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803B1 -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QoS 제공을 위한 호수락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QoS 제공을 위한 호수락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803B1
KR100515803B1 KR10-2003-0005397A KR20030005397A KR100515803B1 KR 100515803 B1 KR100515803 B1 KR 100515803B1 KR 20030005397 A KR20030005397 A KR 20030005397A KR 100515803 B1 KR100515803 B1 KR 100515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nce
class
average
call
polyme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9001A (ko
Inventor
유상조
조병일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인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인하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인하학원
Priority to KR10-2003-0005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803B1/ko
Publication of KR20040069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5QOS or priority a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가입자가 SLA(Service Level Agreement)를 통해 미리 네트워크와 협약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네트워크에게 트래픽 전송 권한을 허가받는 일련의 절차를 통하여 각 서비스 클래스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호 제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서비스 요구 조건이 엄격하게 요구되는 클래스와 상대적인 품질의 차별화를 요구하는 클래스에 따라 서비스 클래스별 요구 사항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하고, 네트워크의 가용 자원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호의 수락제어 여부를 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QoS 제공을 위한 호 수락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ADMISSION CONTROL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IN A DIFFERENTIATED SERVICE NETWORK}
본 발명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가입자가 SLA(Service Level Agreement)를 통해 미리 네트워크와 협약된 서비스 품질을 제공받기 위해 네트워크에게 트래픽 전송 권한을 허가받는 일련의 절차를 통하여 각 서비스 클래스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호 제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서비스 요구 조건이 엄격하게 요구되는 클래스와 상대적인 품질의 차별화를 요구하는 클래스에 따라 서비스 클래스별 요구 사항을 준수할 수 있고, 네트워크의 가용 자원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호의 수락 제어 여부를 동적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인터넷에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 QoS라 한다) 제공을 위한 호 수락제어는 IntServ(Integrated Service) 구조에서 RSVP(Reservation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가능하다. 그러나, IntServ에서의 RSVP 프로토콜을 이용한 각 노드에서의 호 수락제어 관리는 플로우 단위로만 이루어지며, 절대적인 QoS를 보장할 수는 있으나, 실제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확장성(scalability) 문제를 갖는다.
