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389B1 - 컴퓨터 시스템의 진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 시스템의 진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389B1
KR100519389B1 KR10-2003-0014140A KR20030014140A KR100519389B1 KR 100519389 B1 KR100519389 B1 KR 100519389B1 KR 20030014140 A KR20030014140 A KR 20030014140A KR 100519389 B1 KR100519389 B1 KR 100519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iagnostic mode
error
mode
che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9195A (ko
Inventor
이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Priority to KR10-2003-0014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389B1/ko
Publication of KR20040079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3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8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by power-on test, e.g. power-on self test [PO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st And Diagnosis Of Digital Computer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시스템 바이오스(BIOS: Basic Input Output System)를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을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컴퓨터 시스템의 경우, 시스템 바이오스는 각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삽입이 되었는지를 체크하고 포스트(POST: Power On Self Test)의 진행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파워버튼을 2초가량 눌렀는지, 시스템이 5회 이상 정상적으로 부팅을 못하였는지,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를 순차적으로 검사하여 이 경우중 하나에 속한다면 진단모드로 진입한다. 진단모드는 포스트 과정을 위한 최소 과정만을 수행하고 제어장치 또는 디바이스를 초기화 및 설정하는 과정을 거친 후 각 디바이스별로 진단한다. 진단 과정에서 발생한 결과는 화면 또는 디바이스의 LED 색상 또는 조합된 비프음으로 표시한다. 에러가 발생한 디바이스의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 에러복구모드를 수행하여 시스템을 재가동한 후 진단모드를 종료한다.

Description

컴퓨터 시스템의 진단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COMPUTER SYSTEM}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을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 바이오스를 통하여 컴퓨터 부팅시 시스템의 세부 내역을 상세하게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컴퓨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11), 시스템 바이오스가 수행되어 포스트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12) 및 운영체제로 부팅하는 단계(13)로 진행된다.
보다 상세하게 포스트 과정은 시스템의 컨트롤러/디바이스를 초기화하는 단계(21), 컨트롤러/디바이스를 설정하는 단계(22), 컨트롤러/디바이스를 테스트하는 단계(23), 테스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24) 및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CD-ROM, 네트워크등의 부팅가능 디바이스로 부팅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부트로더(Bootloader) 단계(25)로 진행된다.
이러한 시스템 바이오스의 포스트 과정은 IBM XT부터 시작되었고, 현재도 계속해서 사용되고 있는 기능으로서 중앙처리장치(CPU)를 비롯한 시스템내의 디바이스들을 초기화 및 설정하고 각각의 디바이스를 테스트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테스트 결과를 표시하는 방법은 각 단계마다 포트 80H에 현재 진행중인 과정에 해당하는 숫자를 미리 출력하여 진행사항을 알려주는 것이다. 따라서, 시스템이 포스트 과정중 특정 위치에서 멈춰있으면, 80H 포트의 값을 확인하여 어떤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포트 80H을 이용하는 방법은 주로 개발자들 또는 컴퓨터 수리기사를 위한 방법일 뿐이며 이 값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포트 80H를 확인하기 위한 다른 카드가 필요하다.
또한, 특정 에러에 대하여 비프음으로 알려주기도 하며, 비디오 장치가 설정된 이후에는 현재 진행되는 사항과 시스템의 에러를 화면으로 보여주기도 한다. 아울러, 시스템 운영체제로 부팅한 후에는 테스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를 진단하는 방법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방법에 의하면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공급장치는 동작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지만, 화면에 아무것도 보이지 않을 경우 무엇이 문제인지 인식하는 것은 곤란하다. 예를 들어, 전원 자체에 문제가 있는지, 추가 메모리 때문인지, 업그레이드된 중앙처리장치 때문인지 그 해결방법을 찾기란 쉽지 않다.
