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554B1 -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를 위한 판퀴논의 사용 - Google Patents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를 위한 판퀴논의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554B1
KR100515554B1 KR10-2000-7001576A KR20007001576A KR100515554B1 KR 100515554 B1 KR100515554 B1 KR 100515554B1 KR 20007001576 A KR20007001576 A KR 20007001576A KR 100515554 B1 KR100515554 B1 KR 100515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panquinone
clioquinol
vitam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2968A (ko
Inventor
미첼 실리나
파나요티스 니콜라스 제롤리마토스
Original Assignee
피.엔 제롤리마토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엔 제롤리마토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피.엔 제롤리마토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1002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판퀴논의 사용이 개시된다. 또한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예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를 위한 판퀴논의 사용{USE OF PHANQUINONE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알려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발명은 그러한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은 또한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에 직결된다.
산업사회에서 성인 치매의 단일하고 주요한 원인인 알츠하이머병 (AD)은 임상적으로 기억력의 점진적 감소, 착란상태, 치매 그리고 최종적으로 죽음을 특징으로하는 퇴행성 뇌 질환이다. 조직병리학적으로, 알츠하이머병은 새 피질, 특히 해마내에 두가지 뇌 병변, 즉 뉴런내 이중나선형 필라멘트(PHF)의 신경원섬유 엉킴 및 세포외 공간에서의 신경성(노인성) 판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노인성 판의 생성은 기억상실을 포함하는 질환의 증상 및 징후의 발현에 관계된다. 노인성 판의 생성이후, 신경원섬유 엉킴이 신경세포체에서 생성된다. 신경원섬유 엉킴의 생성은 기억상실 및 치매의 다른 증상의 악화에 관련된다.
노인성 판의 주 성분은 아밀로이드 침착물이다. 백내장은 알츠하이머병과 함께 자주 발생하는 질환이다. 그것은 눈에서 발생하며 또한 아밀로이드 침착물에 의해 야기된다. 그러므로, 본 설명과 청구항에 개시된 알츠하이머병을 가진 환자의 치료법은 백내장 치료에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설명과 청구항에서 사용된 용어 알츠하이머병은 그러므로 또한 백내장을 포함할 수 있다.
아밀로이드 침착물의 주 성분은 여기에서 Aβ(아밀로이드-베타)로 칭하는 폴리펩티드이다. Aβ는 일반적으로 약 3-5nm의 농도에서 발견되는 뇌척수액의 가용성 성분이다. Aβ는 39 내지 43 아미노산, 전형적으로는 40 아미노산을 성숙 형태로 가질 수 있으며,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APP)로 불리는 세포 표면 단백질로부터 단백질분해 분할 생성물로 유도된다(Kang et al. 1987, Nature 325:733-736).
많은 연구에서 Aβ가 뉴런 세포 배양액에 직접 가해질때 시험관내에서 독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Yankner BA, Duffy LK, Kirschner DA, Science 1990, 250 (4978):279-282;Koh JY, Yang LL, Cotman CW, Brain Res 1990, 533 (2): 315-320; and Pike CJ, Burdick D, Walencewicz AJ, Glabe CG, Cotman CW, J. Neurosci 1993, 13(4):1676-1687).
Aβ의 신경독성은 아미노산 잔기 25 및 35(Aβ(25-35)) 사이에 펩티드 서열내에 위치하였다. Aβ(25-35)는 전체 길이 Aβ(1-40)과 동일한 효력으로 뉴우런 세포 죽음을 유도한다(Yankner BA, Duffy LK, Kirschner DA, Science 1990, 250 (4978):279-282). Aβ의 정상기능은 현재 알려져 있지 않으나 세포막을 통과하여 선택적으로 흐르는 양이온을 형성시킬 수 있다(Kawahara M. et al., 1997, Biophysical Journal 73/1, 67-75).
합성 Aβ의 침전은 낮은 pH, 높은 염농도 및 금속, 예를 들면 아연, 구리, 그리고 수은의 존재를 포함하는 몇가지 환경적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Bush, A.I. et al., 1995, Science 268: 1921-1923). Aβ 그 자체는 특별히 및 포화상태로 아연과 높은 친화성 결합력(KD=107nM)을 갖고 몰비 1:1(아연:Aβ)로 결합되는 것이 보고되었다(Bush, A.I. et al., 1994, J.Biol.Chem.269: 12152 -12158). 이러한 결합은 아연의 생리학적 농도에서 발생한다(Bush, A.I. et al., 1994, Science 265:1464-1467).
알츠하이머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로부터 아밀로이드 침착물을 제거하는 것이 알츠하이머병의 증상을 완화시킬 것이라는 강한 추측이 있다. 그러므로, 긴급하게 요구되는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그러한 약을 제조하려는 몇가지 시도가 있어왔다.
국제특허출원, 공개번호 WO 93/10459는 아연 결합제를 투여함으로써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피트산, 탈페리옥시민, 시트르산 나트륨, EDTA, 1,2-디에틸-3-히드록시-피리딘-4-온, 그리고 1-히드록시에틸 -3-히드록시-2-메틸-피리딘-4온이 언급되어 있다.
독일특허 출원번호 DE 39 32 338은 알츠하이머 병의 치료를 위해 8-히드록시퀴놀린 등의 알루미늄 킬레이트화제의 사용을 개시한다.
미국특허번호 5,373,021은 디술피람과 그것의 염 및 유사체의 사용을 개시한다. 이 특허에 따르면, 개시된 화합물은 알츠하이머 병에 의해 유발된 신경병적 손상을 줄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국제특허출원, 공개번호 WO 98/06403은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클리오퀴놀의 사용을 개시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를 위해 제시된 화합물은 몇가지 단점을 갖고 있으며, 그 단점이 그것의 광범위한 이용을 방해했다. 대부분의 화합물은 혈뇌장벽에 침투하지 못하며 그래서 아밀로이드가 침착된 영역에 쉽게 도달할 수 없었다. 혈뇌장벽에 침투할 수 있는 디술피람은, 그것이 에틸 알코올을 가진 환자에 의해 조합될때 두통, 구역, 구토, 발한, 갈증, 허약, 그리고 저혈압을 포함하는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혈뇌장벽에 침투할 수 있는 클리퀴놀 (5-클로로-7-요오도-8-히드록시퀴놀린)은 아급성척수시신경장애(SMON)를 유발하는 부작용과 같은 치명적인 히스토리를 갖고 있다.
