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093B1 - 방화용 살수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용 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093B1
KR100518093B1 KR10-2002-0064639A KR20020064639A KR100518093B1 KR 100518093 B1 KR100518093 B1 KR 100518093B1 KR 20020064639 A KR20020064639 A KR 20020064639A KR 100518093 B1 KR100518093 B1 KR 100518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nterior
door
waterway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0963A (ko
Inventor
황명호
Original Assignee
황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명호 filed Critical 황명호
Priority to KR10-2002-006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093B1/ko
Publication of KR20020090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이나 건물 등의 화재발생시 출입문을 통해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소방관 등이 용이하게 건축물의 실내로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방화용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선박 또는 기타 구조물의 출입문 또는 벽체의 내부에 실내와 실외를 연통시키도록 관통 형성되며 실외측 단부에 소방호스가 연결되는 수로와, 상기 수로의 내벽면과 그 둘레부 사이에 환형으로 분사공이 형성되도록 수로의 실내측 단부에 구비되며 실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된 노즐블록을 포함하는 방화용 살수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화용 살수장치{water nozzle for fire prevention}
본 발명은 방화용 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이나 건물 등의 화재발생시 출입문을 통해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소방관 등이 용이하게 건축물의 실내로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방화용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염과 유독가스 등에 의해 많은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화재발생시 출입문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서 불을 소화시키서나 인명을 구출하여야 하는데, 이때, 출입문을 개방하게 되면 화염이 실외측 산소와 혼합되면서 순식간에 실외로 확산되어 인명피해가 발생됨은 물론 불이 더 크게 번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화재시에도 출입문을 통해 용이하게 실내로 출입하여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시 출입문 주변의 화재를 진압하고 출입문을 통해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줄이고 불길이 외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방화용 살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선박 또는 기타 구조물의 출입문 또는 벽체의 내부에 실내와 실외를 연통시키도록 관통 형성되며 실외측 단부에 소방호스가 연결되는 수로와, 상기 수로의 내벽면과 그 둘레부 사이에 환형으로 분사공이 형성되도록 수로의 실내측 단부에 구비되며 실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된 살수헤드를 포함하는 방화용 살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로의 노즐블록 둘레 부분에는 실내 측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형태로 테이퍼공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공의 내벽면에는 다수의 분사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로의 중앙 부분에는 내경이 확장된 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에 연결된 수로의 실외측 부분에는 수로의 내벽면을 따라 확관부 내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디스크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는 수로의 실외측을 향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살수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방화용 살수장치는 건물이나 선박 등의 구조물의 출입문(2) 내부에 실내와 실내를 연통시키도록 관통 형성된 수로(10) 및 이 수로(10)의 실내측 단부에 구비되며 다수의 분사공(22,25)이 형성된 살수헤드(20)로 구성된다.
상기 살수헤드(20)는 실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테이퍼공(23)의 중앙부에 실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노즐블록(24)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사공(22, 25)은 상기 노즐블록(24)과 테이퍼공(23)의 사이에 환형으로 형성된 제1분사공(22)과, 상기 노즐블록(24)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제2분사공(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즐블록(24)의 둘레부에는 수로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롯(26)이 형성되어 상기 제2분사공(25) 및 슬롯(26)을 통해 소화수가 실내측으로 장거리 살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테이퍼공(23)의 내벽면에는 다수의 분사돌기(1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로(10) 내부로 유입된 소화수가 노즐블록(24)의 테이퍼부(27)에 부딪혀 반사되는 한편 상기 분사돌기(14)에도 부딪혀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살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로(10)의 실외측단부에는 캡(30)이 출입문(2)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나사결합된다. 이때, 상기 캡(30)에는 손잡이(32)가 매입되도록 힌지결합되어 화재시 손잡이(32)를 이용하여 캡(30)을 제거한 후 소방호스(4)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로(10)의 중앙에는 내경이 커지도록 확관부(18)가 형성되고 이 확관부(18)의 외측단 수로(10)에는 수로(10)를 개방함은 물론 실내측을 투시하지 못하게 하는 디스크(16)가 수로(10)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디스크(16)는 스프링(17)에 의해 살수헤드(20)에 탄지되도록 구비되어, 소화수가 수로(10)내로 유입되면 수압에 의해 상기 디스크(16)가 수로의 실내측으로 이동되면서 확관부(18)에 위치되어 수로(10)를 개방하게 된다.
미설명 번호 40은 소방호스(4)를 수로(10)에 꼬이지않게 연결시켜주는 호스연결구이고, 번호 19는 디스크(16)가 살수헤드(20)의 분사공(22,25)을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이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건물이나 선박 등의 구조물의 출입문(2)에 살수장치를 설치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출입문 둘레의 벽체나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지않은 벽체에도 이를 설치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건물이나 배와 같은 구조물 등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건물이나 구조물의 출입문(2) 실외측에서 소방호스(4)를 연결하여 실내측으로 살수하게 되면, 출입문(2)의 실내측 주변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므로, 실내측의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출하기 위하여 출입문(2)을 개폐하여도 화염이 실외측으로 밀려나오지 않아 소방관 등이 실내로 용이하게 출입하여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출입문의 실외측에서 소화수를 살수하여 출입문 주변의 화염을 진압할 수 있어, 출입문을 개방하더라도 화염이 실외측으로 밀려나오지 않게되므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실내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면서 인명을 구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살수장치의 전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수장치의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출입문 4. 소방호스
10. 수로 14. 분사돌기
16. 디스크 20. 살수헤드24. 노즐블록 30. 캡
40. 호스연결구
삭제

