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313B1 - 로고송신수단을포함하는송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로고송신수단을포함하는송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313B1
KR100516313B1 KR10-1998-0709730A KR19980709730A KR100516313B1 KR 100516313 B1 KR100516313 B1 KR 100516313B1 KR 19980709730 A KR19980709730 A KR 19980709730A KR 100516313 B1 KR100516313 B1 KR 100516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o
signals
receiver
transmission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162A (ko
Inventor
게스텔 헨리쿠스 안토니우스 빌헬무스 반
레오나르두스 요한네스 스틴비크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to KR10-1998-070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313B1/ko
Publication of KR20000016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6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rating content, e.g. scoring a recommended movi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45Control of the passage of the selected programme
    • H04N7/17354Control of the passage of the selected programme in an intermediate station common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bstract

텔레비전 송신기는 종종 종래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외에 부가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보조 동작 신호를 송신한다. 그 예로는 특히, 퀴즈쇼에서 질문에 대답하거나 노래 자랑에서 가장 우수한 기량에 투표함으로써 대중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대화식 텔레비전이 있다. 동작 신호들은, 모뎀을 통해 사용자의 응답을 송신기로 보내는 것과 같은, 송신기가 취해야 할 동작을 식별한다. 특정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는 것을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송신기(1)는 동작 신호들의 송신을 나타내는 로고(150)를 송신한다. 수신기(3)는 송신된 로고를 수신하고, 그것을 국부적으로 저장된 로고와 비교하고(352), 송신된 로고와 국부적으로 저장된 로고가 인식할 정도로 동일한 경우에만, 동작 신호를 처리한다(36). 로고는 종래의 텔레비전 신호와는 별도로 인코딩될 수도 있고, 그 신호내에 임베딩될 수도 있다. 대중은 자신의 수신기가 어드레스된 기능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쉽게 인식하고 있으므로 혼란을 일으키지 않는다.

Description

로고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
본 발명은 송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으로서, 송신기가 상기 수신기의 미리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한 동작 신호들을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수신기가 상기 동작 모드에서 상기 동작 신호들을 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서두에서 언급된 송신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데, 특히 종래의 라디오 또는 텔레비전 송신 시스템의 형태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시스템들에서, 동작 신호들은 종래의 라디오 또는 텔레비전 신호들이다. 부가 서비스들을 제공하거나 수신기의 동작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의 신호들 외에 부가로 동작 신호들을 송신하는 송신 시스템들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텔레비전 송신기들은 정규 텔레비전 프로그램 외에 부가로 스테레오 음향 신호들, 텔레텍스트 페이지들, 또는 전기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텔레비전 송신기들은 대중에게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 라디오 송신기들은 정규 라디오 프로그램 외에 부가로 네트워크 정보, 교통 방송 등을 송신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수신기가 상기 동작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비를 갖추고 있는지에 대해 항상 분명하게 알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종래의 텔레비전 수신기들은, 사용자가 특히 퀴즈쇼에서 질문들에 대답하거나, 노래자랑에서 가장 훌륭한 기량에 투표함으로써 능동적으로 참여할 경우, 대화식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따라 송신되어 수신기에 의해 수행되어야 할 행위들을 규정하는 동작 신호들을 디코딩하지 않는다. 그러한 대화식 프로그램이 공표되어 방송되면, 최신의 종래 수신기의 소유자는 자신이 참여할 수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 혼란스러워 할 것이다. 종종, 이로 인해 서비스 작동자, 수신기 제조업자 또는 소매상은 귀찮은 전화에 시달려야 한다. 더 새로운 서비스들이 도입될 가까운 미래에는 그러한 혼란이 더 악화될 것이다.
