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780B1 - 세륜시스템 - Google Patents

세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780B1
KR100517780B1 KR1020050069553A KR20050069553A KR100517780B1 KR 100517780 B1 KR100517780 B1 KR 100517780B1 KR 1020050069553 A KR1020050069553 A KR 1020050069553A KR 20050069553 A KR20050069553 A KR 20050069553A KR 100517780 B1 KR100517780 B1 KR 100517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heel
brush
water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050069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4Conveyors for vehicle cleaning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차륜을 세척하는 세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V)의 차륜(W)이 전·후방롤러(11, 12)상에 안착되면 계량기(16)가 계량을 실시하고, 컨트롤러(60) 및 출력기(70)는 계량된 중량을 현시한다. 그리고, 계량이 완료되면 상기 컨트롤러(60)는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와 정화수펌프(50)와 대차유닛(510)과 브러시유닛(520) 및 디펜서(540)를 작동시켜서 프레임(F)의 양측에 세척수유출 방지용 벽체를 형성한 상태로 상기 차륜(W) 및 상기 차륜(W)의 상부측 차체를 세륜 및 세척한다. 이때, 상기 브러시유닛(520)의 세척브러시(522)는 상기 대차유닛(510)의 레일(51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정화수펌프(50)에 의해 작동하는 세척수분사대(530)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륜을 실시할 뿐만 아니라 일측에 설치된 승강실린더(524)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차륜(W)의 상부측 차체를 세척한다. 이와 같이 세륜 및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컨트롤러(60)는 구성요소의 구동을 중단시켜서 작동을 종료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세척브러시(522)가 레일(512)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차륜(W)을 세륜하므로 보다 확실하게 세륜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브러시가 승강하므로 차륜의 상부측 차체도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륜시스템 { WHEEL WASHING SYSTEM }
본 발명은 차량의 차륜을 세척하는 세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공사장을 출입하는 대형 차량의 차륜을 세척하는 세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장에 출입하는 덤프나 트레일러 등의 대형 차량은, 차륜에 부착된 토사나 오물과 같은 이물질이 주행 중 박리되거나 비산되면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출입시 차륜 및 차체의 하부가 세륜시스템에 의해 세척된다.
이와 같은 세륜시스템은, 여러가지 형태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일예로서는 대한민국에서 1998년 12월 22일자로 특허등록된 등록 제185068호(명칭: 대형차량의 중량측정장치가 부설된 세륜기,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있다.
이때,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은 전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세륜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기술에 의한 세륜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서 은폐되도록 지반에 매설되는 프레임(F)과; 상기 프레임(F)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차량의 차륜이 안착되며, 상기 차륜을 세륜가능하게 공회전시키도록 구동부(14)에 의해 회전하는 전·후방롤러(11, 12) 및; 상기 전·후방롤러(11, 12)에 안착된 상기 차량의 중량을 계량하도록 상기 전·후방롤러(11, 12)에 설치되는 계량기(16);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계량기(16)의 계량이 완료되면 상기 차륜이 세륜되도록 상기 차륜에 고압의 세척수를 다각도에서 분사하는 전·후방노즐관(20a) 및 측방노즐관(20b)로 이루어진 노즐관(20)과; 상기 노즐관(20)의 세륜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세차폐수를 집수하도록 상기 프레임(F)의 하측에 설치된 집수조(30) 및; 상기 집수조(30)에 집수된 세차폐수가 정화되도록 상기 집수조(30)의 하부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회전하면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에 의하여 정화된 상기 집수조(30)의 정화수가 재활용되도록 상기 집수조(30)의 정화수를 상기 노즐관(20)에 공급하는 정화수펌프(50)와; 상기 정화수펌프(50), 상기 전·후방롤러(11, 12), 상기 계량기(26) 및 상기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이들을 제어하고, 상기 계량기(16)에서 계량된 상기 차량(V)의 중량이 출력되도록 연산하는 컨트롤러(60); 및 상기 컨트롤러(60)에 의하여 상기 차량(V)의 중량을 화상이나 문서로 출력하는 출력기(70);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면상 미설명부호 22는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노즐관(20)에 장착된 노즐이고, 40a는 상기 집수조(30)에 침전된 슬러지가 상기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에 의하여 회수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상에 등간격으로 직립 설치된 베인(vane)이며, 42는 상기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가 작동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이고, L은 차량의 출차를 알리는 경광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의한 세륜시스템은, 계량기(16)가 상기 전·후방롤러(11, 12)상에 안착된 차량의 중량감지를 완료하면, 상기 컨트롤러(60)가 상기 전·후방롤러(11, 12)와 상기 정화수펌프(50)를 작동시켜서 상기 노즐관(20)을 통하여 차량의 차륜을 세척수로 세척한 후 세척이 완료되면 경광등(L)으로 출차를 표시하여 세륜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출력기(70)는 상기 계량기(16)에서 감지된 차량의 중량을 수치로 표시된 티켓으로 출력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는 상기 정화수펌프(50)를 통하여 정화된 세척수가 상기 노즐관(20)에 공급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수조(30)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제거하여 세차폐수를 정화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세륜시스템은, 상기 노즐관(2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만을 이용하여 세륜을 실시하므로 차륜에 부착된 토사나 오물과 같은 이물질이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고 일부가 차륜에 잔존하는 문제가 있다.