현재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QoS 제공 방법 중 하나가 클래스별 차등 서비스(DiffServ : Differentiated Service) 구조로, IntServ의 플로우 당 QoS 제어와는 달리 네트워크의 에지 라우터에서 해당 플로우에 필터링을 수행하여 플로우를 인식하고 SLA에 협약된 사항에 따라 DSCP(DiffServ Code Point) 값을 할당하고 사전에 협약된 트래픽 특성을 초과하여 입력되는가를 검사(policing)한다. 즉, 기본적으로 협약된 트래픽 특성을 유지하는 한 사용자 플로우는 모두 수락된다. 따라서, 기존의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는 원칙적으로 플로우 당 호 수락제어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클래스 내에서 플로우 당 실제로 제공되는 QoS가 엄격하게 지켜지지 못하고, 클래스간 자원의 효율적 분배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RSVP 등과 같은 호 수락제어 시그널을 이용하여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도 호 수락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수락제어 방법은 기존의 IntServ 메커니즘과는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IntServ에서는 호 수락된 플로우에 대해 독점적인 대역폭을 할당하고 플로우 당 일시적 상태(soft state) 관리를 수행하는 반면,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는 각 플로우에 대해 호 수락제어를 수행할 수 있지만 해당 플로우에 독점적인 대역을 할당하고 이를 관리하지는 않는다. 즉, 호 수락제어 후 스케쥴링, 버퍼제어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모든 동작은 클래스 단위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QoS(Qulity of Service) 제공을 위한 호 수락제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호 요구를 입력받아 SLA(Service Level Agreement)의 트래픽 특성을 분석하는 SLA 트래픽 기술자 분석부(41); 상기에서 분석된 트래픽 특성을 이용하여 단일 호 요구 플로우의 최대 예측 {평균, 분산}을 추정하는 해석적 단일 플로우 {평균, 분산} 추정기(45); 기존에 호 수락된 클래스 플로우들의 중합된 {평균, 분산}을 계산하는 기존 플로우의 중합된 {평균, 분산} 추정기(46); 상기에서 추정된 단일 호 요구 플로우의 {평균, 분산}과 기존 플로우의 중합된 {평균, 분산}을 더하여 해당 클래스의 사용 소요 대역을 추정하는 클래스 사용대역 추정기(47); 및 상기에서 추정된 클래스 사용 소요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호 요구의 수락 여부를 결정하는 호 수락 결정기(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존 플로우의 중합된 {평균, 분산} 추정기(46)는, 기존에 호 수락된 클래스 플로우들에 대해 SLA 리키버킷 트래픽 기술자를 이용해 해석적으로 중합된 {평균, 분산}을 계산하는 SLA 기반 해석적 {평균, 분산} 추정기(4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 수락제어 장치는 현재 입력되고 있는 해당 클래스 플로우들의 중합된 트래픽을 관측하는 클래스 트래픽 측정기(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존 플로우의 중합된 {평균, 분산} 추정기(46)는, 기존에 호 수락된 클래스 플로우들에 대해 상기 클래스 트래픽 측정기에서 관측한 트래픽을 기반으로 중합된 {평균, 분산}을 계산하는 관측 기반 클래스 {평균, 분산} 추정기(43)임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QoS(Qulity of Service) 제공을 위한 호 수락제어 방법에 있어서, 호 요구 플로우의 SLA 트래픽 기술자로부터 단일 호 요구 플로우의 {평균, 분산}을 계산하는 제 1 단계; 기존에 호 수락된 클래스 플로우들의 중합된 {평균, 분산} 최대치를 계산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에서 계산된 결과를 더하여 해당 클래스의 사용 소요 대역을 계산하는 제 3 단계; 상기에서 계산된 해당 클래스의 사용 소요 대역과 다른 클래스의 소요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호 요구에 대한 수락 여부를 결정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에서 결정된 수락 여부를 사용자 및 인접 노드에 알리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SLA 트래픽 기술자로부터 다음 수학식
에 의해 단일 호 요구 플로우의 {평균, 분산}을 계산하고, 여기서 PDR은 순간 최대 데이터 레이트, SDR은 지속 가능 데이터 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는 기존에 호 수락된 플로우들의 중합된 {평균, 분산}을 SLA에 기반한 해석적 방법에 의하여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단계는 기존에 호 수락된 플로우들의 중합된 {평균, 분산}을 관측에 기반하여 추정하고, 상기 제 3 단계에서 해당 클래스의 사용 소요 대역은 다음 수학식