결국, 컴퓨터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구입한 업체에 연락하여 문제의 증상에 대해 설명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개인 사용자의 입장에서 문제의 증상에 대하여 설명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수리기사의 입장에서도 진단하기가 쉽지 않다. 이는 외부로 시스템의 세부 문제를 명확하게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 시스템의 부팅시에 발생하는 세부적인 문제에 대하여 문제점을 명확하게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스템 바이오스내에 자체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시스템 바이오스의 시작부에서 각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를 체크하는 수단; 상기 접속 상태가 양호하면, 진단모드의 수행여부를 확인하는 수단; 상기 접속 상태가 양호하지 않으면, 각 디바이스의 에러상태를 표시하는 수단; 상기 진단모드의 수행여부를 확인하는 수단에서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진단모드를 수행하는 수단; 상기 진단모드가 수행된 후, 시스템을 재기동하는 수단; 상기 진단모드의 수행여부를 확인하는 수단에서 진단 모드를 수행하지 않는것으로 결정되면 정상적인 포스트 과정을 수행하는 수단; 그리고 상기 정상적인 포스트 과정을 수행한 후, 부트 실패 상태를 체크하고 운영체제로 부트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 사용자가 외부의 도움없이 컴퓨터 시스템의 세부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화면에 시스템 이상이 표시되지 않을 경우에도 해당 디바이스의 LED 또는 비프음만으로 시스템 이상을 진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컴퓨터의 전원을 켜면 몇 초간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는 것같이 보이지만 내부적으로는 복잡한 작업들을 통하여 컴퓨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고 잘못된 점이 없는지 조사한다. 이러한 작업을 부트업 또는 부트라한다. 이 부트 작업은 자동차의 시동을 거는 것과 같이 컴퓨터를 움직이는 소프트웨어인 운영체제를 로딩할 수 있도록 발동을 걸어 주는 과정을 말한다.
그러나 운영체제를 로드시키기 전에, 우선 모든 하드웨어가 제대로 작동하고 CPU와 메모리의 기능이 정상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 과정을 컴퓨터의 셀프 테스트 또는 POST(Power On Self Test)라고 한다.
POST는 컴퓨터를 처음 작동시킬 때 수행되는 첫 번째 과정이며, 하드웨어의 구성이나 작동 상태에 이상이 있을 때 그 사실을 알려준다. POST가 디스플레이, 메모리, 키보드 또는 기본적인 구성품에서 에러를 발견한 경우에는 즉시 에러 메시지를 화면상에 보여주고 경고음을 울린다. 에러 메시지와 경고음만으로는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정확히 알수는 없지만, 어느 부분이 잘못되어 있는지 대강은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보통의 '삑' 하는 경고음이 울리는 것은 POST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러나 길거나 짧은 경고음이 울린다거나 이상한 화면이 나타나면 어딘가에 문제가 발생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하지만, 아무런 경고음이 없는 경우에도 문제가 있음을 나타낸다.
에러 메시지가 나타나지 않거나 경고음이 없다 할지라도 시스템의 모든 부분이 제대로 작동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POST는 단지 일반적인 에러들만 검출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설치되어 있는 하드 드라이브가 적당한 것인지를 테스트할 수는 있지만 그 드라이브가 포맷되어 있는지를 알아내지는 못한다.
