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081B1 - 확장 가능한 배터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시스템 - Google Patents
확장 가능한 배터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20081B1 KR100520081B1 KR10-2003-0063146A KR20030063146A KR100520081B1 KR 100520081 B1 KR100520081 B1 KR 100520081B1 KR 20030063146 A KR20030063146 A KR 20030063146A KR 100520081 B1 KR100520081 B1 KR 1005200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power
- battery device
- unit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저장부와, 상기 전원저장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전원저장부로부터의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갖는 배터리장치 및 상기 배터리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부가로 접속되는 부가 배터리장치의 부가출력단자와 접속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전원저장부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개재되어 전원경로를 단속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시스템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중인 배터리에 부가 배터리를 중첩적으로 추가 장착하여, 시스템으로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확장 가능한 배터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중인 배터리에 부가 배터리를 중첩적으로 추가 장착하여, 시스템으로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는 전자기기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전원을 저장하고 있는 전원저장부와, 상기 전원저장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전원저장부로부터의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가지며, 상기 출력단자가 상기 전자기기의 본체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저장부로부터 전원을 상기 전자기기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전자기기에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중에 상기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전자기기의 파워를 오프한 후 방전된 배터리를 제거하고 충전된 배터리를 장착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파워를 온하여 사용하거나, AC어댑터를 상기 전자기기에 장착한 후 상기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된 배터리로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중에 배터리를 교체할 경우에 발생하는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복수의 배터리들을 상기 전자기기에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는 복수의 배터리 중 어느 하나를 충, 방전할 때 이미 충, 방전된 타 배터리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시스템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중인 배터리에 부가 배터리를 중첩적으로 추가로 장착하여, 시스템으로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시스템에 복수의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 배터리의 충, 방전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배터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원저장부와, 상기 전원저장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전원저장부로부터의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갖는 배터리장치에 있어서, 부가되는 배터리장치의 출력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내부에서 상기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전원저장부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개재되어 전원경로를 단속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배터리장치의 하우징과 부가되는 배터리장치의 하우징은 상호 요철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원저장부의 전원잔량을 검출하는 잔량검출부와; 상기 마이컴이 상기 잔량검출부로부터 수신한 배터리잔량정보를 송신하기위한 송신단자와; 부가되는 배터리장치의 송신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송신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배터리장치의 출력단자가 접속되는 본체측연결단자를 가지는 전자기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체측연결단자에 결합되는 제3항에 따른 제1배터리장치와; 상기 제1배터리장치의 연결단자에 결합되는 출력단자를 갖는 제3항에 따른 제2배터리장치와; 상기 제1배터리장치의 송신단자와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장치의 각 마이컴으로부터 배터리정보를 수신하기위한 본체측수신단자와; 상기 배터리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시스템내부의 각 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수신된 배터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장치를 순차적으로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장치로부터의 전원경로를 단속하는 본체측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장치에 마련된 각 마이컴으로부터 수신된 각 배터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장치의 각 스위칭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각 마이컴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장치로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공급부와, AC어댑터로부터의 전원공급여부를 감지하는 전원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AC어댑터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된다고 판단된 경우, 방전을 중지하도록 상기 배터리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배터리장치로 충전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각 마이컴으로부터 수신된 각 배터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각 마이컴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 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복수의 배터리장치는 다양한 개수로 마련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나, 한 예로 이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배터리장치(20, 40)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본체(10)의 커넥터수용부(15)에 접속되어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한 쌍의 배터리장치(20, 40) 중 커넥터수용부(15)에 직접 접속된 배터리장치를 제1배터리장치(20)라 하고 제1배터리장치(20)에 직접 접속된 배터리장치를 제2배터리장치(40)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와 배터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시스템(100)은,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로부터 화상신호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LCD(1)를 갖는 디스플레이부(5)와, 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선형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배터리장치(20, 40)를 갖는다.
본체(10)는 본체(10)의 일영역에 마련되며 복수의 배터리장치(20, 40)로부터의 전원 및 배터리정보를 본체(10)의 내부로 전달하는 커넥터수용부(15)를 포함한다.
