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814B1 - 비디오신호분석및저장장치와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신호분석및저장장치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814B1
KR100516814B1 KR10-1998-0709407A KR19980709407A KR100516814B1 KR 100516814 B1 KR100516814 B1 KR 100516814B1 KR 19980709407 A KR19980709407 A KR 19980709407A KR 100516814 B1 KR100516814 B1 KR 100516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audio
scene change
backgroun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857A (ko
Inventor
시몬 블란카르드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to KR10-1998-0709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814B1/ko
Publication of KR2000001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6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a video-frame or a video-field (P.I.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2Detection of scene cut or scene 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cene or a sh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scene cut or scene change detec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7Scene chang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있어서 (샷 컷 또는 편집점과는 다른) 장면 변화를 검출하는 장치와 함께, 이와 같은 검출장치를 사용하는 비디오 기록 및 로깅 장치가 개시된다. 장면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은, 비디오 신호에 수반하는 오디오 사운드트랙을 수신 및 필터링하여 배경 오디오 신호 레벨을 주기적으로 결정하는 필터링 장치(20)를 구비한다. 현재와 이전에 결정된(22) 배경 레벨을 비교(24)함으로써, 현재의 배경 오디오 레벨이 이전의 배경 레벨과 소정량 이상 차이를 갖는 경우에 장면 변화(SC)가 플래그된다. 그후, 복수의 장면 변화 위치로 이루어진 테이블이 구축되어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갖고 저장된다.

Description

비디오 신호 분석 및 저장장치와 방법
본 발명은, 복수의 오디오 및 비디오(이하, AV라 칭한다) 데이터 스트림을 신호처리 및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면 변화(scene change)의 자동화된 검출 및 로깅(logging)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부 종래의 문헌에서 장면 변화 또는 신 컷(scene cut)이라는 용어로 언급된 것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들 용어의 의미를 구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들 종래의 문헌에서, 장면 변화(또한, 편집점(edit points) 및 샷 컷(shot cuts)으로 다양하게 칭해지기도 한다)는, 비디오의 편집과정 또는 한 장면 동안 카메라 샷(camera shot)의 변화로부터 일어난 비디오 스트림 내부의 불연속을 칭하는데 사용되어 왔는데, 필요한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샷 변화(shot change) 또는 샷 컷이라 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때, 장면 변화(또는 신 컷)는 표시된 자료에 있어서 정황의 변화를 수반하는 지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각각의 배우의 얼굴에 초점이 맞추어진 2개의 카메라 사이에 샷 변화가 반복되고, 1개 또는 그 이상의 추가적인 카메라가 더 폭이 넓거나 서로 다르게 앵글이 잡힌 복수의 샷을 제공하면서, 한 장면이 2명의 배우가 대화를 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연기 위치 또는 시간의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장면 변화가 발생한다. 연속적인 비디오 필드 또는 프레임의 콘텐트를 비교하여 샷 컷을 검출하는 시스템은, 비디오 프린터(US 4,902,423 - 본 특허에서는 중단점을 "장면 천이점"이라 칭하고 있다)와 포맷 변환 시스템(EP-A 0 685 968 - edit point detection and correction to avoid mismatches in field combination) 분야에 있어서 공지되어 있다.