PC의 기능은 대체로 안정적이고 성능이 보장되어 있어서 아주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경고음이 울리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볼 때 POST가 그리 유용하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따로 PC의 작업 수행능력의 정밀성과 신뢰성을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POST는 기본적으로 중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PC를 켜면 전기적인 신호가 바이오스를 활성화시켜, POST 과정을 진행한다. POST 과정에서는 여러 디바이스들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즉, 디스플레이 어댑터에 포함되어 있는 메모리를 테스트하고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비디오 신호들을 검사하고, 램 칩들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일련의 테스트들을 수행하며, 또한 키보드가 적절히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며, 어떤 키가 눌려져 있는지를 검사한다. POST는 버스상의 특정한 경로를 통하여 신호를 디스크 드라이브로 전송하고, 그 신호에 대한 응답에 따라서 어떤 드라이브들이 사용가능한지를 결정한다. 이 과정이 끝나면, PC는 부트의 다음 과정인 디스크로부터 운영체제를 읽어들여 시스템을 가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POST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파워버튼을 2초가량 눌렀는지, 시스템이 5회 이상 정상적으로 부팅을 못하였는지,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를 순차적으로 검사하여 이 경우중 하나에 속한다면 진단모드로 진입하는 신규한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진단 시스템을 내장한 바이오스의 동작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원 스위치를 누르면 전원 공급장치(31)는 시스템 동작에 필요한 동작 전압을 제공하는데, 전원공급장치(31)의 전압이 안정화되기 전에 시스템 소자들이 동작하기 시작하면 시스템이 오동작하게 된다. 전원공급장치의 출력전압이 안정화되면, 파워굿(POWERGOOD) 신호가 발생되고, 리셋(RESET) 신호가 CPU(32)에 인가되어 동작이 개시된다. 이때, CPU(32)는 파워온 리스타트 주소로부터 첫 명령어를 패치한 후 이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진단모드가 내장된 시스템 바이오스(33)의 포스트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자체 진단모드가 내장된 바이오스(33)는 IO(34), IO 포트(35), HDD(36) 및 ODD(37)를 진단하게 된다. 진단 방법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될 것이다.
만일 전원공급장치(31), CPU(32) 및 진단모드가 내장된 시스템 바이오스(33)등의 하드웨어에 문제가 발생하면, 컴퓨터 시스템은 진단모드가 내장된 시스템 바이오스(33)로부터 명령어를 패치할 수 없게 되어 더 이상 진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바이오스의 시작부분에 각 디바이스의 LED를 예컨대 1회 점등 및 소등하거나 비프음을 예컨대 1회 생성하는데, 그 이유는 하드웨어 초기과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공급장치(31) 또는 CPU(32)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시스템 바이오스로 제어권이 오지 않기 때문에 바이오스의 시작부분에 이를 알릴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진단을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모듈러 시스템의 경우, 여러 모듈을 연결하여 하나의 시스템을 구현하기 때문에 각 모듈들이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었는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모듈러 컴퓨터 시스템이라고 함은 컴퓨터 시스템을 CPU 모듈, HDD 모듈, ODD 모듈, IO 모듈, IO PORT 모듈, 파워 모듈과 같은 여러 모듈형태로 나눠 구성한 신개념 컴퓨터이다. 다시말해 하나의 메인보드를 여러 개의 보드, 즉 모듈의 형태로 나누어 재구성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각 모듈에는 각 모듈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나의 LED를 구비한다. 일반 컴퓨터 시스템의 경우, 보통 시스템 LED와 HDD LED를 구비한다.
모듈러 컴퓨터 시스템에서 정상적인 연결을 확인하는 방법은 모듈 커넥터 양쪽 끝 핀에 각각 하나의 신호를 할당함으로써 모듈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입력 정보로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모듈이 정상적으로 삽입이 된 경우라면, 두 핀의 물리적인 상태는 예컨대 하이 상태(HIGH STATUS)가 되어야 할 것이다. 만약 두 신호가 예컨대 로우상태(LOW STATUS)라면 모듈이 삽입되지 않은것이 되고, 두 신호의 상태가 예컨대 서로 다르다면, 모듈이 정상적으로 삽입이 되지 않은것이 된다.
따라서, 해당 모듈의 LED를 예컨대 적색으로 사용하거나 예컨대 점등/소등등의 방법 또는 예컨대 조합된 비프음의 생성에 의하여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 후 시스템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나머지 모듈들도 동일한 과정으로 연결상태를 체크하여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파워모듈의 경우, 전원이 인가되면 자체 진단 결과를 하나의 입력 신호로 메인 시스템에 전달하게 되는데, 정상인 경우는 예컨대 하이상태, 비정상인 경우는 예컨대 로우상태로 주어진다. 이 입력신호를 체크하여 로우상태일 경우에 시스템이 부팅하지 못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파워모듈은 자체적인 자가진단의 결과를 파워 모듈의 LED에 정상일 때에는 예컨대 녹색으로 표시하고 비정상일 때에는 예컨대 적색으로 표시하여 파워모듈의 상태를 보여준다.
