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170B1 - A transfer unit for printer - Google Patents

A transfer unit for pri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170B1
KR100516170B1 KR10-2003-0073275A KR20030073275A KR100516170B1 KR 100516170 B1 KR100516170 B1 KR 100516170B1 KR 20030073275 A KR20030073275 A KR 20030073275A KR 100516170 B1 KR100516170 B1 KR 100516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ner
scattering prevention
lower housing
transf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2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38078A (en
Inventor
박문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3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170B1/en
Publication of KR20050038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0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17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7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of the cleaning unit
    • G03G21/0076Plural or sequential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은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에 형성된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유닛 및 상기 하부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크리닝유닛에서 제거된 토너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클리닝유닛으로 전사벨트에 형성된 토너가 제거시 용이하게 토너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전사유닛이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고장을 방지하고 제품의 내구연한을 향상시킬수 있게 된다. A transfer uni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is disclosed. The transfer uni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upper housing, a lower housing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a cleaning unit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to remove toner formed on the transfer belt, and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And a scattering preventing unit that prevents scattering of the toner removed from the unit.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prevent the toner from scattering when the toner formed on the transfer belt is removed by the cleaning unit, thereby preventing the failur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n which the transfer unit is mounted and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 A transfer unit for printer }A transfer unit for printer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리닝유닛에 의해 전사벨트에 형성된 토너를 제거시 비산되는 토너를 수집 하거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uni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fer uni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scattering preventing unit that collects or prevents scattering of toner scattered when the toner formed on the transfer belt is removed by a cleaning unit. It's about the unit.

일반적으로 프린터나 복사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현상되는 화상을 전사받아서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사유닛은 상기 전사유닛에 설치된 전사벨트에 형성된 화상을 종이로 전사한 후 잔존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토너를 제거시 토너가 제대로 저장공간에 수집되지 못하고 비산하여 화상형성장치에 고장을 일으키거나 상기 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In general, an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printer or a copy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transfer unit which receives an image to be developed and transfers it to a sheet. However, in such a transfer unit, it is an important problem to remove the remaining toner after transferring the image formed on the transfer belt installed in the transfer unit to paper, and toner is not properly collected in the storage space when removing the toner. It is a problem tha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breaks down or shortens the life of the apparatus.

이러한 종래의 전사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uch a conventional transfer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면에서 나타나듯이, 전사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크게 OPC(organic photoconductive drum) 드럼을 포함하는 감광유닛(11), 레이저 스캐닝 유닛(12), 현상 장치(13), 전사벨트(14), 전사벨트(14)를 무한궤도 상의 경로에 따라 순환시키는 복수개의 롤러(15), 화상을 전사벨트(14)에 전사하는 제1전사 롤러(16), 화상을 기록지에 전사하는 제2 전사 롤러(17),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롤러(18)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종 장치들이 상호 작용하여 대전, 노광, 현상, 전사, 정착 등과 같은 화상형성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기록지 위에 원하는 화상을 형성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transfer unit is largely a photosensitive unit 11 including an OPC (organic photoconductive drum) drum, a laser scanning unit 12, a developing apparatus 13, a transfer belt 14, A plurality of rollers 15 for circulating the transfer belt 14 along a path on the caterpillar, a first transfer roller 16 for transferring the image to the transfer belt 14, and a second transfer roller for transferring the image onto the recording paper ( 17) a fixing roller 18 for fixing an image. These various devices interact to sequentially perform an image forming process such as charging, exposure, developing, transferring, fixing, etc. to form a desired image on the recording paper.

그리고 상기 전사벨트(14)의 일측에는 상기 전사벨트(14)에 형성된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21) 및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21)에서 제거된 토너를 수집하는 토너저장부(22)가 마련된다.One side of the transfer belt 14 is provided with a cleaning blade 21 for removing the toner formed on the transfer belt 14 and a toner storage 22 for collecting the toner removed from the cleaning blade 21. .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전사유닛(20)은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21)가 상기 전사벨트(14)에 완전히 밀착하더라도 상기 전사벨트(14)에서 제거된 토너가 상기 토너저장부(22)로 완전히 수집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서 완전히 수집되지 못하고 비산되는 토너가 화상형성장치내에서 각종 고장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However, the transfer unit 20 having such a structure does not collect the toner removed from the transfer belt 14 completely into the toner storage unit 22 even when the cleaning blade 21 is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transfer belt 14. There is a problem, and accordingly, there is a risk that the toner which is not collected and scatters completely may cause various failures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전사벨트에서 제거된 토너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transfer uni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scattering of toner removed from a transfer bel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은 화상형성면을 갖는 전사벨트를 감싸는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에 형성된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유닛; 및 상기 하부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크리닝유닛에서 제거된 토너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유닛;을 포함한다. The transfer uni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n upper housing surrounding a transfer belt having an image forming surface; A lower housing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A cleaning unit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to remove toner formed on the transfer belt; And a scattering prevention unit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to prevent scattering of the toner removed from the cleaning unit.