커넥터수용부(15)는 후술할 제1배터리장치(20)의 제1커넥터(25)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제1배터리장치(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제1하우징(22)을 가지며, 제1하우징(22)의 일측에는 커넥터수용부(15)에 직접 접속되어 배터리장치(20, 40) 내의 전원 및 배터리정보를 본체(10)로 전달하는 제1커넥터(25)가 마련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후술할 제2배터리장치(40)와의 연결을 위한 제1커넥터수용부(30)가 마련되어 있다.
제2배터리장치(40)는 제1배터리장치(20)와 동일한 배터리장치로서, 제2하우징(42)을 가지며, 제2하우징(42)의 일측에는 제1배터리장치(20)의 제1커넥터수용부(30)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커넥터(45)가 마련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제3배터리장치(미도시)와의 연결을 위한 제2커넥터수용부(5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제1커넥터수용부(30)와 제2커넥터수용부(50)는 본체(10)에 마련된 커넥터수용부(15)와 동일한 포트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시스템(100)은, 본체(10)와, 본체(10)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중첩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장치(20′ 40′)를 갖는다.
본체(10)의 배면에는 커넥터수용부(15′)와, 후술할 제1배터리장치(20′)의 제1결합돌기(26)에 대응하여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16)이 마련되어 있다.
제1배터리장치(20′)는 제1하우징(22′)을 포함하며, 제1하우징(22′)의 배면에는 커넥터수용부(15′)에 직접 접속되는 제1커넥터(25′)와 본체(10)와 착탈가능하게 요철결합하기위한 제1결합돌기(26)가 마련되어 있으며, 정면에는 후술할 제2배터리장치(40′)의 제2커넥터(45′)와 연결을 위한 제1커넥터수용부(30′)와 후술할 제2배터리장치(40′)의 제2결합돌기(46)에 대응하여 결합하기위한 제1결합홈(3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하우징(22′)의 양측면에는 제1하우징(22′)내부에서 제1결합돌기(26)와 연결되고 제1결합돌기(26)를 조작하여 본체(10)로부터 제1배터리장치(20′)를 결합해제시키기 위한 조작노브(23)가 마련되어 있다.
제2배터리장치(40′)는 제1배터리장치(20′)와 동일한 배터리장치로서, 제2하우징(42′)을 포함하며, 제2하우징(42′)의 배면에는 제1커넥터수용부(30′)에 직접 접속되는 제2커넥터(45′)와 제1배터리장치(20′)와 착탈가능하게 요철결합하기위한 제2결합돌기(46)가 마련되어 있으며, 정면에는 제3배터리장치(미도시)와 상호요철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홈(56)과, 제3커넥터(미도시)와 접속하기 위한 제2커넥터수용부(5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하우징(42′)의 양측면에는 제2하우징(42′)내부에서 제2결합돌기(46)와 연결되고 제2결합돌기(46)를 조작하여 제1배터리장치(20′)로부터 제2배터리장치(40′)를 결합해제시키기 위한 조작노브(43)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제1커넥터수용부(30′)와 제2커넥터수용부(50′)는 본체(10)에 마련된 커넥터수용부(15′)와 동일한 포트이고, 제1결합홈(36)과 제2결합홈(56)은 본체(10)에 마련된 결합홈(16)과 동일하다.
또한, 여기서 커넥터수용부(15, 15′)는 본체측연결단자(17)와 본체측수신단자(18)을 포함하며, 제1커넥터(25, 25′)는 제1송신단자(28)와 제1출력단자(27)을 포함하며, 제1커넥터수용부(30, 30′)는 제1수신단자(38)와 제1연결단자(37)을 포함하며, 제2커넥터(45, 45′)는 제2송신단자(48)와 제2출력단자(47)을 포함하며, 제2커넥터수용부(50, 50′)는 제2수신단자(58)와 제2연결단자(57)을 포함한다(도 7참조).