판퀴논 (4,7-페난트롤린-5,6-디온)은 지금까지 아메바증과 같은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판퀴논은 ENTOBEX 상표로 CIBA-GEIGY에 의해 판매되어 왔다. 클리오퀴놀과는 대조적으로 판퀴논은 정상 용량 범위에서 사용될때 부작용이 감지되지 않았다.
과거에 클리오퀴놀과 판퀴논을 모두 포함하는 항아메바성 약학 조제품은 상표명 Mexafor로 CIBA GEIGY에 의해 판매되어 왔다. 그러나, 클리오퀴놀이 SMON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을때 이 조제품의 매매는 중단되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알려진 화합물의 새로운 사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알츠하이머병 치료의 향상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예방의 해로운 어떤 부작용도 피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제조를 위해 판퀴논의 사용이 제공된다.
판퀴논은 알츠하이머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임의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판퀴논은 5mg 내지 250m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mg 내지 50mg의 양으로 하루 한번 내지 세번 투여될 수 있다.
발명의 한가지 구체예에서, 산화방지제, 아세틸콜린 증강제, 미량금속, 보결분자단 그리고 클리오퀴놀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이 판퀴논을 투여하기 전에, 판퀴논과 함께 또는 판퀴논 투여 후에 투여된다.
발명은 또한 산화방지제, 아세틸콜린 증강제, 미량금속, 보결분자단 그리고 클리오퀴놀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단, 클리오퀴놀이 선택될때,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화합물이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됨)과 판퀴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화방지제는 바람직하게 비타민 C, 비타민 E, 조효소 Q, 또는 그것의 조합물이다. 아세틸콜린 증강제는 바람직한 μl 효능제 또는 항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이다. 바람직한 항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는 타크린(tacrine)(상표명:Cognex) 및 도네페질(donepezil)(상표명:Aricept)이다. 보결 분자단은 바람직하게 비타민 B12이다.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판퀴논과 클리오퀴놀은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판퀴논, 클리오퀴놀 및 비타민 B12의 조합물이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다.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또는 피부내 투여용으로 조제될 수 있다. 또한, 약학적 제형은 단일 약학 조성물로 또는 연속적 투여 또는 실질적인 동시 투여를 위한 둘 이상의 별도의 약물로 조제될 수 있다.
발명은 또한 알츠하이머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판퀴논의 양을 피검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을 가진 또는 가진 것으로 의심되는 피검자의 치료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PC12 세포에서 Aβ(25-35) 용량-반응에 대한 판퀴논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2는 PC12 세포에서 Aβ(25-35) 유도 독성에 대한 판퀴논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3은 Zn2+-유도 Aβ응집체에 대한 판퀴논 및 클리오퀴놀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4는 Cu2+-유도 Aβ응집체에 대한 클리오퀴놀 및 판퀴논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세가지 용액의 NMR 스펙트라를 나타낸다. 용액 a는 2.6mM 농도의 비타민 B12(히드록시코발아민)을 포함한다. 용액 b는 2.6mM 비타민 B12 와 10mM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의 혼합물(몰비 약 1:4)을 포함한다. 용액 c는 10mM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를 포함한다.
도 6은 공명위치의 좀더 쉬운 비교를 위해 확대된 도 5의 오른쪽 반을 나타낸다.
도 7은 공명위치의 좀더 쉬운 비교를 위해 확대된 도 5의 왼쪽 반을 나타낸다.
시장에서는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약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려진 약 판퀴논이 제안된다.
실시예에서 PC12 세포내의 Aβ(25-35)는 세포의 산화환원 활성에 대해 뚜렷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실시예 2에서 사용된 방법에서, 1㎛ Aβ(25-35)에 노출된 세포의 산화환원 활성은 정상 수준의 60%로 감소된다(도 2, 흰 원 참조). 그러나, Aβ(25-35)-처리 세포가 1㎍/ml 이상의 판퀴논으로 처리될때 정상 산화환원 활성은 회복된다. 이것은 인간과 같은 포유동물에게 투여될때 판퀴논이 Aβ의 부작용을 완화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발명을 어떤 특정 작용 메카니즘에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지만, 현재 세포 산화환원 활성에 대한 Aβ의 효과를 방지하는 것은 판퀴논의 산화방지 효과라고 생각되고 있다.
판퀴논의 산화환원 효과는 비타민 C, 비타민 E, 조효소 Q 또는 그것의 조합물과 같은 추가의 산화방지제를 공동-투여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세포외 공간에서의 노인성 판의 존재는 콜린작용성 신경계에서 자극의 전달을 예방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신경계의 작용은 매개체 아세틸콜린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에 의해 아세틸콜린의 정상적 가수분해를 방지 또는 억제하는 화합물과 같은 아세틸콜린의 레벨을 높이는 화합물, 소위 항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가 판퀴논과 함께 투여되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항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는 타크린 및 도네페질이다.
