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172B1 - Movable contact for push button switch and switch device using the contact - Google Patents

Movable contact for push button switch and switch device using the conta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172B1
KR100515172B1 KR10-2003-0005853A KR20030005853A KR100515172B1 KR 100515172 B1 KR100515172 B1 KR 100515172B1 KR 20030005853 A KR20030005853 A KR 20030005853A KR 100515172 B1 KR100515172 B1 KR 100515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movable contact
mouth wall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8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69051A (en
Inventor
하꼬자끼다께시
쯔쯔미죠지
가가와가즈요시
다나까기요아끼
오다지마마사히꼬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9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0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17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34Separate snap action
    • H01H2215/036Metallic disc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돔 형상의 탄성체에 금속제 프레임을 부착하고 회로기판에 각각 납땜하여 부착이 가능한 가동접점체의 회로기판에 대한 설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를 제공한다.(Problem) Provided is a movable contact body for a push button switch which can reduce the installation area of a movable contact body that can be attached by attaching a metal frame to a dome-shaped elastic body and soldering it to a circuit board, respectively.

(해결수단) 반전이 가능한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1c)를 갖는 절연성 탄성체(1), 팽창돌출부(1c)의 하면측에 형성된 접점부(2) 및 탄성체(1)의 기부(1a)보다 경질인 별도 부재로 이루어지며 탄성체(1)의 기부(1a)에 부착된 프레임(3)을 구비하고, 프레임(3)을 기부(1a)의 외주면을 덮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기부(1a)의 가로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규제부(3b), 기부(1a)의 세로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부(3a) 및 표면 설치시의 납땜부가 되는 입벽부(3b)를 형성하였다.(Solution) Harder than the insulating elastic body 1 having the dome-shaped expansion protrusion 1c that can be reversed, the contact portion 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expansion protrusion 1c, and the base 1a of the elastic body 1. A frame 3 made of a separate member and attached to the base 1a of the elastic body 1, and the frame 3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1a, and at the same time, the base 1a ) 1st control part 3b which regulates the movement of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2nd control part 3a which regulates the movement of the base 1a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outh wall part 3b used as a soldering part at the time of surface installation. Was formed.

Description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 및 이를 사용한 스위치장치{MOVABLE CONTACT FOR PUSH BUTTON SWITCH AND SWITCH DEVICE USING THE CONTACT}Movable contact body for pushbutton switch and switch device using same {MOVABLE CONTACT FOR PUSH BUTTON SWITCH AND SWITCH DEVICE USING THE CONT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나 통신기기 등의 조작용 스위치로서 사용되는 푸시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를 갖는 절연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 및 이를 사용한 스위치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button switch used as an operation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or a commun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shbutton switch movable contact body made of an insulating elastomer having a dome-shaped expansion protrusion and a switch device using the same. It is about.

종래의 절연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 및 이를 사용한 스위치장치의 구조를 도 12∼도 14에 나타낸다. 도 12는 돔 형상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와 고정접점이 형성된 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회로기판에 부착한 상태의 가동접점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4는 표면 설치시의 가동접점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12 to 14 show the structure of a movable contact body for a pushbutton switch made of a conventional insulating elastic body and a switch device using the sam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me-shaped pushbutton switch movable contact body and a circuit board on which a fixed contact is formed, FIG. 1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movable contact body attached to the circuit board, and FIG. 14 is movable at the time of surface installation.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a contact body.

도면에서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는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를 갖는 절연성 탄성체(51)와 이 탄성체(51)의 기부에 일체적으로 고착된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프레임(52)으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figure, the movable contact body for the pushbutton switch is composed of an insulating elastic body 51 having a dome-shaped expansion protrusion and a frame 52 made of a metal plate integrally fixed to the base of the elastic body 51.

상기 탄성체(51)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수지 등으로 성형되어 있고, 중공부를 갖는 원고리 형상의 기부(51a), 돔 형상이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스커트부(51b), 이 스커트부(51b)에 연이어 형성된 버튼부(51c) 및 이 버튼부(51c)의 하면측에 형성된 접점부(51d)로 형성되어 있다.The elastic body 51 is formed of rubber or an elastomer resin, or the like, and is formed in a ring-shaped base portion 51a having a hollow portion, a skirt portion 51b having a dome shape, and elastically deformable, and connected to the skirt portion 51b. The button part 51c and the contact part 51d formed i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is button part 51c are formed.