Claims (3)

  1. 건물, 선박 또는 기타 구조물의 출입문(2) 또는 벽체의 내부에 실내와 실외를 연통시키도록 관통 형성되며 실외측 단부에 소방호스(4)가 연결되는 수로(10)와, 상기 수로(10)의 내벽면과 그 둘레부 사이에 환형으로 분사공(22)이 형성되도록 수로(10)의 실내측 단부에 구비되며 실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된 노즐블록(24)을 포함하는 방화용 살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10)의 노즐블록(24) 둘레 부분에는 실내 측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형태로 테이퍼공(23)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공(23)의 내벽면에는 다수의 분사돌기(14)가 형성된 방화용 살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10)의 중앙 부분에는 내경이 확장된 확관부(18)가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18)에 연결된 수로(10)의 실외측 부분에는 수로(10)의 내벽면을 따라 확관부(18) 내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디스크(16)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16)는 수로(10)의 실외측을 향하도록 스프링(17)에 의해 지지된 방화용 살수장치.
KR10-2002-0064639A 2002-10-22 2002-10-22 방화용 살수장치 KR100518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639A KR100518093B1 (ko) 2002-10-22 2002-10-22 방화용 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639A KR100518093B1 (ko) 2002-10-22 2002-10-22 방화용 살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963A KR20020090963A (ko) 2002-12-05
KR100518093B1 true KR100518093B1 (ko) 2005-10-04

Family

ID=2772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639A KR100518093B1 (ko) 2002-10-22 2002-10-22 방화용 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881B1 (ko) * 2009-07-03 2012-05-09 이양구 건물 화재 진압용 소방 쿨러 시스템
KR102131622B1 (ko) * 2019-08-26 2020-07-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백드래프트 방지용 도어손잡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70634U (ko) * 1978-05-23 1979-12-03
JPS5811094U (ja) * 1981-07-07 1983-01-24 藤本 孝司 消防ホ−ス貫通用小扉付き防火戸
JPS5957694U (ja) * 1982-10-07 1984-04-14 楢山 忠 消火栓ホ−スを通すための開口部を設けた鉄扉
JPH06319823A (ja) * 1993-05-13 1994-11-22 Tetsuya Kogyo Kk 防火扉における消防用ホース通過孔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70634U (ko) * 1978-05-23 1979-12-03
JPS5811094U (ja) * 1981-07-07 1983-01-24 藤本 孝司 消防ホ−ス貫通用小扉付き防火戸
JPS5957694U (ja) * 1982-10-07 1984-04-14 楢山 忠 消火栓ホ−スを通すための開口部を設けた鉄扉
JPH06319823A (ja) * 1993-05-13 1994-11-22 Tetsuya Kogyo Kk 防火扉における消防用ホース通過孔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963A (ko) 200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8109B1 (en) Roof elements comprising integral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185109B1 (ko) 화재진압용 노즐장치
WO2006009337A1 (en) Spray device for fire fighting
CA2403103A1 (en) Sprinklers
KR100853558B1 (ko) 천장에 내장되는 스프링클러
KR100518093B1 (ko) 방화용 살수장치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JP2006263217A (ja) 消火方法及び消火ヘッド
KR101353445B1 (ko) 미스트 분무 기능을 갖는 화재진화용 관창
KR100672981B1 (ko) 소화용 투척 살수구체
WO2016144211A1 (ru) Насадок скрытый выдвижной для установок газ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арианты)
CN210114766U (zh) 一种火灾喷淋装置
KR20180025553A (ko) 화재 확산 방지용 수공압 분사장치
KR20090070090A (ko) 사찰 문화재 보호를 위한 상향방수형 소방장치
KR102402164B1 (ko) 건축물용 초기화재 진압설비
KR102146818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안전 기구함 장치
CN216516263U (zh) 一种智能建筑防火结构
CN218739997U (zh) 一种消防旋流水雾喷嘴
CN218607787U (zh) 消防用水幕发生装置
CN220175937U (zh) 一种楼宇消防安全用自动化灭火装置
KR200306225Y1 (ko) 소방용 분사노즐
KR102538477B1 (ko) 소방용 관창
KR102156266B1 (ko) 건축물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
KR100308235B1 (ko) 소형건물의소화시스템
KR20100082160A (ko) 스프링클러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