비디오 테이프 로깅에 있어서 불연속 검출에 대한 또 다른 사용의 일례가 더브너(Dubner) 등의 국제특허출원 WO 94/11995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비디오 데이터와 이에 수반되는 오디오 사운드트랙을 기록하는 비디오테이프 레코더와 함께, 비디오를 동시에 수신하도록 접속되고, 복수의 컷 포인트로부터 복수의 비디오 프레임을 캡처하여, 이것들을 개별적으로 비디오 테이프로부터 예를 들면 시스템의 호스트 역할을 하는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상에 저장함으로써 이들 검출된 복수의 컷 포인트의 색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구비한다. 상기한 더브너의 시스템은, 감시용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비디오 신호, 특히 일반적으로 밀집되지 않은 영역의 이미지로 이루어진 긴 시퀀스가 기록될 신호를 로깅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또한, 비록 이 예에 있어서 플래그되는 것은 장면 콘텐트의 변화(예를 들면, 시야 내에서 발생하는 갑작스런 움직임의 순간)이지만, 관심사인 "중단(break)" 점을 식별하는데 연속적인 프레임으로부터 얻어진 픽셀값의 비교가 사용된다. 데이터 취급 요구조건을 간략화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복수의 프레임 부분간의 변화에 대해 수치값을 도출하고 소정의 한계값을 초과하는 수치를 샷 컷 또는 장면 콘텐트의 감지할 수 있는 변화의 지표로 선택하면서, 연속적인 복수의 프레임의 작은 부분 사이에서만 비교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특허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더브너의 시스템은, 포착된 복수의 프레임에 대한 다수의 축소된 크기를 갖는 프레임으로부터 형성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면서, 이들 프레임의 전부 또는 선택된 부분을 스크롤하는 장치가 설치된다. 선택된 프레임이 다음에 선택될 때 상기시킬 주석을 써넣음으로써, 비디오 테이프의 원래 프레임의 위치를 나타내는 타임 스탬프에 덧붙여, 상기한 선택된 프레임에 주석을 달기 위한 수단이 설치된다. 주석을 다는 또 다른 기술은, 캡처된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수반하는 오디오 파형의 그래픽 표시를 제공하며, 이와 같은 파형 표시 위에 사용자는 시스템에 의해 기록될 추가적인 컷 포인트를 나타내기 위해 복수의 마커(marker)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한 더브너의 시스템은 비디오 스트림을 모니터링하고 편집하는데 유용한 다수의 특징부를 제공하기는 하지만, 신 컷과 샷 컷을 구별할 수 없어, 이들 양자를 동일하게 취급한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이 구별할 수 있는 시스템, 특히 가정용 기록장치 뿐만 아니라 더 복잡한 비디오 편집 및 기록 장비에 사용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스트림의 장면 변화를 검출하며 그것을 샷 컷과 구별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록된 비디오 스트림의 장면 변화를 검출하고 식별할 수 있는 비디오 기록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오디오 사운드트랙을 수반하는 비디오 신호의 비디오 장면 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오디오 사운드트랙을 주기적으로 필터링하여 배경 오디오 신호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와,
- 현재 및 이전에 결정된 배경 오디오 신호 레벨을 비교하여 배경 레벨에 있는 불연속점을 식별하는 단계와,
- 상기 배경 오디오 불연속점에 또는 그 직후에 시작하는 비디오 신호 프레임을 새로운 비디오 장면의 첫 번째 프레임으로 플래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이 제공된다.
배경 레벨에 있는 오디오의 불연속점을 검출함으로써, 장면 변화를 총괄적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배경 오디오 레벨이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단순한 샷 변화와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사운드트랙을 수반하는 비디오 신호용 입력과, 상기 입력을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의 장면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한 비디오 장면 변화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면 변화 검출수단이, 상기 오디오 사운드트랙을 수신 및 필터링하여 주기적으로 배경 오디오 신호 레벨을 결정하도록 접속된 필터링 장치와, 최종적으로 결정된 배경 레벨의 기록을 보존하도록 구성된 제 1 저장수단과, 현재의 배경 레벨이 저장된 최종 배경 레벨과 소정량 이상 다른 경우에 장면 변화를 플래그하도록 구성된 비교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개별적인 배경 레벨값의 오산출에 대한 허용오차를 도입하기 위해, 상기 제 1 저장수단은 2 또는 그 이상의 값을 갖는 최종 N개의 결정된 배경 레벨의 기록을 보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저장수단과 접속되며 상기 최종 N개의 결정된 배경 레벨로부터 평균 배경 오디오 신호 레벨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평균화 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이전에 산출된 레벨의 평균값을 취함으로써, 상기한 비교기 수단은 현재의 배경 레벨이 상기 결정된 평균 배경 레벨과 상기한 소정량 이상 다른 경우에 화면 변경을 플래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검출장치는, 비디오 신호 내부의 개별 프레임을 식별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오디오 배경 레벨에 있는 검출된 불연속점에 대해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프레임을 장면 변화 프레임으로 플래그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한 비디오 데이터는 