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359B1 -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359B1
KR100519359B1 KR10-2003-0025482A KR20030025482A KR100519359B1 KR 100519359 B1 KR100519359 B1 KR 100519359B1 KR 20030025482 A KR20030025482 A KR 20030025482A KR 100519359 B1 KR100519359 B1 KR 100519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user
broadcast
broadcast name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239A (ko
Inventor
김재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359B1/ko
Publication of KR2004009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3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6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water impul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Landscapes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 이름 순서로 채널 편집이 가능하도록 한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튜너에서 선국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인터넷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채널 관리 사이트에 접속하여 채널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UI를 통한 사용자의 방송 이름 설정에 따라 채널 할당을 제어하는 제어부;상기 디코더를 거쳐 역다중화된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UI를 통한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선호하는 방송 이름 순서로 설정되도록 채널 맵을 구성하고 채널 편집에 필요한 내용을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디오 디코더;상기 비디오 디코더의 디코딩된 신호를 방송 방식에 맞도록 엔코딩하여 출력하는 엔코더 및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변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 setting channel of digital TV}
본 발명은 TV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 이름 순서로 채널 편집이 가능하도록 한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해지고 복잡해진 채널 때문에 자동 채널 설정은 많은 시간 소모를 가져온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보다 다양한 자동 채널 설정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채널 정보를 가진 특정 사이트에 접속해서 채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것이다. 그러나 채널 넘버 기준으로 만들어진 이와 같은 채널 편집은 사용자에게 불만을 높이고 시청 환경이 변할 때마다 설정을 바꾸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하에서 종래 기술의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편집 및 설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인터넷을 이용한 채널 설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채널 편집 모드에서의 OSD 상태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종래 기술에서 사용자의 매뉴얼 모드로 방송 이름을 할당한 경우의 OSD 상태도이다.
자동 채널 설정은 TV를 처음 구입하거나 이사를 가서 처음 TV를 설치할 때 주로 시행되며 이는 사용자가 자동 채널 설정을 실행하고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하고 또한 약한 신호의 경우도 잡히기 때문에 채널 편집 모드에서 사용자가 재편집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는 인터넷을 이용한 채널 설정 방법을 사용하면서 개선되고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각 지역별 채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특정 사이트에 접속해서 자동으로 채널 정보를 할당받아 자동 채널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 시키는 방식("자동 채널 할당 시스템")이 가능해진다.
각 지역의 채널 정보를 가지고 있는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여 그 정보를 이용해 자동으로 채널을 할당한다.
통상적으로 각 방송국과 유선 방송국은 자체적으로 채널 정보를 관리하고 업데이트하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인터넷을 이용한 채널 할당 방법으로 최신의 채널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을 이용한 채널 할당 방법은 전체 채널을 하나씩 탐색하여 현재 방송 신호가 전송되고 있는 채널의 번호를 알아내고 저장해야 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최신의 채널 정보를 갖는 관리 사이트는 각 방송국에서 운영하는 채널 정보 사이트, 각 유선 방송국에서 운영하는 채널 정보 사이트 그리고 이들 채널 정보 사이트들에서 필요한 정보를 취합하여 전문적으로 채널 정보만을 취급하는 전문 채널 정보 사이트로 나눌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사이트들 중에서 선호하는 사이트를 선택하여 자동 채널 설정에 사용할 수 있다.
현재의 채널 편집은 도 2에서와 같이 신호가 있는 순서대로 채널 넘버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이는 자동 채널 설정으로 신호를 찾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와 같이 채널 넘버를 표시하는 방식에서는 지역마다 같은 방송인데도 불구하고 채널 넘버가 다르고 유선 방송국에 따라서도 채널 넘버가 달라짐으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의미 없는 숫자의 나열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채널 넘버가 표시되는 채널 설정 후에 방송 이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방송 이름이 표시되는 메뉴를 나타낸다.