또, 차륜에 인접한 차륜의 상부측 차체에 부착된 이물질은 세척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즉, 차륜은 미흡하게 나마 세척할 수 있지만 차륜에 인접한 차륜의 상부측 차체는 아예 세척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 노즐관(2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 및 차륜에 부착된 이물질이 차륜의 세척시 상기 노즐관(20)의 후방으로 비산되면서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도 있다.
또, 세륜이 종료되면 곧바로 차량을 출차시키므로 차륜에 묻어있는 세척수가 오히려 도로를 오염시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 노즐관(20)에 순환 공급되는 상기 집수조(30)의 정화수가 상기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에 의하여 슬러지만 제거되고, 오일이나 슬러리는 제거되지 않으므로 오히려 차륜을 보이지 않게 더욱 오염시키는 문제도 있다.
한편, 첨부된 도 4는 주유소나 세차장 등에 설치되어 소형차량을 자동으로 세차하는 일반적인 자동세차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일반적인 자동세차기는 소형차량(V')의 차체에 잔존하는 대부분의 이물질이 세척되도록 다수의 천조각이나 솔로된 외주면을 갖는 회전식 세척브러시(B)를 이용하여 고압의 세척수로 세차를 실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자동세차기의 상기 세척브러시(B)는 차륜이나 측면차체에 직접 접촉하면서 세척을 실시하므로 이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세척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상기 세척브러시(B)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대형차량의 세륜은 가능하여도 전술한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대형차량의 차륜에 인접한 차륜 상부측 차체는 세척할 수는 문제가 있다.
이때, 상기 세척브러시(B)의 길이를 도시된 바와 달리 길게 형성할 경우 상기 세척브러시(B)로 대형차량의 차륜에 인접한 차륜 상부측 차체까지 세척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세척브러시(B)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경우 그 길이에 의해 철거 및 이동이 매우 불편하게 되어, 공사장의 변동에 따라 철거되어 이동되는 대형차량의 세륜시스템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세척브러시(B)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경우 노후된 상기 세척브러시(B)의 교환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새로운 상기 세척브러시(B)로 교환해야 하므로 재료비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외주면에 천조각이나 솔을 갖는 회전식 세척브러시를 이용하여 접촉식으로 세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를 가변시키면서 차륜 및 차륜의 상부측 차체도 함께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이 실시되는 공간의 사방에 기계적이나 물리적인 벽체를 형성해서 세척공간을 밀폐시키는 세륜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세척이 완료된 차륜에 고압의 공기를 송풍하여 차륜을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즐관으로 공급되는 정화수를 여과하여 오일이나 슬러리가 제거된 정수를 세척수로 공급할 수 있는 세륜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륜시스템은, 하부가 지반에 매설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전·후방롤러와; 상기 전·후방롤러에 안착되는 차량을 계량하는 계량기와; 상기 계량기에서 계량되어 상기 전·후방롤러에 의해 공회전하는 상기 차량의 차륜 전·후방에 다각도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전·후방즐관과; 상기 전·후방즐관의 세륜에 의한 세차폐수를 집수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에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와; 상기 집수조에서 슬러지가 제거된 정화수를 상기 노즐관에 공급하는 정화수펌프와; 상기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계량기에서 계량된 중량을 연산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에서 연산된 중량을 출력하는 출력기;로 이루어진 세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롤러와 직교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측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모터에 의하여 상기 레일을 주행하는 롤러가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베이스로 이루어진 대차유닛과; 상기 대차유닛의 상기 베이스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차량의 차륜이나 차륜의 상부측 차체를 세척하도록 상기 베이스상에 수직설치되어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축심부의 수직축공이 스플라인 결합되고, 접촉식 세척이 가능하도록 천조각이나 솔로 이루어진 표면부재가 외주면에 부착된 원통형 세척브러시 및, 상기 세척브러시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승강하면서 세척을 실시하도록 상기 세척브러시의 상단 및 상기 베이스에 양단이 각기 고정된 승강실린더로 이루어진 브러시유닛과; 상기 브러시유닛의 상기 세척브러시가 세척을 실시하도록 상기 대차유닛의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기 차륜의 측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대 및; 상기 세척수분사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분사대의 후방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세척수분사대의 후방에 벽체를 제공하는 디펜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브러시유닛의 세척브러시가 대차유닛에 의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세륜 및 세척을 실시하므로 하나의 세척브러시로 복수개의 차륜을 세륜 및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브러시유닛의 세척브러시가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면서 차륜 뿐만 아니라 차륜의 상부측 차체도 함께 세척하므로 차륜의 상부측에 부착된 이물질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천조각이나 솔을 갖는 브러시유닛의 표면부재가 노후할 경우 브러시유닛의 세척브러시 외주면에 새로운 표면부재만을 볼팅이나 본딩으로 부착하면 되므로 세척브러시의 교환시 발생하는 교환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디펜서가 프레임 양측으로 세척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세척수에 의하여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륜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새로운 기술적 사상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100번대 및 500번대의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륜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대차유닛과 브러시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세척브러시가 상승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디펜서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륜시스템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정수탑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륜시스템은, 지면에서 은폐되도록 지반에 매설되는 프레임(F)과; 상기 프레임(F)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차량의 차륜이 안착되며, 상기 차륜을 세륜가능하게 공회전시키도록 구동부(14)에 의해 회전하는 전·후방롤러(11, 12) 및; 상기 전·후방롤러(11, 12)에 안착된 상기 차량의 중량을 계량하도록 상기 전·후방롤러(11, 12)에 설치되는 계량기(16);를 포함한다.