MPEG 표준에 따라 인코딩되며, 이러한 소정 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상기한 장면 변화 프레임이 오디오 배경 레벨에 있는 불연속점에 뒤따르는 첫 번째 검출된 I-프레임이라는 기준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전술한 장면 변화 검출장치와 함께, 수신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착탈가능한 기록매체 상에 기록하도록 동작가능한 기록수단을 구비한 비디오 기록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 장면 변화 검출장치 및 기록수단과 접속된 프로세서 수단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프로세서는 장면 변화 프레임의 목록과 그들 각각의 기록된 위치를 기록매체 상에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프로세서는 장면 변화 프레임 위치의 목록을 기록매체 상에 저장하도록 더 동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비디오 기록장치는, 기록매체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도록 더 동작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장치는, 기록매체가 복수의 장면 변화 프레임의 목록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목록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제어하에서 1개 또는 그 이상의 장면 변화 프레임을 식별하여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프레임 각각을 표시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장치는, 정적 메뉴 스크린으로서 복수의 장면 변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기록매체로부터 추출하고, 크기를 줄여 소정 장치에 표시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뉴 스크린 장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메뉴 스크린 상에 있는 복수의 장면 변화 프레임으로부터 한 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조작가능한 입력수단(예를 들면,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 콘트롤러)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선택된 장면 변화 프레임으로부터 시작하여 기록매체로부터 저장된 비디오를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장치에 의해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와 복수의 장면 변화 프레임의 목록이 그 위에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테이프와 비교하여 더 신속한 액세스 시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기록매체로는 DVD-RAM 또는 이와 동등한 표준을 따르는 광 디스크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다음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부 및 이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오디오 신호 레벨, 비디오 샷 컷과 비디오 장면 변화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기록 및 재생 장치에 대한 개략적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에 의해 생성된 온스크린 메뉴 표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도면은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원리, 즉 배경 오디오 레벨에 있어서의 변화의 검출값을 사용하여, 샷 컷과는 달리 장면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상부 부분은 오디오 신호 성분에 대한 시간에 따른 진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하부 부분은, 한 개의 장면(Sc(N-1))의 최종 몇개의 샷(Sh(x-1); Sh(x))과 그 뒤에 다음 장면(Sc(N))의 첫 번째 몇 개의 샷(Sh(1); Sh(2); Sh(3))을 나타낸 오디오 신호에 수반하는 비디오 시퀀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것 같이, 도면의 좌측에 있는 오디오 신호 부분은, 배우의 대사 또는 이야기의 다른 오디오 특징부에 기인한 중첩된 피크에도 불구하고, 기초를 이루는 오디오 진폭 A1을 갖는 한편, 도면의 우측에 있는 오디오 부분은 기초를 이루는 (배경) 진폭 A2를 가지며, 이들 레벨 사이의 천이 순간은 라인 tAD로 개략적으로 표시하였다.
이때, 새로운 장면 Sc(N)의 비디오 성분이 시작되기 이전에 A1으로부터 A2로의 배경 오디오 레벨의 천이점 뒤에는 약간의 시간 지연 L이 존재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미리 녹화된 오디오/비디오 상연물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징이며, 장면 Sc(N)의 개시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장면이(그것의 오디오 부속물과 함께) 개별적으로 저장되어 온더 플라이(on the fly) 방식으로 연결되는 대화형 응용분야에 있어서만 tAD와 일치한다. 장면 Sc(N)의 시작을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tAD가 결정되면, 서로 다른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비디오가 MPEG 표준에 따라 I, P 및 B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공지된 배치와 같이 개별적으로 인코딩되고 미분 코딩된 복수의 프레임의 복합물인 경우에, 다음 장면의 첫 번째 프레임을 tAD 이후에 마주치는 첫 번째 개별적으로 코딩된 프레임(I-프레임)으로 적절히 취할 수 있다. 성공적인 선택에 대한 높은 가능성을 부여하는데 덧붙여, 이와 같은 선택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추출과정 또한 단순화한다.
