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605B1 -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 - Google Patents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605B1
KR100517605B1 KR10-2003-0005895A KR20030005895A KR100517605B1 KR 100517605 B1 KR100517605 B1 KR 100517605B1 KR 20030005895 A KR20030005895 A KR 20030005895A KR 100517605 B1 KR100517605 B1 KR 100517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discharge hole
storage
discharg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9481A (ko
Inventor
김양규
김경식
김세영
이태희
전찬호
이윤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5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605B1/ko
Publication of KR20040069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6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mull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25D2317/0671Inlet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25D2317/0672Outlet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는 냉기 챔버와 저장실을 구획하는 구획부재에 난류 촉진 수단을 갖는 토출홀이 형성되어, 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냉기가 저장실 내측에 난류를 촉진시키므로, 저장실의 온도차가 최소화되고 저장실에 저장된 음식물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A cooling-air outlet structure of indirect-type refrgerator}
본 발명은 간냉식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기가 저장실 내부로 고루 섞이면서 토출되게 하는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크게 음식물 저장실을 갖는 저장고와, 상기 음식물 저장실 내부의 음식물을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냉동장치로 구성되고, 냉각방식에 따라 구분하면, 저장실 내의 자연대류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직냉식 냉장고와, 증발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된 냉기를 냉각팬을 이용하여 저장실로 공급하는 간냉식 냉장고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간냉식 냉장고의 개략 구성도이다.
종래의 간냉식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3,4) 및 냉기 챔버(5,6)가 형성된 저장고(2)와, 상기 저장고(2) 내부의 공기가 저장실(3,4)과 냉기 챔버(5,6) 사이에서 순환되도록 송풍시키는 송풍팬(7) 및 송풍모터(8)와, 상기 저장실(3,4)을 여닫을 수 있도록 상기 저장고(2)에 회동 가능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12,14)와, 상기 저장고(2) 내부의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각시키는 냉동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고(2)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실(3,4)과 냉기 챔버(5,6)를 구획함과 아울러 냉기 챔버(5,6) 내의 냉기를 저장실(3,4)로 토출하는 토출홀(17,19)이 형성된 구획부재(16,18)가 배치된다.
상기 냉동장치는 상기 저장고(2)에 형성된 기계실(9)에 장착되어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22)와, 상기 압축기(22)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를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시키는 응축기(24)와, 상기 응축기(24)에서 응축된 액체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감압시키는 팽창기구(미도시)와, 상기 저장실(3,4)과 냉기 챔버(5,6)의 순환 유로 상에 설치되어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가 순환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증발되어 순환되는 공기의 열을 빼앗는 증발기(28)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31은 상기 저장실(3)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냉장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압축기(22)가 구동되면 상기 압축기(22)에서는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토출되고, 토출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24)를 통과하면서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된 후 상기 팽창기구를 통과하면서 증발이 쉬운 저온 저압으로 팽창된다. 이렇게 팽창된 냉매는 주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 후 상기 압축기(22)로 순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압축기(22)의 구동 중 상기 송풍모터(8)는 상기 송풍팬(7)을 회전시키고, 상기 저장실(3,4) 내부의 공기는 상기 증발기(28)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후 상기 냉기 챔버(5,6)로 유입되고, 상기 구획부재(16,18)의 토출홀(17,19)을 통해 다시 저장실(3,4) 내부로 순환되어 저장실(3,4) 내부를 저온으로 유지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간냉식 냉장고는 상기 냉기 챔버(5,6)의 냉기가 상기 구획부재(16,18)의 토출홀(17,18)을 통해 토출된 후 저장실 내부의 특정부위를 편중되게 순환한 후 상기 증발기(28)측으로 순환되므로, 저장실의 상하 또는 전후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되고 음식물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기의 난류가 확산됨과 아울러 토출 거리가 길게 되어, 저장실의 내부의 온도차를 신속하게 줄일 수 있고, 저장실 내부의 온도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음식물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는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어 증발기와 열교환된 냉기를 냉기 챔버를 통해 저장실로 토출시키는 간냉식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기 챔버와 저장실을 구획하고 상기 냉기 챔버 내의 냉기가 저장실로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홀이 형성되되, 상기 토출홀은 상기 냉기 챔버측에서 상기 저장실측으로 갈수록 개구 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부재의 토출홀에 형성된 난류 촉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 일실시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간냉식 냉장고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53,54) 및 냉기 챔버(55,56)가 형성된 저장고(52)와, 상기 저장고(2) 내부의 공기가 저장실(53,54)과 냉기 챔버(55,56) 사이에서 순환되도록 송풍시키는 송풍팬(57) 및 송풍모터(58)와, 상기 저장실(53,54)을 여닫을 수 있도록 상기 저장고(52)에 회동 가능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62,64)와, 상기 저장고(52) 내부의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각시키는 냉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동장치는 상기 저장고(2)에 형성된 기계실(59)에 장착되어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72)와, 상기 압축기(72)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를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시키는 응축기(74)와, 상기 응축기(74)에서 응축된 액체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감압시키는 팽창기구(미도시)와, 상기 저장실(53,54)과 냉기 챔버(55,56)의 순환 유로 상에 설치되어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가 순환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증발되어 순환되는 공기의 열을 빼앗는 증발기(78)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79는 상기 저장실(53)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이다.
