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909B1 - Semiconductor device - Google Patents

Semiconduc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909B1
KR100517909B1 KR10-2002-0086447A KR20020086447A KR100517909B1 KR 100517909 B1 KR100517909 B1 KR 100517909B1 KR 20020086447 A KR20020086447 A KR 20020086447A KR 100517909 B1 KR100517909 B1 KR 100517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lock enable
output
inpu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4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59941A (en
Inventor
김관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2-0086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909B1/en
Publication of KR20040059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99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90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5Clock input 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처음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동작모드에서, 입력되는 모든 신호가 안정화되고 난후에 외부의 신호가 반도체 내부로 전달되도록 입력버퍼를 제어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외부신호를 각각 버퍼링하여 반도체 장치의 내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노멀 입력버퍼; 클럭인에이블 커맨드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입력받아 클럭인에이블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클럭인에이블 버퍼; 파워업신호에 인에이블되어, 상기 클럭인에이블 커맨드의 인에이블 시점에 응답하여 초기안정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초기안정화 신호의 피드백에 응답받아 디스에이블되는 파워업모드용 입력버퍼; 및 상기 초기안정화신호에 인에이블되어,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다수의 노멀 입력버퍼를 인에이블시키는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conductor device for controlling the input buffer so that the external signal is transferred to the semiconductor after all input signals are stabilized in the initial operation mode when the power is first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normal input buffers each buffering a plurality of external signals and transferring the same to a inside of a semiconductor device; A clock enable buffer for receiving a clock enable command compared to a reference signal and outputting the clock enable command as a clock enable signal; A power-up mode input buffer that is enabled by a power-up signal, outputs an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in response to an enable time of the clock enable command, and is disabled in response to a feedback of the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And an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enable the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to generate an input buffer enable signal that receives the clock enable signal and enables the plurality of normal input buffers. do.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각종 데이터신호를 입력받는 다수의 입력버퍼를 제어하기위한 클럭인에이블버퍼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ck enable buffer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input buffers that receive various clock signals by receiving a clock enable signal.

일반적인 반도체 장치는 외부에서 클럭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클럭신호를 내부 동작의 기준 타이밍으로 하여 동작한다. 특히, 메모리 장치중에서 동기식 디램(Synchronous DRAM)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데이타의 리드(READ) 및 라이트(WRITE) 동작이 수행된다. 이로 인해, 동기식 디램등의 반도체 장치는 외부 클럭 신호를 버퍼링하여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클럭버퍼와, 클럭버퍼를 제어하기 위한 클럭인에이블 버퍼를 구비하고 있다. A general semiconductor device receives a clock signal from an external source and operates the clock signal as a reference timing of an internal operation. In particular, in a memory device, a synchronous DRAM performs read and write operations of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an external clock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For this reason, semiconductor devices such as a synchronous DRAM have a clock buffer for buffering and delivering an external clock signal therein and a clock enable buffer for controlling the clock buffer.

클럭인에이블 버퍼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클럭인에이블신호를 래치하고, 상기 클럭버퍼로 출력하게 되며, 클럭버퍼는 클럭인에이블 버퍼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인에이블되어 반도체 장치 내부로 내부클럭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The clock enable buffer latches a clock enable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source and outputs the clock enable signal to the clock buffer. The clock buffer is enabled by a signal output from the clock enable buffer to output an internal clock signal into the semiconductor device. do.

통상적인 반도체 장치는 내부클럭신호를 기준 타이밍으로 해서 모든 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클럭버퍼를 제어하기 위한 클럭인에이블 버퍼를 정확하게 동작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In the conventional semiconductor device, since all operations are performed using the internal clock signal as a reference timing, it is very important to accurately operate the clock enable buffer for controlling the clock buffer.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반도체 장치는 일정한 기준전위를 가지는 기준신호(Vref)와 비교하여 클럭인에이블 신호(CKE)를 입력받는 클럭인에이블 버퍼(10)와, 클럭인에이블 버퍼(10)의 출력을 래치하기 위한 래치부(20)와, 파워업신호(pwrup)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래치부(20)에 의해 래치된 클럭인에이블 신호(cke2,ckez)를 입력받아 다수의 입력부(11 ~ 16)을 인에이블 시키기 위한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BE)로 출력하기 위한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3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a semiconductor device may include a clock enable buffer 10 and a clock enable buffer 10 that receive a clock enable signal CKE as compared to a reference signal Vref hav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potential. The latch unit 20 for latching the output and the clock enable signals cke2 and ckez, which are enabled by the power-up signal pwrup and latched by the latch unit 20, are input. And an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30 for outputting an input buffer enable signal BE for enabling 16).