비록 더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는 하지만, 장면 Sc(N)의 시작점을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기술은, 연속적인 복수의 프레임으로부터 얻어진 픽셀 데이터의 비교에 근거한 종래의 샷 컷 검출기술과 조합하여 배경 오디오 레벨 검출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비록 모든 샷 변화를 검출할 수 있지만, 배경 오디오 레벨에 있어서의 검출된 변화와 일치하거나 바로 뒤에 뒤따르는 것만을 장면 변화로 분류하여 로깅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기록 및 재생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 블록도가 주어진다. 예를 들어 비디오테이프 재생기 또는 텔레비젼 방송 수신기로부터의 출력에 해당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AVIN의 공급원으로부터, 신호가 오디오 및 비디오 성분을 분리하는 제 1 스테이지(10)로 주어진다. 또한, 상기 입력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AVIN은, 중앙처리장치 CPU(14)의 제어하에서, 그것이 저장되는 형식이 필요로 하는 임의의 신호처리 또는 포맷 구성을 취급하는 포맷팅 스테이지(12)로 주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12)로부터 포맷화된 데이터는 기록/재생 스테이지(16)로 주어지고, 이 스테이지는 그것을 고밀도 광 디스크(18) 상에 기록한다. 자명한 것 같이, 액세스 속도의 이유로 인해 다른 무엇보다도 저장수단으로서 고밀도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 스테이지(10)에서 분리된 오디오 성분은 필터링 스테이지(20)로 주어지며, 이 필터링 스테이지는 오디오 파형의 진폭을 주기적으로 샘플링하여(또는 항상 감시하여), 규칙적인 간격으로 선행하는 도출된 복수의 배경 레벨을 기억하는 메모리(22)로 배경 오디오 진폭 레벨에 대한 도출값을 출력한다. 순시적으로 도출된 각각의 오디오 배경 레벨은 또한 상기한 메모리(22)에 접속된 비교기 스테이지(24)로 주어진다. 상기한 비교기 스테이지(24)는 메모리(22)에 존재하는 이전 값과 최근에 도출된 배경 진폭 레벨을 비교하여, (예를 들면, 소정의 한계값을 초과하는 진폭의) 상당한 차이가 발생한 경우에, 비교기는 CPU(14)로 장면 변화 SC를 표시한다. 그후 잘못된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 CPU(14)는 마지막으로 저장된 배경 진폭 값 이외의 모든 진폭값을 삭제하는 소거신호 CLR을 메모리(22)로 전송한다.
CPU(14)는, 비교기(24)에서 장면 변경(SC) 신호를 수신하면, 포맷팅 스테이지(12)를 통해 (전술한 것과 같이) 새로운 장면의 적당한 첫 번째 프레임을 식별하며, 디스크 기록/재생 스테이지(16)의 제어를 통해 디스크(18) 상의 이 프레임의 저장 위치를 식별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새로운 장면의 첫 번째 비디오 프레임의 식별은, 도면부호 26에 점선으로 표시되고 입력 스테이지(10)로부터 분리된 비디오 성분을 수신하도록 접속된 프레임 콘텐트 비교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신호가 실시간으로 수신됨에 따라, CPU(14)는 복수의 장면 변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테이블과 그것의 위치를 디스크(18) 상에 구축하는데, 이 테이블 또한 입력 비디오의 종결시에 디스크(18) 상에 적절히 기록된다. CPU(14)에 접속된 시스템 클록(28)은,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한 경과된 시간을 감시하며, 후속된 상연물에 대한 장면 변화 프레임 데이터의 테이블 내부에 사용자에 대한 추가 정보로서 포함시키기 위한 타임 스탬프를 생성하는데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한 디스크에서 발생된 데이터의 재생은 마찬가지로 기록/재생 스테이지(16)를 통해 CPU(14)에 의해 제어된다.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디스플레이(32)로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0)와, 오디오 신호를 1개 또는 그 이상의 스피커(36)로 출력하는 오디오 증폭 스테이지(34)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CPU(14)의 제어하에서, 지역 메모리(38)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0)는 디스플레이(32) 상에 메뉴 스크린을 발생하도록 활성화됨으로써, 캡처된 복수의 장면 변화 프레임(및 선택적인 타임 스탬프)이 사용자에게 디스크(18)의 콘텐트에 대한 인덱스로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뉴 스크린을 도 3에 도시하였는데, 이 메뉴 스크린은 이전에 발생되고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디스크(18)로부터 판독된 8개의 순차적으로 캡처된 장면 변경 프레임 F1 내지 F8을 포함하는데, 이때,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그 크기가 줄어들고 도시된 것 같이 표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CPU(14)를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주위로 커서(42)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과 같은 사용자 조작 가능한 입력장치(40)(참조: 도 2)를 구비한다. 