보고된 한 연구의 실시예에서, 판퀴논이 Cu2+ 및 Zn2+에 의해 유도된 Aβ(1-40)의 응집을 감소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다음에 제안된 발명의 작용 메카니즘은 상기 메카니즘에 대해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다. 현재, 출원인은 판퀴논과 Aβ가 경쟁적으로 아연, 구리 그리고 다른 중금속을 킬레이트화 한다고 생각한다. 판퀴논은 혈뇌장벽에 침투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판퀴논이 세포외공간에서 중금속 이온을 붙잡았을때 그것은 혈액으로 이동하며 체내로부터 제거된다. Aβ의 응집 또는 염 그리고 중금속 이온이 유리 Aβ및 유리 중금속 이온과 평형을 이룰때 판퀴논은 유리 중금속 이온을 계속 붙잡아 둘 수 있고 응집된 Aβ, 즉 아밀로이드가 존재하는 한 혈액으로 중금속 이온을 이동시킬 수 있다. 유리 Aβ는 수동적 확산에 의해 혈뇌장벽에 침투할 수 없으며, 오히려 그것은 세포외공간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해 분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유리 Aβ또는 그것의 퇴행성 부분은 그것이 무독성으로 될 때 까지 소화되기 전에 뉴런 세포에 잠재적으로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반면에, 판퀴논은 정상적으로 생성된 산화환원 활성 Aβ의 감소를 상쇄하는 그것의 능력 때문에 Aβ의 잠재적 세포독성효과를 방지 또는 억제할 것이다.
판퀴논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응집의 감소는 Cu2+ 에 대해서는 50-60% 그리고 Zn2+에 대해서는 10%이다. 클리오퀴놀은 정반대의 경향을 갖고 있음이 더 밝혀져 있다. 클리오퀴놀이 Aβ(1-40)의 Zn2+-유도 응집을 60%이상 감소시킨 반면에, Cu2+-유도 응집은 약 30%만큼 감소된다. 바꿔 말하면, 판퀴논은 Aβ(1-40)의 Cu2+-유도 응집을 감소시키는데 가장 적합하며 클리오퀴놀은 Zn2+-유도 응집을 감소시키는데 가장 적합하다.
Cu2+ 및 Zn2+는 알츠하이머병을 가진 또는 가진 것으로 의심되는 환자의 체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두가지 이온에 의해 유도되는 응집을 감소 또는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므로, 클리오퀴놀을 판퀴논의 투여 전에, 판퀴논과 함께 또는 판퀴논보다 후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클리오퀴놀의 투여는 클리오퀴놀이 부작용으로서 SMON을 야기하기 때문에 문제시된다. 선행연구(WO 98/06403 참조)는 비타민 B12에 대한 클리오퀴놀의 가능한 영향을 보여준다.
클리오퀴놀은 신장을 통해 클루쿠로나이드 또는 황산염 유도체, 예를 들면 메틸(5-클로로-7-요오도-퀴놀일-2',3',4'-트리-O-아세틸-글루코피라노시드)우로네이트로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taki H., et al.: Enterohepatic circulation of clioquinol in the rat, J. Pharmacobiodyn. 1984 June; 7(6): 420-5 and Jurima M. et al.: Metabolism of 14C-iodochlorhydroxyquinoline in the dog and the rat, J. Pharmacobiodyn. 1984 March; 7(3):164-70). 간단히 말해서, 이 화합물은 아래에서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로 칭한다.
클리오퀴놀과 같은 소수성 물질의 체내에서의 해독은 주로 간에서 발생한다. 그러므로, 클리오퀴놀의 제거는 다음과 같이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 즉 클리오퀴놀이 간에서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로 전환된다. 생성에 이어서, 수용성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는 담즙으로 분비된다. 담즙은 장으로 들어가고, 여기서 대부분의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가 대변으로 배설된다.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의 일부가 장에서 혈액으로 재흡수된다.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는 신장에서 혈액으로부터 여과되고 최종적으로 소변으로 된다.
클리오퀴놀로 마우스를 치료하고 그 후 비타민 B12의 방사성 동위원소([57Co]-시아노코발아민)를 투여하는 것에 의해서, 국제특허출원, 공개번호 WO 98/06403에서는 클리오퀴놀-치료 마우스의 뇌 및 간에서는 비타민 B12의 농도가 정상수준에 머물지만, 여기에 반해 비타민 B12의 방사성 동위원소의 농도는 정상수준과 비교될때 상기 마우스의 신장에서 감소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발견은 클리오퀴놀에 의존하는 비타민 B12의 신진대사를 제안한다. 또한, 그 발견은 신장이 타겟 기관이며, 여기서 신진대사에 의존하는 클리오퀴놀이 발생하는 것을 제시해 준다.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와 비타민 B12 사이에 가능한 상호작용을 조사하기 위해, 한 실험을 고안하였고, 여기서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와 비타민 B12 를 물에서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1H NMR로 분석하였다. 1H NMR 스펙트라(도 5-7을 참조)는 비타민 B12 (벤즈이미다졸 성분에 상응)의 공명의 일부가 이동하였으며, 동일한 것이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퀴놀린 성분에 상응)의 두 공명에 대해서도 관찰되는 것을 보여준다. 유리 클리오퀴놀을 사용할때 동일한 결과가 예상되며, 그러나 클리오퀴놀은 NMR 테스트를 위한 수용액에서 분해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결과는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와 비타민 B12 사이, 어쩌면 비타민 B12 의 벤즈이미다졸 성분과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의 퀴놀린 성분 사이에서의 소수성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비타민 B12 는 일반적으로 그것이 여과된 후에 신혈장으로부터 활발하게 재흡수 된다. 그런 방식으로 인체는 그렇지 않으면 소변으로 잃어버리게 되는 대부분의 비타민 B12 를 회복시킨다. 최근에 비타민 B12 의 재흡수가 막단백질 메갈린의 작용에 의해 매개되는 것이 증명되었다(Moestrup S.K. et al. Proc. Natl. Acad. Sci. 1996; 93(16): 8612-7). 메갈린은 비타민 B12 에 의해 형성된 착화제와 운반 단백질 트랜스코발아민의 결합에 대해 강한 친화성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보고된 새로운 발견, 즉 비타민 B12 가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에 결합되는 것을 기준으로 해서, 그것이 이미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에 결합되었을때 비타민 B12 는 메갈린 단백질 및/또는 트랜스코발아민에 결합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비타민 B12 의 재흡수는 실패할 것이며 인체가 일상적인 음식을 통해 새로운 비타민 B12 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한다면 클리오퀴놀 투여의 일정 기간 후 비타민 B12 결핍으로 고통받을 것이다.