결국, 본 발명의 진단 시스템은 바이오스로 제어권이 넘어오기 전에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LED 또는 비프음을 BIOS 시작 초반에 수행하도록 하여 그 문제를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진단 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오스로 제어권이 넘어오기 전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바이오스 시작 표시부(41)에서 LED 또는 비프음을 사용하여 그 문제를 진단할 수 있다. 이 때, 전원공급장치(31) 또는 CPU(32)등이 모두 정상으로 확인되면, 바이오스 시작 표시부(41)는 진단 모드 진행여부 확인부(51)로 제어권을 넘긴다.
이후, 진단모드 진행여부 확인부(51)는 파워버튼을 2초가량 눌렀는지, 시스템이 5회 이상 정상적으로 부팅을 못하였는지,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를 순차적으로 확인하여, 이 경우에 해당하면 진단 모드 수행부(61)로 진입시킨다.
만일 상술한 3가지 경우에 해당하지 않으면, 곧바로 포스트 수행부(81)로 제어권을 넘긴다. 그러면, 포스트 수행부(81)는 정상적인 포스트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진단모드 수행여부 확인부(51)에서 파워버튼을 2초가량 눌렀는지, 시스템이 5회 이상 정상적으로 부팅을 못하였는지,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를 순차적으로 확인한 결과, 파워버튼을 2초가량 눌렀거나, 시스템이 5회 이상 정상적으로 부팅하지 못하였거나,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고 확인되면, 진단모드 수행여부 확인부(51)는 그 제어권을 진단 모드 수행부(61)로 넘겨 자체 진단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진단 모드 수행부(61)에서의 내부 진단 절차에 관하여는 각 항목별로 그 진단 절차를 설명한다.
1. 진단모드 진입 표시부(62)
진단 모드 수행부(61)로부터 제어권이 넘어왔음을 알리기 위하여, 진단 모드 진입 표시부(62)는 비프음을 예컨대 3회 생성하거나 각 디바이스의 LED를 예컨대 3회동안 점등/소등한다.
2. 선택적 포스트 수행부(63)
다음으로, 선택적 포스트 수행부(63)는 포스트 과정중에서 진단모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과정만을 수행한다. 이는 컨트롤러/디바이스를 테스트하는 단계로 신속하게 넘어가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진단모드 진입중에 테스트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3. 선택적 컨트롤러/디바이스 초기화(64) 및 선택적 컨트롤러/디바이스 설정부(65)
마찬가지로, 진단모드를 수행하는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컨트롤러/디바이스를 초기화 및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진단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칩셋 관련 초기화 과정, CPU 초기화 과정, 인터럽트 제어기 초기화 과정, DMA 제어기 초기화 과정, IO 초기화 과정, 캐쉬 초기화 과정, 메모리 크기 탐색과정, 시스템 바이오스를 시스템 RAM에 쉐도우하는 과정, PCI 디바이스 초기화 과정, USB 디바이스 초기화 과정, IEEE 1394 디바이스 초기화 과정 등은 시스템이 동작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전원관련 설정, 키보드 테스트, 인터럽트 제어기, DMA 제어기등의 테스트 과정 등은 스킵하도록 한다.
또한, IDE 디바이스 초기화 과정, 8042 키보드 제어기 초기화 과정, 마우스 초기화 과정도 스킵하도록 하며, 컨트롤러/디바이스 설정 단계에서 수행하도록 한다.