이때, 상기 비산방지유닛은, 상기 하부하우징에 상기 전사벨트와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클리닝 유닛에의해 제거된 토너가 상기 전사벨트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비산방지막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비산방지막 사이에 설치되어 토너의 이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includes a scattering prevention film which is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so as to face the transfer belt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toner removed by the cleaning unit toward the transfer belt, the lower housing and the scattering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ribs provided between the prevention films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toner.

그리고 상기 비산방지막에는 흡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클리닝유닛에서 제거되어 비산되는 토너를 흡착하며, 상기 리브사이에는 리브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상기 크리닝유닛에서 제거된 토너가 수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 adsorb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to adsorb toner to be removed and scattered from the cleaning unit, and a rib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ibs to collect the toner removed from the cleaning unit.

또한, 상기 리브들은 상기 하부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비산방지막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리브스페이스 사이에 수집된 토너의 양을 관찰가능한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리브들은 상기 비산방지막을 지지하도록 상기 벨트의 자세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비산방지막은 복수개가 중첩되어 상기 리브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클리닝 유닛에 의해 제거된 토너를 회수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회수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회수유닛과 상기 비산방지유닛사이에 설치된 것이 좋다. In addition, the ribs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housing, and the anti-scattering film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amount of toner collected between the rib spaces can be observed. The ribs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of the belt to support the anti-scattering film, and the anti-scattering film may be coupled to the ribs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the anti-scattering films. Further comprising a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and discharging, the cleaning unit is preferably installed between the recovery unit and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그리고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회수유닛으로 이동되지 못한 폐토너를 상기 비산방지유닛으로 가이드 안내하는 가이드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leaning unit may include a guide film for guiding the waste toner, which has not been moved to the recovery unit, to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사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사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fer unit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transfer unit shown in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하우징(101) 및 상기 상부하우징(101)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201)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transfer unit 100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housing 101 forming an appearance and a lower housing 201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101.

상부하우징(101)에는 화상형성면을 가지는 무한궤도상의 전사벨트(103)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01)의 상면에는 손잡이(15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upper housing 101 is provided with an endless orbital transfer belt 103 having an image forming surface, and the handle 15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01.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101)은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상기 전사벨트(103)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유닛(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감광유닛(283)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The upper housing 101 is clos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is open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such that the transfer belt 103 faces the photosensitive unit 283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unit 100 as shown in FIG. 4. do.

하부하우징(201)은 상기 상부하우징(101)과 결합되어 상기 전사벨트(103)의 화상형성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The lower housing 201 is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101 and disposed to face the image forming surface of the transfer belt 103.

먼저, 상부하우징(101)을 중심으로 설명한 후, 상기 상부하우징(101)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201)을 설명하도록 한다. First,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upper housing 101, and then the lower housing 201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101 will be described.

상기 전사유닛(100)의 양 측면에는 복수의 가이드부재(121)(122) 및 복수의 텐션부재(167)가 설치된다.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121 and 122 and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167 are install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transfer unit 100.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재(121)(122)는 상기 전사유닛(100)을 화상형성장치에 결합 및 분리시 가이드하는 역활을 하며, 상기 복수의 텐션부재(167)는 상기 전사유닛(100)의 전사벨트(103)에 텐션을 제공하며, 제1텐션부재(165) 및 제2텐션부재(163)를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guide members 121 and 122 serve to guide the transfer unit 100 when the transfer unit 100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e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167 transfer the transfer unit 100. The tension is provided to the belt 103, and includes a first tension member 165 and a second tension member 163.

상기 상부하우징(101)의 상기 전사벨트(103)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롤러가 설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텐션롤러(119), 제1전사롤러(113), 제2전사롤러(111), 닙롤러(115) 및 클리닝백업롤러(117)가 설치된다. A plurality of rollers are installed in the transfer belt 103 of the upper housing 101, and more specifically, the tension roller 119, the first transfer roller 113, and the second transfer roller 111. The nip roller 115 and the cleaning backup roller 117 are installed.