인간에게 있어서 비타민 B12 의 단 하나의 공급원은 음식인데, 왜냐하면 인간은 그것을 합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고기 및/또는 미생물이 부족한 음식은 충분히 비타민 B12 결핍을 야기할 수 있다. 인간이 비타민 B12 가 지나치게 적은 음식을 공급받는다면 클리오퀴놀의 투여는 클리오퀴놀의 메갈린과의 경쟁적 결합에 의해 방해되는 B12 의 재흡수 조건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다. SMON이 단지 일본에서만 관찰되며 일본 음식이 주로 야채와 곡물, 특히 쌀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은 왜 SMON 병이 일본에 한정되어 있는지를 설명해 준다(Kromhout D, et al :"Food consumption pattern in the 1960s in seven countries", Am. J. Clin. Nutr. 49:889-894, 1989).
판퀴논 및/또는 클리오퀴놀 투여의 부작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미량금속 및/또는 보결분자단을 공동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한 보결분자단은 비타민 B12 이다(시아노코발아민).
예를 들기 위한, 그러나 제한하려는 것은 아닌 발명의 조성물, 그것의 사용, 그리고 방법은 1) 질환의 임상치료 단계에서 알츠하이머병을 가진 것으로 진단된 환자, 2) 조기 또는 전구증상 또는 징후를 가진 환자의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그리고 3) 알츠하이머병의 증상 및 징후의 발현 또는 진행 또는 악화의 지연에 대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발명의 방법과 조성물은, 예를 들면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알츠하이머병의 증상 및 징후의 향상 또는 완화, 알츠하이머병의 병리학적 또는 검사 소견의 향상,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의 지연, 알츠하이머병의 발현, 증상 및 징후의 지연, 알츠하이머병의 발생의 예방, 그리고 알츠하이머병 또는 파킨슨병의 증상 및 징후의 발현의 예방에 대해 유용할 것이다.
피검자 또는 환자는 동물, 예를 들면 포유동물이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이고, 태아, 아이, 또는 성인일 수 있다.
Aβ의 용해화에 대한 판퀴논의 생체내 최적 용량은 정해진 실험을 실시하는 의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러한 실험의 예는 뇌척수액(CSF)에서 가용성 Aβ를 관찰하는 것이다(Melbourne 대학에서 1993년 5월 27일 출원한 WO 93/10459). 상대적으로 낮은 용량(10-25 mg/일)으로 시작하여, 의사는 환자의 CSF에서 가용성 Aβ의 양을 관찰할 수 있다. 아연-Aβ응집체의 용해화를 나타내는, 판퀴논 투여에 대한 가용성 Aβ의 증가가 없다면, 용량을 그러한 증가가 관찰될때까지 올릴 수 있다. 다른 예는 임상적, 행동 및 정신적 관찰과 측정을 사용함으로써 병의 임상적 징후 및 증상을 관찰하는 것이다.
인간에게 투여하기 전에, 동물모델에서 효능이 바람직하게 나타난다. 당 업계에 알려진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동물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활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담체는 조성물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양립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허용"되어야 하며 그것의 수용체에 대해 해독을 끼쳐서는 안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판퀴논과 약학 조성물에서 선택적으로 더 활성인 구성요소들이 정제된다.
상기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요구되는 판퀴논과 선택적으로 더 활성인 구성요소들의 양은 투여 경로, 치료될 질환, 몸의 상태, 나이, 피검자의 병적 기록, 그리고 약학 조성물의 갈레노스 제형 등에 따라 변화할 것으로 이해된다. 알츠하이머병을 가진 것으로 진단된 환자를 치료할때, 판퀴논의 양은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Aβ-응집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데 바람직하게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판퀴논의 적당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은, 예를 들면 5 내지 250 m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mg이다. 약학 조성물에서 산화 방지제, μl 효능제, 항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미량금속, 보결분자단 그리고 클리오퀴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의 적당한 양은, 예를 들면 5㎍ 내지 250m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mg이다. 클리오퀴놀과 비타민 B12가 선택된다면, 클리오퀴놀의 양은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예방에 바람직하게 효과적이며 비타민 B12의 양은 클리오퀴놀 투여의 해로운 부작용을 억제하는데 바람직하게 효과적이다. 클리오퀴놀과 비타민 B12의 양은 각각 바람직하게 5mg 내지 250mg, 가장 바람직하게는 10mg 내지 50mg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5mg 내지 1mg이다.
판퀴논과 클리오퀴놀 및 비타민 B12와 같은 선택적으로 더 활성인 구성요소들의 실질적인 투여량은 관리의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판퀴논에 더하여 약학 조성물이 더 활성인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면 그것은 동시에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는 실질적으로 동시지만 분리해서 투여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에 대해서는 상이한 조성물일 수 있다.
치료적 제형은 경구투여가 바람직한 경로이지만, 비경구 투여(근육내 및 정맥내 투여를 포함), 경구투여, 직장투여 또는 피부내투여에 적당한 것들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약학 조성물은 정제, 환약, 시럽, 캅셀, 좌약, 경피적용 제형, 산제, 특히 정맥내 투여를 위한 담체를 가진 복원용 동결건조 산제, 등으로 조제될 수 있다.
용어 "담체"는 투여되는 치료제를 가지는 희석제, 보조약, 부형제, 또는 비히클을 칭한다. 약학 조성물에서 담체는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폴리비돈 또는 포비돈), 트래거캔스 고무, 젤라틴, 전분, 락토오스 또는 락토오스 모노히드레이트 등의 결합제; 알긴산, 옥수수 전분 등의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또는 황산 라우릴 나트륨 등의 윤활유 또는 계면 활성제; 콜로이드 이산화 규소 등의 활택제; 수크로스 또는 사카린 등의 감미제; 및/또는 박하, 살리실산 메틸 또는 오렌지향 등의 향미료를 포함할 수 있다.