상기 프레임(52)은 납땜이 가능한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체(51)의 기부(51a)에 인서트하거나 강고하게 끼워넣음으로써 일체적으로 고착되어 있고, 대향하는 양측부에는 복수개 고정접점(53)이 배열된 회로기판(54)에 부착하기 위한 1쌍의 부착편(52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4에 나타낸 것은 표면 설치용 부착편(52b)을 나타내고 있고, 선단에 평면 형상의 접속부(52c)가 형성되어 있다.The frame 52 is made of a solderable metal plate and is integrally fixed by inserting or firmly inserting the base 51a of the elastic body 51, and a plurality of fixed contacts 53 on opposite sides thereof. A pair of attachment pieces 52a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arranged circuit boards 54. 14 shows the surface-mounting attachment piece 52b, and the planar connection part 52c is formed in the front-end | tip.

상기 가동접점체를 전자기기나 통신기기의 조작스위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복수개 상기 고정접점(53)이 배열된 회로기판(54)에, 적절하게 필요한 위치에 상기 프레임(52)의 부착편(52a 또는 52b)을 부착하고 상기 탄성체(51)의 버튼부(51c)의 접점부(51d)와 고정접점(53)이 대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조작스위치부를 구성하게 된다.In order to use the movable contact body as an operation switch of an electronic device or a communication device, the attachment piece 52a of the frame 52 is appropriately positioned on a circuit board 54 in which a plurality of the fixed contacts 53 are arranged. Or 52b) is attached and the operation switch part is comprised by arrange | positioning so that the contact part 51d of the button part 51c of the said elastic body 51 and the fixed contact 53 may oppose.

이 경우 조작스위치부의 배열은 사용되는 전자기기나 통신기기의 조작스위치의 사양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이 사양에 맞춰 적절하게 필요한 위치에 각각 가동접점체에 배치하면 되므로 다양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on switch un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communication device to be used, an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various changes since it is disposed at each of the movable contact bodies appropriately in accordance with this specification.

그러나, 상기 기술한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의 구조에서는, 상기 탄성체(51)의 기부(51a)에는 상기 프레임(52)이 일체적으로 고착되어 있고, 이 프레임(52)이 대향하는 양측부에는 1쌍의 상기 부착편(52a 또는 52b)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54)에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부착편(52a,52b)끼리 부딪쳐 방해가 되므로 설치 면적이 커지고, 조작스위치부의 키 피치를 좁혀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설치 면적을 작게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structure of the movable contact body for the conventional pushbutton switch described above, the frame 52 is integrally fixed to the base 51a of the elastic body 51, and the frame 52 is opposed to each other. Since a pair of said attachment piece 52a or 52b protrudes outward at both sides, when it is installed in the circuit board 54, when the attachment piece 52a, 52b collides with each other, it becomes large and the installation area becomes large. In the case where the key pitch of the operation switch unit is to be narrowed and arrang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installation area.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돔 형상의 탄성체에 금속제 프레임을 부착하고 회로기판에 각각 납땜하여 장착이 가능한 가동접점체를 얻는 동시에, 이 회로기판에 대한 설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한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 및 이를 사용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problem can be solved to obtain a movable contact body which can be attached to a dome-shaped elastic body and soldered to a circuit board, respectively, and at the same time, the installation area for the circuit board can be reduc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able contact body for a pushbutton switch capable of miniaturizing the entire apparatus and a switch device using the same.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to solve the problem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수단으로 반전이 가능한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를 갖는 절연성 탄성체, 상기 팽창돌출부의 하면측에 형성된 접점부, 상기 탄성체의 기부보다 경질인 별도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체의 기부에 부착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기부의 외주면을 덮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기부의 가로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규제부, 상기 기부의 세로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부 및 표면 설치시의 납땜부가 되는 입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 insulating elastic body having a dome-shaped expansion protrusion that can be inverted by the first means, a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expansion protrusion, and a separate member that is harder than the base of the elastic body. A frame attached to the base of the elastic body, the frame being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and a first restricting portion for regula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bas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2nd restriction | limiting part which regulates the movement of and a mouth wall part used as a soldering part at the time of surface installation.

제 2 수단으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입벽부의 하단을 상기 기부의 하단에 대하여 돌출시켜 단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second means, the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mouth wall portion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of the base to form a stepped portion.