에 의해 구하고, 여기서 는 상기 제 2 단계에서 추정된 기존 플로우들의 중합된 {평균, 분산}을 의미하며, 은 상기 제 1 단계에서 계산된 단일 호 요구 플로우의 {평균, 분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QoS(Qulity of Service) 제공을 위한 호 수락제어 방법에 있어서, 클래스별로 최소한의 자원을 미리 예약하는 클래스별 최소 대역을 사용하여 클래스별 할당 대역을 결정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호 수락제어 시 필요한 네트워크 링크 대역폭 계산에서는, 다음의 사항이 이미 알려져 있거나 관련 값들이 설계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즉, 모든 에지 노드에서 가입자로부터의 SLA 정보를 알고 있거나 예측 가능하며, 대역폭 계산에 필요한 트래픽 기술자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각 클래스의 링크 소요 대역 추정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등가 대역 (effective bandwidth) 계산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클래스를 구성하는 플로우의 SLA 가입자 정보와 네트워크 운용 정보를 바탕으로 클래스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대역 추정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수락제어 장치는 도 4와 같이 구성되어,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의 각 노드에서 데이터 전송 시에 사용자가 SLA에 따른 서비스 품질을 제공받기 위해 네트워크에게 트래픽 전송 권한을 허가받는 일련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수락제어 장치가 네트워크에서 호 수락 제어를 수행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호 수락제어시 사용자는 각 플로우에 대해 향후 전송할 트래픽의 특성을 기술하여 호 수락제어 장치에 호 수락을 요청한다. 만약 호 요구 시 트래픽 특성을 기술하지 않더라도 네트워크는 플로우의 SLA 정보로부터 해당 가입자의 트래픽 협약 사항을 알 수 있다. 호 수락제어 장치에서는 사용자 플로우의 id {발신자 IP 주소, 수신자 IP 주소, 응용 프로토콜 종류}에 따라 특정 클래스 사용 권한을 인식하고 종단 점까지의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들이 사용자가 전송할 트래픽 특성에 대한 클래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가를 검사한다. 만약 네트워크의 가용 자원이 이러한 새로운 호 요구를 받아들일 수 있으면, 새로운 호는 수락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 호는 거절된다. 이때, 새로운 호의 수락으로 기존에 이미 수락된 플로우들의 품질이 협약된 품질 레벨 이하로 떨어져서는 않된다.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의 호 수락제어 절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정의된 서비스 클래스별로 서비스 품질(QoS) 요구 사항이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 표 1과 같이 서비스 클래스별 QoS 요구 사항을 정의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수락제어 장치는 기본적으로 각 노드들이 호 제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새로운 호 요구 시 해당 플로우가 향하는 링크의 자원 (링크 용량 C)이 기존 호와 새로운 호의 QoS를 지원하기에 충분한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각 노드에서의 호 수락제어 절차를 설명한다.
1) 새로운 호를 요구하는 서비스 클래스 k 를 인식한다(21).
2) 해당 클래스에서 새로운 호를 받아들였을 때 예측되는 전체 클래스 사용 대역폭 ()을 계산한다(22).
3) 다음 수학식 1을 사용하여, Bronze 서비스 클래스를 제외한 모든 클래스의 사용 대역폭을 합한 것이 링크 용량 한도 내인지를 판별한다(23).
4) 만약 위 조건이 만족되면, 새로운 호는 수락되고(24)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클래스 k의 사용 대역폭이 갱신된다. 그렇지 않으면, 새로운 호를 위한 시그널링은 설정되지 않는다(25).
클래스 대역폭 계산은 호 수락된 (또는 입력된) 플로우의 트래픽에게 QoS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대역폭으로 계산된다. 클래스 별로 최소 대역폭을 미리 남겨 놓아야 하는가의 문제는 정책적인 고려 사항이다.
만약 클래스 별로 최소 대역폭을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임의 시점에 다른 클래스들이 이미 링크 자원을 모두 사용하여 수락된 경우 중요한 특정 클래스 (예 : VoIP) 서비스 가입자가 해당 서비스를 받기 위해 호 수락을 요구하여도 남아 있는 자원이 없기 때문에 수락 거부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클래스별 트래픽 집중을 막고 클래스별로 최소한의 자원을 미리 예약하는 방식이 고려되었다. 이러한 최소한의 대역이 클래스 k의 최소 대역폭 이다. 이 값은 네트워크 운용자에 의해 정책적으로 다음 수학식 3과 같은 범위 내에서 결정된다.
여기서, 은 네트워크 설계 시 SLA를 기준으로 해당 클래스에 설정된 설계 용량이다.
따라서, 네트워크 운용자에 의해 적절한 값으로 이 설정된 경우, 해당 클래스의 클래스 대역폭은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결정된다.
여기서 은 클래스 k의 이미 수락되어진 (또는 를 위한 계산에서는 새로운 호를 포함한) 가입자 트래픽을 근거로 계산된 사용 대역폭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VLL 서비스 클래스의 경우 호 수락제어 절차가 없고, 항상 원하는 품질을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으로 설정한다.