경구투여, 예를 들면 정제 및 환약에 적당한 치료적 제형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부성분을 압축 또는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압축된 정제는 구성요소들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이 혼합물을 적당한 장치에서 적당한 크기를 갖는 정제로 압축한다. 혼합하기 전에, 판퀴논은 결합제, 윤활유, 불활성 희석제 및/또는 붕해제와 혼합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더 존재하는 성분들은 희석제, 윤활유 및/또는 계면 활성제와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자유유동성 판퀴논 산제는 미정질 셀룰로스 등의 결합제, 그리고 황산 라우릴 나트륨 등의 계면 활성제와 균일 혼합물이 얻어질때까지 혼합된다. 그 후에, 폴리비돈 등의 다른 결합제가 교반하의 혼합물로 옮겨진다. 균일한 분산이 얻어질때, 비타민 B12의 수용액을 일정한 교반하에 가한다. 이 혼합물을 그래뉼레이팅 체(granulating sieve)에 통과시키고 표준 압축 장치에서 정제로 압축하기 전에 습기제거하여 건조시킨다.
두번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자유유동 판퀴논 산제는 Sapamine(N-(4'-스테아로일 아미노 페닐)-트리메틸암모늄 메틸 황산)과 락토오스 모노히드레이트 등의 계면 활성제 및/또는 유화제와 구성성분의 균일한 분산이 얻어질때까지 혼합된다. 옥수수 전분 등의 붕해제를 포함하는 두번째 제조물이 연속적 교반하의 판퀴논 혼합물에 가해진다. 그러한 두번째 제조물은 냉각수에 부유된 옥수수 전분에 과잉의 끓는물을 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최종 혼합물을 상기한 것처럼 알갱이 모양으로 만들고 건조시키고 옥수수 전분 및 스테아르산 마그네슘과 혼합하고 마지막으로 표준 장치에서 정제로 압축시킨다.
정제는 코팅될 수도 있고 또는 안될 수도 있다. 코팅되지 않은 정제는 갈라질 수 있다. 코팅된 정제는 설탕, 셜락, 필름 또는 다른 장 코팅제로 코팅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당한 치료적 제형은 활성 성분의 살균 용액 또는 현탁액을 포함한다. 수성 또는 유성 담체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약학 담체는 석유, 동물성, 식물성 또는 땅콩기름, 콩기름, 광유, 깨기름 등과 같은 합성 오리진을 포함하는, 물 및 기름 등의 살균액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대한 제형은 활성요소,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황산 라우릴의 수용액을 용해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에서 용해함으로써 다시 제조된, 판퀴논 및 선택적으로 더 활성인 성분을 포함하는 동결건조 산제를 또한 포함한다.
약학 조성물이 캅셀일때, 그것은 지방유, 예를 들면 카카오지와 같은 액체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적당한 약학 부형제는 전분, 글루코오스,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젤라틴, 엿기름, 쌀, 밀가루, 초크, 실리카겔, 스테아르산 나트륨, 일스테아르산 글리세롤, 활석, 염화 나트륨, 건조 탈지우유,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물, 에탄올 등을 포함한다. 이들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정제, 환약, 캅셀, 산제, 서방형제제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조성물은 종래의 결합제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담체를 가진 좌약으로 조제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치료적 화합물은 투여조절 시스템으로 송달될 수 있다. 한가지 구체예에서,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Langer, supra; Sefton, CRC Crit. Ref. Biomed. Eng. 14: 201(1987); Buchwald et al., Surgery 88: 507 (1980); Saudek et al., N. Engl. J. Med. 321: 574 (1989)를 참조하라). 다른 구체예에서는, 중합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Medical Applications of Controlled Release, Langer and Wise (eds.), CRC Pres., Boca Raton, Florida (1974); Controlled Drug Bioavailability, Drug Product Design and Performance, Smolen and Ball (eds.), Wiley, New York (1984); Ranger and Peppas, J. Macromol. Sci. Rev. Macromol. Chem. 23: 61 (1983)을 참조하라; 또한 Levy et al., Science 228:190 (1985); During et al., Ann. neurol. 25: 351 (1989); Howard et al., J. Neurosurg. 71: 105 (1989)를 참조하라). 또 다른 구체예에서, 투여조절 시스템은 치료적 타겟, 즉 중추신경계의 근접부에 놓여질 수 있으며, 그래서 단지 전신 용량의 일부만을 요구하게 된다(예를 들면, Goodson, in Medical Applications of Controlled Release, supra, vol. 2, pp. 115-138 (1984)을 참조하라).
다른 투여조절 시스템이 Langer에 의해 학술잡지에 설명되어 있다 (Science 249: 1527-1533 (1990)).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한가지 구체예에서, 판퀴논 및 더 활성인 성분은 별도의 약물로 이루어진다. 예로써, 한 성분은 판퀴논 및 클리오퀴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성분은 비타민 B12 를 포함할 수 있다. 두 성분을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퀴논 및 클리오퀴놀을 포함하는 성분이 투여되고, 이어서 비타민 B12 를 클리오퀴놀 및 판퀴논을 투여한지 1일, 1주, 또는 1달 이내에 투여할 수 있다. 두 성분이 연속적으로 투여될때, 판퀴논 및 클리오퀴놀을 포함하는 성분은 바람직하게 1 내지 3주 동안 투여되고 이어서, 비타민 B12 를 포함하는 성분이 투여되지만 클리오퀴놀을 포함하는 성분은 투여되지 않는 1 내지 4 주 동안 세척된다. 세척기간이 지난후, 치료가 반복될 수 있다.