또한 도1에는 각종 제어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A1,A0,CS,RAS,CAS,WE...)를 입력받는 다수의 입력버퍼(11~16)과, 다수의 입력버퍼(11~16)의 출력신호를 각각 래치하여 반도체 장치 내부로 출력하는 다수의 래치부(21~26)가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입력버퍼(11~16)는 일측으로는 각종 제어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A1,A0,CS,RAS,CAS,WE...)중 하나의 신호를 입력받아 타측을 입력되는 기준신호(Vref)와 비교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1 shows a plurality of input buffers 11 to 16 and various input buffers 11 to 16 that receive various control signals and address signals A1, A0, CS, RAS, CAS, WE ... A plurality of latch portions 21 to 26 are shown for latching the output signals and outputting them into the semiconductor device. The plurality of input buffers 11 to 16 receive one signal of one of various control signals and address signals A1, A0, CS, RAS, CAS, WE ... on one side, and a reference signal Vref input to the other side. Output in comparison with

도2는 도1에 도시된 입력버퍼(11 ~ 16)중 하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FIG.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one of the input buffers 11 to 16 shown in FIG.

도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입력버퍼(11 ~ 16)는 기준신호(Vref)와 입력신호(IN)를 게이트로 각각 입력받는 앤모스트랜지스터(MN1,MN2)와, 입력버퍼 인에블신호(BE)를 반전하여 게이트로 입력받으며 일측이 앤모스트랜지스터(MN1,MN2)의 일측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접지전원(VSS)에 연결된 앤모스트랜지스터(MN3)와, 전원전압(VDD)과 앤모스트랜지스터(MN1)의 타측을 연결하며 게이트가 앤모스트랜지스터(MN1)의 타측에 다이오드 접속된 피모스트랜지스터(MP1)와, 전원전압(VDD)과 앤모스트랜지스터(MN2)의 타측을 연결하며 피모스트랜지스터(MP1)와 전류미러를 형성하는 피모스트랜지스터(MP2)와, 게이트로 반전된 입력버퍼 인에블신호(BE)를 입력받으며 전원전압(VDD)과 앤모스트랜지스터(MN1)의 타측을 연결하는 피모스트랜지스터(MP3)와, 게이트로 입력버퍼 인에블신호(BE)를 반전하여 입력받으며 전원전압 (VDD)과 앤모스트랜지스터(MN2)의 타측을 연결하는 피모스트랜지스터(MP4)와, 피모스트랜지스터(MP2)와 앤모스트랜지스터(MN2)의 공통 노드의 버퍼링하여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I2,I3)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input buffers 11 to 16 are NMOS transistors MN1 and MN2 that receive the reference signal Vref and the input signal IN as their gates, and the input buffer enable signal BE. ) Is inverted and input to the gate, one side of which is common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NMOS transistors (MN1, MN2), and the other side of which has an NMOS transistor (MN3) connected to the ground power supply (VSS), and the power voltage (VDD) and Anne The other side of the MOS transistor MN1 is connected and its gat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ANMOS transistor MN1 with the PMOS transistor MP1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NMOS transistor MN1,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voltage VDD and the ANMOS transistor MN2. The MOS transistor MP1 and the PMOS transistor MP2 forming the current mirror, and the input buffer enable signal BE inverted to the gate are received,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MOS transistor MN1 is received. PIM transistor (MP3) for connecting and input buffer enable signal to gate (BE) is inverted and input, and the PMO transistor MP4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NMOS transistor MN2 and the common node of the PMOS transistor MP2 and the ANMOS transistor MN2 are connected. It consists of inverters I2 and I3 for buffering and outputting.

또한, 클럭인에이이블 버퍼(10)도 도2에 도시된 회로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여기서는 입력신호(IN)로 클럭인에이블 신호(CKE)를 입력받는다.In addition, the clock enable buffer 10 also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ircuit shown in FIG. 2, where the clock enable signal CKE is input to the input signal IN.

도3은 도1에 도시된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shown in FIG. 1.