이런 유형의 서비스의 통상의 특징은 관련 동작 모드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서비스가 공표되어 사용이 가능하지만, 동작 신호들이 자신의 수신기에 의해 처리될 수 없기 때문에 관련 동작 모드를 활성화시키려는 자신의 시도가 실패한다면, 사용자가 매우 실망할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각 로고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되는 화상 로고 디코더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문제점을 완화시키는 송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시스템은, 송신기가 동작 신호들의 송신을 나타내는 로고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신기는, 로고를 수신하는 수단과, 수신된 로고를 국부적으로 저장된 로고와 비교하는 수단과, 수신된 로그 및 국부적으로 저장된 로그가 인식할 정도로 동일한 경우에만, 미리 결정된 동작 모드를 인에이블시키는 수단과, 상기 동작 모드가 인에이블되면, 로고를 재생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로고란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화상 및/또는 오디오 곡조(audio tune)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양호하게는, 특정 유형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것을 대중이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특유의 로고들 또는 오디오 곡조들이 대중에 의해 쉽게 인식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본 발명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장치상에 그 장치가 특정 기능들을 갖는다는 것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로고를 인쇄하는 것은 이미 일반적인 관행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착상을 신호 영역으로 확장한 것이다. 로고를 송신함으로써, 대중은 가입된 서비스가 방송되고 있다는 것을 즉시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수신기들은 의도된 로고 또는 곡조의 수신시에만 동작하게 된다. 새로운 서비스들은 서로 다른 로고의 송신을 필요로 한다. 비호환 수신기들(incompatible receivers)은 그러한 서비스에 응답할 수 없을 것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수신기의 로고가 표시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수신된 즉, 서로 다른 로고가 표시되거나 어떤 로고도 전혀 표시되지 있지 않다), 그러한 사실을 즉시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대중은 성가시거나 혼란스럽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단순히 로고를 검사하는 것만으로,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는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방송자들을 쉽게 추적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이 장점은, 로고가 저작권 및/또는 상표법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다는 필요조건을 충족시킬 경우 더 강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로고는 동작 신호들의 송신 포맷을 나타낸다. 송신 표맷이란 용어는 동작 신호들의 물리적 구조(변조 형태 또는 데이터 비트들의 길이 등)에 한정되지 않으며 응용 구조(데이터 항목들의 신택스 등)도 포함하는 것이다. 미래에는 대화식 텔레비전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들에 대한 다른 표준들이 공존할 것이라고 추측된다. 로고는 대화식 프로그램이 방송된다는 것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송신 포맷을 식별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수신기가 송신된 서비스를 디코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혼란이 방지된다.
로고는 별도로 인코딩되고, 예컨대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들의 수직 블랭킹 간격에서,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의 서비스 정보 데이터 패킷으로서 종래의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들 외에 부가로 송신된다. 이 표시자(indicator)는 종래의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수신기는 상기 종래의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로고를 추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사실 수신기들이 송신된 로고를 디코딩하고, '잘못된' 로고가 수신될 경우에는 비작동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해, 동작 신호들은 그 로고를 스크램블 키(scrambling key)로 사용하여 스크램블된 형태로 송신될 수도 있다. 수신기는 송신된 로고를 사용하여 동작 신호들을 디스크램블한다(descrambling).
이제 대화식 텔레비전 송신 시스템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그러한 대화식 송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상기 시스템은 대화식 텔레비전 송신기(1), 방송 채널(2), 대화식 텔레비전 수신기(3) 및, 역방향 채널(4)을 포함한다. 방송 채널(2)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자기 테이프 또는 광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가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역방향 채널(4)은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가정한다.