발명은 또한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성분으로 채워진 하나 이상의 용기를 포함하는 약학 팩 또는 키트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관련된 그러한 용기는 약학적 또는 생물학적 제품의 제조, 사용 또는 판매를 조정하는 정부기관에 의해 설명된 형태로 고지될 수 있으며, 그것은 인체 투여를 위한 제조, 사용 또는 판매 대리인에 의한 승인을 반영하도록 통지된다.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이 발명의 원리를 예로써 설명한 수반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실시예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 1
PC12 세포에서 Aβ(25-35) 용량-반응에 대한 판퀴논의 영향.
Aβ(25-35)를 Bachem(CH) 또는 Sigma(USA)로 송달시키고 적용하기 2시간 전에 pH7.4의 인산완충식염수(PBS)에서 용해시켰다. Aβ의 신경독성은 아미노산 잔기 25와 35(Aβ(25-35)) 사이의 서열에 위치하고 있으며 데카펩티드가 전체길이 Aβ(1-40)와 동일하게 효능있는 신경세포의 죽음을 유도하는 이 영역을 포함한다(Yankner, Duffy LK, Kirschner DA: Neurotrophic and neurotoxic effects of amyloid βprotein: reversal by tachykinin neuropeptides. Science 1990;250(4978):279-282).
래트 PC12 크롬친화성세포종 세포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5% CO2를 가진 가습 인큐베이터내 5% 송아지 태아의 혈청 및 10% 말혈청을 포함하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에서 배양하였다.
PC12 세포를 적당한 매체 100㎕에서 96-wells 마이크로티터 판위에 놓는다. 24시간후에 지시된 농도의 Aβ(25-35)펩티드를 홀로 또는 지정된 농도의 판퀴논과 함께 가하였다. 배양을 24시간동안 계속하였다. 배양에 이어서, 제조업자의 (Boehringer Mannheim)지도에 따라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광물을 사용하여 MTT감소를 측정하였다. 비히클 단독에 의해 얻어진 광물값을 100%로 정의하였다.
MTT는 세포간 및 플라즈마 막 산화환원효소에 대한 기질이며 세포의 산화환원 활성의 감소를 측정하는데 널리 사용되어왔다. 세포 산화환원 활성의 감소는 Aβ매개의 세포죽음에 대한 초기 지표로 알려져 왔다(Shearman MS, Ragan CI, Iversen LL: Inhibition of PC12 cell redox activity is a specific, early indicator of the mechanism of β-amyloid-mediated cell death, Proc. Natl. Acad. Sci. USA 1994;91(4):1470-1474).
PC12 세포에서 Aβ(25-35) 유도 독성에 대한 판퀴논의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해, PC12 세포를 0 내지 10μM 범위 농도의 Aβ(25-35)펩티드에 노출시켰다. 판퀴논의 부재시(즉, 단지 비히클만 가한 경우) Aβ(25-35)는 MTT감소의 용량-의존 억제를 야기한다(도 1, 검은 원). 0.01μM의 낮은 Aβ(25-35)의 농도는 상당한 감소를 일으키며 0.1μM이상의 Aβ(25-35) 농도에서 MTT감소는 약 50%의 최대수준으로 감소된다.
판퀴논 10㎍/ml의 존재시 Aβ(25-35)의 독성 효과는 사실상 없어진다(도 1, 흰 원). 심지어 1μM의 높은 Aβ의 농도에서, 판퀴논의 존재는 완전히 Aβ의 독성효과를 상쇄한다. 단지 Aβ(10μM)의 최대농도에서 Aβ에 의한 약간의 MTT감소 억제가 있었다. 그러나 이 억제는 판퀴논 부재시의 약 50%에 비해 단지 약 10%로 심하지 않다.
실시예 2
PC12 세포에서 Aβ(25-35) 유도 독성에 대한 판퀴논의 효과.
이 연구에서는, PC12 세포를 고정된 1μM 농도의 Aβ에 노출시켰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물질과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판퀴논의 농도는 0 및 10㎍/ml 사이에서 변화시켰다. 판퀴논 부재시 Aβ(25-35)는 MTT감소를 약 40% 억제시켰다(도 2, 흰 원). 이 억제는 판퀴논이 0.1㎍/ml 존재할때까지 유지되었다. 판퀴논의 농도를 0.1㎍/ml 이상증가시켜서 Aβ(25-35)의 독성효과를 상당히 감소시켰다. 1㎍/ml 이상의 판퀴논 농도에서, Aβ(25-35)의 독성효과가 완전히 제거되었다.
실시예 3
Zn2+- 및 Cu2+- 유도 Aβ응집에 대한 판퀴논 및 클리오퀴놀의 효과.
Aβ(1-40)(Bachem (CH)로부터 송달)의 5mg/ml 원액을 0.01M HCl에서 동결건조된 펩티드를 용해하고, 이어서 0.01M NaOH로 1:1 희석하여 pH를 중화시킴으로써 각각의 실험전에 새로 제조하였다. Aβ(1-40)의 일정량을 PBS(pH 7.4)에서 희석시켜서 100μM로 하고 24시간동안 실온에서 총부피 30μl로 배양하였다. 공동배양 실험을 위해, 지정된 농도의 금속이온 및/또는 테스트 화합물의 일부를 가하였다. 테스트 화합물을 가하여서 최종 몰농도 10㎍/ml가 되게 하였다.
아밀로이드 형성을 티오플라빈 T 형광 분석물로 정량하였다. 티오플라빈은 특히 아밀로이드에 결합되며 이것은 형성된 아밀로이드의 양에 비례하여 그 방출 스펙트럼 및 형광 신호의 이동을 일으킨다. 배양후, Aβ(1-40) 펩티드를 최종부피 1ml로 PBS(pH 6.0) 및 3μM 티오플라빈 T에 가하였다. 형광을 Fluoroscan II fluorometer(Molecular devices, UK)을 사용하여 454nm여기와 482nm방출에서 관찰하였다. 형광 시간 스캔을 실시하였고 감소가 플래토에 도달한 후의(약 5분) 세 값을 3μM 티오플라빈 T의 배경 형광을 제거한후 평균하였다. 공동배양 실험에 대해, 테스트 화합물의 형광을 단독으로 측정하였다. 시료를 세개 만들었다. 종래의 실험에 대한 평균 ±SD를 도면에 나타내었다(도 3 및 4).