도 5는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시스템(100′)은 본체(10′)의 상측에 덮개(5′)가 복개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고, 후면에는 충, 방전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배터리창치(20˝,4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체(10′)의 후면의 일영역에는 복수의 배터리장치(20˝,40˝)로부터의 전원을 본체(10′) 내부로 전달하기위한 본체측연결단자(17)와, 배터리정보를 수신하기위한 본체측수신단자(1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의 후면 상단부에는 후술할 제1배터리장치(20˝)의 제1돌기부(26′)에 대응하여 결합하기위한 결합홈(16′)이 마련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후술할 제1배터리장치(20˝)의 제1걸림돌기(미도시)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제1배터리장치(20˝)는 제1하우징(22˝)을 포함하며, 제1하우징(22˝)의 배면에는 본체측연결단자(17)에 직접 연결되는 제1출력단자(미도시)와 본체측수신단자(18)에 직접 접속되는 제1송신단자(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10′)와 상호요철결합하기위해 상단부에는 스프링력에 의하여 결합홈(16′)에 삽,탈가능하도록 탄지되는 제1돌기부(26′)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의 양측에는 제1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하우징(22˝)의 정면에는 후술할 제2배터리장치(40˝)의 제2출력단자(47)와 연결되기 위한 제1연결단자(37)와 후술할 제2배터리장치(40˝)의 제2송신단자(48)에 접속되기 위한 제1수신단자(38)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하우징(22˝)내부에서 제1돌기부(26′)와 연결되고 제1돌기부(26′)를 조작하여 본체(10′)로부터 제1배터리장치(20˝)를 결합해제 시키기 위한 조작노브(23′)와, 후술할 제2배터리장치(40˝)의 제2돌기부(46′)와 제2걸림돌기(44)와 대응하여 결합하기위한 제1결합홈(36′)과 제1걸림홈(34)이 마련되어 있다.
제2배터리장치(40˝)는 제1배터리장치(20˝)와 동일한 배터리장치로서, 제2하우징(42˝)을 포함하며, 제2하우징(42˝)의 배면에는 제2출력단자(47)와 제2송신단자(48)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배터리장치(20˝)와 상호요철결합하기위해 상단부에는 제2돌기부(46′)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 양측에는 제2걸림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하우징(42˝)의 정면에는 제3배터리장치(미도시)의 배면과 착탈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해 제2결합홈(56′)과 제2걸림홈(54)이 마련되며, 제2돌기부(46′)를 조작하여 제1배터리장치(20˝)으로부터 제2배터리장치(40˝)를 결합해제시키기 위한 조작노브(43′)가 마련되며, 제3배터리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과 배터리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제2연결단자(57)와, 제2수신단자(58)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시스템에 있어서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배터리장치(20, 40)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하나씩 순차적으로 이탈할 수 있음에 따라,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 시스템의 파워를 온, 오프하는 일없이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뛰어난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기기시스템은 본체(10)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장치(20, 4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배터리장치(20, 40)로부터의 전원을 본체(10)내부로 공급하기위한 본체측연결단자(17)와, 배터리장치(20, 40)로부터 배터리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본체측수신단자(18)와, 중앙처리장치 및 각종 칩셋들로 구성된 시스템유닛(13)과, AC어댑터(60)와 배터리장치(20, 4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본체(10)내부의 각 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와, 배터리장치(20, 40)로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공급부(8)와, AC어댑터(60)로부터의 전원공급여부를 감지하는 전원감지부(11)와, 배터리장치(20, 40)로부터의 전원경로를 단속하는 본체측스위칭부(4)와, 본체측스위칭부(4)을 제어하며 배터리장치(20, 40)로부터 수신된 배터리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장치(20, 40)를 충, 방전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를 포함한다.
충전공급부(8)는 배터리장치(20, 40)를 충전하는 경우, 배터리장치(20, 40)로 충전 전류 및 충전전압을 제공한다.
본체측연결단자(17)는 배터리장치(20, 40)로부터의 전원을 본체(10)의 내부의 전원공급부(6)로 전달하고 배터리장치(20, 40)를 충전할 경우 충전공급부(8)로부터의 충전전원을 배터리장치(20, 40)로 전달하기위해 제1출력단자(27)에 연결된다.
본체측수신단자(18)는 배터리장치(20, 40)로부터 배터리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2)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마이컴(21, 41)으로 송신하기 위해 제1배터리장치(20)의 제1송신단자(28)에 접속된다.