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량기(16)의 계량이 완료되면 상기 차륜이 세륜되도록 상기 차륜의 전·후방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전·후방노즐관(20a)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노즐관(20a) 및 후술되는 세척수분사대(530)의 세륜작동시 발생하는 세차폐수를 집수하도록 상기 프레임(F)의 하측에 설치된 집수조(30) 및; 상기 집수조(30)에 집수된 세차폐수가 정화되도록 상기 집수조(30)의 하부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회전하면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에 의하여 정화된 상기 집수조(30)의 정화수가 재활용되도록 상기 집수조(30)의 정화수를 상기 전·후방노즐관(20) 및 후술되는 세척수분사대(530)에 공급하는 정화수펌프(50);를 포함한다.
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수펌프(50), 상기 전·후방롤러(11, 12), 상기 계량기(16) 및 상기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이들을 제어하고, 상기 계량기(16)에서 계량된 상기 차량의 중량이 출력되도록 연산하는 컨트롤러(60) 및; 상기 컨트롤러(60)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중량을 화상이나 문서로 출력하는 출력기(70);를 포함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F)의 양측을 왕복하도록 상기 프레임(F)의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대차유닛(510)과; 상기 대차유닛(510)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차량의 상기 차륜 및 상기 차륜의 상부측 차체를 세척하도록 상기 대차유닛(510)에 설치되는 브러시유닛(520)과; 상기 브러시유닛(520)이 상기 차량을 세척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대(530) 및; 상기 세척수분사대(530)의 세척수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세척수분사대(530)의 후방에 벽체를 제공하는 디펜서(5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차유닛(510)과; 상기 브러시유닛(520)과; 상기 세척수분사대(530) 및; 상기 디펜서(540)는 종래와 달리 새로운 기술적 사상을 갖는 구성요소이자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므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대차유닛(5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F)의 양측 상부에 상기 전·후방롤러(11, 12)와 직교상태를 이루도록 평행하게 설치되는 레일(512) 및; 상기 레일(51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모터(514a)에 의하여 상기 레일(512)을 주행하는 롤러(514)가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베이스(516);를 포함한다.
즉, 상기 베이스(5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512)에 안착되고, 상기 구동모터(514a)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롤러(514)에 의하여 이동한다.
이때, 상기 레일(512)은, 유동이 방지되도록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F)의 양측 상부에 고정되되, 미도시된 엥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F)의 양측 지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미도시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F)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또, 상기 롤러(514)는, 상기 베이스(516)가 수평상태로 이동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516)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대차유닛(510)의 상기 베이스(516)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유닛(520)이 상기 베이스(516)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차량(V)의 차륜(W)을 세륜하도록 상기 브러시유닛(520)의 원통형 세척브러시(522)가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세척브러시(522)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도 7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516)에 수직상태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사각의 회전축(S)에 축심부의 사각형 수직축공(SH)이 스플라인 결합된다.
즉, 상기 세척브러시(522)는, 사각의 상기 수직축공(SH)이 사각의 상기 회전축(S)에 스플라인 결합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S)에 의하여 회전된다.
이와 같은 회전축(S)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526a)와 풀리(526b) 및 벨트(526c)로 구성되어 커버로 차폐된 회전부재(526)에 의하여 회전된다.
한편, 상기 세척브러시(522)는, 상기 차량과 접촉하면서 세척을 실시하도록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천조각이나 솔로 이루어진 표면부재(522a)가 외주면에 부착된다.
또, 상기 세척브러시(522)는, 세척부위에 따라 스플라인 결합된 상기 회전축(S)을 중심으로 승강하면서 세륜을 실시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516)상에 수직으로 고정된 승강실린더(524)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승강실린더(524)는, 상기 세척브러시(522)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즉 로드(524a) 및 본체(524b)가 상기 세척브러시(522)의 상단 및 상기 베이스(516)상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승강실린더(524)의 상기 로드(524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브러시(522)의 상단축(522b)과 용접된 연결브래킷(526)에 볼팅으로 고정되며, 상기 본체(524b)는 상기 베이스(516)상에 볼팅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기 승강실린더(524)가 고정된 상기 베이스(516)상에는 상기 세척브러시(522)의 세척부위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분사대(530)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세척수분사대(530)는, 상기 집수조(30)의 정화수를 세척수로 재활용하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수펌프(50)에 의하여 상기 집수조(30)의 정화수를 공급받는다.
이와 같은 상기 세척수분사대(530)는, 상기 베이스(516)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세척브러시(522)와 함께 이동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S)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세척브러시(522)는, 상기 대차유닛(510)과 함께 이동하면서 구심력으로 펼쳐지는 표면부재(522a)의 천조각이나 솔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차륜이나 상기 차륜의 상부측 차체를 세척한다.