판퀴논 및 클리오퀴놀을 아밀로이드 구조로 Aβ(1-40)을 응집하는 것을 방지하는 능력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클리오퀴놀은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에 있어서 알려진 화합물이며(국제 공개번호 WO 98/06403) 원래 본 실험에서 비교의 목적으로 테스트하였다.
두 화합물이 금속-이온 촉매작용 Aβ응집, 특히 Zn2+ 및 Cu2+에 의해 유발되는 응집에 대해 어떤 효과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실험결과를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도 3 및 4에서 Cu2+ 및 Zn2+이 자연발생적 응집에 비해 아밀로이드 구조로의 Aβ응집을 적은 정도로 증가시키는 것이 밝혀졌다. 10㎍/ml 농도에서의 판퀴논 및 클리오퀴놀의 존재시, Aβ의 금속이온 유도응집이 상당히 감소하였다.
10㎍/ml의 테스트 농도에서, 판퀴논은 50-60%만큼 Cu2+ -유도 응집을 감소시킨 반면, Zn2+ -유도 응집은 단지 약 10%로 약간 억제하였다. 예상외로, 클리오퀴놀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클리오퀴놀은 60%가 넘게 Aβ(1-40)의 Zn2+ -유도 응집을 감소시켰고, 반면에 Cu2+-촉매작용 응집은 약 30%만큼 감소시켰다. 그러므로 클리오퀴놀과 조합하여 판퀴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화합물 하나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보다 더 널리 사용된다.
실시예 4
이 실시예에서, 클리오퀴놀의 대사산물을 합성하였다.
클리오퀴놀은 클리오퀴놀의 글루쿠로나이드 유도체로서 신장을 통해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taki H., et al.: "Enterohepatic circulation of clioquinol in the rat", J. Pharmacobiodyn. 1984 June; 7(6): 420-5 and Jurima M. et al.:"Metabolism of 14C-iodochlorhydroxyquinoline in the dog and the rat", J. Pharmacobiodyn. 1984 March; 7(3): 164-70). 클리오퀴놀의 대응하는 글루쿠로나이드로의 전환은 간에서 발생할 수 있다. 간에서의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의 생성에 이어서 그것은 결국 신장으로 전달되고 소변으로 배출된다.
클리오퀴놀의 글루쿠로나이드 유도체를 메틸(5-클로로-7-요오도-퀴놀일-2',3',4'-트리-O-아세틸-글리코피라노시드)우로네이트의 형태로 다음의 반응식 1에 따라 제조하였다:
5-클로로-8-히드록시-7-요오도-퀴놀린(50mg, 0.164mmol), 메틸 1-브로모-1-데옥시-2,3,4-트리-O-아세틸-D-글루코피라노시두로네이트(65mg, 0.164mmol), CaSO4·H2O(35mg) 및 피리딘(1.5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동안 교반시켰다. 새로 제조된 Ag2CO3(35mg)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현탁 용액을 실온에서 20시간동안 어두운 곳에서 교반시켰다. 그 후에, 반응 생성물을 1N 수성 NaOH로 탈아세틸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CH2Cl2(10ml)로 희석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상기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켰다(TLC:CH2Cl2/MeOH 99/1, 용리액:CH2Cl2/MeOH 99.5/0.5).
NMR(400MHz, CDCl3) 2.04(s, 3H, Ac), 2.09(s, 3H, Ac), 2.13(s, 3H, Ac), 3.68(s, 3H, Me), 3.99(d, 1H, 5'-H), 5.40-5.52(m, 3H, 2', -3', -4', -H), 6.29(d, 1H, 1'-H), 7.56(m, 1H, 3H), 7.99(s, 1H, 6-H), 8.52(d, 1H, 4-H), 8.93(s, 1H, 2-H).
이 화합물은 아래에서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로 칭한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비타민 B12의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와의 상호작용을 핵자기공명 (NMR)분광기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가 물에 녹을때, pH=6.5의 완충수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세가지 서로다른 용액을 제조하고 그것의 1H NMR 스펙트라를 20℃에서 DRX 400 MHz 분광측광기에 기록하였다. 용액 a)는 2.6mM의 농도에서 유리 비타민 B12(히드록시코발아민)를 포함하였다. 용액 b)는 비타민 B12 2.6mM와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 10mM의 혼합물(약 1:4의 몰비)을 포함하였다. 용액 c)는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 10mM을 포함하였다.
도 5에서 세가지 용액의 스펙트라는 방향족 영역(5.5-9.8ppm)에 대해 존재한다. 차이는 상당히 작지만 도 6 및 도 7의 확대도에서는 각각 명백하게 나타난다. 비타민 B12의 공명의 일부(벤즈이미다졸 성분에 대응)가 이동되었으며(도 6 참조), 동일한 것이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의 두 공명에 대해 관찰된다(퀴놀린 성분에 대응)(도 7 참조).
그 결과는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와 비타민 B12사이의 상호작용, 비타민 B12의 벤즈이미다졸 성분과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의 퀴놀린 성분 사이의 소수성 성질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에 대한 비타민 B12의 소수성 결합은 비타민 B12가 클리오퀴놀 글루쿠로나이드와 함께 인체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며, 그래서 비타민 B12의 재흡수를 방해하고, 그것은 결국 비타민 B12 부족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비타민 B12 부족은, 적어도 어느 정도는, SMON의 잠재적 요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결국, 클리오퀴놀이 투여될때마다 치료될 피검자의 비타민 B12 레벨은 부족하지 않도록 충분해야 한다. 이것은 클리오퀴놀 및 비타민 B12 를 공동투여함으로써 달성된다.