제 3 수단으로 상기 프레임은 금속판재를 펀칭 굴곡시켜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입벽부의 표면측이 납땜면으로 되고, 상기 입벽부의 이면측을 상기 기부의 외주면과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제 1 규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ame is integrally formed by punching and bending a metal sheet material by a third means, and the surface side of the mouth wall portion is a soldered surface, and the back side of the mouth wall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to form the first restriction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제 4 수단으로 상기 기부의 외주면을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규제부를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벽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aid base is formed in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by the 4th means, and the said 1st control part was formed in the wall surface formed in polygonal shape.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5 수단으로 상기 제 2 규제부가 상기 입벽부의 상부를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상부 절곡편과, 상기 입벽부의 이면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bend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outh wall portion to the inside by a fifth means, and a protrus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mouth wall portion.

제 6 수단으로 상기 제 2 규제부가 상기 입벽부의 상부를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상부 절곡편과, 상기 입벽부의 하부를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하부 절곡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bend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outh wall portion to the inside by a sixth means, and a lower bend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outh wall portion to the inside.

제 7 수단으로 상기 프레임을, 상기 기부의 상면측을 덮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기부의 하면측을 덮는 제 2 프레임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 의해 상기 기부를 위아래에서 끼워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ame is formed by a seventh means into a first frame covering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base and a second frame covering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base, and the base is sandwiched from above and below by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t is characterized by one.

제 8 수단으로 상기 탄성체의 상면에는 표면 설치시의 흡인 노즐 흡인용 평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ighth means is provided with the flat part for suction nozzle suction at the time of surface installa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aid elastic body.

제 9 수단으로 상기 평탄부에는 흡인 노즐과의 흡착방지용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inth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portion is formed with an uneven portion for preventing adsorption with the suction nozzle.

제 10 수단으로 제 1∼제 9 수단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 고정접점 및 땜납 랜드부를 갖는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접점부를 상기 고정접점에 대향시키고 상기 입벽부를 상기 땜납 랜드부에 납땜하여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enth means is provided with a circuit board having a movable contact body for a pushbutton switch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ninth means, a fixed contact point and a solder land portion, and the contact part is opposed to the fixed contact point, and the mouth wall part is the sol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oldered and attached to the land portion.

발명의 실시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도 11에 나타낸다. 도 1은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의 정면도, 도 2는 그 평면도, 도 3은 그 저면도, 도 4는 가동접점체를 회로기판에 부착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탄성체의 평면도, 도 6은 그 종단면도, 도 7은 프레임의 정면도, 도 8은 그 저면도, 도 9∼도 11은 탄성체에 부착하는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Nex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FIGS. 1 to 11. 1 is a front view of a movable contact body for a pushbutton switch, FIG. 2 is a plan view thereof, FIG. 3 is a bottom view thereof,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movable contact body attached to a circuit board, and FIG. 5 is a plan view of an elastic body.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hereof,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frame, FIG. 8 is a bottom view thereof, and FIGS. 9 to 11 are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rame attached to the elastic body.

도 1∼도 8에서 탄성체(1)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수지 등 절연성 수지를 성형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체(1)는, 베이스가 되는 중앙에 푸시버튼 스위치의 가동영역을 형성하는 중공부(1b)를 갖는 원고리 형상의 기부(1a), 이 기부(1a)에서 연이어 형성된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로 이루어진 탄성변형부(1c) 및 이 탄성변형부(1c)의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원주 형상의 버튼부(1d)로 형성되어 있다.In FIGS. 1-8, the elastic body 1 is formed by shape | molding insulating resin, such as rubber | gum or an elastomer resin. The elastic body 1 has a circular base 1a having a hollow part 1b in the center serving as a base, and a hollow part 1b for forming a movable area of the pushbutton switch, and a dome-shaped expansion protrusion formed successively in this base 1a. It is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ed portion 1c made up of and a cylindrical button portion 1d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elastically deformed portion 1c.