상기 텐션롤러(119)는 상기 전사벨트(103)의 장력을 조절한다. 상기 텐션롤러(119)의 양단부에는 텐션링(120)과 탄성부재(135)가 설치되어 상부하우징(101)과 결합한다. 그리고 제1전사롤러(113)는 감광유닛(283)의 화상을 전사벨트(103)에 전사하며, 상기 제1전사롤러(113)의 양측면에는 텐션링(141) 및 탄성부재(137)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전사롤러(111)는 상기 전사벨트(103)에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전사벨트(103)의 화상형성면에 형성된 화상을 용지에 전사하며 제2전사롤러(111)의 양단부에는 제1가이드돌기(121)가 설치된다.The tension roller 119 adjusts the tension of the transfer belt 103. Both ends of the tension roller 119 are provided with a tension ring 120 and an elastic member 135 to be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101. The first transfer roller 113 transfers an image of the photosensitive unit 283 to the transfer belt 103, and tension rings 141 and elastic members 137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transfer roller 113. do. In addition, the second transfer roller 111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transfer belt 103 and transfers the image formed on the image forming surface of the transfer belt 103 to a paper, and on both ends of the second transfer roller 111. The first guide protrusion 121 is installed.

상기 클리닝 백업롤러(117)는 상기 제2전사롤러(111)의 구동력에 따라 전사벨트(103)에 의해 피동회전된다. 제2가이드돌기(124)는 클리닝 백업롤러(117)에 설치되어 화상형성장치내에 결합시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닙롤러(115)는 전사벨트(103)의 주행시 마찰에 의해 아이들(idle) 회전한다. The cleaning backup roller 117 is driven by the transfer belt 103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transfer roller 111.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24 is installed in the cleaning backup roller 117 to guide when coupl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nip roller 115 rotates idle due to friction when the transfer belt 103 travels.

이러한 복수의 롤러(111)(113)(115)(117)(119)에 지지된 전사벨트(103)는 상기 감광유닛(283)에서 형성된 화상을 전사받아, 다시 용지에 전사하게 된다.The transfer belt 103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rollers 111, 113, 115, 117 and 119 receives the image formed by the photosensitive unit 283 and transfers the image to the paper again.

상기 전사벨트(103)의 내측에는 상기 전사벨트(103)가 상기 복수의 롤러(111)(113)(115)(117)(119)와 결합시 무한궤도상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벨트가이드(143)가 형성된다. Inside the transfer belt 103, the belt guide 143 is provided so that the transfer belt 103 does not deviate from the orbit when combined with the plurality of rollers 111, 113, 115, 117 and 119. Is formed.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101)의 양측면에는 각각 상기 클리닝 백업롤러(117), 닙롤러(115), 텐션롤러(119), 제1전사롤러(113) 및 제2전사롤러(111)가 설치되도록, 각각의 롤러에 대응하는 복수의 슬롯(161)(159)(157)(153)(151)이 형성된다. The cleaning backup roller 117, the nip roller 115, the tension roller 119, the first transfer roller 113 and the second transfer roller 111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housing 101, respectively. A plurality of slots 161, 159, 157, 153 and 151 corresponding to each roller are form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하우징(201)은 상기 상부하우징(10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전사유닛(100)의 하부에는 감광유닛(283)이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lower housing 20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101. At this time, the photosensitive unit 283 is installed below the transfer unit 100.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전사벨트(103)에서 제거된 토너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유닛을 포함하는 하부하우징(201)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lower housing 201 including the scattering preventing unit for preventing the scattering of the toner removed from the transfer belt 10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하부하우징(201)은 크게 클리닝 유닛(209), 비산방지유닛(257), 레버부재(247) 및 회수유닛(229)이 설치된다. The lower housing 201 is largely provided with a cleaning unit 209, a shatterproof unit 257, a lever member 247, and a recovery unit 229.

클리닝유닛(209)은 회수유닛(229)과 비산방지유닛(257) 사이로 상기 하부하우징(20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크게 수집개구(204)가 형성된 브라켓(202), 실링부재(203) 및 블레이드(205)를 포함한다. The cleaning unit 209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201 between the recovery unit 229 and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257 and has a bracket 202 and a sealing member 203 formed with a large collection opening 204. And blade 205.