실시예 6
판퀴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
판퀴논 250g을 sapamine(N-(4'-스테아로일 아미노-페닐)-트리메틸암모늄 메틸 황산) 200g 및 락토오스 모노히드레이트 1025g과 5분동안 혼합시켰다. 끓는 물 300g을 찬 물 100g중 옥수수 전분 100g의 혼합물에 한 차례 가했다. 40℃로 냉각된 옥수수 현탁액을 연속교반하의 분말 혼합물을 포함하는 판퀴논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2.5mm 체를 사용하여 입상화시키고 18시간동안 40℃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입상체를 옥수수 전분 400g 및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0g과 혼합시켰다. 최종 혼합물을 직경이 8.0mm이고 무게가 200mg인 정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판퀴논, 클리오퀴놀 및 비타민 B12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
판퀴논 250g 및 클리오퀴놀 250g을 sapamine(N-(4'-스테아로일 아미노-페닐)-트리메틸암모늄 메틸 황산) 200g 및 락토오스 모노히드레이트 1025g과 5분동안 혼합시켰다. 끓는 물 300g을 찬 물 100g중 옥수수 전분 100g의 혼합물에 한 차례 가했다. 40℃로 냉각된 옥수수 현탁액을 연속교반하의 분말 혼합물을 포함하는 판퀴논 및 클리오퀴놀에 가하였다. 그 후에 비타민 B12 수용액 5g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2.5mm 체를 사용하여 입상화시키고 18시간동안 40℃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입상체를 옥수수 전분 400g 및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0g과 혼합시켰다. 최종 혼합물을 직경이 8.0mm이고 무게가 200mg인 정제로 제조하였다.
다양한 간행물이 여기에서 인용되고 있으며, 그 개시된 것들은 그것 전체의 참고문헌에 의해 통합된다.
발명은 그렇게 설명되며, 동일한 것이 여러가지 방법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한 변형은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그러한 모든 변형은 다음의 청구항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의도되었다.

Claims (64)

  1. 판퀴논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판퀴논이 5mg 내지 250mg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판퀴논이 10mg 내지 50mg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4. (a)판퀴논 및 (b)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B12, 클리오퀴놀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판퀴논 및 클리오퀴놀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판퀴논, 클리오퀴놀 및 비타민 B12 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학조성물이 경구, 비경구 또는 피부내 투여용으로 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이 단일 약학 조성물로 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이 연속적 투여 또는 동시 투여를 위해 두가지 이상의 별개의 약학 조성물로 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a) 판퀴논 및 (b) 비타민 C, 비타민 E, 조효소 Q, 도네피질, 타크린, 미량금속, 비타민 B12 및 클리오퀴놀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단, 클리오퀴놀이 선택될때, 적어도 비타민 B12 가 또한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a) 판퀴논 및 (b) 클리오퀴놀 및 비타민 B12 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판퀴논의 양이 5 내지 250m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판퀴논의 양이 10 내지 50m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5. 제 11 항에 있어서, 클리오퀴놀의 양이 5 내지 250m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클리오퀴놀의 양이 10 내지 50m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7. 제 11 항에 있어서, 비타민 B12 의 양이 5㎍ 내지 2m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비타민 B12 의 양이 0.5mg 내지 1m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9. 제 10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비경구 투여, 피부내 투여 또는 경구 투여용으로 조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20. 제 10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정제로서 조제된 것을 특징으로 약학 조성물.
  21. 별개의 용기에 판퀴논, 클리오퀴놀 및 비타민 B12 를 포함하고, 상기 비타민 B12 는 클리오퀴놀 투여의 해로운 부작용을 억제하기 위해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키트.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KR10-2000-7001576A 1997-08-21 1998-07-17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를 위한 판퀴논의 사용 KR100515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R970100330 1997-08-21
GR970100330 1997-08-21
GR970100507 1997-12-31
GR970100507 1997-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968A KR20010022968A (ko) 2001-03-26
KR100515554B1 true KR100515554B1 (ko) 2005-09-20

Family

ID=6922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576A KR100515554B1 (ko) 1997-08-21 1998-07-17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를 위한 판퀴논의 사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15554B1 (ko)
UA (1) UA59412C2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968A (ko) 2001-03-26
UA59412C2 (uk) 200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0369B1 (en) Use of phanquinone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US9937137B2 (en) Magnesium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for cancers
US20120149685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tauopathies
JPWO2008093709A1 (ja) アミロイド蛋白質の凝集抑制および分解促進によりアミロイドーシスと関連する疾患を予防または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
CA2692773A1 (en) Methods of modifying amyloid .beta. oligomers using non-peptidic compounds
EP2173340A1 (en) Methods of enhancing cognitive function using non-peptidic compounds
JP2018076332A (ja) (3aR)−1,3a,8−トリメチル−1,2,3,3a,8,8a−ヘキサヒドロピロロ[2,3−b]インドール−5−イルフェニルカルバメートの有効量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5994323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clioquinol in combination with vitamin B12 and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uses thereof
EP2262501B1 (en) Treatment of sepsis with 5-ethyl-1-phenyl-2(1h)-pyridone
KR100515554B1 (ko)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를 위한 판퀴논의 사용
CN112755031A (zh) 用于治疗或预防心血管疾病的胆固醇酯转移蛋白抑制剂和含所述抑制剂的药物组合物
KR20050084250A (ko)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및 치료
KR20190101424A (ko) 젬피브로질에 의하여 후기 영유아 뉴런 세로이드 지방갈색소증 환자의 장수에서 증가 및 보행 활동의 개선
JP2022527329A (ja) 神経疾患を処置するために有用なレトロマー安定化剤としてのアミノグアニジンヒドラゾン
MXPA00001459A (en) Use of phanquinone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WO2022075540A1 (ko) 글루타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및 경도 인지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202406555A (zh) 治療患有與增加的麩胺酸水平相關的疾病狀況或病症的患者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