도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30)는 파워업신호(pwrup)를 입력받아 버퍼링하는 인버터(I4,I5)와, 인버터(I5)의 출력신호를 게이트로 입력받고, 접지전원(VSS)에 일측이 연결된 앤모스트랜지스터(MN5)와, 래치부(20)에서 출력되는 제1 클럭인에이블신호(cke2)를 게이트로 입력받고 일측이 앤모스트랜지스터(MN5)의 타측에 연결된 피모스트랜지스터(MP4)와, 제2 클럭인에이블신호(cke2z)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인버터(I6)와, 인버터(I6)의 출력을 게이트로 입력받고, 전원전압(VDD)과 피모스트랜지스터(MP4)의 타측을 연결하는 피모스트랜지스터(MP5)와, 인버터(I5)의 출력을 게이트로 입력받고 전원전압(VDD)와 피모스트랜지스터(MP4,MP5)의 공통노드를 연결하는 피모스트랜지스터(MP6)와, 피모스트랜지스터(MP4,MP5)의 공통노드에 인가된 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두개의 인버터(I8,I7)과 인버터(I8)의 출력을 버퍼링하여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체인(I9 ~ I11)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the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ion unit 30 receives the inverters I4 and I5 that receive and buffer the power-up signal pwrup, and the output signals of the inverter I5 as gates. The NMOS transistor MN5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ground power supply VSS and the first clock enable signal cke2 output from the latch unit 20 are input to the gate, and on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NMOS transistor MN5. An inverter I6 that inverts the connected PMOS transistor MP4, the second clock enable signal cke2z,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inverter I6 to a gate, and receives a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a PMOS transistor. A PMOS transistor MP5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MP4 and an input of the output of the inverter I5 to the gate, and a PMOS transistor connecting the common nod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PMOS transistors MP4 and MP5. To latch the signal applied to the common node of the MP6 and the PMOS transistors MP4 and MP5 Two inverters (I8, I7) and inverter chains (I9 ~ I11) for buffer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inverter (I8) is provided.

이하에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클럭인에이블 버퍼(1000)의 동작을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lock enable buffer 10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반도체 장치에 전원이 처음에 인가되면서, 기타 외부 신호들도 인가되는데, 이 때 입력되는 각 신호들이 안정화되는 시간이 필요하다. 이를 파워업 모드라고 하는데, 파워업 모드가 종료되면 즉,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기 시작하면 이를 알려주는 신호인 파워업신호(pwrup)가 생성된다.When power is initial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device, other external signals are also applied, which requires time for each input signal to stabilize. This is called a power-up mode. When the power-up mode ends, that is, when the power starts to be stably supplied, a power-up signal pwrup is generated.

한편, 클럭인에이블 버퍼(1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클럭인에이블 신호(CKE를 기준신호(Vref)와 비교하여 래치부(20)로 전달하고, 래치부(20)는 래치된 클럭인에이블 신호(cke2,cke2z)를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30)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clock enable buffer 10 compares the clock enable signal CKE input from the outside with the reference signal Vref to the latch unit 20, and the latch unit 20 transmits the latched clock enable signal. Outputs (cke2, cke2z) to the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30.

파워업신호(pwrup)가 인에이블되어 있는 상태(논리레벨 하이)에서 래치부(20)에서 출력되는 제1 및 제2 클럭인에이블신호(cke2, cke2z)가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30)에 입력되면, 래치를 구성하는 인버터(I8)의 입력단에 논리레벨 로우가 인가되고, 이로 인해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BE)가 로우로 인에이블 되어 입력버퍼(11~16)로 출력된다.When the power-up signal pwrup is enabled (logic level high), the first and second clock enable signals cke2 and cke2z output from the latch unit 20 are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30. ), The logic level low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nverter I8 constituting the latch, thereby enabling the input buffer enable signal BE to be low and output to the input buffers 11 to 16.

이어서 입력버퍼(11 ~ 16)는 인에이블된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BE)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외부의 기준신호(Vref)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각종 제어신호(CS,RAS,CAS,WE...) 또는 어드레스 신호(A1,A0,..)를 비교하고, 그 비교된 결과를 래치부(21~26)으로 출력한다. 다수의 래치부(21~26)에 래치된 신호는 반도체 장치 내부로 출력되어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Subsequently, the input buffers 11 to 16 are enabled by the enabled input buffer enable signal BE to enable the external reference signal Vref and various control signals CS, RAS, CAS, and WE. Or) and the address signals A1, A0, .. are compared, and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is output to the latch sections 21 to 26. The signals latched in the latch units 21 to 26 are output to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used to perform a series of operations.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장치의 클럭인에이블 버퍼(10)가 외부의 기준신호(Vref)와 제어신호를 비교하여 입력받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클럭인에이블 버퍼(10)에 전원전압(VDD)이 먼저 안정화된 상태에서 기준신호(Vref)와 클럭인에이블신호(CKE) 및 각종 제어신호(CS,RAS,CAS,WE...) 또는 어드레스 신호(A1,A0,..)가 제대로 안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입력버퍼(11~16)와 클럭인에이블 버퍼(10)로 인가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lock enable buffer 10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s configured to receive an input by comparing an external reference signal Vref with a control signal,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is applied to the clock enable buffer 10. In this first stabilized state, the reference signal Vref, the clock enable signal CKE, various control signals CS, RAS, CAS, WE ... or address signals A1, A0, .. are not properly stabilized. If not, it may be applied to the input buffers 11 to 16 and the clock enable buffer 10.

즉, 클럭인에이블 버퍼(10)는 동작 전원전압(VDD)만 제대로 들어오면 입력되는 두신호(Vref, CKE)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래치부(20)으로 전달하기 시작하는 구조이다. That is, the clock enable buffer 10 compares two input signals Vref and CKE when only the operating power supply voltage VDD is properly input, and starts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latch unit 20.