상기 브라켓(202)의 양측으로는 힌지부재(206)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재(206)는 상기 하부하우징(201)의 구멍(262)과 결합하여 상기 하부하우징(201)에서 회동되며, 상기 힌지(206)와 상기 힌지구멍(262)은 결합수단(260)에 의해 결합된다. Hinge members 206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racket 202, and the hinge members 206 are rotated in the lower housing 201 in combination with the holes 262 of the lower housing 201. The hinge 206 and the hinge hole 262 is coupled by the coupling means 260.

상기 블레이드(205)는 상기 브라켓(202)의 수집개구(204)의 일측에 전사벨트(103)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103)상의 토너를 제거한다. The blade 205 is installed to contact the transfer belt 103 at one side of the collection opening 204 of the bracket 202 to remove the toner on the transfer belt 103.

상기 실링부재(203)는 상기 수집개구(204)의 타측에 상기 블레이드(205)의 상류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205)에서 제거된 토너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블레이드(205) 및 상기 실링부재(203)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02)에는 상기 수집개구(204)를 통하여 상기 회수유닛(229)으로 이동되지 못한 폐토너를 상기 비산방지유닛(257)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막(207)이 설치된다. The sealing member 203 is installed upstream of the blade 205 on the other side of the collection opening 204 to prevent the toner removed from the blade 205 from scattering. The blade 205 and the sealing member 203 is preferably formed of an elastic member. In addition, the bracket 202 is provided with a guide film 207 for guiding the waste toner that is not moved to the recovery unit 229 through the collection opening 204 to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257.

상기 비산방지유닛(257)은 상기 하부하우징(201)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103)에서 제거된 폐토너가 상기 하부하우징(201) 내부의 회수유닛(229)으로 수집되진 않은 경우에 상기 폐토너의 비산을 방지한다.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257 is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201, the waste toner removed from the transfer belt 103 is not collected in the recovery unit 229 in the lower housing 201 Prevents waste toner from scattering.

이러한 비산방지유닛(257)은 비산방지막(253), 복수의 리브(251), 상기 비산방지막(253)에 형성된 흡착부(255)를 포함한다.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257 includes a scattering prevention film 253, a plurality of ribs 251, and an adsorption part 255 formed on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253.

상기 비산방지막(253)은 상기 하부하우징(201)에 상기 전사벨트(103)와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클리닝 유닛(209)에 의해 제거된 토너가 상기 전사벨트(103)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비산방지막(253)에는 흡착부(255)가 형성되어 상기 클리닝유닛(209)에서 제거되어 비산되는 토너를 흡착한다. 이 흡착부(255)는 상기 비산방지막(253)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마련할 수 있고, 또는 접착제를 비산방지박(253)에 도포하여 마련할 수 있다.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253 is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201 so as to face the transfer belt 103, and prevents toner removed by the cleaning unit 209 from moving toward the transfer belt 103. do. An adsorption part 255 is formed on the anti-scattering film 253 to remove the toner that is removed and scattered from the cleaning unit 209. The adsorption part 255 may be provided by attaching a double-sided tape to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253, or may be provided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scattering prevention foil 253.

상기 복수의 리브(251)는 상기 하부하우징(201)과 상기 비산방지막(253) 사이에 설치되어 토너의 이동을 방지하며, 상기 리브(251)들은 상기 하부하우징(20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리브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201)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plurality of ribs 251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lower housing 201 and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253 to prevent toner from moving, and the ribs 25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housing 201. It may be formed as a separate rib member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201.

그리고 리브(251)사이에는 리브스페이스(252)가 형성되어 상기 클리닝유닛(209)에서 제거된 토너가 수집된다. 상기 리브(251)들은 상기 비산방지막(253)을 지지하도록 상기 전사벨트(103)의 자세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비산방지막(253)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리브스페이스(252) 및 상기 흡착부(255)에 수집된 토너의 양을 관찰가능하게 한다. A rib space 252 is formed between the ribs 251 to collect the toner removed from the cleaning unit 209. The ribs 251 have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of the transfer belt 103 to support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253. In addition, the anti-scattering film 253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amount of toner collected in the rib space 252 and the adsorption part 255 can be observed.

