수신하고, 이를 다시 10진수의 대차번호로 변환하여 이를 인식하는 신호 변환부;A signal conversion unit for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balance detection unit as a balance ID number in binary, converting it back to a balance number in decimal, and recognizing it; 생산 지시 시스템으로부터 생산서열에 따른 차체의 일련번호정보(SEQ NO)와 차대번호정보(VIN NO)를 수신하여 상기 대차번호와 함께, 데이터를 통합하여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통합부;A data integrator configured to receive serial number information (SEQ NO) and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VIN NO) of a vehicle according to a production sequence from a production instruction system, and integrate the data with the balance number to generate a balance usage history data; 상기 테이터 통합부에서 생성된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를 이를 주기적으로 저장하고, 입,출력부를 통하여 대차 사용 이력을 검색 및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대차품질 관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And a balance quality management unit which periodically stores the balance usage history data generated by the data integrating unit and controls to retrieve and output the balance usage history through the input and output units. 플로워 컴플리트(floor complete) & 플로워 리스폿(floor respot) 공정, 차체 빌드(body build) 공정, 차체 리스폿(body respot) 공정, 차대번호 타각 공정; 및 무빙파트 장착 및 검사 공정을 포함하는 차체공장의 자동화 공정 상에서, 상기 플로워 컴플리트(floor complete) & 플로워 리스폿(floor respot) 공정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대차의 일측에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플레이트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대차 감지부와; 상기 대차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감지신호를 변환하여 대차번호로 인식하고, 생산 지시 시스템으로부터 생산서열에 따른 차체의 일련번호정보(SEQ NO)와 차대번호정보(VIN NO)를 수신하여 상기 대차번호와 데이터를 통합하여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저장 및 입,출력부를 통하여 검색 및 출력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Floor complete & floor respot processes, body build processes, body respot processes, chassis number rudder processes; And at least one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floor complete & floor respot process on an automated process of a body shop including a moving part mounting and inspection process. A balance detection unit for sensing a detection plate and outputting a signal thereof;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balance detection unit and converts the detection signal to recognize the balance number, and the serial number information (SEQ NO) and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VIN NO)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equence from the production instruction system Th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integrating the balance number and data to generate balance usage history data, and periodically retrieving and outputting the balance usage history data. In the control method, 생산 지시 시스템으로부터 생산서열에 따른 차체의 일련번호정보(SEQ NO)와 차대번호정보(VIN NO)를 수신하는 제1단계;A first step of receiving serial number information (SEQ NO) and chassis number information (VIN NO)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equence from the production instruction system; 플로워 컴플리트(floor complete) & 플로워 리스폿(floor respot) 공정으로 대차 진입에 따른 대차상의 감지 플레이트를 대차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2진수의 대차 아이디 번호(대차 ID NO)로 수신하는 제2단계;It is a floor complete & floor respot process that detects the detection plate on the balance according to the balance entering through the balance detector and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as the balance ID number (balance ID NO) in binary. Step 2; 상기 제2단계에서 수신한 2진수의 대차 아이디 번호(대차 ID NO)를 다시 10진수의 대차번호(대차 NO)로 변환하여 대차번호를 인식하는 제3단계;A third step of recognizing the balance number by converting the balance ID number (balance ID NO) of the binary number received in the second step into a balance number (balance NO) of the decimal number again; 상기 제1단계에서 수신한 차체의 일련번호정보(SEQ NO)와 차대번호정보(VIN NO)를 상기 대차번호와 함께, 데이터 통합과정을 거쳐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단계;A fourth step of generating balance usage history data through the data integration process, together with the balance number, the serial number information (SEQ NO) and the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VIN NO) received in the first step; 상기 제4단계에서 생성된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저장하는 제5단계;A fifth step of periodically storing the balance usage history data generated in the fourth step; 상기 각 단계에 이어, 외부 입력부를 통하여 검색 요청 신호가 있는가는 판단하여 검색 요청 신호가 있으면, 검색 및 그 결과를 출력하고, 검색 요청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2단계로 리턴되는 제6단계;Following each step,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earch request signal through an external input unit, if there is a search request signal, outputting a search and its results, and returning to the second step if there is no search request sig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the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대차 사용 이력 데이터는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alance history data 해당 대차의 투입 날짜시간정보와 해당 대차번호 및 전체 차대번호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the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input date and time information of the balance and the balance number and the total vehicle number informa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검색 요청 신호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earch request signal is 불량차체의 차대번호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사용 이력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the balance u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the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bad body.
KR10-2003-0086650A 2003-12-02 2003-12-02 Working record management system of moving c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20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650A KR100520557B1 (en) 2003-12-02 2003-12-02 Working record management system of moving c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650A KR100520557B1 (en) 2003-12-02 2003-12-02 Working record management system of moving c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413A KR20050053413A (en) 2005-06-08
KR100520557B1 true KR100520557B1 (en) 2005-10-11

Family

ID=37249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650A KR100520557B1 (en) 2003-12-02 2003-12-02 Working record management system of moving c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5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508B1 (en) 2005-08-02 2006-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for marking number of vehicle bod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7804B2 (en) * 2015-01-15 2016-12-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otification system for a vehicle assembly process at an assembly plant and a method
KR101719311B1 (en) * 2015-12-09 2017-03-23 한국식품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 history tracking inform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508B1 (en) 2005-08-02 2006-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for marking number of vehicle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413A (en) 200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0329B2 (en) Fastening guarantee system for vehicle assembl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535769B1 (en)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processing equipment
KR1023599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inspection
US5341304A (en) Production process administration system
JPH02284853A (en) Control method for production line
JP7455765B2 (en) Quality monitoring of industrial processes
KR100520557B1 (en) Working record management system of moving c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SK882014A3 (en) The control system vehicle and method its control
JPH06155252A (en) Quality control system in article production process
CN111250944A (en) Assembly line tool test carrier and use method
JP2008287665A (en) Product history management system and product history management method
JP2001129730A (en) Zone inspection manufacturing line
CN112278113B (en) Method for producing a motor vehicle
KR102548456B1 (en) Real time welding quality measurement system
US20060020358A1 (en) Manufactur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240124079A1 (en) Method and system of automated vehicle body routing system employing predicted vehicle body imperfections and vision detection system
JP2009286508A (en) Article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and article assembling management system
CN116071041A (en) Locomotive wheel component overhauling method and overhauling system
CN116160232A (en) Locomotive wheel component assembly method
CN116512272B (en) Part processing supervis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S63297149A (en) Maintenance system for automobile
CN117666487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roduction process of a motor vehicle
JPH07108964A (en) Vehicle body assembling accuracy measur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JP3334390B2 (en) Production management device
JP2019209402A (en) Vehicle body assembly precision insp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