따라서 두신호(Vref,CKE)가 안정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준신호(Vref)에 비해 클럭인에이블 신호(CKE)가 큰 전압레벨을 가지고 입력되면, 래치부(20)로 클럭인에이블 신호(CKE)가 전달된다.Therefore, when the clock enable signal CKE is input with a large voltage level compared to the reference signal Vref while the two signals Vref and CKE are not stabilized, the clock enable signal CKE is input to the latch unit 20. Is passed.

래치부(20)는 전달된 클럭인에이블 신호(CKE)를 래치하여 제1 및 제2 클럭인에이블신호(cke2,cke2z)를 출력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입력버퍼인에이블 신호 발생부(30)는 입력버퍼로 모든 입력버퍼(11~16)를 인에이블시키는 입력버퍼인에이블신호(BE)를 출력하게 된다.The latch unit 20 outputs the first and second clock enable signals cke2 and cke2z by latching the transferred clock enable signal CKE. As a result, the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30 An input buffer enable signal BE for outputting all the input buffers 11 to 16 is output to the input buffer.

이렇게 되면, 다수개의 입력버퍼(11~ 16)는 인에이블 상태가 되어, 각종 제어신호(CS,RAS,CAS,WE...) 또는 어드레스 신호(A1,A0,..)가 아직 안정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버퍼(11~16) 및 래치부(21 ~ 26)를 통해 반도체 장치내부로 전달될 수 있는데, 이는 반도체 장치의 초기 동작시 에러를 유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input buffers 11 to 16 are in an enabled state, and various control signals CS, RAS, CAS, WE ... or address signals A1, A0, ... are not yet stabilized. In the state, it may be transferred into the semiconductor device through the input buffers 11 to 16 and the latch parts 21 to 26, which may cause an error in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처음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동작모드에서, 입력되는 모든 신호가 안정화되고 난후에 외부의 신호가 반도체 내부로 전달되도록 입력버퍼를 제어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miconductor device that controls an input buffer such that an external signal is transferred into a semiconductor after all input signals are stabilized in an initial operation mode in which power is first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외부신호를 각각 버퍼링하여 반도체 장치의 내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노멀 입력버퍼; 클럭인에이블 커맨드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입력받아 클럭인에이블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클럭인에이블 버퍼; 파워업신호에 인에이블되어, 상기 클럭인에이블 커맨드의 인에이블 시점에 응답하여 초기안정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초기안정화 신호의 피드백에 응답받아 디스에이블되는 파워업모드용 입력버퍼; 및 상기 초기안정화신호에 인에이블되어,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다수의 노멀 입력버퍼를 인에이블시키는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normal input buffers each buffering a plurality of external signals are transferred to a inside of a semiconductor device; A clock enable buffer for receiving a clock enable command compared to a reference signal and outputting the clock enable command as a clock enable signal; A power-up mode input buffer that is enabled by a power-up signal, outputs an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in response to an enable time of the clock enable command, and is disabled in response to a feedback of the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And an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enable the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to generate an input buffer enable signal that receives the clock enable signal and enables the plurality of normal input buffers. do.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다수의 외부신호(CS,RAS,CAS,WE..., A1,A0,..)를 각각 버퍼링하여 반도체 장치의 내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노멀 입력버퍼(110~160)와, 클럭인에이블 커맨드(CKE)를 기준신호(Vref)와 비교하여 입력받아 클럭인에이블 신호(cke2,cke2z)로 출력하기 위한 클럭인에이블 버퍼(100)와, 파워업신호(pwrup)에 인에이블되어, 클럭인에이블 커맨드(CKE)의 인에이블 시점에 응답하여 초기안정화 신호(st)를 출력하고, 초기안정화 신호(st)의 피드백에 응답받아 디스에이블되는 파워업모드용 입력버퍼(400)와, 초기안정화신호(st)에 인에이블되어, 클럭인에이블 신호(cke2,cke2z)를 입력받아 다수의 노멀 입력버퍼(110~160)를 인에이블시키는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BE)를 발생하기 위한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30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4,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uffers a plurality of external signals CS, RAS, CAS, WE ..., A1, A0, .., respectively, and delivers them to the insid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The clock enable buffer 100 for receiving the normal input buffers 110 to 160 and the clock enable command CKE from the reference signal Vref, and outputting them as clock enable signals cke2 and cke2z. After the power-up signal pwrup is enabled, an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st is output in response to an enable time of the clock enable command CKE, and is disabled in response to a feedback of the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st. The input buffer 400 for the power-up mode and the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st are enabled, and receive the clock enable signals cke2 and cke2z to enable a plurality of normal input buffers 110 to 160. An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300 for generating the enable signal BE is provid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는 클럭인에이블 버퍼(100)의 출력신호를 래치하여 상기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로 클럭인에이블신호(cke2,ckez)를 출력하기 위한 래치부(200)을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latches an output signal of the clock enable buffer 100 and outputs a latch unit 200 for outputting clock enable signals cke2 and ckez to the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It is further provided.