상기 비산방지막(253)은 복수개가 중첩되어 상기 리브(251)에 결합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단일막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브(251)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253 may be coupled to the rib 251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scattering prevention films 253,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film as necessary to be coupled to the rib 251.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201)의 상부에는 상기 레버부재(247)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레버부재(247)는 크게 레버바디(243), 상기 레버바디(243)의 일측에서 상기 클리닝유닛(209)을 향하여 형성된 레버돌기(245), 상기 레버바디(243)의 타측에 형성된 캠돌기(241)를 포함한다. The lever member 247 is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201 so that the lever member 247 is pivotally coupled to the lever unit 243 and the cleaning unit at one side of the lever body 243. The lever protrusion 245 formed toward the 209 and the cam protrusion 241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ever body 243 are included.

상기 회수유닛(229)은 상기 하부하우징(201)에 설치되어, 상기 클리닝유닛(209)에서 제거된 폐토너를 수집하며, 크게 토너담지부(221), 상기 토너담지부(221)내에 설치된 오우거(223), 및 토너배출부재(225)를 포함한다. The recovery unit 229 is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201 and collects the waste toner removed from the cleaning unit 209, and is largely disposed in the toner carrying unit 221 and the toner carrying unit 221. 223, and a toner discharge member 225.

상기 토너담지부(221)는 상기 하부하우징(201)내에 설치되며, 상기 오우거(223)는 상기 토너담지부(221)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오우거(223)가 회전됨에 따라 이송되는 폐토너를 배출하는 토너배출부재(225)가 상기 하부하우징(201)의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201)의 타측에는 기어유닛(263)이 설치되어 상기 오우거(223)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The toner carrier 221 is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201, and the ogre 223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toner carrier 221. And the toner discharge member 225 for discharging the waste toner to be transported as the ogre 223 is rotate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housing 201. The gear unit 263 is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lower housing 201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ogre 223.

상기 토너배출부재(225)는 상기 오우거(223)를 통하여 이송된 폐토너를 화상형성장치내에 마련된 토너저장부(미도시)로 배출시키며, 상기 토너배출부재(225)는 상기 전사유닛(100)이 화상형성장치에 미결합시는 밀폐된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전사유닛(100)이 화상형성장치에 결합시는 오픈되어 상기 토너저장부(미도시)와 연결된다. The toner discharge member 225 discharges the waste toner transferred through the ogre 223 to a toner storage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e toner discharge member 225 is the transfer unit 100. When not coupl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 closed structure is formed, and when the transfer unit 100 is coupl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t is opened to be connected to the toner storage unit (not shown).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201)의 내부에는 제1완충부재(275)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1완충부재(275)는 상기 클리닝유닛(209)에 설치된 상기 제2완충부재(208)와 대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2완충부재(275)(208)는 상기 클리닝유닛(209)에 탄성력을 제공하거나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클리닝유닛(209)이 상기 하부하우징(201) 내에서 회동을 용이하게 한다. In addition, a first buffer member 275 is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201. The first buffer member 275 is formed to face the second buffer member 208 installed in the cleaning unit 209, and the first and second buffer members 275 and 208 are the cleaning unit 209. ) To provide elastic force or absorb shock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cleaning unit 209 in the lower housing 201.

이하, 도 4 내지 도 6a,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유닛이 토너의 비산을 방지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preventing the toner from scattering by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hrough 6A and B.

도면에서 나타나듯이, 상기 레버부재(247)에는 편심캠(269)이 연결된다. 상기 편심캠(269)은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편심캠(269)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레버부재(247)는 일정한 주기로 회동된다. 상기 레버돌기(245)는 상기 클리닝유닛(209)의 브라켓(202)과 접촉하여 레버부재(247)가 회동하는 회동력을 상기 클리닝유닛(209)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편심캠(269)의 회전에 따라 주기적으로 레버부재(247)가 회동하고, 이러한 레버부재(247)의 회동에 따라 상기 브라켓(202)이 회동하여 상기 브라켓(209)에 설치된 블레이드(205)와 실링부재(203)가 상기 전사벨트(103)를 향하여 주기적으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an eccentric cam 269 is connected to the lever member 247. The eccentric cam 269 is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a driving source (not show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in body. As the eccentric cam 269 rotates, the lever member 247 is rotated at a constant cycle. The lever protrusion 245 is in contact with the bracket 202 of the cleaning unit 209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hat the lever member 247 rotates to the cleaning unit 209. Therefore, the lever member 247 rotates periodically as the eccentric cam 269 rotates, and the bracket 202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ever member 247 so that the blade installed in the bracket 209 ( 205 and the sealing member 203 periodically reciprocate toward the transfer belt 103.

