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238B1 - 폐타이어와 골재를 이용한 스포츠 시설의 천연잔디 식재 및 생육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폐타이어와 골재를 이용한 스포츠 시설의 천연잔디 식재 및 생육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238B1
KR100517238B1 KR10-2003-0052214A KR20030052214A KR100517238B1 KR 100517238 B1 KR100517238 B1 KR 100517238B1 KR 20030052214 A KR20030052214 A KR 20030052214A KR 100517238 B1 KR100517238 B1 KR 100517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grass
soil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3712A (ko
Inventor
김인중
Original Assignee
(주)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케이 filed Critical (주)지케이
Priority to KR10-2003-0052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238B1/ko
Publication of KR20050013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09K17/42Inorganic compounds mixed with 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accel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폐타이어와 골재를 이용한 스포츠 시설의 천연잔디 식재 및 생육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현재 스포츠 시설 지반에 식재되어 생육된 잔디가 토양의 답압현상방지와 우수한 통기성, 배수성으로 인하여 토양에 쉽게 뿌리내리는 왕성한 생육활동으로 사후관리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폐타이어와 골재를 이용한 스포츠 시설의 천연잔디 식재 및 생육 시공방법은 입경이 0.2㎜∼8㎜인 폐타이어 분말 30∼60중량부와 입경이 3㎜∼5㎜인 골재 40∼70 중량부와 폴리우레탄 바인더 0.5∼30 중량부를 혼합한 투수기층과 배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반을 다져 부직포를 깔고 배수관을 설치한 후 그 위에 상기 혼합된 투수기층을 정방향 및 지형에 맞게 10∼50㎝ 높이로 포설하고 그 위에 유기물 20∼30중량부를 흙의 중량부에 일정비율에 맞게 혼합하여 포설한 후 그 위에 망사 부직포를 도포하고 모래 3∼10㎝로 포설 후 잔디를 식재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폐타이어와 골재를 이용한 스포츠 시설의 천연잔디 식재 및 생육 시공방법 {phyey The natural grass re-spatial-temporal law of the sports facility which uses the tire and the aggregate}
폐타이어와 골재를 이용한 스포츠 시설의 천연잔디 식재 및 생육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현재 스포츠 시설 지반에 식재되어 생육된 잔디가 토양의 답압현상방지와 우수한 통기성, 배수성으로 인하여 토양에 쉽게 뿌리내리는 왕성한 생육활동으로 사후관리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폐타이어와 골재를 이용한 스포츠 시설의 천연잔디 식재 및 생육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포츠 시설에 사용되는 잔디는 그 생육과 사후 관리에 매우 어렵고 힘든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우리 나라에서 잔디가 식재된 경기장에서는 잔디가 훼손되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는 쉽게 개방하지 않아 그 활용도가 떨어지는 현실이다.
특히 잔디위에서 경기를 하는 축구장, 골프장의 경우에는 잔디를 조성하여 시공함을 원칙으로 하고 토양의 조건은 배수조건, 척박정도, 식재부밑의 암반여부 등이 검토되어야하며 경기장처럼 답압이 심한 곳에서는 잔디의 심한 고결현상을 막기 위하여 배수가 잘되어야하기 때문에 모래 등을 사용하여 토양개량을 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축구장이나 골프장 등 자연잔디의 경우는 잔디씨를 뿌리거나 또는 잔디떼를 옮겨 구성한 것이어서 지반으로 잔디뿌리의 활착성이 원활하지 못하여 수명이 짧기 때문에 이를 관리하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특히 잔디떼를 떠서 구장을 형성할 경우 구장의 면이 고르지 못하며 이를 평탄하게 정지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할뿐만 아니라 전적으로 인력에 의존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더욱이 장마철에는 잔디에 고인물의 배수가 용이하지 못하였고 또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지효성 비료의 살포작업도 많은 시간과 인적노력을 필요로 함에 따라 잔디를 사계절 전천후로 항시 푸른 상태를 유지하는데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잔디가 식재된 토양은 배수 및 통기가 생명이며, 이와 같은 배수성,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배수관을 묻거나 모래, 자갈 등을 채워 배수성을 높였으나, 우수 및 강수시 배수에 따른 지체현상으로 잔디 훼손을 막기 위해 시설을 이용시 충분한 배수과정을 거쳐야만 천연잔디를 시설을 이용할 수 있었다.
또한, 고급 골프장의 그린 위 잔디는 인공적으로 통기현상을 확보하기 위하여 잔디표면 과 뿌리 밑을 인위적으로 구멍을 뚫어서 비토작업 및 통기성을 확보하는 작업을 해야만 한다.
이와같이 잔디의 생육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 장비가 동원되어 관리비용의 증가로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보행량과 운동량이 많은 부분을 토양이 딱딱하게 굽어지는 답압현상으로 인해 뿌리 뻗기 및 잔디의 생육에 영향을 주어 그라운드의 황폐화 현상을 초래하고 "수리지"라는 푯말을 붙여 보행을 막거나 제한을 두어 잔디의 복원을 위해 원활한 그라운드 사용을 막고있다.