도5는 도4에 도시된 파워업 모드용 입력버퍼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FIG. 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buffer for the power-up mode shown in FIG. 4.

도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파워업 모드용 입력버퍼(400)는 파워업신호(pwrup)를 일측으로 입력받는 제1 낸드게이트(ND2)와, 제1 낸드게이트(ND2)의 출력을 버퍼링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1 버퍼부(I14 ~ I17)와, 제1 낸드게이트(ND2)의 출력을 버퍼링하여 초기안정화신호(st)로 출력하기 위한 제2 버퍼부(I18,I19)와, 제1 버퍼부(I14~I17)의 출력을 일측으로 입력받고, 타측으로는 클럭인에이블 커맨드(CKE)를 입력받아 제1 낸드게이트(ND2)의 타측으로 출력하는 앤드게이트-여기서는 낸드게이트(ND1)와 인버터(I12)로 구성됨-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5, the power-up mode input buffer 400 buffers and outputs an output of a first NAND gate ND2 and a first NAND gate ND2 that receive a power-up signal pwrup to one side. The first buffer unit I14 to I17, the second buffer unit I18 and I19 for buffering the output of the first NAND gate ND2 and outputting the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st, and the first buffer unit An AND gate that receives the outputs of the outputs I14 to I17 on one side and receives the clock enable command CKE on the other side, and outputs the outputs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NAND gate ND2, wherein the NAND gate ND1 and the inverter ( I12).

또한 파워업모드용 입력버퍼(400)는 파워업신호(pwrup)와 제1 낸드게이트(ND1)의 출력을 각각 일측으로 입력받고, 타측으로는 서로의 출력이 크로스커플된 제2 및 제3 낸드게이트(ND3,ND4)와, 제3 낸드게이트(ND4)의 출력을 반전하여 제1 버퍼부(I14~I17) 및 제2 버퍼부(I18~I19)로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I13)를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power-up mode input buffer 400 receives the power-up signal pwrup and the outputs of the first NAND gate ND1 on one side, and the second and third NANDs whose outputs are cross-coupled to each other. And an inverter I13 for inverting the outputs of the gates ND3 and ND4 and the third NAND gate ND4 and outputting them to the first buffer portions I14 to I17 and the second buffer portions I18 to I19. do.

도6은 도4에 도시된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FIG. 6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shown in FIG. 4.

도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300)는 파워업신호(pwrup)와 초기안정화 신호(st)를 입력받아 논리곱하기 위한 논리조합부(310)와,일측이 접지전원(VSS)에 연결되어 논리조합부(310)의 출력에 게이트가 접속된 제1 앤모스트랜지스터(MN6)와, 클럭인에이블 신호(cke2)를 게이트로 입력받고, 제1 앤모스트랜지스터(MN6)의 타측에 연결된 제2 앤모스트랜지스터(MN7)와, 반전된 클럭인에이블 신호(cke2z)를 게이트로 입력받고, 전원전압(VDD)과 제2 앤모스트랜지스터(MN7)의 타측에 연결된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MP7)와,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MP7) 및 제2 앤모스트랜지스터(MP8)의 공통노드에 인가되는 신호를 래치하여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BE)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32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6, the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300 includes a logic combination unit 310 for receiving and logically multiplying a power-up signal pwrup and an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st, and one side of the ground power supply ( A first NMOS transistor MN6 and a clock enable signal cke2 that are connected to a VSS and connected to a gate of an output of the logic combination unit 310, and a clock enable signal cke2. The second PMOS transistor MN7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nd the inverted clock enable signal cke2z are input to the gate, and the first PMO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ower voltage VDD and the second NMOS transistor MN7. An output unit 320 for latching a signal applied to the common node of the transistor MP7 and the common node of the first PMOS transistor MP7 and the second NMOS transistor MP8 and outputting the signal as an input buffer enable signal BE. It is provided.