도 6a는 상기 브라켓(202)이 전사벨트(103)와 접촉하여 클리닝 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202)에 설치된 블레이드(205) 및 실링부재(203)가 전사벨트(103)와 접촉하면, 상기 블레이드(205)에 의해 전사벨트(103) 상의 토너가 제거된다. 6A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bracket 202 is in contact with the transfer belt 103 and cleaned. Referring to the drawings, when the blade 205 and the sealing member 203 installed in the bracket 202 contact the transfer belt 103, the toner on the transfer belt 103 is removed by the blade 205.

이렇게 제거된 폐토너는 실링부재(203)에 의해서 전사벨트(103) 내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수집개구(204)를 통하여 상기 토너담지부(221)로 떨어진다. 그런데, 이렇게 비산된 토너가 완전히 상기 수집개구(204)를 통하여 토너담지부(221)로 수집되지 못한 경우에는 비산된 토너는 상기 브라켓(202)에 설치된 가이드막(207)에 의해 비산방지유닛(257)으로 인도된다. The waste toner thus removed is prevented from being scattered into the transfer belt 103 by the sealing member 203 and falls to the toner carrying part 221 through the collection opening 204. However, when the scattered toner is not completely collected by the toner carrying part 221 through the collection opening 204, the scattered toner is scattered by the guide film 207 installed in the bracket 202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257).

이때, 상기 비산방지유닛(257)의 비산방지막(253)은 폐토너를 상기 리브(251) 사이로 안내하고 상기 전사유닛(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비산방지막(253)에 형성된 흡착부(255)는 외부로 배출될 가능성이 있는 폐토너를 흡착하여 수집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253 of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257 guides the waste toner between the ribs 251 and prevents it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ransfer unit 100. In addition, the adsorption part 255 formed on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253 adsorbs and collects waste toner tha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즉, 상기 클리닝유닛(209)에서 제거되는 토너는 토너담지부(221)로 수집되며, 이때 미수집된 토너는 비산방지유닛(257)의 리브(251)사이의 리브스페이스(252)나 비산방지막(253)의 흡착부(255)로 다시 수집되게 된다. That is, the toner removed by the cleaning unit 209 is collected by the toner carrying part 221, where the uncollected toner is the rib space 252 or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between the ribs 251 of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257. It is collected again by the adsorption part 255 of 253.

이러한 클리닝 과정이 종료된 후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캠(269)에 회전에 따라 상기 레버부재(247) 및 상기 클리닝 부재(209)가 전사벨트(103)로부터 이격되게 구동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전사유닛(100)의 하부에 설치된 감광유닛(283)으로 부터 화상을 전사받아 다시 용지로 전사하는 작업을 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이 종료된 경우에는 다시 도 6a에서와 같은 클리닝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After the cleaning process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6B, the lever member 247 and the cleaning member 209 are driven away from the transfer belt 103 as the eccentric cam 269 rotates. In this case, the image is transferred from the photosensitive unit 283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unit 100 and transferred to paper again. When this process is finished, the cleaning operation as shown in FIG. 6A is again performed. Will be done.

따라서, 이러한 전사유닛(100)은 전사유닛(100) 내에서의 클리닝 작업동안 전사유닛(100)의 외부로 토너가 비산되거나, 상기 전사유닛(100) 내에서 토너가 비산될 가능성이 최소화되어, 이러한 전사유닛(100)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내구성이 향상되고 고장이 줄이들게 된다. Therefore, in the transfer unit 100, the possibility of the toner scattering out of the transfer unit 100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in the transfer unit 100 or the toner scattering in the transfer unit 100 is minimize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transfer unit 100 is improved in durability and reduced in failure.

클리닝 유닛에서 제거되는 토너는 상기 회수유닛으로 수집되며, 이때 미수집된 토너는 비산방지유닛에 의해 다시 수집되어 전사유닛내에서 토너의 비산이 방지되어 화상오염의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화성형성장치내에서 토너가 비산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고장이 줄이들게 됨에 따라 소비자가 편리하게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toner removed from the cleaning unit is collected in the recovery unit, where the uncollected toner is collected again by the scattering preventing unit, preventing scattering of the toner in the transfer unit,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image contamination. Accordingly, as the possibility of toner scattering in the chemical forming apparatus is reduced, durabilit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improved, and as the trouble is reduced, the consumer can conveniently us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기술분야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mplementation will be possible.