이와 같은 상기 세척브러시(522)는, 도 7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실린더(524)에 의하여 하강될 경우 상기 차량의 차륜을 세척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실린더(524)에 의하여 상승될 경우 상기 차량의 상기 차륜 상부측 차체를 세척한다.
한편, 상기 세척브러시(522)의 세척작동시 상기 세척수분사대(530)의 후방으로 세척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세척수분사대(530)의 후방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펜서(540)에 의해 벽체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디펜서(540)는, 상기 브러시유닛(520)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브러시유닛(520)의 후방을 차폐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유닛(510)의 상기 레일(512)을 따라 벽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상기 디펜서(5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유닛(520)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프레임(F)의 양측을 개방하거나 차폐하도록 단면이 지그제그형태로 절곡되어 절첩되거나 전개되는 절곡커튼(542)과; 상기 절곡커튼(542)이 고정되도록 일측 및 타측이 상기 절곡커튼(542)의 하단 및 상기 대차유닛(510)의 상기 레일(512) 단부에 제각기 고정되는 고정프레임(544)과; 상기 고정프레임(544)에 고정된 상기 절곡커튼(542)이 승강에 의해 절첩되거나 전개되도록 로드(546a) 및 본체(546b)가 상기 절곡커튼(542)의 상단 및 상기 고정프레임(544)에 고정되는 수직실린더(546) 및; 상기 수직실린더(546)에 의해 전개된 상기 절곡커튼(542)이 단속한 세척수가 상기 집수조(30)로 집수되도록 상기 절곡커튼(542)의 하부에 설치된 드레인판(548a) 및 드레인관(548b)로 이루어진 드레인부재(548);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디펜서(540)는, 상기 브러시유닛(520) 및 상기 세척수분사대(530)가 미작동할 경우 상기 프레임(F)의 양측이 통풍되도록 도 9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커튼(542)을 절첩한다.
이때, 상기 절곡커튼(542)은, 상기 수직실린더(546)가 상기 로드(546a)를 수축시킴에 따라 지그제그 형태로 절첩된다.
또, 상기 디펜서(540)는, 상기 브러시유닛(520) 및 상기 세척수분사대(530)가 작동할 경우 세척시 발생하는 세척수가 상기 브러시유닛(520)의 후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9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커튼(542)을 전개시키면서 상기 프레임(F)의 양측을 차폐한다.
이때, 상기 절곡커튼(542)은, 상기 수직실린더(546)가 상기 로드(546a)를 신장시킴에 따라 전개되되, 측면상 일직선으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절첩이 용이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제그형태를 약간 유지하면서 전개된다.
한편, 상기 수직실린더(546)의 상기 로드(546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커튼(542)의 상부에 부착된 금속재 수평막대(BA)에 볼팅이나 용접으로 고정되며, 상기 본체(546b)는 상기 고정프레임(544)에 볼팅이나 용접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절곡커튼(542)은, 미도시된 볼트에 의하여 하단이 상기 고정프레임(544)상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절곡커튼(542)은, 전개시 상기 브러시유닛(520) 및 상기 세척수분사대(530)에서 이탈되는 세척수를 단속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상기 드레인판(548a) 및 상기 집수조(30)에 연결된 상기 드레인관(548b)를 통하여 상기 집수조(30)로 공급한다.
즉, 상기 절곡커튼(542)에 의해 단속되는 세척수는, 상기 드레인판(548a) 및 상기 드레인관(548b)를 통하여 상기 집수조(30)에 집수된다.
이때, 상기 드레인판(548a) 및 상기 드레인관(548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에 매설된다.
한편, 도면상 미설명부호 40a 및 42는 상기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의 베인 및 구동모터이고, Br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유닛(520)의 상기 세척브러시(522) 상단부 및 상기 대차유닛(510)의 상기 베이스(516)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상기 세척브러시(522)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베이링이며, L은 출차를 알리는 경광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륜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륜시스템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V)의 전방측 차륜(W)이 상기 프레임(F)의 상기 전·후방롤러(11, 12)상에 안착되면 상기 전·후방롤러(11, 12)의 하부에 부착된 상기 계량기(16)가 전방측 상기 차륜(W), 즉 전륜측 중량을 계량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계량기(16)에 의한 상기 차량(V)의 전륜측 계량이 완료되면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전·후방롤러(11, 12)의 상기 구동부(14)를 작동시켜서 상기 차량(V)의 전방측 상기 차륜(W)을 공회전시킨다.
즉, 상기 차륜(W)은, 상기 구동부(14)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전·후방롤러(11, 12)에 의하여 공회전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정화수펌프(50)를 함께 작동시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관(P1)을 통하여 상기 전·후방노즐관(20a) 및 상기 세척수분사대(530)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또, 상기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를 함께 작동시켜서 상기 집수조(30)에 집수되는 세척수, 즉 세차폐수를 정화시킨다.