논리조합부(310)는 초기안정화신호(st)를 입력받아 반전시키는 인버터(I23)와, 파워업신호(ppwrup)와 인버터(I23)을 입력받는 낸드게이트)(ND5)와, 낸드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아 반전하여 출력하는 인버터(I24)로 구성된다.The logic combination unit 310 receives an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st and inverts the inverter I23, a power-up signal ppwrup and the inverter I23. The NAND gate ND5 receives an output of the NAND gate. It is composed of an inverter (I24) for receiving the inverted output.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의 출력부(320)는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MP7) 및 제2 앤모스트랜지스터(MN7)의 공통노드를 입력받는 제1 인버터(I18)와, 제1 인버터(I18)의 입력단에 출력이, 제1 인버터(I18)의 출력에 입력단이 접속된 제2 인버터(I19)와, 제1 인버터(I18)의 출력을 버퍼링하여 출력하기 위한 버퍼(I20,I21,I22)를 구비한다. 또한, 지하기 위한 제2 피모스트랜지스터(MP8)는 인버터(I24)의 출력이 로우레벨일 때에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MP7) 및 제2 앤모스트랜지스터(MP8)의 공통노드를 하이레벨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output unit 320 of the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includes a first inverter I18 that receives a common node of the first PMOS transistor MP7 and the second NMOS transistor MN7, and the first inverter I18. The second inverter I19 having an output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I18 and the buffers I20, I21, and I22 for buffer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first inverter I18. Equipped. In addition, the second PMOS transistor MP8 for supporting maintains the common node of the first PMOS transistor MP7 and the second NMOS transistor MP8 at a high level when the output of the inverter I24 is at a low level. It is to.

클럭인에이블 버퍼(100)는 도2에 도시된 노멀입력버퍼와 같은 구조이며 입력 신호(IN)로 클럭인에이블 커맨드(CKE)를 입력받는다.The clock enable buffer 10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normal input buffer shown in FIG. 2 and receives a clock enable command CKE as an input signal IN.

도7은 도4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FIG. 7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llustrated in FIG. 4.

이하에서는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반도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miconductor devic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먼저 전원이 공급되기 시작할 때, 아직 디스에이블 상태인 파워업신호(pwrup)가 로우레벨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파워업모드용 입력버퍼(400)의 낸드게이트(ND3)의 출력은 하이레벨이고, 낸드게이트(ND4)의 출력은 로우레벨을 유지하고 있다. First, when power is supplied, the output of the NAND gate ND3 of the input buffer 400 for the power-up mode is high level because the power-up signal pwrup, which is still disabled, remains at the low level. The output of the gate ND4 maintains a low level.

이후에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기 시작하면, 이를 알려주는 신호인 파워업신호(pwrup)가 생성된다. 하이 레벨로 생성된 파워업신호(pwrup)은 파워업모드용 입력버퍼(400)의 낸드게이트(ND3,ND2)의 일측으로 입력된다. After that, when the power starts to be stably supplied, a power-up signal pwrup indicating this is generated. The power-up signal pwrup generated at the high level is input to one side of the NAND gates ND3 and ND2 of the input buffer 400 for the power-up mode.

이 때에는 아직 클럭인에이블 커맨드(CKE)가 로우레벨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인버터(12)의 출력은 로우레벨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낸드게이트(ND4)의 출력도 로우레벨을 유지하고, 이로 인해 인버터(I19)를 통해 출력되는 초기안정화신호(st)는 하이레벨을 유지하고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clock enable command CKE is still at the low level, the output of the inverter 12 is at the low level. Therefore, the output of the NAND gate ND4 is also at the low level. The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st output through I19) is maintained at a high level.

이후에 클럭인에이블 커맨드(CKE)가 하이레벨로 낸드게이트(ND1)에 입력되면, 인버터(I12)의 출력은 하이레벨이 되어 낸드게이트(ND4)의 출력이 하이레벨로 된다. 따라서 인버터(I19)를 통해 출력되는 초기안정화신호(st)는 로우레벨을 인에이블된다.Subsequently, when the clock enable command CKE is input to the NAND gate ND1 at a high level, the output of the inverter I12 is at a high level so that the output of the NAND gate ND4 is at a high level. Therefore, the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st output through the inverter I19 is enabled at a low level.

한편으로는 인버터(I17)의 출력이 로우로 낸드게이트(ND1)로 입력되어 이때부터는 클럭인이에이블 명령어(CKE)가 인에이블되어 입력되더라도 낸드게이트(ND1)를 통과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the output of the inverter I17 is input low to the NAND gate ND1, and from this time, even if the clock enable command CKE is enabled and input, it cannot pass through the NAND gate ND1.

한편으로는 클럭인에이블 버퍼(100)는 기준신호(Vref)와 비교하여 클럭인에이블 커맨드(CKE)를 래치부(200)으로 전달하고, 래치부(200)는 클럭인에이블 신호(cke2,cke2z)를 래치하여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clock enable buffer 100 transmits the clock enable command CKE to the latch unit 200 in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signal Vref, and the latch unit 200 receives the clock enable signals cke2 and cke2z. ) To latch and output.