그리고, 상기 간냉식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53,54) 및 냉기 챔버(55,56)를 구획함과 아울러 냉기 챔버(55,56) 내의 냉기가 저장실(53,54)로 토출되게 하는 구획부재(80.8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획부재(80.82)는 상기 송풍팬(57)에 의해 송풍된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챔버(55,56)의 흡입구(55a,56a)가 형성되고, 상기 냉기 챔버(55,56) 내의 냉기를 상기 저장실(53,54)로 토출하는 토출홀(90)이 형성되며, 냉기가 상기 토출홀(90)을 통해 토출될 때 상기 저장실(53,54)의 내부에 소용돌이(V)를 일으켜서 저장실(53,54)의 내부에 난류를 촉진시키는 냉기 토출구조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냉식 냉장고 일실시예의 구획부재가 도시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부재(80,82)의 상기 토출홀(90)에는 토출되는 냉기가 저장실(53,54) 내부에 난류를 촉진할 수 있도록 난류 촉진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난류 촉진수단은 상기 토출홀(90)의 벽면에 형성된 나선형 홈(100)으로 이루어져, 상기 토출홀(90)을 통해 토출되는 냉기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토출되는 냉기(V)와 직선 형상으로 토출되는 냉기(D)로 나뉘게 된다.
즉, 상기 토출홀(90)의 벽면측으로 토출되는 냉기 중 일부는 상기 나선형 홈(100) 내측으로 이동되어 주변의 냉기와 박리(separation)되고, 이렇게 박리된 냉기는 상기 나선형 홈(100)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저장실(53,54)의 내측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토출되어 저장실 내부에 난류를 촉진시킨다.
한편, 상기 나선형 홈(100)에 안내되지 않는 나머지 냉기는 상기 소용돌이 형상의 냉기(V)의 내측에 직선 형상으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토출홀(90)은 상기 저장실(53,54)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게 형성되어, 소용돌이 형상으로 토출되는 냉기(V)가 직선 형상으로 토출되는 냉기(D)와 부딪히면서 난류가 보다 확산되고, 소용돌이 형상으로 토출되는 냉기(V)는 유속이 증가되어 상기 토출홀(90)과 거리가 먼 위치까지 이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나선형 홈(100)은 상기 토출홀(90)에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어, 각각의 나선형 홈(100a,100b,100c,100d)에 의해 형성된 소용돌이의 냉기(V)가 확대되면서 저장실(53,54) 내부의 난류를 더욱 확산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부재의 배면도이다.
상기 구획부재(80,82)는 토출홀(90)로 토출되는 냉기가 저장실의 특정 방향으로 집중되지 않고 고루 토출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토출홀(90)이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80,82)는 상기 복수개의 토출홀(90)에서 동량의 냉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냉기챔버(55,56)의 흡입구(55a,56a)와 거리가 먼 토출홀(90)이 냉기챔버(55,56)의 흡입구(55a,56a)와 거리가 가까운 토출홀(90)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압축기(72)가 구동되면 상기 압축기(72)에서는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토출되고, 토출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74)를 통과하면서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된 후 상기 팽창기구를 통과하면서 증발이 쉬운 저온 저압으로 팽창된다. 이렇게 팽창된 냉매는 상기 증발기(78)를 통과하면서 주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 후 상기 압축기(72)로 순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압축기(72)의 구동 중 상기 송풍모터(58)는 구동되어 상기 송풍팬(57)을 회전시키고, 상기 저장실(53,54) 내부의 공기는 상기 증발기(78)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후 상기 냉기 챔버(55,56)의 흡입구(55a,56a)를 통해 상기 냉기 챔버(55,56)로 유입된다.
상기 냉기 챔버(55,56) 내의 냉기는 토출홀(90)의 엇갈림 배치와 크기 차이에 의해 동량의 냉기가 각각의 토출홀(90)을 통해 분산 토출된다.