표시된 이미지 F1 내지 F8과 커서(42)에 덧붙여, 상기한 표시 스크린은 커서 및 사용자 입력장치(40)를 사용하여 선택하거나, 가능한 경우에는 단지 커서를 버튼 위에 놓이게 함으로써 활성화되는 복수의 사용자 조작 가능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8개보다 많은 프레임이 캡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들 버튼과 관련된 기능은 캡처된 복수의 장면 변화 프레임을 스크롤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가능한 기능으로는, 캡처된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시퀀스의 시작점으로 복귀하는 명령과, 메뉴 스크린을 종료하는 명령(즉, 정규 재생 동작으로 복귀하는 명령)과, 표시된 복수의 장면 변화 프레임 중에서 선택된 한 개의 프레임에서 시작하여 저장된 비디오를 재생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이러한 후자의 특징과 관련하여, 설치될 수 있는 유틸리티는, 메뉴로부터 장면 변화 프레임을 선택했을 때 이 장면 변화 프레임에 뒤따르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선택된 시퀀스를 재생함으로써 장면 콘텐트를 신속하게 재검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기록된 데이터가 MPEG 포맷을 갖는 경우에) 단순히 I 프레임을 재생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프레임은 메뉴 스크린 상의 그 자신의 장면 변화 프레임의 위치에 크기가 줄어든 형태로 적절히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소형화된 장면들은, 표시된 복수의 장면 변화 프레임 중에서 원하는 프레임 위에 커서(42)를 배치함으로써 간단히 활성화시킬 수 있다.
요약하면, 오디오/비디오 신호에 있어서 (샷 컷 또는 편집점과는 다른) 장면 변화를 검출하는 장치와 함께, 이와 같은 검출장치를 사용하는 비디오 기록 및 로깅 장치가 개시된다. 장면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은, 비디오 신호에 수반하는 오디오 사운드트랙을 수신 및 필터링하여 배경 오디오 신호 레벨을 주기적으로 결정하는 필터링 장치를 구비한다. 현재와 이전에 결정된 배경 레벨을 비교함으로써, 현재의 배경 오디오 레벨이 이전의 배경 레벨과 소정량 이상 차이를 갖는 경우에 장면 변화가 플래그된다. 그후, 복수의 장면 변화 위치로 이루어진 테이블이 구축되어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갖고 저장된다.
본 발명의 발명내용으로부터, 이와 다른 변형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은, 비디오 신호 기록 및 처리 기기 및 장치와 그것의 부품과 관련된 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여타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특징부 대신에 또는 이에 부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특정한 특징부의 조합에 맞추어 청구범위를 작성하였지만, 본 출원의 발명의 범주는, 그것이 임의의 청구항에 현재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발명과 관련된 것에 무관하게 또한 그것이 본 발명에서 같은 방식으로 동일한 기술적 문제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였는지에 무관하게, 명시적이거나 암시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신규한 특징부 또는 이들 특징부의 임의의 신규한 조합을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 또는 본 출원으로부터 파생된 또 다른 출원의 출원절차 중에 이와 같은 특징부 및/또는 이러한 특징부의 조합에 맞추어 새로운 청구항이 작성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12)

  1. 오디오 사운드트랙을 수반하는 비디오 신호용 입력과, 상기 입력을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의 장면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한 비디오 장면 변화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면 변화 검출수단은, 상기 오디오 사운드트랙을 수신 및 필터링하여 주기적으로 배경 오디오 신호 레벨을 결정하도록 접속된 필터링 장치와, 최종적으로 결정된 배경 레벨의 기록을 보존하도록 구성된 제 1 저장수단과, 현재의 배경 레벨이 저장된 최종 배경 레벨과 소정량 이상 다른 경우에 장면 변화를 플래그하도록 구성된 비교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장면 변화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수단은 2 또는 그 이상의 값을 갖는 최종 N개의 결정된 배경 레벨의 기록을 보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저장수단과 접속되며 상기 최종 N개의 결정된 배경 레벨로부터 평균 배경 오디오 신호 레벨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평균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비교기 수단은 상기 현재의 배경 레벨이 상기 결정된 평균 배경 레벨과 상기 소정량 이상 다른 경우에 화면 변경을 플래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장면 변화 검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 내부의 개별 프레임을 식별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오디오 배경 레벨에 있는 검출된 불연속점에 대해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프레임을 장면 변화 프레임으로 플래그하도록 구성된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장면 변화 검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MPEG 표준에 따라 인코딩되며, 상기 소정 기준은, 장면 변화 프레임이 오디오 배경 레벨에 있는 불연속점에 뒤따르는 첫 번째 검출된 I-프레임이라는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장면 변화 검출장치.