이런 방송 이름 설정은 채널 편집 후에 다시 방송 이름 메뉴를 선택해서 일일이 사람의 손을 거쳐 방송 이름을 할당해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의 자동 채널 설정을 실행하면 자기가 원하지 않는 채널에 대해서도 튜닝을 하고 이를 사용자가 편집에 의해 없애야 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방송 이름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방송이름 메뉴에 들어가서 다시 또 일일이 설정을 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편집 및 설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수신 신호를 찾아 자동 채널 설정을 하는 경우에는 시청 지역 이동 및 시청 환경 변화에 따라 반복 실행을 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소요 시간 측면과 사용자의 편리성 측면에서 불리하다.
둘째, 인터넷을 이용한 다운로드 방식의 경우에도 채널 넘버 표시 방식으로 설정이 이루어져 동일 방송임에도 지역 유선 방송국에 따라 표시되는 채널 넘버가 달라지는 경우에 사용자에게는 의미 없는 숫자들의 표시가 될 수 있다.
셋째, 채널 넘버 표시 방식의 설정 이후에 방송 이름 표시 방식으로 다시 채널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복잡한 매뉴얼 모드의 실행이 필요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높인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설정 및 편집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 이름 순서로 채널 편집이 가능하도록 한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는 튜너에서 선국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인터넷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채널 관리 사이트에 접속하여 채널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UI를 통한 사용자의 방송 이름 설정에 따라 채널 할당을 제어하는 제어부;상기 디코더를 거쳐 역다중화된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UI를 통한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선호하는 방송 이름 순서로 설정되도록 채널 맵을 구성하고 채널 편집에 필요한 내용을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디오 디코더;상기 비디오 디코더의 디코딩된 신호를 방송 방식에 맞도록 엔코딩하여 출력하는 엔코더 및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방법은 초기 방송이름 설정 모드 키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상기 초기 방송 이름 설정 모드키가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이름이 나열된 방송 이름 설정 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사용자가 상기 방송 이름 설정 모드 화면상에서 순차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이름을 선택하여 채널 맵을 구성하는 단계;각 방송국마다 할당된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의 채널 관리 사이트의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하는 단계;지역 변경시 채널 관리 사이트의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이름에 따른 채널 번호를 자동으로 업데이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으로 채널이 할당되는 TV 시스템에 유용한 채널 편집 기능에 관한 것으로, 채널 넘버 위주가 아니라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이름 순서로 구성된 채널 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역 이동 등의 환경 변화에도 설정이 바뀌지 않는 채널 편집 모드를 제공한다.
즉, 초기에 방송이름 설정을 해 놓으면 이사를 가거나 방송 상태가 바뀌더라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방송 이름 구성은 변화가 없고 바뀌어진 채널 넘버만 업데이트되도록 한다.
또한, 인터넷을 이용해 자동으로 채널을 할당해 주는 시스템의 경우, 방송 이름을 위주로 한 채널 편집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설정 및 편집을 위한 DTV 시스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4에서와 같이,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선국하는 튜너(41)와, 튜너(41)에서 선국된 신호를 채널 복호화하여 데이터 비트열을 재생하는 채널 디코더(42)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인터넷 인터페이스(47)를 통하여 인터넷의 채널 관리 사이트에 접속하여 채널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UI를 통한 사용자의 방송 이름 설정에 따라 채널 할당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예를 들면, 마이컴(46)과, 채널 디코더(4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DEMUX(43)와, DEMUX(43)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UI를 통한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선호하는 방송 이름 순서로 설정되도록 채널 맵을 구성하고 채널 편집에 필요한 내용을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디오 디코더(44)와, 비디오 디코더(44)의 디코딩된 신호를 NTSC 또는 PAL 방식에 맞도록 엔코딩하여 출력(R/G/B,Y/C,CVBS)하는 NTSC/PAL 엔코더(45)와, DEMUX(43)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48)와,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변환부(49)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터넷 인터페이스(47)는 LAN 또는 MODEM으로 구성되고, 오디오 디코더(48)와 비디오 디코더(44)는 각각 버퍼 메모리(Buffer Memory)에 연결 구성된다.
그리고 비디오 디코더(44)를 통하여 진행되는 채널 편집에 관한 정보는 데이터/어드레스 컨트롤 버스를 통하여 마이컴(46)으로 전달된다.