송신기(1)는, 여기서 종래의 텔레비전 신호 TV를 발생시키는 텔레비전 카메라(11)로 표현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신호원이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대중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보냄으로써 참여할 수 있는 퀴즈쇼로 가정한다. 이를 위해, 컴퓨터 시스템(13)은, 사용자의 참여에 응답하여 스크린 상에 제공될 메시지들과 수신기에 의해 채택될 행위들을 규정하는 데이터 시퀀스들의 형태로 동작 신호들 OP를 발생시킨다. 예컨대, 데이터 시퀀스들은 수신기에 의해 호출될 전화 번호를 규정하고, 전화 호출에서 사용자의 응답이 어떻게 인코딩되는지를 식별하고, 대답들이 제공되는 시간 간격을 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 신호들 OP는 텔레비전 신호의 수직 블랭킹 간격에서 텔레텍스트 형태로 송신된다. 대중으로부터 전화 호출을 수신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13)은 전화 접속(14)을 통해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4)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송신기는 시청각 화상 로고 ID를 송신하는 화상 로고 발생기(15)를 더 포함한다. 송신된 로고 ID는 대화식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방송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를 위해, 화상 로고 발생기(15)는 접속(16)을 통해 컴퓨터 시스템(13)에 의해 제어된다. 텔레비전 신호 TV, 식별 신호 ID, 동작 신호 OP는 결합기 스테이지(17)에서 결합되어 안테나(20)를 통해 RF 송신용 변조기(18)에 집합적으로 인가된다.
로고 발생기(15)는 소정의 표준에 따라 대화식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나타내도록 설계된 예술적인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화상 로고를 규정하는 화상 로고 신호원(150)을 포함한다. 로고는, 수신기의 화면의 작지만 지각할 수 있는 부분을 차지하는, 수평으로 48 화소와 수직으로 32 화소의 크기를 갖는다. 로고를 송신하는 송신 용량을 절약하기 위해, 화상은 비디오 코딩 및 압축 분야에서 공지된 이산 코사인 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회로(151)에 의해 인코딩된다. 물론, 다른 로고 인코딩 방법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인코딩된 화상은 메모리(152)에 저장되고, 컴퓨터 시스템(13)으로부터 접속(16)을 통해 제공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판독된다. 인코딩은 실제로 한 번만 수행되며 외부 회로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인코딩된 화상은 메모리(152)에 한 번만 저장된다.
도 2는 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텔레비전 신호 파형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면 번호(25)는, 625 라인 시스템에서, 한 필드의 라인 6 내지 22와 다른 필드의 라인 318 내지 335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의 수직 블랭킹 간격을 나타낸다. 번호(27)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대화식 프로그램일 경우,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 형태의 동작 신호들 OP를 나타낸다. 번호(29)는 인코딩된 화상 로고, 즉, 메모리(152)(도 1 참조)의 내용이 수용되는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다. 수직 블랭킹 간격의 다른 라인이 특히 종래의 텔레텍스트 신호들의 송신에 사용될 수 있다. 번호(28)는 종래의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활성 비디오 간격의 라인 중 하나를 나타낸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송신된 신호는 안테나(21)를 통해 수신기(3)에 의해 수신되고 튜너(30)에 의해 복조된다. 튜너는 복조된 기저대역 신호를 종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처리 회로(31)에 인가하여 확성기(32) 및 화면(33)을 통해 재생한다. 또한, 기저대역 신호는 신호의 수직 블랭킹 간격에 임베딩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슬라이서(34)에도 인가된다. 동작 신호들 OP(도 2의 27)은 수신기의 대화식 동작 모드에서 처리하는 처리 회로(36)에 인가된다. 처리 회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8)에 의해 제어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38)는 (원격) 제어 유닛(37)으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모뎀(39)을 통해 전화망(4)에도 결합된다. 대화식 동작 모드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유닛(37)의 키(370)를 누름으로써 인에이블된다. 대화식 동작 모드에서, 수신기는 화면(33) 상의 표시를 위해 화면상 표시 신호(on-screen-display signal)들을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응답들을 다시 송신기로 송신한다.