전원감지부(11)는 AC어댑터(60)가 본체(10)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2)에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측스위칭부(4)는 배터리장치(20, 40)의 충, 방전동작시의 전원경로를 온, 오프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2)는 본체측수신단자(18)를 통해 수신된 배터리장치(20, 40)의 배터리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배터리장치(20, 40)를 하나씩 충, 방전하도록 마이컴(21, 41)을 제어하며, 전원감지부(11)로부터 인가받은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AC어댑터(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고 판단될 때 배터리장치(20, 40)로 충전전원을 공급하도록 충전공급부(8)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는 배터리장치(20, 40)의 충, 방전동작시의 전원경로를 온, 오프하도록 본체측스위칭부(4)를 제어한다.
제1배터리장치(20)는 전원이 충, 방전되는 전원저장부(31)와, 전원저장부로(31, 51)부터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1출력단자(27)와, 제2배터리장치(40)의 제2출력단자(47)가 접속되는 제1연결단자(37)와, 전원경로를 단속하는 제1스위칭부(29)와, 전원저장부(31)의 전원잔량을 검출하는 잔량검출부(39)와, 배터리정보를 본체(10)로 송신하기위한 제1송신단자(28)와, 제2배터리장치(40)의 제2송신단자(48)가 접속되는 제1수신단자(38)와, 배터리정보를 본체(10)으로 송신하고, 스위칭부(29)를 제어하는 제1마이컴(21)을 포함한다.
제1출력단자(27)는 전원저장부(31, 51)로부터의 전원을 전원공급부(6)로 공급하고, 충전공급부(8)로부터 충전전원을 전원저장부(31, 51)로 공급하기위해 본체측연결단자(17)에 연결된다.
제1연결단자(37)는 제2배터리장치(40)로부터의 전원을 본체(10)로 전달하고 제2배터리장치(40)을 충전할 경우 충전공급부(8)로부터의 충전전원을 제2배터리장치(40)로 전달하기위해 제2출력단자(47)와 접속되며 제1출력단자(27)와 전기적으로 전원경로가 연결되어 있다.
제1스위칭부(29)는 전원저장부(31)와 제1출력단자(27) 사이에 개재되어 전원의 충, 방전 전원경로를 온, 오프동작한다.
잔량검출부(39)는 전원저장부(31)의 배터리전원의 잔량정도를 감지하여 배터리잔량정보신호를 발생하여 제1마이컴(21)에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제1송신단자(28)는 배터리장치(20, 40)의 마이컴(21, 41)으로부터 배터리정보를 제어부(2)로 송신하고 제어부(2)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마이컴(21, 41)으로 전달하기 위해 본체측수신단자(18)에 접속된다.
제1수신단자(38)는 제2배터리장치(40)의 마이컴(41)으로부터 배터리정보를 본체(10)로 송신하고, 제어부(2)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제2배터리장치(40)로 전달하기위해 제2송신단자(48)와 접속되며 제1송신단자(28)와 통신라인이 연결되어 있다.
제1마이컴(21)은 잔량검출부(39)로부터 수신한 배터리잔량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정보를 통신라인을 통해 제어부(2)로 송신하고, 제어부(2)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1스위칭부(29)를 온, 오프하도록 제어한다.
제2배터리장치(40)는 제1배터리장치(20)과 동일한 배터리장치로서, 전원저장부(51)와, 제2출력단자(47)와, 제2스위칭부(49)와, 잔량검출부(59)와, 제2송신단자(48)와, 제3배터리장치가 추가 장착되는 경우 제3배터리장치(미도시)의 제3출력단자(미도시)가 접속되는 제2연결단자(57)와, 제3배터리장치(미도시)의 제3송신단자(미도시)가 접속되는 제2수신단자(58)와, 잔량검출부(59)로부터 수신한 배터리정보를 본체(10)로 송신하고, 제2스위칭부(49)를 제어하는 제2마이컴(41)을 포함한다.