마이컴(46)은 인터넷 인터페이스(47)를 통하여 채널 관리 사이트에 정해진 시간에 접속하여 새로운 채널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방송국 이름을 기준으로 채널 맵에 업데이트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비디오 디코더(44)는 채널 할당, 채널 편집, 시청시의 채널 변경시에 채널 넘버가 아닌 방송국 이름을 기준으로 실행되고 이 내용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하여 채널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방송 이름에 각각 갱신된 채널이 할당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 시스템에서의 채널 설정 및 편집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방송 이름 설정을 위한 플로우 차트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널 설정 및 편집 동작을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 편집 모드의 실행을 위한 상세한 플로우 차트이다.
채널넘버 순으로 자동 채널 설정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채널 넘버가 지역이나 유선 방송국의 사정에 따라 달라지는 상황에서는 채널 넘버는 사용자에겐 무의미하다.
즉, 방송국명 같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우선되는 채널 편집 모드가 더 유효 적절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초기에 사용자로 하여금 선호하는 방송 이름 순으로 설정을 하도록 하고 이를 유지하면서 환경이 변화해도 채널 넘버를 계속 업데이트 하게 함으로써 복잡해지고 많아지는 채널 정보들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만드는 채널 설정 및 편집을 제안한다.
먼저, 초기 방송이름 설정 모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행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초기 방송이름 설정 모드를 실행(S501)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방송이름을 up/down key를 사용하여 검색한다.(S502)
사용자가 검색된 방송 이름을 선택하면(S503), 채널 맵의 N번째(N=1,2,3,4,...) 위치에 방송 이름을 설정한다.(S504)
그리고 나머지 다른 채널의 방송 이름 설정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진행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505)
나머지 다른 채널의 방송 이름 설정을 사용자가 계속하는 경우에는 먼저, 현재 방송 이름을 설정한 상태에서 방송 이름 설정 모드를 종료하고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506)
만약, 계속하여 방송 이름 설정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다음 방송 이름이 설정될 채널 맵상의 위치를 N+1로 하고(S507), 상기한 방송 이름 검색 및 설정 단계를 반복한다.
그리고 현재 상태까지만, 방송 이름을 설정하고 방송 이름 설정 모드를 종료하는 경우에는 현재까지 설정된 방송 이름을 저장하고 실행을 종료한다.(S508)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방송 이름 설정을 진행하는 중에 나머지 다른 채널들의 방송 이름을 특정 사이트에서 정해주는 순서대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현재까지 방송 이름 설정이 끝난 N번째 위치의 다음 번째 위치부터 정해진 순서대로 설정 단계를 진행한다.(S509)
그리고 전체 방송 이름 설정이 완료되면(S510), 현재까지 설정된 방송 이름을 저장하고 실행을 종료한다.(S508)
도 8은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방송 이름 설정 모드시의 화면 OSD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좌측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 채널 할당 기능의 실행에 의해 방송 이름에 따라 채널을 부여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있고, 우측의 채널 맵 상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순서가 정해지는 단계를 표시하고 있다.
즉, 초기 방송이름 설정 모드시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각 방송국명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순서를 부여하는 메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초기 방송이름 설정 모드는 처음 구입 시에 한번의 셋팅 작업을 할 때 나타난다.
여기서, 방송 이름의 설정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순서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8에서와 같이 채널 Up/Down 키로 선택해서 확인키를 누르면 방송 이름이 선택된다.
이 단계의 진행 중에 채널이 너무 많아서 설정을 다하기 귀찮은 사용자를 위해 나머지 채널에 대해서는 특정 사이트에서 정해진 순서대로 정해주는 기능을 가진 키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도 8의 "조용히 키"를 누르면 기본값대로 방송 이름이 선택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이름만 선택하고 현재 상태로 저장되는 키를 누르면 사용자가 보고 싶은 방송 이름만 저장된다.
예를 들어, 도 8의 "메뉴키"를 누르는 경우에는 방송 이름 설정 진행중인 상태에서 현재까지 설정된 내용만 저장된다.
이렇게 되면 원하지 않는 채널에 대해서는 지역을 이동해도 그 채널에 해당되는 채널만 계속해서 업데이트 된다.
그 중에서도 지역 방송의 경우( 예를 들면 TBC 등 )에는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했을 때는 없는 정보임으로 없는 정보에 대해서는 자동 삭제 되게 한다.