클래스 대역폭 계산은 현재 입력된 호 (또는 새로 요청한 호를 포함)에 대하여 해당 클래스의 QoS 목표치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클래스 대역폭을 구하는 과정이다(도 3). 모든 서비스 클래스의 대역폭은 기본적으로 {평균, 분산} 특성을 이용한 (무한 버퍼 또는 버퍼 없는) 가우시안 모델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클래스별 대역 할당 정책은 다음 표 2와 같다.
버퍼가 없는 시스템에서 가우시안 모델을 이용한 실효 대역 산출 방법으로, 다수 개의 플로우가 다중화 되면 가우시안 분포를 따르게 된다고 가정하고 이를 근거로 패킷 지연이 전혀 없는 조건에서의 패킷 손실률만을 고려한 소요 대역 를 추정한다. 버퍼가 없는 조건이기 때문에 패킷 지연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조건은 VoIP 클래스, 저 지연을 요구하는 서비스 클래스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다음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ε은 목표 패킷 손실율이다.
다중화된 트래픽 모델은 단일 소스 모델들을 중합하여 얻으며 다중화된 평균과 분산은 다음 수학식 6과 같이 유도 할 수 있다.
무한 버퍼 시스템에서 가우시안 모델을 이용한 실효 대역 추정 방법으로, 버퍼에 입력되는 트래픽의 특성을 고려한 대역 할당을 위해 다음 수학식 7과 같이 자기 상관 함수의 지수 함수 계수 ()를 사용한다.
여기서 x 버퍼 길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클래스별 소요 대역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중합된 클래스 {평균, 분산} 값을 얻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본 발명의 호 수락제어 시 사용한다. 첫 번째 방법은 호 요구에 기술된 트래픽 기술자를 이용하여 최악의 경우에 대응하는 해석적 {평균, 분산} 값을 계산하여 이용하는 것이고, 두 번째 방법은 관측에 기반하여 기존에 수락된 플로우들에 대해 측정된 {평균, 분산} 값을 이용하는 것이다. 두 가지 방법에 대해 적절한 한가지 방법의 선택은 정책적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호 요구에 기술된 트래픽 기술자를 이용한 해석적 {평균, 분산} 계산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의 호 요구 시 트래픽 기술자를 포함할 수도 있고,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베이스의 SLA 정보(리키버킷 기반의 트래픽 기술자)로부터 호 요구 사용자의 트래픽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중합된 {평균, 분산}을 해석적으로 얻기 위해 각 수락된 플로우와 수락 요구 플로우의 트래픽 기술자로부터 평균과 분산을 계산한다. 각 플로우의 해석적 평균과 분산은 SLA의 리키버킷 기반 트래픽 기술자로부터 다음 수학식 8과 같이 계산된다.
여기서 PDR은 순간 최대 데이터 레이트(Peak Data Rate), SDR은 지속 가능 데이터 레이트(Sustained Data Rate)를 의미한다.
다음은, 클래스 트래픽 관측을 이용한 {평균, 분산} 계산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방법은 해당 클래스 이용을 위해 사용자의 호 요구 시 트래픽 기술자를 기술하지 않아도 되도록 정책적으로 결정된 경우나, 트래픽 기술자가 있더라도 보다 경제적으로 소요 대역을 계산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관측에 근거한 클래스별 사용 대역폭 계산은 SLA로부터 해석적으로 평균과 분산을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해당 클래스에 입력되어 전송중인 중합된 클래스 트래픽에 대해 관측에 근거한 {평균, 분산}을 추정하게 된다. 이 방법은 중합된 트래픽의 특성을 실시간으로 관측하여야 하므로, 라우터에 추가적인 기능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실제 관측된 특성은 리키버킷 기반의 트래픽 기술자로부터 최악의 경우에 대해 구한 트래픽 특성보다 평균 및 분산 값이 낮게 구해지므로 첫 번째 경우보다 작은 클래스 대역폭이 계산된다.
다음 수학식 9는 관측에 기반한 방법에서 중합된 {평균, 분산}을 계산하는 식이다.