제2출력단자(47)는 전원저장부(51)로부터의 전원을 전원공급부(6)로 공급하고, 충전공급부(8)로부터 충전전원을 전원저장부(51)로 공급하기위해 제1연결단자(37)에 연결된다.
제2연결단자(57)는 제3배터리장치가 추가로 장착된 경우, 제3배터리장치(미도시)로부터의 전원을 본체(10)로 전달하고, 제3배터리장치(미도시)를 충전할 경우 충전공급부(8)로부터의 충전전원을 제3배터리장치(미도시)로 전달하기위해 제3출력단자(미도시)와 접속되며 제2출력단자(47)와 전기적으로 전원경로가 연결되어 있다.
제2스위칭부(49)는 전원저장부(51)와 제2출력단자(47) 사이에 개재되어 충, 방전 전원경로를 온, 오프동작한다.
잔량검출부(59)는 전원저장부(51)의 배터리전원의 잔량정도를 감지하여 배터리잔량정보신호를 발생하여 제2마이컴(41)에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제2송신단자(48)는 제2배터리장치(40)의 제2마이컴(41)으로부터 배터리정보를 본체(10)로 송신하고, 제어부(2)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2마이컴(41)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1수신단자(38)에 접속된다.
제2수신단자(58)는 제3배터리장치가 추가로 장착된 경우, 제3배터리장치(미도시)로부터 배터리정보를 본체(10)로 송신하고, 제어부(2)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제3배터리장치(미도시)로 전달하기위해 제3송신단자(미도시)와 접속되며 제2송신단자(48)와 통신라인이 연결되어 있다.
제2마이컴(41)은 잔량검출부(59)로부터 수신한 배터리잔량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정보를 통신라인을 통해 제어부(2)로 송신하고 제어부(2)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2스위칭부(49)를 온, 오프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른 전자기기시스템(100)의 제어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에 제1배터리장치(20)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중에 제2배터리장치(40)를 중첩적으로 추가 장착한다. 이때 제어부(2)는 통신라인을 통해 마이컴(31, 41)으로부터 각각의 배터리장치(20, 40)의 배터리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하나씩 방전하도록 각 마이컴(31, 41)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가 마이컴(31, 41)로부터 수신한 배터리정보를 통해 제2배터리장치(40)의 전원잔량이 제1배터리장치(20)의 잔량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제1스위칭부(29)를 오프시키도록 제1마이컴(31)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제2스위칭부(49)를 온시키도록 제2마이컴(41)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여기서, 제어부(2)는 전원감지부(11)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AC어댑터(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장치(21, 40)로 충전전원을 공급하도록 충전공급부(8)을 제어하며, 마이컴(31, 41)으로부터 수신된 각 배터리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하나씩 충전하도록 각 마이컴(31, 41)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에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중에 부가 배터리를 중첩적으로 추가로 장착하여, 배터리를 교체하기위해 시스템의 파워를 온, 오프하는 일없이 시스템으로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시스템에 복수의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 배터리의 충, 방전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배터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와 배터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와 배터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시스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와 배터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용 컴퓨터시스템 10 : 본체
20 : 제1배터리장치 40 : 제2배터리장치
2 : 제어부 4 : 본체측스위칭부
6 : 전원공급부 8 : 충전공급부
11 : 전원감지부 13 : 시스템유닛
17 : 본체측연결단자 18 : 본체측수신단자
21, 41 : 제1, 제2마이컴 27, 47 : 제1, 제2출력단자
28, 48 : 제1, 제2송신단자 29, 49 : 제1, 제2스위칭부
31, 51 : 전원저장부 39, 59, 잔량검출부
37, 57 : 제1, 제2연결단자 38, 58 : 제1, 제2수신단자
Claims (10)
- 전원저장부와, 상기 전원저장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전원저장부로부터의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갖는 배터리장치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부가로 접속되는 부가 배터리장치의 부가출력단자와 접속되는 연결단자와;상기 전원저장부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개재되어 전원경로를 단속하는 스위칭부와;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전원저장부의 전원잔량을 검출하는 잔량검출부와;상기 마이컴이 상기 잔량검출부로부터 수신한 배터리잔량정보를 송신하기위한 송신단자와;부가되는 부가 배터리장치의 부가송신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송신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장치.