따라서, 현재 스포츠 시설인 골프장, 축구장등 다양한 운동시설에 사용되는 천연잔디들은 그 식재방법들이 상기와 같이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서 보다 현실적으로 스포츠시설의 천연잔디 식재, 생육, 관리에 관한 방법이 강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재된 잔디가 생육에 대한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토양의 답압현상방지와 왕성한 생육활동을 가능케 하고 우수한 통기성과 배수성으로 우수시에도 잔디이용이 가능한 폐타이어와 골재를 이용한 스포츠 시설의 천연잔디 식재 및 생육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경이 0.2㎜∼8㎜인 폐타이어 분말 30∼60중량부와 입경이 3㎜∼5㎜인 골재 40∼70 중량부와 폴리우레탄 바인더 0.5∼30 중량부를 혼합한 투수기층과 배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반을 다진 후 부직포를 깔고 배수관을 연결설치하고, 상기 혼합된 투수기층을 정방향 및 지형에 맞게 그 위에 10∼50㎝ 높이로 포설하며 그 위에 유기물 20∼30중량부를 흙의 중량부에 일정비율에 맞게 혼합하여 포설한 후 그 위에 망사 부직포를 도포하고 모래를 3∼10㎝로 포설하고 그 위에 잔디를 식재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골프장이나 축구장 등에 설치되는 잔디(1)를 생육 및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조성하는 방법은 평평하게 정지작업을 한 지반(9) 위에 순차적으로 망사부직포(3), 배수관(8), 투수기층(10), 유기물(5), 토양(4), 모래(2), 잔디(1)층으로 적층된다.
상기 조성되는 잔디(1)층은 생육 및 배수, 통기성과 토양(4)의 답압현상을 방지하도록 먼저 잔디(1)를 조경할 지반(9)을 평평하게 다지도록 정지작업을 한 후 그 위에 망사부직포(3)를 도포 순차적으로 설치된 배수관(8)이 지반(9)과 이격되어 배수력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망사부직포(3) 위에 배수공(11)이 형성된 배수관(8)을 조성될 면적에 맞게 설치한다.
상기 설치된 배수관(8) 위로 적층되는 투수기층(10)은 입경이 0.2㎜∼8㎜인 폐타이어 분말(6) 30∼60중량부와 입경이 3㎜∼5㎜인 골재(7) 40∼70 중량부와 접착제인 폴리우레탄 바인더 0.5∼30 중량부를 믹서기에 투입하여 혼합한 투수기층(10)을 정방향 및 지형에 맞게 10∼50㎝ 높이로 포설하며 서로의 입경 차이로 인해 통공(12)이 형성되므로 별도의 통공(12)을 형성하는 작업 공정이 필요 없이 배수관(8)과 잔디(1)층으로 배수 및 통기성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상기 적층된 투수기층(10) 위로 잔디(1) 뿌리가 왕성하게 지반(9)에 활착할 수 있도록 토양(4)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유기물(5)을 토양(4)의 중량부에 맞게 20∼30 중량부로 일정하게 혼합하여 포설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잔디(1)의 생육을 위해 무기물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적층된 유기물(5)과 토양(4) 위에 망사부직포(3)를 도포 하는데 그 이유는 우수 및 통기성이 매우 용이하고 망사부직포(3) 위에 모래(2)를 살포하며 우수에 의해 모래(2)가 침하되어 통공(12)과 배수공(11)을 막는 것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망사부직포(3) 위에는 모래를 3∼10㎝ 두께로 포설한 후 잔디(1)를 식재하여 잔디(1)층을 조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날씨가 더운 계절에는 가뭄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라이트(수분흡수전문골재)를 일정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된 잔디(1)는 뿌리가 모래(2)를 지나 유기물(5)이 혼합된 토양(4)으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활발하게 활착되고, 보행자와 운동량이 많은 부분에 발생하는 답압현상은 투수기층(10) 자체가 탄성력이 있는 폐타이어 분말(6)과 입경이 서로 다른 재질은 혼합하여 지반(9)에 살포와 동시에 상온에서 자연경화되어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에도 통공(12)이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고 하중에 의한 토양(4)의 답압현상도 폐타이어 분말과 골재로 성형한 투수기층의 탄성력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로 조경되는 잔디(1)의 시공상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입경이 0.2㎜∼8㎜인 폐타이어 분말(6) 30∼60중량부와 입경이 3㎜∼5㎜인 골재(7) 40∼70 중량부와 폴리우레탄 바인더 0.5∼30 중량부와 유기물(5) 20∼30중량부와 토양(4)을 일체로 혼합한 투수기층(10)과 배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반(9)을 다진 후 망사부직포(3)를 도포하고, 배수관(8)을 그 위에 10∼50㎝ 높이로 설치하면, 그 위에 상기 혼합된 투수기층(10)을 정방향 및 지형에 맞게 포설한 후 그 위에 잔디(1)를 식재하여 잔디(1)층을 조성한다.상기 유기물(5)은 통상적으로 토양중의 유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잔디(1)에 영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유기물(5)은 생물에서 생체(生體)를 이루고 그 기관을 조직하는 물질로서 통상적으로 토양유기물이라 칭하며 그 종류는 다양하며 이러한 유기물의 종류는 익히 알려진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재활용적인 측면과 투수기층을 형성하는 재질의 입경차이로 인한 성형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우수시에도 통기성과 배수성이 우수하며 인위적으로 통공작업을 하지 않으므로 작업공정의 간소화와 토양의 답압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식재된 잔디의 완성한 생육활동과 관리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잔디 2: 모래