이때, 상기 토출홀(90)을 통해 토출되는 냉기 중 일부는 상기 나선형 홈(100)에 안내되어 상기 저장실(53,54)의 내부로 소용돌이 형상으로 토출되면서 저장실(53,54) 내부에 와류를 촉진시킨다.
그리고, 상기 토출홀(90)을 통해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토출홀(90)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토출홀(90)의 출구측에서 유속이 증가되어 상기 토출홀(90)과 거리가 먼 위치까지 토출되면서 저장실 전체의 온도차를 최소화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저장실(53,54)로 토출되어 냉기는 상기 증발기(78)로 순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는 냉기 챔버와 저장실을 구획하는 구획부재에 난류 촉진 수단을 갖는 토출홀이 형성되어, 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냉기가 저장실 내측에 난류를 촉진시키므로, 저장실의 온도차가 최소화되고 저장실에 저장된 음식물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난류 촉진 수단은 상기 토출홀의 벽면에 형성된 나선형 홈으로 구성되어, 냉기 중 일부가 저장실 내부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토출되면서 난류를 촉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나선형 홈은 상기 토출홀에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어, 냉기의 소용돌이를 크게 하면서 저장실 내부의 난류 확산을 극대화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토출홀은 상기 저장실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게 형성되어, 냉기의 토출 거리가 커지므로, 저장실의 내부의 온도차를 신속하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토출홀은 복수개가 엇갈리게 형성되고, 상기 냉기챔버의 흡입구와 거리가 멀수록 크게 형성되어, 냉기가 각각의 토출홀을 통해 분산 토출되면서 저장실 전체를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간냉식 냉장고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 일실시예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냉식 냉장고 일실시예의 구획부재가 도시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부재의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저장고 53,54: 저장실
55,56: 냉기 챔버 57: 송풍팬
58: 송풍모터 62,64: 도어
72: 압추기 74: 응축기
78: 증발기 80,82: 구획부재
90: 토출홀 100: 나선형 홈

Claims (6)

  1.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어 증발기와 열교환된 냉기를 냉기 챔버를 통해 저장실로 토출시키는 간냉식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기 챔버와 저장실을 구획하고 상기 냉기 챔버 내의 냉기가 저장실로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홀이 형성되되, 상기 토출홀은 상기 냉기 챔버측에서 상기 저장실측으로 갈수록 개구 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부재의 토출홀에 형성된 난류 촉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 촉진 수단은 상기 토출홀의 벽면에 형성된 나선형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홈은 상기 토출홀에 복수개가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홀은 복수개가 엇갈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홀은 복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냉기 챔버의 흡입구와 먼 토출홀이 상기 냉기 챔버의 흡입구와 가까운 토출홀 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
KR10-2003-0005895A 2003-01-29 2003-01-29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 KR100517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895A KR100517605B1 (ko) 2003-01-29 2003-01-29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895A KR100517605B1 (ko) 2003-01-29 2003-01-29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481A KR20040069481A (ko) 2004-08-06
KR100517605B1 true KR100517605B1 (ko) 2005-09-28

Family

ID=37358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895A KR100517605B1 (ko) 2003-01-29 2003-01-29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6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741B1 (ko) * 2007-08-23 201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토출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741B1 (ko) * 2007-08-23 201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토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481A (ko) 200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459B1 (ko) 냉장고
KR101578002B1 (ko) 냉장고
EP2389551B1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US7584627B2 (en) Refrigerator
KR20110083912A (ko) 냉장고
KR20100066664A (ko) 냉장고
JPH10300316A (ja) 冷凍冷蔵庫
KR100517605B1 (ko)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
JP2002161895A (ja) 送風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KR100529884B1 (ko)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
KR0117029Y1 (ko) 분리형 냉장고
CN220206129U (zh) 冰箱
RU2773123C2 (ru) Холодильник
US20220146155A1 (en) Refrigerator
KR20070075835A (ko) 냉장고.
KR200292002Y1 (ko) 냉장고의 기계실
JP2002181435A (ja) 冷蔵庫
KR20030015643A (ko) 냉장고의 냉기순환 시스템
KR200350968Y1 (ko) 냉장고의 응축기
KR100499458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JP2002168552A (ja) 冷蔵庫
KR200293360Y1 (ko) 냉장고의 기계실
KR200163787Y1 (ko) 냉장고용냉기순환장치
KR0168267B1 (ko) 냉장고의 에어커튼장치
KR20120072775A (ko) 냉기토출구를 가지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