즉, 대구 경북 지방에서 TBC를 선택해서 보다가 부산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TBC는 자동으로 삭제된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 설정된 상태에서는 이사를 가거나 유선 방송국에서 채널을 바꿔도 설정(방송 이름으로 표시되는 순서)은 변화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나중에 다시 "추가"하거나 할 때 이 메뉴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렇게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방송 이름은 채널 업다운 즉, 채널 전환 시에도 채널 넘버 순이 아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방송 이름 순서대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진다.
물론, 채널 전환이 숫자키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DTV와 같이 많은 양의 채널을 가진 시스템에서는 그 채널 넘버는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고 DTV 채널은 아날로그 TV 채널 보다 훨씬 복잡하므로 제안하는 방송국명 위주의 채널 편집은 복잡해진 DTV 시스템에 더욱 유용할 것이다.
이와 같이 초기 방송 이름 설정 모드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음과 같은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 채널 할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먼저, 도 6에서와 같이,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 채널 할당 기능을 실행한다.(S601)
즉, 각 방송국마다 할당된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의 특정 사이트에 접속해서 채널 넘버를 부여받게 된다.
이는 미리 정해진 방송 이름에 따라 그 해당 채널을 부여받는다.
이와 같이 인터넷 사이트를 통하여 채널 넘버를 정해진 방송 이름에 따라 부여 받게되면 방송 이름에 따른 채널 맵의 구성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할 것인지 아니면 특정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순서대로 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602)
여기서, 특정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순서대로 방송 이름에 따른 채널 맵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채널 맵상에서 방송 이름의 순서가 인터넷의 특정 사이트에서 세팅된 순서로 할당된다.(S604)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채널 맵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각 지역이나 유선 방송사의 특정 채널을 방송 이름별로 할당하고 채널맵은 사용자의 선호도 등의 기준에 따른 선택에 의해 그 순서가 정해진다.(S603)
도 9는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 편집 모드시의 화면 OSD 상태도이다.
이와 같은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 채널 할당 기능을 실행 후에는 필요에 따라 채널 편집 모드의 집입(S605) 그리고 채널 편집 실행(S606),채널 편집 탈출(S607),설정된 방송 이름순으로 채널 Up/Down에 의한 시청(S608)의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널 설정은 인터넷을 통한 채널 정보의 업데이트가 수시로 이루어지고, 업데이트가 채널 넘버가 아닌 방송국 이름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지역 선택으로 만으로 자동으로 각 방송 이름에 해당되는 채널 넘버를 할당해주고 또 업데이트 시켜주는 등의 장점을 가진 자동 채널 할당 시스템의 특성을 최대한 살린 채널 편집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채널 편집 모드의 실행 단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a와 도 10b는 채널 편집 모드에서의 방송 이름 "이동" 기능의 실행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1a와 도 11b는 채널 편집 모드에서의 방송 이름 "삭제" 기능의 실행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초기 방송이름 설정을 마치면 채널 편집 모드는 도 9에서와 같이 구성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방송이름 순으로 채널 맵이 구성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에게 무의미한 기존의 채널 넘버 대신 MBC, KBS 혹은 SBS 등과 같은 방송이름을 중요한 인자로 삼고 채널 업다운 시에 사용자 선택에 의해 우선 순위가 부여된 방송이름 순서대로 튜닝을 하고 채널 전환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채널 편집 모드의 기능은 크게 "이동","추가","삭제"등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도 7에서와 같이, 채널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S700) 도 9에서와 같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추가","삭제"등의 항목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실행시킨다.
먼저, "이동" 모드를 실행한 경우에는(S711) 채널 맵상에서 순서를 이동시키고 싶은 방송국명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킨다.(S712)
즉, 이동시키고 싶은 채널이 "재능 방송"인 경우에 도 10a에서와 같이 커서를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채널 편집 모드의 "이동"키를 누르면(S713) 선택된 항목의 커서가 깜박인다.(S714)
이 상태에서 커서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에(S715) 채널 편집 모드의 "이동"키를 토글하면(S716) 도 10b에서와 같이 채널 순서가 변경된다.