즉, 상기 차륜(W)은, 상기 전·후방노즐관(20a) 및 상기 세척수분사대(53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세척되고, 상기 집수조(30)에 집수되는 세차폐수는 상기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에 의하여 정화된다.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는 상기 집수조(30)의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외부로 퍼내면서 상기 집수조(30)에 집수된 세차폐수를 정화시킨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브러시유닛(520)이 상기 세척수분사대(530)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상기 차륜(W) 및 상기 차륜(W)의 상부측 차체를 세척하도록 상기 대차유닛(510)의 상기 구동모터(514a) 및 상기 브러시유닛(520)의 상기 회전부재(526)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대차유닛(510)의 상기 베이스(516)는 상기 롤러(514)에 의하여 상기 레일(512)을 주행하면서 상기 브러시유닛(520)을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브러시유닛(520)의 상기 세척브러시(522)는, 상기 회전축(S)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표면부재(522a)의 천조각이나 솔을 이용하여 상기 차륜(W)을 접촉식으로 세륜한다.
즉, 상기 세척브러시(522)는, 상기 베이스(516)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차륜(W)을 세륜한다.
이때, 상기 세척브러시(522)는, 상기 정화수펌프(50)에 의하여 분사되는 상기 세척수분사대(530)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상기 차륜(W)을 세륜한다.
이와 같은 상기 세척브러시(522)는, 상기 세척수분사대(530)의 고압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륜을 실시한다.
이때, 상기 세척브러시(522)는 세륜시 오염되지만 세척수에 의하여 다시 세정된다.
한편, 상기 세척브러시(522)는, 상기 베이스(516)가 상기 레일(512)의 단부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승강실린더(524)에 의하여 상승한다.
이때, 상기 세척브러시(522)는, 축심부의 상기 축공(SH)에 의해 상기 회전축(S)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승하되, 이탈이 방지되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상기 회전축(S)에 끼워진 상태로 상승한다.
즉, 상기 세척브러시(522)는, 상승하여도 상기 회전축(S)에 의해 회전된다.
이와 같은 상기 세척브러시(522)는, 상기 베이스(516)가 상기 레일(512)을 따라 귀환할 때 회전하면서 상기 차량(V)의 상기 차륜(W) 상부측 차체를 세척한다.
즉, 상기 세척브러시(522)는, 상기 베이스(516)의 복귀시 상기 차륜(W)의 상부측 차체를 세척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세척브러시(522)가 작동하기 전, 즉 세척이 실시되기 전에 상기 디펜서(540)의 상기 수직실린더(546)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디펜서(540)의 상기 절곡커튼(54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되는 상기 수직실린더(546)의 로드(546a)에 의하여 전개되면서 상기 레일(512)의 후방에 벽체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디펜서(540)의 절곡커튼(542)은, 회전하는 상기 세척브러시(522)에서 이탈되는 세척수를 단속하여 세척수가 상기 레일(512)의 후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세척수는 상기 절곡커튼(542)이 상기 레일(512)의 후방을 차폐하므로 상기 레일(512)의 후방으로 유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절곡커튼(542)에 단속되는 세척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커튼(542)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드레인부재(548)의 상기 드레인판(548a) 및 상기 드레인관(548b)를 통해 상기 집수조(30)에 집수된 후 상기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에 의해 정화된다.
한편, 전술한 상기 차량(V)의 전방측 상기 차륜(W) 및 상기 차륜(W)의 상부측의 차체에 대한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경광등(L)은 점등으로 출차를 알린다.
이와 같이 상기 경광등(L)이 점등되면 운전자는 상기 차량(V)의 후방측 상기 차륜(W)을 상기 프레임(F)의 상기 전·후방롤러(11, 12)에 안착시킨 후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계량 및 세륜을 실시한 다음 상기 경광등(L)이 재점등되면 상기 차량(V)을 상기 프레임(F)으로부터 이탈시켜서 세륜을 종료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계량기(16)로부터 각기 입력된 상기 차량(V)의 전·후방측 상기 차륜(W)에 대한 중량을 합산하여 모니터나 프린터로 구성된 제 상기 출력기(70)를 통해 합산된 상기 차량(V)의 중량을 현시한다.
즉, 상기 출력기(70)는, 계량된 상기 차량(V)의 중량을 화상이나 문서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륜시스템은, 상기 차량(V)의 세륜 및 세척이 완전하게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실린더(546)로 상기 디펜서(540)의 상기 절곡커튼(542)을 절첩시켜서 세륜을 종료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F)은, 상기 절곡커튼(542)이 절첩됨에 따라 양측으로 통풍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세척수에 젖어있는 상기 대차유닛(510)이나 상기 브러시유닛(520)과 같은 구성요소를 건조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세륜시스템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유닛(520)에 의한 상기 차륜(W)의 세척시 상기 프레임(F)의 입출구측으로 세척수 및 상기 차륜(W)상의 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F)의 전·후단 상부로 에어커튼을 제공하는 에어커튼기;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에어커튼기는,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F)의 전·후단부측 상부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상기 프레임(F)의 전·후단부측에 설치되는 에어노즐관(552) 및; 상기 에어노즐관(552)이 고압의 공기를 토출하도록 상기 에어노즐관(552)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송풍하는 어큐물레이터나 컴프레서로 이루어진 고압송풍기(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에어노즐관(552)은,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램프(552a)에 의하여 토출구가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상기 프레임(F)의 전·후단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에어커튼기는, 상기 계량기(16)의 계량이 완료되면 상기 컨트롤러(60)에 의하여 상기 전·후방롤러(11, 12)와 함께 작동한다.