로고 데이터 ID(도 2의 29)는, 로고 메모리(350), 역 이산 코사인 변환(iDCT) 회로(351), 비교기(352)를 포함하는 화상 로고 디코더(35)에 인가된다. iDCT 회로는 송신기의 DCT 회로(151)의 역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로고(150)를 형성하는 화소를 재현한다. 수신된 화소 로고는 종래의 텔레비전 신호와 함께 표시되기 위해 화면(33)에 인가된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현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대화식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통지 받는다. 그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키(370)를 누름으로써 수신기의 대화식 동작 모드를 인에이블시키는 것을 희망할 수 있다.
iDCT 회로(351)로부터의 화소들은, 수신된 화소 로고를, 수신기의 메모리(350)에 국부적으로 저장된 화상 로고와 화소 단위로 비교하는 비교기(352)에도 인가된다. 비교기는 수신된 로고(150)와 저장된 로고(350)가 사실상 동일한지를 검출한다. 사실상 동일하다는 것은 두 로고들이 모두 인식할 정도로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비교기는 두 화상들 사이의 평균 제곱 에러(mean square error)가 특정 임계 미만인지를 검출한다. 비교기(352)의 출력은 처리 회로(36)의 인에이블-입력(enable-input)에 인가된다. 처리 회로는 수신된 로고와 저장된 로고가 동일할 때에만 동작한다. 인에이블 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도 인가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어느 경우라도, 사용자는 두 로고들이 인식할 정도로 유사할 경우에만 대화식 동작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두 로고가 유사하지 않으면, 특히, 수신기에 의해 처리될 수 없는 서비스가 제공되므로, 사용자는 표시된 로고가 자신에게 익숙한 로고와 다르다는 것에 의해 그러한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화상 로고 디코더(3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수신된 로고와 저장된 로고는 화소 영역보다 오히려 주파수 영역에서 비교된다. 이를 위해, 저장된 로고(350)는 송신기측의 DCT 회로(151)와 동일한 DCT 회로(353)에 의해 인코딩된다. 이제 비교기(354)는 로고의 특성으로 고려되는 변환 계수를 비교한다. 이것은 로고를 화소 단위로 비교하는 것보다 덜 복잡한 작업이다. 예컨대, DC 계수와 동일 특성의 AC 계수가 비교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송신기에 대해 이미 언급된 것처럼, 로고는 외부적으로, 예컨대, 제조 단계에서 인코딩된 후 수신기에 한 번만 저장될 수도 있다.
화상 로고 디코더(35)의 두 실시예에서, 수신된 로고는 그것이 저장된 로고와 일치되는지에 상관없이 표시되었다. 그들이 유사한 것으로 밝혀지면 로고 중 하나가 치환(displace)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수신기가 사실상 대화식 송신 포맷과 호환성이 있을 경우에만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대화식이라는 사실을 통지받을 것이다. 도 4는 이러한 것이 달성되는 디코더(35)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다. 이제, 화상 로고 디코더는 비교기(354)의 인에이블 출력에 응답하여 저장된 로고(350)를 표시하는 표시 발생기(355)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화식 송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로고는 종래의 텔레비전 신호의 활성 비디오 간격에 가시적으로 임베딩된다. 이를 위해, 실제로 화소가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화상 로고 신호원(150)이 스위치(12)와 삽입기(12)를 통해 종래의 비디오 신호 TV에 삽입된다. 스위치(19)는 대화식 프로그램의 방송 동안 라인(16)을 통해 컴퓨터(13)에 의해 제어된다.
이 실시예에서, 수신기(3)의 화상 로고 디코더(35)는 기저대역 비디오 신호로부터 로고를 추출하는 수단(356)을 포함한다. 타이밍 창 발생기 및 메모리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상기 수단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설계될 수 있다. 디코더의 나머지(기준 로고를 국소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350) 및 수신된 로고와 저장된 로고를 비교하는 비교기(352))는 도 1에 도시된 동일 소자에 대응한다. 그 동작은 위에서 이미 설명되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송신된 로고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가 DCT 인코딩되는 디지털 텔레비전(예컨대 MPEG2) 시스템에서 특히 유리하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송신된 로고와 국부적으로 저장된 로고의 비교는 주파수 영역에서, 즉, 선택된 변환 계수를 비교함으로써 쉽게 행해질 수 있다.