여기서 는 각각 이미 수락된 플로우들의 중합 트래픽에 대한 관측된 평균, 분산을 의미하며, 은 각각 새롭게 호 요구된 플로우의 해석적 평균, 분산 값이다.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QoS 제공을 위한 호 수락제어에 관한 본 발명의 세부 절차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먼저, 클래스별 가입자 서비스 규약(SLA)을 근거로 가입자가 새로운 호를 요구한다.
2) 네트워크에서는 호 제어 시그널링에 요구된 새로운 호의 트래픽 기술자를 담아 목적지 노드에 전송한다.
3) SLA로부터의 해석적 방법이나 관측에 기반한 방법으로 클래스 트래픽 특성을 구한다.
4) 호 제어 시그널을 받은 각 노드들은 클래스 트래픽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클래스에서 새로운 호를 받아 들였을 때 예측되는 전체 클래스 대역폭을 계산한다.
5) Bronze 서비스 클래스를 제외한 모든 클래스의 대역폭을 합한 것이 링크 용량 한도 내인지를 판별한다.
6) 만약 링크 용량 한도 내이면 호 수락 시그널을 전송하며, 그렇지 않으면 새로운 호를 위한 시그널은 설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QoS) 제공을 위해 사용자의 새로운 호 요구 시 수락제어를 수행하는 메카니즘을 구현하여 각 서비스 클래스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클래스별 대역폭 계산방법 및 QoS 제어 절차를 이용하면 향후 음성, 데이터, 비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응용에 대해 보다 고품질의 서비스가 가능하며 이는 무선 인터넷 등의 다양한 통신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가용 자원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호의 수락 제어 여부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의 호 수락제어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드에서의 호 수락제어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래스별 소요 대역을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래스별 호 수락제어 장치의 블록도.

Claims (8)

  1.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QoS(Qulity of Service) 제공을 위한 호 수락제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호 요구를 입력받아 SLA(Service Level Agreement)의 트래픽 특성을 분석하는 SLA 트래픽 기술자 분석부(41);
    상기에서 분석된 트래픽 특성을 이용하여 단일 호 요구 플로우의 최대 예측 {평균, 분산}을 추정하는 해석적 단일 플로우 {평균, 분산} 추정기(45);
    기존에 호 수락된 클래스 플로우들의 중합된 {평균, 분산}을 계산하는 기존 플로우의 중합된 {평균, 분산} 추정기(46);
    상기에서 추정된 단일 호 요구 플로우의 {평균, 분산}과 기존 플로우의 중합된 {평균, 분산}을 더하여 해당 클래스의 사용 소요 대역을 추정하는 클래스 사용대역 추정기(47); 및
    상기에서 추정된 클래스 사용 소요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호 요구의 수락 여부를 결정하는 호 수락 결정기(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수락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플로우의 중합된 {평균, 분산} 추정기(46)는, 기존에 호 수락된 클래스 플로우들에 대해 SLA 리키버킷 트래픽 기술자를 이용해 해석적으로 중합된 {평균, 분산}을 계산하는 SLA 기반 해석적 {평균, 분산} 추정기(42)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 수락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현재 입력되고 있는 해당 클래스 플로우들의 중합된 트래픽을 관측하는 클래스 트래픽 측정기(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존 플로우의 중합된 {평균, 분산} 추정기(46)는, 기존에 호 수락된 클래스 플로우들에 대해 상기 클래스 트래픽 측정기에서 관측한 트래픽을 기반으로 중합된 {평균, 분산}을 계산하는 관측 기반 클래스 {평균, 분산} 추정기(43)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 수락제어 장치.