즉,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계량기(16)로부터 상기 차량(V)의 상기 차륜(W)에 대한 계량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전·후방롤러(11, 12) 및 상기 에어커튼기의 상기 고압송풍기(140)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고압송풍기(140)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배관(P2, P3)을 통해 상기 에어노즐관(552)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상기 에어커튼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F)의 상부로 토출되는 에어커튼을 이용하여 상기 차륜(W)의 세척시 발생하는 세척수 및 상기 차륜(W)상의 이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단속한다.
또, 상기 에어커튼기는, 에어커튼을 이용하여 세륜시 발생하는 소음도 단속한다.
즉, 상기 에어커튼기는, 상기 프레임(F)의 전·후방으로 세척수와 이물질 및 소음이 유출되는 것을 단속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륜시스템은, 상기 세척수분사대(530) 및 상기 전·후방노즐관(20a)에서 세척수의 배출이 중단되면 상기 차륜(W)이 건조되도록 상기 세척수분사대(530) 및 상기 전·후방노즐관(20a)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고압송풍기(14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압송풍기(140)는 상기 컨트롤러(60)에 의하여 작동하는 전술한 상기 에어커튼기의 상기 고압송풍기(140)이다.
즉, 상기 고압송풍기(140)는, 상기 에어커튼기에도 사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차륜(W)의 건조에도 사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압송풍기(140)을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압송풍기(140)의 상기 에어배관(P2, P3)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에어배관(P2) 및 분기에어배관(P3)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메인에어배관(P2) 및 상기 메인관(P1)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수펌프(50)에서 공급되는 정화수가 상기 고압송풍기(1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컨트롤러(60)에 의하여 작동하는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V1, V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상기 에어커튼기로 공급되는 공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V1, V2)에 의해 상기 메인에어배관(P2) 및 상기 분기에어배관(P3)을 경유한 후 상기 에어노즐관(552)으로 공급되며, 상기 전·후방노즐관(20a) 및 상기 세척수분사대(530)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1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V1, V2)에 의해 상기 메인에어배관(P2) 및 상기 메인관(P1)을 통해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기 고압송풍기(140)는, 상기 차량(V)의 상기 차륜(W)이 건조되도록 세척수에 의한 세륜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전·후방노즐관(20a) 및 상기 세척수분사대(530)로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즉, 세척이 완료된 상기 차량(V)의 상기 차륜(W)은 상기 전·후방노즐관(20a) 및 상기 세척수분사대(530)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하여 건조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세륜시스템은, 상기 전·후방노즐관(20a) 및 상기 세척수분사대(530)에 오일이나 슬러리가 제거된 정수가 공급되도록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수펌프(50)로부터 정화수를 공급받아서 오일이나 슬러리를 제거한 정수를 상기 전·후방노즐관(20a) 및 상기 세척수분사대(530)로 공급하는 정수기(15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정수기(1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수펌프(50)로부터 공급되는 정화수를 복수개의 여과층(152')으로 여과하여 정수하는 정수탑(152)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수탑(152)의 정수를 상기 전·후방노즐관(20a) 및 상기 세척수분사대(530)로 공급하는 정수펌프(15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정수기(150)의 상기 정수탑(15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수를 여과하는 왕겨나 활성탄 또는 모래나 경석, 황토, 제오라이트, 미생물토양 등과 같은 여과재가 제각각으로 충전되어, 적층되면서 상기 여과층(152')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퍼(152a)와; 상기 호퍼(152a)의 도괴가 방지되도록 상기 호퍼(152a)를 지지하는 폴대(152b)와; 상기 폴대(152b)에 상기 호퍼(152a)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호퍼(152a)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폴대(152b)에 끼워지는 끼움링(152c) 및; 상기 호퍼(152a)에서 여과된 정수가 집수되도록 상기 호퍼(152a)의 최하단에 설치되는 저수탱크(152d);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정수기(150)는, 상기 정화수펌프(50)에서 공급되는 정화수를 전술한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V2)와 함께 상기 정수탑(152)으로 유도하거나 차단하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수펌프(50) 및 상기 정수탑(152)의 배관에 제3솔레노이드밸브(V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화수펌프(50)로부터 입수되는 정화수를 1차적으로 정수하도록 정화수가 입수되는 상기 정수탑(152)의 정화수 유입구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터(F)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층(152')의 여과재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여과층(152')에서 여과된 정수가 한번 더 여과되도록 상기 호퍼(152a)의 배수구에 스트레이너와 같은 필터(F)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면상 미설명부호 D는 상기 저수탱크(152d)의 저면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수시키도록 상기 저수탱크(152d)의 하단에 설치된 드레인관이고, PI는 상기 정화수펌프(50)로부터 정화수를 공급하는 정화수 공급배관이며, PO는 상기 저수탱크(152d)에 저수된 정수를 상기 정수펌프(154)에 공급하는 정수 공급배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150)는, 상기 차량(V)의 상기 차륜(W) 세척시 상기 컨트롤러(60)에 의하여 작동되는 상기 정화수펌프(50)로부터 정화수를 공급받아서 상기 정수탑(152)의 상기 여과층(152')을 통해 정화수를 정수한 후 상기 저수탱크(152d)에 정수를 집수한 다음 상기 컨트롤러(60)에 의하여 작동하는 상기 정수펌프(154)를 통해 상기 전·후방노즐관(20a) 및 상기 세척수분사대(530)로 정수를 공급한다.