도 6은 송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송신기가 로고 비트 패턴을 스크램블 키로 사용하여 동작 신호들을 스크램블하는 배타적 OR 회로(41)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다. 수신기는 수신된 로고 비트 패턴을 사용하여 수신된 동작 신호들을 디스크램블하는 대응하는 배타적 OR 게이트(42)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의해, 수신기는, 송신된 로고를 추출하지 않으면, 즉, 디코딩을 위해 사용료를 지불하여 그 요금이 만기되는 동안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면 동작할 수 없다.
전술된 예에서, 화상 로고 ID는 대화식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방송되고 있을 경우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화상 로고는 또한 규칙적인 시간 간격들, 예컨대 초당 한 번씩 송신될 수도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대화식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작시에 시작 신호의 형태를 취하여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신된 로고와 저장된 로고를 비교하는 수단은 전용 하드웨어 회로로 도시되었다. 이 비교는 저장된 프로그램의 제어하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8)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유형의 동작들 또는 서로 다른 수신기 기능들을 위해 서로 다른 로고들이 송신되는 것을 허용한다. 한 로고는 대화식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규정할 수 있다. 다른 로고는 사용자가 제품을 주문하고 원하는 색, 크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홈쇼핑 서비스가 수반되는 광고의 송신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유형의 하드웨어를 작동시키기 위해 다른 로고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스마트 카드로부터 돈의 양을 차변기입(debit)하는 것과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은 수신기가 모뎀과 함께 카드 판독기를 가질 것을 요구한다. 그러한 트랜잭션에 대한 특정 로고의 송신은 카드 판독기가 활성될 수 있도록 한다. 카드 판독기를 갖지 않는 수신기는 응답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텔레비전 송신기들은 종래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외에 부가로 부가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보조 동작 신호들을 종종 송신한다. 그 예로는 특히, 퀴즈쇼에서 질문에 대답하거나 노래 자랑에서 가장 우수한 기량에 투표함으로써 대중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대화식 텔레비전이 있다. 동작 신호들은, 모뎀을 통해 사용자의 응답을 송신기로 이송하는 것과 같은, 수신기가 취해야할 동작을 식별한다. 특정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는 것을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송신기(1)는 동작 신호들의 송신을 나타내는 로고(150)를 송신한다. 수신기(3)는 송신된 로고를 수신하고, 그것을 국부적으로 저장된 로고(350)와 비교하고(352), 송신된 로고와 국부적으로 저장된 로고가 인식할 정도로 동일한 경우에만, 동작 신호들을 처리한다(36). 로고는 종래의 텔레비전 신호와 별도로 인코딩될 수도 있고 종래의 텔레비전 신호에 임베딩될 수도 있다. 대중은 자신의 수신기가 어드레스된 기능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혼란이 생기지 않는다.

Claims (16)

  1. 송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수신기의 미리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한 동작 신호들을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동작 모드에서 상기 동작 신호들을 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송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동작 신호들의 송신을 나타내는 로고(logo)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로고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된 로고와 국부적으로 저장된 로고를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된 로고와 국부적으로 저장된 로고가 인식할 정도로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미리 결정된 동작 모드를 인에이블시키는 수단과, 상기 동작 모드가 인에이블될 경우, 상기 로고를 재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시스템.
  2. 수신기에, 상기 수신기의 미리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한 동작 신호들을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신호들의 송신을 나타내는 로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신호들 송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는 상기 동작 신호들의 송신 포맷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신호들 송신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신호들은 종래의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 외에 부가로 송신되며, 상기 로고는 상기 종래의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와는 별도로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신호들 송신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신호들은 종래의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들 외에 부가로 송신되며, 상기 로고는 상기 종래의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들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신호들 송신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신호들은, 인코딩된 로고를 스크램블 키(scrambling key)로 사용하여 스크램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신호들 송신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는 대화식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송신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신호들 송신 방법.