4. 진단모드 설정부(66)
이후, 진단모드의 진행사항을 표시하기 위해서 아래 표1의 예처럼 진단 스크린과 프로그레스 스크린 윈도우(Progress Screen window)를 표시하기 위한 GUI 설정과정을 수행한다. 진단 스크린은 현재 설치된 디바이스의 종류와 상태 및 테스트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프로그레스 스크린은 각 디바이스의 테스트 과정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각 디바이스의 종류와 상태를 파악하여 진단 스크린에 "Present/Not Present"로 표시하여 각 디바이스의 존재유무를 화면에 표시한다.
표 1. 진단모드 상의 결과 창 예
Diagnosis Screen CPU....................... Present HDD #1 ....................Present HDD #2 ....................Present ODD .......................Present IO ....................Not Present Power .....................Present IO Port ...................Present
Progress Screen
5. 각 부품의 초기화/설정부(67)
각 디바이스를 테스트하기 전에 디바이스에 포함된 부품인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키보드, 마우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광디스크 드라이브등이 초기화되어야 한다.
6. 디바이스 테스트부(68)
다음 단계는 각 디바이스를 테스트하는 단계로서, 각 디바이스를 순차적으로 테스트한다. CPU에서는 중앙처리장치를 비롯한 캐쉬, 시스템 메모리, 인터럽트 컨트롤러, DMA(Direct Memory Access) 컨트롤러, CMOS, RTC(Real Time Clock), Timer, ROM, USB Port #1, 1394 PORT #1 를 테스트하고, IO PORT Module에서는 모뎀, 랜, 키보드, 마우스, 비디오, Serial Port, Parallel Port, USB Port #2, 1394 Port #2 등을 테스트하고, HDD에서는 HDD 를 테스트하고, ODD 에서는 CD-ROM을 테스트한다. 각 디바이스에 대한 상세한 테스트 절차는 아래 표2와 같다.
표 2. 각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부품과 테스트 아이템 예
디바이스 부품 및 테스트 아이템
CPU ■MemoryAddress TestRefresh TestParity TestWalking 1's TestWalking 0's TestData Pattern Test■CPUMicrocode update TestCPU Register TestMMX TestA20 Test■CacheFunction Test■Interrupt ControllerRegister TestInterrupt test■DMA ControllerRegister Test■TimerRegister Test■RTC/CMOSChecksum TestCMOS Battery TestCMOS RAM TestCMOS Clock Test■ROMBIOS checksum Test■USB PORT #1Device check Test■1394 PORT #1Device check Test
HDD ■HDDRandom Read TestSequential Read TestVerify TestSMART TestRandom Seek TestSequential Read Test
ODD ■CDROMEject TestRandom Read TestSequential Read TestRandom Read TestSequential Read Test
IO ■PCI SlotDevice Present TestInterface Test■AGP SlotDevice Present TestInterface Test
IO Port ■KBDBAT TestInterface Test■MouseInterface testFunction Test■LANDevice Check Test■Serial PortInterrupt Test■Parallel PortInterrupt Test■USB PORT #2Device Check Test■1394 Port #2Device Check Test■ModemDevice Check Test
Power Power 자체에서 수행하는 self Test의 결과인 Status signal from Power Supply를 이용한 Power 의 상태표시
7. 테스트 결과 표시부(69)
디바이스별 테스트 과정에서 발생한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그 결과를 화면, LED 및 비프음으로 표시한다. 비디오와 연관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결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LED 및 비프음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디바이스 테스트시 에러가 발생하면 해당 디바이스의 LED를 정상상태와 구별되도록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정상상태가 녹색이라면, 에러상태는 점등/소등 또는 빨간색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더욱 정확하게 에러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해당 디바이스의 부품까지 표시를 해야하기 때문에 표 3과 같이 조합된 비프음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표 3. 각 디바이스내의 부품에 대한 에러 비프음 표시 방법
디바이스 부품 비프음 표시
CPU CPU 단음-1초쉼-단음
캐쉬 단음-1초쉼-단음-단음
메모리 단음-1초쉼-단음-단음-단음
RTC 단음-1초쉼-단음-단음-단음-단음
CMOS 단음-1초쉼-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
인터럽트 제어장치 단음-1초쉼-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
DMA 제어장치 단음-1초쉼-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