  4.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QoS(Qulity of Service) 제공을 위한 호 수락제어 방법에 있어서,
    호 요구 플로우의 SLA 트래픽 기술자로부터 단일 호 요구 플로우의 {평균, 분산}을 계산하는 제 1 단계;
    기존에 호 수락된 클래스 플로우들의 중합된 {평균, 분산} 최대치를 계산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에서 계산된 결과를 더하여 해당 클래스의 사용 소요 대역을 계산하는 제 3 단계;
    상기에서 계산된 해당 클래스의 사용 소요 대역과 다른 클래스의 소요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호 요구에 대한 수락 여부를 결정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에서 결정된 수락 여부를 사용자 및 인접 노드에 알리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수락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SLA 트래픽 기술자로부터 다음 수학식
    에 의해 단일 호 요구 플로우의 {평균, 분산}을 계산하고, 여기서 PDR은 순간 최대 데이터 레이트, SDR은 지속 가능 데이터 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수락제어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기존에 호 수락된 플로우들의 중합된 {평균, 분산}을 SLA에 기반한 해석적 방법에 의하여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수락제어 방법.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기존에 호 수락된 플로우들의 중합된 {평균, 분산}을 관측에 기반하여 추정하고,
    상기 제 3 단계에서 해당 클래스의 사용 소요 대역은 다음 수학식
    에 의해 구하고, 여기서 는 상기 제 2 단계에서 추정된 기존 플로우들의 중합된 {평균, 분산}을 의미하며, 은 상기 제 1 단계에서 계산된 단일 호 요구 플로우의 {평균, 분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수락제어 방법.
  8. 삭제
KR10-2003-0005397A 2003-01-28 2003-01-28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QoS 제공을 위한 호수락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15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397A KR100515803B1 (ko) 2003-01-28 2003-01-28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QoS 제공을 위한 호수락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397A KR100515803B1 (ko) 2003-01-28 2003-01-28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QoS 제공을 위한 호수락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001A KR20040069001A (ko) 2004-08-04
KR100515803B1 true KR100515803B1 (ko) 2005-09-21

Family

ID=37357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397A KR100515803B1 (ko) 2003-01-28 2003-01-28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QoS 제공을 위한 호수락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8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553B1 (ko) * 2006-01-18 2007-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8678B1 (ko) 2006-10-02 2009-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연결 수락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903115B1 (ko) * 2006-12-01 2009-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48803B1 (ko) * 2006-12-08 2008-07-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v6서비스 네트워크에서 플로우 기반의 서비스 품질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001A (ko)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2466B1 (en)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and apparatus
US7327681B2 (en) Admission control method in internet differentiated service network
US20050083842A1 (en) Method of performing adaptive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in consideration of input call states in differentiated service network
US20040032828A1 (en) Service management in cellular networks
Lima et al. Distributed admission control for QoS and SLS management
KR100515803B1 (ko) 차별화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QoS 제공을 위한 호수락제어 장치 및 방법
Noor et al. Quality of experience key metrics framework for network mobility user
KR101210926B1 (ko) 동적 라우팅 비용 할당 서버, 장치 및 방법
KR100726809B1 (ko) 대역폭 할당 장치 및 방법
JP2002176435A (ja) 通信制御方法、通信制御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5007395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EP2339793B1 (en) Method and allocation unit for allocating a communication pipe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0907995B1 (ko) Mpls 기반의 차등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망 링크 용량설계 장치
Al-Sbou et al. A novel quality of service assessment of multimedia traffic over wireless ad hoc networks
JP2006246119A (ja) 優先制御を用いて品質保証サービスを実現する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呼受付判定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20030027496A (ko) 동적 자원 할당을 이용한 비디오 서비스의 큐오에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851611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回線を新規サービス要求に割り当て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Rhee et al. Scalable Quasi‐Dynamic‐Provisioning‐Based Admission Control Mechanism in Differentiated Service Networks
Chromy et al. Admission Control Methods in IMS Networks
KR101114636B1 (ko) 비디오트래픽 버퍼의 테일 분포의 지수 파라미터 예측 방법
Kim et al.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scheme for video streaming in wireless cellular networks
Kim et al. A dynamic admission control scheme in a DiffServ domain
Statovci-Halimi Support of ip multi-services through admission control
Omosa et al. Performance of an Admission Control Scheme for Bandwidth in Multimedia Handover Services in UMTS mobile Cellular Network
El-Haddadeh et al. Towards scalable end-to-end QoS provision for VoIP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