  8. 송신기로부터 동작 신호들을 수신하고 미리 결정된 동작 모드에서 상기 동작 신호들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동작 신호들의 송신을 나타내는 로고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로고를 국부적으로 저장된 로고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로고와 국부적으로 저장된 로고가 인식할 정도로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미리 결정된 동작 모드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와, 적어도 상기 동작 모드에서 상기 로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신호들 수신 및 처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는 상기 동작 신호들의 송신 포맷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신호들 수신 및 처리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신호들은 종래의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들 외에 부가로 수신되고, 상기 로고는 상기 종래의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와는 별도로 인코딩되며,
    상기 방법은 인코딩된 로고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신호들 수신 및 처리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신호들은 종래의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들 외에 부가로 수신되고, 상기 로고는 상기 종래의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들의 일부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종래의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들로부터 상기 로고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신호들 수신 및 처리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는 대화식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송신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신호들 수신 및 처리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신호들은 상기 로고를 스크램블 키로 사용하여 스크램블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된 로고를 사용하여, 상기 동작 신호들을 디스크램블하는(descrambling)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신호들 수신 및 처리 방법.
  14. 수신기에, 상기 수신기의 미리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한 동작 신호들을 송신하는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신호들의 송신을 나타내는 로고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5. 송신기로부터 동작 신호들을 수신하고 미리 결정된 동작 모드에서 상기 동작 신호들을 처리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동작 신호들의 송신을 나타내는 로고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된 로고와 국부적으로 저장된 로고를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된 로고와 국부적으로 저장된 로고가 인식할 정도로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미리 결정된 동작 모드를 인에이블시키는 수단과, 적어도 상기 동작 모드에서 상기 로고를 재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6. 수신기의 미리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한 동작 신호들을 포함하는 신호가 저장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동작 신호들이 상기 신호에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로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
KR10-1998-0709730A 1997-04-01 1998-03-05 로고송신수단을포함하는송신시스템 KR100516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09730A KR100516313B1 (ko) 1997-04-01 1998-03-05 로고송신수단을포함하는송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200944.3 1997-04-01
KR10-1998-0709730A KR100516313B1 (ko) 1997-04-01 1998-03-05 로고송신수단을포함하는송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162A KR20000016162A (ko) 2000-03-25
KR100516313B1 true KR100516313B1 (ko) 2005-12-09

Family

ID=4367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730A KR100516313B1 (ko) 1997-04-01 1998-03-05 로고송신수단을포함하는송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3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162A (ko) 200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8174B2 (en)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means for transmitting a logo
KR100416462B1 (ko) 원하지않는영상장면의검출,차단방법및그장치
US5491748A (en) Enhanced security for a cable system
KR100545111B1 (ko) 데이타전송및수신장치및시스템,데이타전송방법,및데이타수신장치의파라미터설정방법
EP0831648A2 (en) Copy protection in data transmission and processing
KR20010031681A (ko) 비디오 신호 전송
US5579391A (en) TV scramble system for preventing illegal reception
EP0906698B1 (en)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means for transmitting a logo
KR100516313B1 (ko) 로고송신수단을포함하는송신시스템
JP3631079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ディジタル放送方法
US20020154245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0914741B1 (en) Interactive television transmission system
JPH11205708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KR100531354B1 (ko) 티브이 프로그램(TVprogram)의 상세 정보 표시장치 및
EP0432676B1 (en) Descrambling accessory for television signal receiver
KR20050115556A (ko) 디지털 셋탑 박스의 수신 제한장치
KR100637006B1 (ko) 대화형텔레비전송신시스템
WO1999022512A1 (en)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KR100555756B1 (ko) 콤보 시스템의 예약 녹화 방법
JPH06237423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JPH05161121A (ja) Edtv信号のデコード装置
JPH06253307A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スクランブル方法及び装置
KR20060070828A (ko) 수신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
JPH0798901A (ja) ビデオ信号記録機およびビデオ機器
KR20000028263A (ko) Pdc/vps 디코더를 갖는 vcr에서 crt 화면절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