Timer 단음-1초쉼-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
ROM 단음-1초쉼-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
USB Port #1 단음-1초쉼-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
1394 Port #1 단음-1초쉼-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
IO PORT 모뎀 단음-단음-1초쉼-단음
단음-단음-1초쉼-단음-단음
비디오 단음-단음-1초쉼-단음-단음-단음
키보드 단음-단음-1초쉼-단음-단음-단음-단음
마우스 단음-단음-1초쉼-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
USB PORT #2 단음-단음-1초쉼-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
1394 Port #2 단음-단음-1초쉼-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
Serial Port 단음-단음-1초쉼-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
Parallel Port 단음-단음-1초쉼-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
ODD CD-ROM 단음-단음-단음-1초쉼-단음
HDD HDD 단음-단음-단음-단음-1초 쉼-단음
IO PCI Slot 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1초 쉼-단음
AGP Slot 단음-단음-단음-단음-단음-1초 쉼-단음-단음
또한 화면에 에러를 표시하는 것은 표4와 같이 ERROR CODE를 이용한다.
표 4. 각 디바이스의 부품에 해당하는 에러 코드 표 예
ERROR CODE ERROR Description
ERROR_00 Memory Error
ERROR_01 CPU Error
ERROR_02 Cache Error
ERROR_03 Interrupt Controller Error
ERROR_04 DMA controller Error
ERROR_05 Timer Error
ERROR_06 RTC/CMOS Error
ERROR_07 ROM Error
ERROR_08 USB PORT 1 Error
ERROR_09 1394 PORT 1 Error
ERROR_10 HDD Error
ERROR_11 CDROM Error
ERROR_12 PCI Slot Error
ERROR_13 AGP Slot Error
ERROR_14 KBD Error
ERROR_15 Mouse Error
ERROR_16 LAN Error
ERROR_17 Serial Port Error
ERROR_18 Parallel Port Error
ERROR_19 USB Port #2 Error
ERROR_20 1394 Port #2 Error
ERROR_21 Modem Error
ERROR_22 Power supply Error
각 디바이스의 테스트는 다음의 표 5처럼 현재 진행되고 있는 디바이스의 이름과 테스트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명, 그리고 테스트 아이템 및 상태를 표시한다.
표 5. 디바이스내 부품 테스트 예1
Diagnosis Screen CPU .............Testing HDD #1 ..........Present HDD #2 P.........Present ODD .............Present IO ..............Not Present Power ...........Present
Progress ScreenCPU Memory Test Pattern Test ............O.K. Walking 1st left Test ..........Testing
만약 각 디바이스의 테스트 결과가 실패로 판명되었을 경우, 아래와 표6과같이 ERROR_XX의 체계로 표시하며 또한 실패한 테스트 아이템도 명시한다.
표 6. 디바이스내 부품 테스트 예2
Diagnosis Screen CPU ............ERROR_00(Memory TEST-Pattern Test)HDD #1 .........ERROR_10(SMART TEST)HDD #2 .........O.KODD ............O.KIO .............Not PresentPower ..........O.K
Progress Screen System status .... ERROR(반짝거림)Press any key to reboot or system will be rebooted in 10 seconds
8. 에러 복구 결정부(70)
각 디바이스의 테스트 결과 중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복구가 가능한 에러인 경우, 에러복구를 할지 여부를 물어본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에러복구모드의 진입을 결정한다.
9. 에러 복구모드 실행부(71)
각 디바이스의 테스트 결과 중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복구 가능한 에러인 경우, 에러복구 모드로 진입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복구가능한 에러란 예를 들면 메모리 같은 경우, 메모리 타이밍을 설정하는 것이 있는데, 이 값을 제일 높은 것으로 할 경우, 어떤 메모리들은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메모리 타이밍중에서 가장 낮은 값으로 설정하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는 문제가 발생하는 메모리만을 디스에이블(disable)하여 시스템이 부팅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경우도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타이밍과 관련한 설정을 변경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오스 셋업에서 실수로 잘못 설정한 내용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이전에 저장된 실패 보완용 CMOS값을 로드하여 문제를 수정할 수도 있다.