도 1은 종래의 전사유닛이 채용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 conventional transfer uni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유닛의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사유닛의 분해사시도,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fer unit shown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사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transfer unit shown in FIG. 2;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부하우징의 분해사시도,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housing shown in FIG. 3;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6a and 6b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0;전사유닛 101;상부하우징100; transfer unit 101; upper housing

201;하부하우징 257;비산방지유닛201; lower housing 257; shatterproof unit

209;클리닝유닛 227;회수유닛209; cleaning unit 227; recovery unit

247;레버부재 251;리브247; lever member 251; rib

253;비산방지막 255;흡착부253; shatterproof film 255; adsorption

Claims (10)

화상형성면을 갖는 전사벨트를 감싸는 상부하우징;An upper housing surrounding the transfer belt having an image forming surface;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A lower housing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상기 하부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벨트에 형성된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유닛; 및 A cleaning unit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to remove toner formed on the transfer belt; And 상기 하부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크리닝유닛에서 제거된 토너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And a scattering prevention unit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to prevent scattering of the toner removed from the clean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유닛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상기 하부하우징에 상기 전사벨트와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클리닝 유닛에의해 제거된 토너가 상기 전사벨트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비산방지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And a scattering prevention film disposed on the lower housing so as to face the transfer belt and preventing the toner removed by the cleaning unit from moving toward the transfer bel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유닛은,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비산방지막 사이에 설치되어 토너의 이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And a plurality of ribs disposed between the lower housing and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to prevent movement of the toner.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비산방지막에는 흡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클리닝유닛에서 제거되어 비산되는 토너를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And an adsorp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to adsorb toner to be removed and scattered from the cleaning unit.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리브사이에는 리브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상기 크리닝유닛에서 제거된 토너가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상유닛.A ribb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ibs, and the toner removed from the cleaning unit is collected.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리브들은 상기 하부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And the ribs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housing.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비산방지막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리브스페이스 사이에 수집된 토너의 양을 관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transfer uni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toner collected between the rib space can be observed.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리브들은 상기 비산방지막을 지지하도록 상기 벨트의 자세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비산방지막은 복수개가 중첩되어 상기 리브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And the ribs have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of the belt to support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and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overlaps the plurality of ribs to couple to the rib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클리닝 유닛에 의해 제거된 토너를 회수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회수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회수유닛과 상기 비산방지유닛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The lower housing further includes a recovery unit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toner removed by the cleaning unit, wherein the cleaning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recovery unit and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회수유닛으로 이동되지 못한 폐토너를 상기 비산방지유닛으로 가이드 안내하는 가이드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사유닛.And the cleaning unit includes a guide film for guiding the waste toner that has not been moved to the recovery unit to the scattering prevention unit.
KR10-2003-0073275A 2003-10-21 2003-10-21 A transfer unit for printer KR1005161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275A KR100516170B1 (en) 2003-10-21 2003-10-21 A transfer unit for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275A KR100516170B1 (en) 2003-10-21 2003-10-21 A transfer unit for pri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078A KR20050038078A (en) 2005-04-27
KR100516170B1 true KR100516170B1 (en) 2005-09-22

Family

ID=3724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275A KR100516170B1 (en) 2003-10-21 2003-10-21 A transfer unit for pri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1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1484B2 (en) * 2016-11-29 2020-01-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Transf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078A (en)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5642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684732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JP4611190B2 (en) Toner recovery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366440B2 (en) Process cartridge feeding developer from first to second removed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the cartridge is mountable
CN108008613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6110263A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device
US512116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used toner storage portion
JP200915731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490581B2 (en)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1120734A (en) Recording material cool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16170B1 (en) A transfer unit for printer
JP3832551B2 (en) Development device
JP2993623B2 (en) Electrophotographic equipment
KR100516169B1 (en) A transfer unit for printer
KR100548137B1 (en) A transfer unit and printer equipped with the same
JP5379987B2 (en) Clea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585368Y2 (en) Residual toner recovery device
JP361014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570989Y2 (en) Electrophotographic equipment
JP4708374B2 (en)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9138535A (en) Electrophotographic device
JPH07210048A (en) Toner recycling device
JP2001318570A (en) Waste toner recovery device
JP2001083863A (en) Process cartridge
JP2004161473A (en)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