즉, 상기 정수기(150)는, 상기 정화수펌프(50)에서 공급되는 정화수를 정수로 변환하여 세륜에 재활용한다.
이때, 상기 전·후방노즐관(20a) 및 상기 세척수분사대(530)는, 오일이나 슬러리가 거의 완벽하게 제거된 정수로 세륜을 실시하여 상기 차륜(W)이 오염된 세척수에 의해 재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정수기(150)는, 세륜시 항시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세륜이 여러번 실시됨에 따라 상기 집수조(30)의 정화수가 극심하게 오염될 경우에만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세륜시스템은, 브러시유닛의 세척브러시가 대차유닛에 의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세륜 및 세척을 실시하므로 하나의 세척브러시로 복수개의 차륜을 세륜 및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브러시유닛의 세척브러시가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면서 차륜 뿐만 아니라 차륜의 상부측 차체도 함께 세척하므로 차륜의 상부측에 부착된 이물질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천조각이나 솔을 갖는 브러시유닛의 표면부재가 노후할 경우 브러시유닛의 세척브러시 외주면에 새로운 표면부재만을 볼팅이나 본딩으로 부착하면 되므로 세척브러시의 교환시 발생하는 교환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디펜서가 제공하는 벽체가 세척수분사대 후방에서 세척수와 이물질 및 소음의 유출을 단속하므로 세척수에 의하여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펜서가 브러시유닛의 작동여부에 따라 벽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경우 프레임 양측으로 통풍이 가능하여 세척수에 젖은 구성요소를 자연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세륜시 디펜서 및 에어커튼기가 프레임의 사방에 벽체을 제공하므로 세척수나 세척시 발생되는 세척수와 이물질 및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고압송풍기가 전·후방노즐관 및 세척수분사대로 고압의 공기를 송풍하여 차륜을 건조하므로 차륜의 세척수에 의해 도로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정수기가 오일이나 슬러리가 제거된 정수를 전·후방노즐관 및 세척수분사대로 공급하므로 오염된 세차폐수를 상수와 하수의 중간인 중수로 변환하여 계속해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세륜시스템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륜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륜시스템의 계량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일반적인 자동 세차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륜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대차유닛과 브러시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세척브러시가 상승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디펜서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륜시스템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정수탑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 전·후방롤러 16 : 계량기
20a : 전·후방노즐관 30 : 집수조
40 :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 50 : 정화수펌프
60 : 컨트롤러 70 : 출력기
140 : 고압송풍기 150 : 정수기
152 : 정수탑 154 : 정수펌프
510 : 대차유닛 512 : 레일
514 : 롤러 516 : 베이스
520 : 브러시유닛 522 : 세척브러시
524 : 승강실린더 530 : 세척수분사대
540 : 디펜서 542 : 절곡커튼
544 : 고정프레임 546 : 수직실린더
552 : 에어노즐관 F : 프레임
H : 힌지 S : 회전축
SH : 축공 V : 차량
W : 차륜

Claims (5)

  1. 하부가 지반에 매설되는 프레임(F)과; 상기 프레임(F)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전·후방롤러(11, 12)와; 상기 전·후방롤러(11, 12)에 안착되는 차량(V)을 계량하는 계량기(16)와; 상기 계량기(16)에서 계량되어 상기 전·후방롤러(11, 12)에 의해 공회전하는 상기 차량(V)의 차륜(W) 전·후방에 다각도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전·후방즐관(20a)과; 상기 전·후방즐관(20a)의 세륜에 의한 세차폐수를 집수하는 집수조(30)와; 상기 집수조(30)에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엘리베이터 베인컨베이어(40)와; 상기 집수조(30)에서 슬러지가 제거된 정화수를 상기 노즐관(20)에 공급하는 정화수펌프(50)와; 상기 구성요소(50, 11, 12, 26, 40)들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계량기(16)에서 계량된 중량을 연산하는 컨트롤러(60); 및 상기 컨트롤러(60)에서 연산된 중량을 출력하는 출력기(70);로 이루어진 세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롤러(11, 12)와 직교하도록 상기 프레임(F)의 양측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레일(512) 및, 상기 레일(51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모터(514a)에 의하여 상기 레일(512)을 주행하는 롤러(514)가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베이스(516)로 이루어진 대차유닛(510)과;
    상기 대차유닛(510)의 상기 베이스(516)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차량(V)의 차륜(W)이나 상기 차륜(W)의 상부측 차체를 세척하도록 상기 베이스(516)상에 수직설치되어 회전부재(526)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S)과, 상기 회전축(S)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S)에 축심부의 수직축공(SH)이 스플라인 결합되고, 접촉식 세척이 가능하도록 천조각이나 솔로 이루어진 표면부재(522a)가 외주면에 부착된 원통형 세척브러시(522) 및, 상기 세척브러시(522)가 상기 회전축(S)을 따라 승강하면서 세척을 실시하도록 상기 세척브러시(522)의 상단 및 상기 베이스(516)에 양단이 각기 고정된 승강실린더(524)로 이루어진 브러시유닛(520)과;
    상기 브러시유닛(520)의 상기 세척브러시(522)가 세척을 실시하도록 상기 대차유닛(510)의 상기 베이스(516)상에서 상기 차륜(W)의 측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대(530) 및;