3: 망사부직포 4: 토양
5: 유기물 6: 폐타이어분말
7: 골재 8: 배수관
9: 지반 10: 투수기층
11: 배수공 12: 통공

Claims (2)

  1. 입경이 0.2㎜∼8㎜인 폐타이어 분말 30∼60중량부와 입경이 3㎜∼5㎜인 골재 40∼70 중량부와 폴리우레탄 바인더 0.5∼30 중량부를 혼합한 투수기층과 배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반을 다져 부직포를 깔고 배수관을 설치한 후 그 위에 상기 혼합된 투수기층을 정방향 및 지형에 맞게 10∼50㎝ 높이로 포설하고 그 위에 유기물 20∼30중량부를 흙의 중량부에 일정비율에 맞게 혼합하여 포설한 후 그 위에 망사 부직포를 도포하고 모래 3∼10㎝로 포설 후 잔디를 식재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와 골재를 이용한 스포츠 시설의 천연잔디 식재 및 생육 시공방법.
  2. 입경이 0.2㎜∼8㎜인 폐타이어 분말 30∼60중량부와 입경이 3㎜∼5㎜인 골재 40∼70 중량부와 폴리우레탄 바인더 0.5∼30 중량부와 유기물 20∼30중량부와 토양을 혼합한 투수기층과 배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반을 다진 후 부직포를 깔고 배수관을 그 위에 10∼50㎝ 높이로 설치하고, 그 위에 상기 혼합된 투수기층을 정방향 및 지형에 맞게 포설한 후 잔디를 식재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와 골재를 이용한 스포츠 시설의 천연잔디 식재 및 생육 시공방법.
KR10-2003-0052214A 2003-07-29 2003-07-29 폐타이어와 골재를 이용한 스포츠 시설의 천연잔디 식재 및 생육 시공방법 KR100517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214A KR100517238B1 (ko) 2003-07-29 2003-07-29 폐타이어와 골재를 이용한 스포츠 시설의 천연잔디 식재 및 생육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214A KR100517238B1 (ko) 2003-07-29 2003-07-29 폐타이어와 골재를 이용한 스포츠 시설의 천연잔디 식재 및 생육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712A KR20050013712A (ko) 2005-02-05
KR100517238B1 true KR100517238B1 (ko) 2005-09-27

Family

ID=3722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214A KR100517238B1 (ko) 2003-07-29 2003-07-29 폐타이어와 골재를 이용한 스포츠 시설의 천연잔디 식재 및 생육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2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712A (ko) 200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5587B2 (en) Tree root invigoration process
CN110565660B (zh) 边坡绿化用喷播施工方法
CN102138508B (zh) 利用生物结皮对陡峭道路边坡进行绿化和防护的方法
CN103650838B (zh) 一种沙培冷季型草坪种植方法
US20070248773A1 (en) Mixed Turf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CN102204434A (zh) 一种利用生物结皮防治水蚀荒漠化的方法
CN102146653A (zh) 体育运动草坪的坪床结构
CN110832965A (zh) 一种破损山体生态修复施工工法
CN103650837A (zh) 一种沙培冷季型层状草坪
JP2015001116A (ja) 芝生の施工方法
KR100835675B1 (ko) 갓길용 클로버 뗏장 식재방법
KR100517238B1 (ko) 폐타이어와 골재를 이용한 스포츠 시설의 천연잔디 식재 및 생육 시공방법
CN110681691A (zh) 有机土壤调节材料、制备、土壤修复方法以及矩阵
JP3065278U (ja) 芝生床土構造
Kowalewski et al.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construction of sand-based, natural grass athletic fields: for football and soccer
EP1648219A1 (en) Grass growing superstrate and methods of use
KR100630160B1 (ko) 무토양 잔디
CN113796267B (zh) 一种把软基础人造草坪球场改为天然草坪球场的施工方法
KR20120133800A (ko) 식생층을 구비한 식생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RU2099927C1 (ru) Почвенная растительная смесь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газонов
CN220486185U (zh) 一种足球场混合草坪
Davis et al. The sand football field
JPS6030722A (ja) 法面緑化植生法
KR19990037617A (ko) 화산암재를 이용한 잔디구장의 관수 및 배수장치
CN117005431A (zh) 一种联合木纤维喷播与植生毯的公路边坡防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