  5.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장면 변화 검출장치와, 수신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착탈 가능한 기록매체 상에 기록하도록 동작 가능한 기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 변화 검출장치 및 상기 기록수단과 접속된 프로세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면 변화 프레임의 목록과 그들 각각의 기록된 위치를 상기 기록매체 상에 생성하고, 상기 목록을 기록매체 상에 저장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기록매체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도록 더 동작가능하게 구성되며, 기록매체가 복수의 장면 변화 프레임의 목록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목록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제어하에서 1개 또는 그 이상의 장면 변화 프레임을 식별하여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프레임 각각을 표시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정적 메뉴 스크린으로서 복수의 장면 변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기록매체로부터 추출하고, 크기를 줄여 소정 장치에 표시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메뉴 스크린 상에 있는 복수의 장면 변화 프레임으로부터 한 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조작가능한 입력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장치는 선택된 장면 변화 프레임으로부터 시작하여 기록매체로부터 저장된 비디오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장치.
  10.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장치에 의해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와 복수의 장면 변화 프레임의 목록이 그 위에 기록된 기록매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DVD-RAM을 따르는 광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2. 오디오 사운드트랙을 수반하는 비디오 신호의 비디오 장면 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오디오 사운드트랙을 주기적으로 필터링하여 배경 오디오 신호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와,
    - 현재 및 이전에 결정된 배경 오디오 신호 레벨을 비교하여 배경 레벨에 있는 불연속점을 식별하는 단계와,
    - 상기 배경 오디오 불연속점에 또는 그 직후에 시작하는 비디오 신호 프레임을 새로운 비디오 장면의 첫 번째 프레임으로 플래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장면 변화 검출방법.
KR10-1998-0709407A 1997-03-22 1998-03-05 비디오신호분석및저장장치와방법 KR100516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09407A KR100516814B1 (ko) 1997-03-22 1998-03-05 비디오신호분석및저장장치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705999.2 1997-03-22
KR10-1998-0709407A KR100516814B1 (ko) 1997-03-22 1998-03-05 비디오신호분석및저장장치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857A KR20000015857A (ko) 2000-03-15
KR100516814B1 true KR100516814B1 (ko) 2005-11-29

Family

ID=43674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407A KR100516814B1 (ko) 1997-03-22 1998-03-05 비디오신호분석및저장장치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8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857A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7114B1 (en) Video signal analysis and storage
US200400418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exing a video sequence
KR101058054B1 (ko) 비디오 추출
TW514875B (en) Commercial skip and chapter delineation feature on DVD recordable media
EP1381224A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and manipulation of thematic segmentation in the analysis and presentation of film and video
KR19980071045A (ko) 텔레비젼 신호 기록 장치 및 방법, 텔레비젼 신호 재생 장치 및방법, 텔레비젼 신호 기록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0801038B1 (ko) 디스크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 스트림의 정지화면구현방법
KR100962183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위한 규칙
WO1994011995A1 (en) Video log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962184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내의 제어필드 이벤트 검출
KR101869905B1 (ko)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GB2296601A (en) Video signal recording device and signal editing device
KR100516814B1 (ko) 비디오신호분석및저장장치와방법
JP4454704B2 (ja) 画像処理装置
KR100769438B1 (ko) 디스크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 스트림의 정지화면 구현방법
US70894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ene detection information storage
JP3909130B2 (ja) ストリームイベント点検出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H07111630A (ja) 動画像編集装置及びカット統合方法
US20030142961A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the optical recording medium
JPH06337898A (ja) 動画編集装置
JPH0738845A (ja) ビデオ映像のシーン抽出方法
KR100721658B1 (ko) 디스크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 스트림의 정지화면구현방법
EP12939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diting-related metadata
JPH09191442A (ja) 記録再生装置
JPH06113252A (ja) 表示画面フレーム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