    상기 세척수분사대(53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분사대(530)의 후방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세척수분사대(530)의 후방에 벽체를 제공하는 디펜서(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펜서(540)는,
    상기 브러시유닛(520)의 작동여부에 따라 벽체를 제공하도록 단면이 지그제그형태로 절곡되어 절첩되거나 전개되는 절곡커튼(542)과;
    상기 절곡커튼(542)이 고정되도록 일측 및 타측이 상기 절곡커튼(542)의 하단 및 상기 대차유닛(510)의 상기 레일(512) 단부에 제각기 고정되는 고정프레임(544) 및;
    상기 고정프레임(544)에 고정된 상기 절곡커튼(542)이 승강에 의해 절첩되거나 전개되도록 로드(546a) 및 본체(546b)가 상기 절곡커튼(542)의 상단 및 상기 고정프레임(544)에 고정되는 수직실린더(546); 및
    상기 수직실린더(546)에 의해 전개된 상기 절곡커튼(542)이 단속한 세척수가 상기 집수조(30)로 집수되도록 상기 절곡커튼(54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조(30)에 연결되는 드레인판(548a) 및 드레인관(548b)으로 이루어진 드레인부재(5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륜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유닛(520)에 의한 상기 차륜(W)의 세척시 상기 프레임(F)의 입출구측으로 세척수 및 상기 차륜(W)상의 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기 프레임(F)의 전·후단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F)의 전·후단 상부로 에어커튼을 제공하는 에어노즐관(552) 및, 상기 에어노즐관(552)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송풍하는 고압송풍기(140)로 이루어진 에어커튼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륜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분사대(530) 및 상기 전·후방노즐관(20a)에서 세척수의 배출이 중단되면 상기 차륜(W)이 건조되도록 상기 세척수분사대(530) 및 상기 전·후방노즐관(20a)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고압송풍기(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륜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분사대(530) 및 상기 전·후방노즐관(20a)에 오일이나 슬러리가 제거된 정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정화수펌프(50)로부터 정화수를 공급받아서 내부에 충전된 복수개 여과층(152')으로 정화수를 여과하여 정수하는 정수탑(152) 및, 상기 정수탑(152)의 정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정수탑(152)의 정수를 상기 세척수분사대(530) 및 상기 전·후방노즐관(20a)으로 공급하는 정수펌프(154)로 이루어진 정수기(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륜시스템.
KR1020050069553A 2005-07-29 2005-07-29 세륜시스템 KR100517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553A KR100517780B1 (ko) 2005-07-29 2005-07-29 세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553A KR100517780B1 (ko) 2005-07-29 2005-07-29 세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7780B1 true KR100517780B1 (ko) 2005-09-28

Family

ID=3730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553A KR100517780B1 (ko) 2005-07-29 2005-07-29 세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7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638B1 (ko) 2006-05-25 2007-06-20 한국동우개발(주) 브러시가 구비된 자동세륜기
KR101723343B1 (ko) * 2016-08-17 2017-04-05 고명관 사계절용 세륜기
CN108496445A (zh) * 2018-04-24 2018-09-07 许谐兴 一种农业机械清洗处理装置
KR102185862B1 (ko) * 2019-07-19 2020-12-02 (주)대금지오웰 다목적 청정 세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638B1 (ko) 2006-05-25 2007-06-20 한국동우개발(주) 브러시가 구비된 자동세륜기
KR101723343B1 (ko) * 2016-08-17 2017-04-05 고명관 사계절용 세륜기
CN108496445A (zh) * 2018-04-24 2018-09-07 许谐兴 一种农业机械清洗处理装置
KR102185862B1 (ko) * 2019-07-19 2020-12-02 (주)대금지오웰 다목적 청정 세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9536A (en) Portable truck tire washing apparatus
US8012265B2 (en) Concrete/asphalt wet washing system
JPH11216435A (ja) 閉ループ圧力洗浄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517780B1 (ko) 세륜시스템
CN105862639A (zh) 一种路面施工吸尘车
US8118043B2 (en) Vehicle washing installation with artificial turf covered wash bay
US201100172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temporary road mats
JP2015117008A (ja) 車両用付着物除去装置
US10265648B2 (en) Water and debris recovery system
KR200475726Y1 (ko) 차량용 세륜 장치
CN106476768B (zh) 一种汽车美容用轿车底盘冲洗设备
CN213442477U (zh) 一种市政施工用污水再利用装置
KR100517781B1 (ko) 세륜시스템
CN210216286U (zh) 公路工程施工养护降尘多用车
CN106759032A (zh) 一种车载道路冲洗的环保车
JP3932411B2 (ja) トンネル内壁面の洗浄装置
EP1006854B1 (en) Surface cleaner, sprayer and retrieval unit
DK2920371T3 (en) Surface cleaning device
WO2015164809A1 (en) Water and debris recovery system
KR200303903Y1 (ko) 자동세륜기
CN210561926U (zh) 一种公路标线清洗机
CN112874486A (zh) 一种使用循环水的基坑洗车机及其使用方法
US20110139179A1 (en) Concrete/Asphalt Wet Washing System
CN108529098B (zh) 一种环卫车厢
CN206495174U (zh) 一种车载道路冲洗的环保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