10. 재기동부(72)
마지막 단계는 시스템을 재기동하는 단계로서 시스템이 리셋되도록 하여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시스템 바이오스에 설정된 설정값을 변경시키고, 재기동부를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을 재기동한다.
만일 진단모드 수행여부 확인부(51)에서 파워버튼을 2초가량 눌렀는지, 시스템이 5회 이상 정상적으로 부팅을 못하였는지,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를 순차적으로 확인한 결과, 3가지 경우중 어느 경우에도 해당하지 않았다면, 진단모드 수행여부 확인부(51)는 그 제어권을 곧바로 포스트 수행부(81)로 제어권을 넘긴다. 그러면, 포스트 수행부(81)는 정상적인 포스트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포스트 과정에서 실패가 발생하면 부트시의 실패 횟수가 부트 실패 상태 체크부(83)에서 예컨대 CMOS에 기록된다. 부트시의 실패가 반복되어 그 횟수가 5회에 이르게 되면, 시스템은 진단모드로 진입하여 상술한 절차에 따라 진단모드를 수행한다. 정상적인 포스트 과정이 진행되었다면 시스템은 해당 운영체제로 부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진단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POST 진행방식에서는 검출할 수 없었던 여러 문제점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자체 복구 시스템에 의하여 그 문제점을 자동으로 복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 사용자가 외부의 도움없이 자체 에러 복구 모드에 의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세부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화면에 시스템 이상이 표시되지 않을 경우에도 해당 디바이스의 LED 또는 비프음만으로 시스템 이상을 진단할 수 있으며, 자체 복구 시스템을 사용하여 시스템 문제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의 많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물론이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시스템 바이오스의 시스템 진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진단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스트 과정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진단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진단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진단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바이오스 시작 표시부: 41 진단모드 수행여부 확인부: 51
진단모드 수행부: 61 포스트 수행부: 81
부트 실패 상태 체크부: 83

Claims (10)

  1. a) 시스템 바이오스의 시작부에서 각 모듈의 접속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b) 상기 각 모듈의 접속 상태가 모두 양호하면, 파워버튼을 2초가량 눌렀는지, 시스템이 5회 이상 정상적으로 부팅을 못하였는지,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를 순차적으로 검사하여 진단모드의 수행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모듈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의 접속 상태가 양호하지 않으면, 각 모듈의 에러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에서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진단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진단모드가 수행된 후, 시스템을 재기동 하는 단계; 및
    f) 상기 b) 단계에서 진단 모드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정상적인 포스트 과정을 수행한 후, 부트 실패 상태를 체크하고 운영체제로 부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진단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g) 진단모드의 진입을 상기 모듈의 LED 및 비프음의 조합에 의하여 표시하는 단계;
    h) 신속하게 진단모드로 진입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포스트를 수행한 후, 컨트롤러/디바이스를 초기화 및 설정하는 단계;
    i) 상기 각 모듈 종류를 체크하고 GUI를 설정하여 진단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j) 상기 각 모듈을 초기화 및 설정하는 단계;
    k) 상기 모듈을 테스트하는 단계;
    l) 상기 모듈의 진단 결과를 화면, 상기 모듈의 LED 및 비프음의 조합에 의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m) 상기 진단 결과에 따라 에러복구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진단 방법.