이어서, 입력버퍼인에이블 신호 발생부(300)는 로우레벨의 초기안정화 신호(st)와 하이레벨의 파워업신호(pwrup)를 입력받아 모스트랜지스터(MN6)을 턴온시킨다. 이어서 래치부(200)를 통과해온 클럭인에이블 신호(cke2,cke2z)를 입력받아 피모스트랜지스터(MP7)는 턴오프시키고, 앤모스트랜지스터(MN7)를 턴온시켜 인버터(I18)로 로우레벨이 출력된다. 두인버터(I18,I19)에 의해 상기의 신호는 래치되고, 인버터(I22)를 통해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어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된다.Subsequently, the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300 receives the low level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st and the high level power up signal pwrup to turn on the MOS transistor MN6. Subsequently, when the clock enable signals cke2 and cke2z are passed through the latch unit 200, the PMOS transistor MP7 is turned off, and the NMOS transistor MN7 is turned on to output a low level to the inverter I18. do. The above signals are latched by the two inverters I18 and I19, are enabled at a low level through the inverter I22, and output an input buffer enable signal.

도7에는 파워업신호(pwrup)가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고 난 수에 클럭인에이블 커맨드(CKE)에 의해 초기안정화모드(st)가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FIG. 7 shows that the power-up signal pwrup is enabled at the high level and the initial stabilization mode st is enabled at the low level by the clock enable command CKE.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장치의 초기안정화 모드용 입력버퍼(400)에서는 초기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나서 클럭인에이블 커맨드(CKE)를 기준신호(Vref)와 비교하여 입력받는 것이 아니라, 파워업모드가 인가된후 충분히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었을 때에 초기안정화 신호(st)를 생성한다.In the input buffer 400 for the initial stabilization mod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fter the power supply voltage is initially applied, the clock enable command CKE is not compared with the reference signal Vref to receive the power-up. Generates an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st when enabled at a sufficiently high level after the mode is applied.

초기안정화 신호(st)가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300)에 입력이 되어야 래치부에 래치된 클럭인에이블 신호(cke2)가 입력버퍼인에이블 신호(BE)로 출력되는 것이다. 따라서 초기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나서 클럭인에이블 버퍼(100)가 안정화 되지 않은 클럭인에이블 커맨드를 기준신호(Vref)와 비교하여 내부로 전달한다고 하더라도, 초기안정와 모드(st)로 인해 노멀입력버퍼(11~16)가 인에이블되는 경우는 발생되지 않는다.When the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st is input to the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300, the clock enable signal cke2 latched in the latch unit is output as the input buffer enable signal BE. Therefore, even though the clock enable buffer 100 initially transmits an unstable clock enable command after the power voltage is initially applied, compared to the reference signal Vref, the normal input buffer due to the initial stability and the mode st. The case where (11-16) is enabled does not occur.

그러므로 본발명에 의한 반도체 장치는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초기동작모드의 불안정한 동작을 제거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liminate the unstable operation of the initial operation mode to which the power supply voltage is appli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파워업모드용 입력버퍼는 처음 파워업신호(pwrup)가 인에이블되고, 클럭인에이블명령어가 처음입력되는 한번만 동작하고, 초기안정화 신호에 의해 디스에이블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후속동작에서 소비되는 전류소모도 없다.In addition, the input buffer for the power-up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wer-up signal (pwrup) is enabled for the first time, the clock enable instruction is operated only once when it is first input, and is disabled by the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There is no current consumption.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해 반도체 장치에 처음 전원인 인가되는 초기동작시 발생되는 불안정한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stable operation generated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which is the first power supply to the semiconductor device.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는 도1에 도시된 입력버퍼중 하나를 나타내는 회로도.FIG.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one of the input buffers shown in FIG.

도3은 도1에 도시된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를 나타내는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shown in FIG. 1; FIG.

도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도4에 도시된 파워업모드용 입력버퍼를 나타내는 회로도.FIG.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input buffer for the power-up mode shown in FIG.

도6은 도4에 도시된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를 나타내는 회로도.FIG. 6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shown in FIG. 4; FIG.

도7은 도4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FIG. 7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miconductor device shown in FIG. 4; FIG.

Claims (6)