그리고 "추가" 모드를 실행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채널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S700) 도 9에서와 같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추가" 모드를 실행시킨다.(S721)
"추가" 모드 실행후에 채널 맵상에서 커서를 추가하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S722)
여기서, 디폴트(default) 모드인 경우에는 채널 맵상의 가장 마지막 위치로 자동으로 위치가 정해진다.
그리고 채널 편집을 위한 "추가"키를 토글하면(S723) 도 9의 초기 방송이름 설정 메뉴 상태로 이동하여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724)
이어, 추가하고자 하는 방송 이름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또는 디폴트 모드에 의한 가장 마지막 위치)로 선택된 방송국 이름이 표시된다.(S725)
그리고 "삭제"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의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삭제" 모드를 실행하면(S731) 채널 맵상에서 삭제시키고 싶은 방송국명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켜 선택한다.(S732)
"삭제" 모드의 경우에는 동시에 여러 채널의 선택 및 삭제가 가능하다.
즉, 삭제시키고 싶은 채널이 "AFKN",""재능 방송","온게임넷","CJB"인 경우에 도 11a에서와 같이 동시에 선택한다.
그리고 "삭제"키를 토글하면 도 11b에서와 같이 선택한 채널이 모두 삭제되고 순서대로 채널이 이동되어 정렬된다.(S733)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아닌 다른 방식의 자동 채널 설정을 실행하면 자기가 원하지 않는 채널에 대해서도 튜닝을 하고 이를 사용자가 편집에 의해 없애야 한다.
또한, 방송 이름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방송 이름 메뉴에 들어가서 다시 또 일일이 설정을 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초기에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이름대로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특정 사이트를 통해 그 선택된 채널의 최신 정보만을 업데이트하고 또한 지역이 달라질 경우 특정 지역 방송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특정 사이트에 접속함으로써 방송국에 따른 채널 넘버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 시켜 주는 자동 채널 할당 시스템에서 방송국 이름을 중심으로 채널 맵이 구성되도록 하고, 편집 모드의 실행 및 시청을 위한 채널 up/down시에도 방송국 이름 위주로 진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인다.
이는 채널 수의 증가에 따른 검색 용이성 및 사용자의 선택 용이성 측면에서 방송 이름 기준의 채널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사를 가거나 유선 방송사를 바꾸더라도 쉽게 채널 넘버만 업데이트 됨으로써 사용자는 새로운 설정으로 바꾸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원하는 채널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인터넷을 이용한 채널 설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채널 편집 모드에서의 OSD 상태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에서 사용자의 매뉴얼 모드로 방송 이름을 할당한 경우의 OSD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방송 이름 설정을 위한 플로우 차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널 설정 및 편집 동작을 위한 플로우 차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 편집 모드의 실행을 위한 상세한 플로우 차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방송 이름 설정 모드시의 화면 OSD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 편집 모드시의 화면 OSD 상태도
도 10a와 도 10b는 채널 편집 모드에서의 방송 이름 "이동" 기능의 실행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11a와 도 11b는 채널 편집 모드에서의 방송 이름 "삭제" 기능의 실행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튜너 42. 채널 디코더
43. DEMUX 44. 비디오 디코더
45. NTSC/PAL 엔코더 46. 마이컴
47. 인터넷 인터페이스 48. 오디오 디코더
49. 오디오 변환부

Claims (11)

  1. 튜너에서 선국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인터넷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채널 관리 사이트에 접속하여 채널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통한 사용자의 방송 이름 설정에 따라 채널 할당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디코더를 거쳐 역다중화된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UI를 통한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선호하는 방송 이름 순서로 설정되도록 채널 맵을 구성하고 채널 편집에 필요한 내용을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디오 디코더; 그리고
    상기 비디오 디코더의 디코딩된 신호를 방송 방식에 맞도록 엔코딩하여 출력하는 엔코더 및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는 채널 할당, 채널 편집, 시청시의 채널 변경시에 방송국 이름을 기준으로 동작을 실행하고 이 내용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채널 관리 사이트에 정해진 시간에 접속하여 새로운 채널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방송국 이름을 기준으로 채널 맵에 업데이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
  4. 초기 방송이름 설정 모드 키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초기 방송 이름 설정 모드키가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이름이 나열된 방송 이름 설정 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방송 이름 설정 모드 화면상에서 순차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이름을 선택하여 채널 맵을 구성하는 단계;
    각 방송국마다 할당된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의 채널 관리 사이트의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하는 단계;
    지역 변경시 채널 관리 사이트의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이름에 따른 채널 번호를 자동으로 업데이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채널 맵을 구성하는 단계에서 채널 맵의 전체에서 일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구성하고 나머지를 채널 관리 사이트에서 정해진 순서대로 채널 맵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방송 이름 기준으로 채널 맵을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채널 편집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채널 편집 모드에서 채널 맵에서 채널의 순서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