  4. 삭제
  5. 삭제
  6. 시스템 바이오스의 시작부에서 각 모듈의 접속 상태를 체크하는 수단;
    상기 각 모듈의 접속 상태가 모두 양호하면, 파워버튼을 2초가량 눌렀는지, 시스템이 5회 이상 정상적으로 부팅을 못하였는지,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를 순차적으로 검사하여 진단모드의 수행여부를 확인하는 수단;
    상기 모듈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의 접속 상태가 양호하지 않으면, 각 모듈의 에러상태를 표시하는 수단;
    상기 진단모드 수행여부 확인 수단에서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진단모드를 수행하는 수단;
    상기 진단모드가 수행된 후, 시스템을 재기동하는 수단; 및
    상기 진단모드 수행여부 확인 수단에서 진단 모드를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정상적인 포스트 과정을 수행한 후, 부트 실패 상태를 체크하고 운영체제로 부트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진단 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모드 수행 수단은,
    진단모드의 진입을 상기 모듈의 LED 및 비프음의 조합에 의하여 표시하는 수단;
    신속하게 진단모드로 진입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포스트를 수행한 후, 컨트롤러/디바이스를 초기화 및 설정하는 수단;
    상기 각 모듈 종류를 체크하고 GUI를 설정하여 진단모드를 설정하는 수단;
    상기 각 모듈을 초기화 및 설정하는 수단;
    상기 모듈을 테스트하는 수단;
    상기 모듈의 진단 결과를 화면, 상기 모듈의 LED 및 비프음의 조합에 의하여 표시하는 수단; 및
    상기 진단 결과에 따라 에러복구 모드를 실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진단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03-0014140A 2003-03-06 2003-03-06 컴퓨터 시스템의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0519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140A KR100519389B1 (ko) 2003-03-06 2003-03-06 컴퓨터 시스템의 진단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140A KR100519389B1 (ko) 2003-03-06 2003-03-06 컴퓨터 시스템의 진단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195A KR20040079195A (ko) 2004-09-14
KR100519389B1 true KR100519389B1 (ko) 2005-10-07

Family

ID=3736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140A KR100519389B1 (ko) 2003-03-06 2003-03-06 컴퓨터 시스템의 진단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9560A (ko) * 2005-12-28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의 하드웨어 오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75055C (zh) * 2004-10-21 2008-03-1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计算机状态指示方法及装置
KR101494000B1 (ko) * 2007-10-11 2015-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종료 후 자기진단 수행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를이용한 부팅방법
KR100953510B1 (ko) * 2007-11-21 2010-04-21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재기동 정보 관리 기능을 구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9560A (ko) * 2005-12-28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의 하드웨어 오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195A (ko) 2004-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43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using chipset built-in self-test signatures
US5543727A (en) Run-in test system for PC circuit board
US7035953B2 (en) Computer system architecture with hot pluggable main memory boards
US200702341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errors of a motherboard
US20070168738A1 (en) Power-on error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06547653B (zh) 计算机系统故障状态检测方法、装置及系统
US20120131385A1 (en) Testing mehtod for unit under test
TWI779682B (zh) 電腦系統、電腦伺服器及其啟動方法
KR100519389B1 (ko) 컴퓨터 시스템의 진단 방법 및 장치
CN111722965A (zh) 电脑系统及其侦错方法
CN116737471A (zh) Bios自动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TWI436203B (zh) 自動重啟主機板以及記錄相關除錯資料之測試方法及其重啟裝置
US200502570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s on a motherboard
CN113867812B (zh) 一种bmc获取链路信息的方法、系统、设备以及介质
GB2570044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access in the event of a computer system failure
US200401584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ication of system interconnect upon hot-plugging of electronic field replaceable units
US100256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4715552B2 (ja) 障害検出方式
CN112015579A (zh) 计算机装置与基本输入输出系统的检测方法
JP6217086B2 (ja) 情報処理装置、エラー検出機能診断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I675293B (zh) 主機開機檢測方法及其系統
CN112579178A (zh) 开机程序除错系统及其主机与方法
CN112000537A (zh) 计算机装置的内建内存检测方法
TWI777259B (zh) 開機方法
TWI726434B (zh) 排除管理引擎運作異常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