다수의 외부신호를 각각 버퍼링하여 반도체 장치의 내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노멀 입력버퍼;A plurality of normal input buffers each buffering a plurality of external signals and transferring the signals to the insid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클럭인에이블 커맨드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입력받아 클럭인에이블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클럭인에이블 버퍼;A clock enable buffer for receiving a clock enable command compared to a reference signal and outputting the clock enable command as a clock enable signal; 파워업신호에 인에이블되어, 상기 클럭인에이블 커맨드의 인에이블 시점에 응답하여 초기안정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초기안정화 신호의 피드백에 응답받아 디스에이블되는 파워업모드용 입력버퍼; 및A power-up mode input buffer that is enabled by a power-up signal, outputs an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in response to an enable time of the clock enable command, and is disabled in response to a feedback of the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And 상기 초기안정화신호에 인에이블되어,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다수의 노멀 입력버퍼를 인에이블시키는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An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enable the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to generate an input buffer enable signal that receives the clock enable signal and enables the plurality of normal input buffers; 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래치하여 상기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클럭인에이블 버퍼와 상기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의 사이에 배치된 래치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And latch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clock enable buffer and the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for latching the clock enable signal and outputting the clock enable signal to the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워업모드용 입력버퍼는The input buffer for the power-up mode 상기 파워업신호를 일측으로 입력받는 제1 낸드게이트;A first NAND gate receiving the power up signal to one side; 상기 파워업신호와 상기 제1 낸드게이트의 출력을 각각 일측으로 입력받고, 타측으로는 서로의 출력이 크로스커플된 제2 및 제3 낸드게이트;Second and third NAND gates each of which receives the power-up signal and the outputs of the first NAND gates on one side thereof, and whose outputs are cross-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제3 낸드게이트의 출력을 반전하여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An inverter for inverting and outputting an output of the third NAND gate;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버퍼링하여 상기 초기안정화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제1 버퍼링수단;First buffering means for buffering the output of the inverter to output the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버퍼링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2 버퍼링수단; 및Second buffering means for buffer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inverter; And 상기 제2 버퍼링수단의 출력을 일측으로 입력받고, 타측으로는 상기 클럭인에이블 커맨드를 입력받아 상기 제1 낸드게이트의 타측으로 출력하는 앤드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And an AND gate configured to receive the output of the second buffering means to one side and to receive the clock enable command on the other side, and to output the output signal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NAND g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는The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상기 파워업신호와 상기 초기안정화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곱하기 위한 논리조합수단;Logic combining means for receiving and multiplying the power-up signal and the initial stabilization signal; 일측이 접지전원에 연결되어 상기 논리조합수단의 출력에 게이트가 접속된 제1 앤모스트랜지스터;A first NMOS transisto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 ground power source and having a gate connected to an output of the logic combining means;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게이트로 입력받고, 상기 제1 앤모스트랜지스터의 타측에 연결된 제2 앤모스트랜지스터;A second NMOS transistor receiving the clock enable signal as a gate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NMOS transistor; 반전된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게이트로 입력받고, 전원전압과 상기 제2 앤모스트랜지스터의 타측에 연결된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 및A first PMOS transistor receiving the inverted clock enable signal as a gate and connected to a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NMOS transistor; And 상기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앤모스트랜지스터의 공통노드에 인가되는 신호를 래치하여 상기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latch a signal applied to a common node of the first PMOS transistor and the second NMOS transistor to output the input buffer enable signal.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입력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의 출력부는The output portion of the in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상기 제1 피모스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앤모스트랜지스터의 공통노드를 입력받는 제1 인버터;A first inverter receiving a common node of the first PMOS transistor and the second NMOS transistor; 상기 제1 인버터의 입력단에 출력단이,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접속된 제2 인버터; 및A second inverter having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and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And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단을 버퍼링하여 출력하기 위한 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And a buffer for buffer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KR10-2002-0086447A 2002-12-30 2002-12-30 Semiconductor device KR1005179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447A KR100517909B1 (en) 2002-12-30 2002-12-30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447A KR100517909B1 (en) 2002-12-30 2002-12-30 Semiconduc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941A KR20040059941A (en) 2004-07-06
KR100517909B1 true KR100517909B1 (en) 2005-10-04

Family

ID=3735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447A KR100517909B1 (en) 2002-12-30 2002-12-30 Semiconducto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90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941A (en) 2004-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889B1 (en) Semiconductor memory having signal input circuit of synchronous type
TWI277301B (en) Power supply circuit for delay locked loop and its method
KR102534821B1 (en) Power control device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248882B2 (en) Power-up signal generator for use in semiconductor device
US20080239842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495916B1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CKE buffer
KR100333703B1 (en) A data strobe buffer in synchronous DRAM
KR100517909B1 (en) Semiconductor device
TW200522086A (en) Control circuit for stable exit from power-down mode
KR20030025325A (en) Wafer burn-in test mode and wafer test mode circuit
KR100558477B1 (en) Internal voltage generator of semiconductor device
JP4723210B2 (en) Boosted voltage generation circuit and boosted voltage generation method
KR100502663B1 (en) Clock enable buffer in semiconductor device
KR19980083434A (en) Control of data input buffer and latch circuit
KR100900772B1 (en) Synchronous memory device
KR100224666B1 (en) Power control circuit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437607B1 (en) Refresh generation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439101B1 (en) Burn-in stress voltage control device
KR100304280B1 (en) Pipeline circuit of semiconductor device
KR0154662B1 (en) A clock enable buffer of the synchronous dram
KR100853484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542713B1 (en) Coding control circuit for an wafer burn in test
KR0125301B1 (en) Data output buffer for 5v and 3.3v
KR100235965B1 (en) Substrate voltage generator
KR20050015819A (en) Clock enable signal input buffer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