- 배터리장치의 출력단자가 접속되는 본체측연결단자를 가지는 전자기기시스템에 있어서,상기 본체측연결단자에 결합되는 제3항에 따른 제1배터리장치와;상기 제1배터리장치의 연결단자에 결합되는 출력단자를 갖는 제3항에 따른 제2배터리장치와;상기 제1배터리장치의 송신단자와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장치의 각 마이컴으로부터 배터리정보를 수신하기위한 본체측수신단자와;상기 배터리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시스템내부의 각 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수신된 배터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장치를 순차적으로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시스템.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배터리장치로부터의 전원경로를 단속하는 본체측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시스템.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복수의 배터리장치에 마련된 각 마이컴으로부터 수신된 각 배터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장치의 각 스위칭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각 마이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시스템.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배터리장치로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공급부와, AC어댑터로부터의 전원공급여부를 감지하는 전원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시스템.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전원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AC어댑터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된다고 판단된 경우, 방전을 중지하도록 상기 배터리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배터리장치로 충전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시스템.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각 마이컴으로부터 수신된 각 배터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각 마이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시스템.
- 제 4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제1배터리장치의 하우징과 상기 제2배터리장치의 하우징은 상호 요철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3146A KR100520081B1 (ko) | 2003-09-09 | 2003-09-09 | 확장 가능한 배터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3146A KR100520081B1 (ko) | 2003-09-09 | 2003-09-09 | 확장 가능한 배터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6168A KR20050026168A (ko) | 2005-03-15 |
KR100520081B1 true KR100520081B1 (ko) | 2005-10-11 |
Family
ID=3738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63146A KR100520081B1 (ko) | 2003-09-09 | 2003-09-09 | 확장 가능한 배터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2008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2101800A1 (de) * | 2012-03-02 | 2013-09-05 | ropa development GmbH | Versorgungsnetzkomponente für ein Versorgungsnetz |
KR20180037409A (ko) * | 2016-10-04 | 2018-04-12 | (주)쥬비트 | 조립식 블록구조를 갖는 확장형 보조배터리 |
-
2003
- 2003-09-09 KR KR10-2003-0063146A patent/KR10052008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6168A (ko) | 2005-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07104B2 (en) | Battery powered charger | |
KR100451054B1 (ko) | 보조배터리를 가지는 벨트 클립 홀더 | |
US5629602A (en) |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ith attachment for supplying power and charging battery | |
US5347163A (en) | Power supply backup device for use i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 |
NO312270B1 (no) | Kraftforsyningssystem, spesielt for pluggbare moduler | |
KR970024430A (ko) | 다중 배터리 설비를 방전 및 충전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charging and Charging a Multiple Battery Arrangement) | |
US20050099156A1 (en) | Battery determination system for battery-powered devices | |
CN110568703B (zh) | 配件和摄像设备 | |
GB2395820A (en) | Communication hub for bus powered devices with a rechargeable power source for providing power to high power devices | |
US5731683A (en) | Electronic apparatus | |
JP2010225283A (ja) | 電池パック | |
KR100683410B1 (ko) | 전자기기 충전시스템, 충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
CN110944264A (zh) | 无线耳机和无线耳机系统 | |
KR100520081B1 (ko) | 확장 가능한 배터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시스템 | |
US561049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inuous power to a battery powered device during battery transfer | |
KR100646240B1 (ko) | 전원 공급 장치 | |
CN116054359A (zh) | 一种便携式储能电源和供电系统 | |
JP2001021974A (ja) | カメラの外部電源装置 | |
JPH11143591A (ja) | 電源装置 | |
WO2005120160A2 (en) | External versatile battery with power saving mode | |
KR102117629B1 (ko) |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 | |
US6177778B1 (en) | Battery adapter capable of receiving power from at least two power sources and of being in a docking station, and a battery arrangement including a battery charger and a docking station | |
JP3806675B2 (ja) | パック電池とパック電池及び電気機器 | |
CN220288791U (zh) | 手持握把及热像仪手持装置 | |
EP1406324B1 (en) | Portable electronic system equipped with a spare batter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