    채널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화면에서 표시된 "이동"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채널 맵상에서 순서를 이동시키고 싶은 방송국명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
    채널 편집 모드의 "이동"키를 눌러 커서가 깜박이는 상태에서 커서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채널 편집 모드의 "이동"키를 토글하여 해당 위치로 채널 순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채널 편집 모드에서 채널 맵에서 채널의 추가가 필요한 경우에,
    채널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화면에서 표시된 "추가"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채널 맵상에서 커서를 추가하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채널 편집을 위한 "추가"키를 토글하여 초기 방송이름 설정 메뉴 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추가할 방송 이름을 선택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로 채널순서가 정해져 방송국 이름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커서를 추가하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에서 디폴트(default) 모드인 경우에는 채널 맵상의 가장 마지막 위치로 추가할 채널의 순서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채널 편집 모드에서 채널 맵에서 채널의 삭제가 필요한 경우에,
    채널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화면에서 표시된 "삭제"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채널 맵상에서 삭제시키고 싶은 방송국명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켜 선택하는 단계;
    "삭제"키를 토글하여 선택한 채널이 삭제되고 순서대로 채널이 이동되어 정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삭제시키고 싶은 방송국명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켜 선택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복수개의 채널을 동시에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방법.
KR10-2003-0025482A 2003-04-22 2003-04-22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519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482A KR100519359B1 (ko) 2003-04-22 2003-04-22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482A KR100519359B1 (ko) 2003-04-22 2003-04-22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239A KR20040093239A (ko) 2004-11-05
KR100519359B1 true KR100519359B1 (ko) 2005-10-07

Family

ID=3737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482A KR100519359B1 (ko) 2003-04-22 2003-04-22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3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730B1 (ko) * 2004-11-27 200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사용 채널 자동 삭제 방법 및 장치
KR100661649B1 (ko) 2005-04-18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KR100863826B1 (ko) * 2006-10-09 2008-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A2645962C (en) * 2007-12-05 2013-10-01 Lg Electronics Inc. Iptv receiver and method of discovering an iptv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239A (ko) 200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874B1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편집 방법
JP504029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EP2046025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image displa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4173241A (ja) リモコン機能付き携帯電話機、そ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及びシステム
JPWO2003032631A1 (ja) 放送受信機
KR100597399B1 (ko)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을 동적으로 관리하는 장치 및관리 방법
KR100519359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 및 방법
EP1528800B1 (en) Source select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5204251A (ja) ユーザ入力制御装置、ユーザ入力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H09259515A (ja) Avコントローラ
KR100510683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티브이의 자동 채널 설정 장치 및방법
KR100394009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선호채널 설정 및 전환방법
US20060262089A1 (en) Controller,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0303090B1 (ko) 디지탈텔레비젼에서의메뉴갱신장치및방법
CN105187902B (zh) 电视机的联想切台方法、装置及电视机
KR100599158B1 (ko) 빠른 탐색기능을 구비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JP6585794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0724982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의 선호 채널 관리 방법
KR100686138B1 (ko) 영상기기의 채널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737868B1 (ko) 채널 네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텔레비전
KR100991776B1 (ko) 디지털 티브이의 방송이름 설정장치 및 그 방법
WO2005062465A1 (en) Activity page display for remote controller
KR2016014536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74179B1 (ko) 사용자의 채널 패턴 인식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4599124B2 (ja) 番組記録装置、その番組情報検索方法および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