상기 버튼부(1d)의 하면측에는 상기 중공부(1b) 방향으로 돌출된 원주 형상의 돌출부(1e)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1e)의 선단에는 도전성 카본 등으로 이루어진 접점부(2)가 고착되게 된다. 또, 상기 버튼부(1d)의 상면은 평탄부로 되어 있고, 이 평탄부에는 블라스팅 가공 등으로 요철부(1f)가 미세하게 형성되게 된다.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button portion 1d, a circumferential protrusion 1e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1b is formed, and a contact portion 2 made of conductive carbon is formed at the tip of the protrusion 1e. Will be stuck.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1d is a flat portion, and the uneven portion 1f is finely formed in the flat portion by blasting or the like.

또, 상기 기부(1a)의 저면에는 상기 중공부(1b)에서 상기 기부(1a)의 외측으로 연통된 복수개 홈부(1g)가 형성되어 있고, 푸시버튼 스위치가 눌려 상기 탄성변형부(1c)가 휘었을 때에 상기 홈부(1g)를 통해 상기 중공부(1b) 내부의 공기가 밖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base (1a)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1g) communicated from the hollow portion (1b) to the outside of the base (1a), the push button switch is pressed to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1c) When it bends, the air inside the hollow part 1b is discharged | emitted out through the said groove part 1g.

프레임(3)은 강판이나 함석판 등 판 형상의 금속재를 전개한 형상으로 펀칭하고 이를 굴곡시킴으로써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프레임(3)은 평판 형상의 상판부(3a)와, 이 상판부(3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된 입벽부(3b)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3)이 상기 탄성체(1)의 베이스가 되는 상기 기부(1a)의 외주를 덮도록 상기 탄성체(1)에 부착되게 된다.The frame 3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by punching and bending a plate-shaped metal material such as a steel sheet or a tin plate and bending it, and the frame 3 is formed of a plate-shaped upper plate portion 3a and the upper plate portion 3a. It is formed by the mouth wall part 3b bent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circle). The frame 3 is attached to the elastic body 1 so as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se 1a serving as the base of the elastic body 1.

상기 입벽부(3b)는 다각 형상(본 실시예에서는 8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 벽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입벽부(3b)의 내면이 상기 기부(1a)의 외주와 걸어맞춰져 상기 기부(1a)의 가로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규제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입벽부(3b)는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벽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기부(1a)의 외주면 일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입벽부(3b)의 벽면의 각부(3c)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The mouth wall portion 3b is formed of a plurality of wall surfaces having a polygonal shape (an octagonal shape in this embodiment), and an inner surface of the mouth wall portion 3b is engaged with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se portion 1a so that the base portion 1a is formed. And a first restricting portion that regulates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since the mouth wall portion 3b is formed of a wall surface made of a polygonal shape,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a formed in a circular shape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corner portion 3c of the wall surface of the mouth wall portion 3b is formed. It is supposed to enter.

이와 같이 상기 탄성체(1)를 상기 프레임(3)에 장착할 때에는, 상기 탄성체(1)의 외주면 일부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입벽부(3b)의 내벽면의 각부(3c)에 들어가므로 강고한 끼워맞춤 상태가 되어 반송시 또는 스위치 조립시에 양자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프레임(3)의 외형에 복수개 벽면으로 이루어진 평면부가 형성되므로, 이 평면부를 이용하여 표면 설치시에는 각각의 가동접점체의 위치 결정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astic body 1 is mounted on the frame 3,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body 1 is elastically deformed and enters the corner portion 3c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th wall portion 3b. The alignment state can be prevented during separation or during assembly of the switch. Moreover, since the flat part which consists of a some wall surface is formed in the outer shape of the said frame 3, it becomes easy to position each movable contact body at the time of surface installation using this flat part.

또, 상기 상판부(3a)에는 중앙에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로 이루어진 상기 탄성변형부(1c)가 삽입 통과되는 환형 구멍(3d)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형 구멍(3d)을 제외한 둘레면부가 상기 기부(1a)의 상면과 걸어맞춰져 상기 기부(1a)의 세로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부를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portion 3a is formed with an annular hole 3d through which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1c made of a dome-shaped expansion protrusion is inserted in the center, and the peripheral surface portion except for the annular hole 3d is formed. A second restricting portion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a to regulate the movement of the base 1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 경우, 상기 프레임(3)의 상기 입벽부(3b)의 높이 치수 L1에 대하여 상기 탄성체(1)의 상기 기부(1a)의 높이 치수 L2는 약간 짧게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프레임(3)은 상기 입벽부(3b)의 하단이 상기 기부(1a)의 하단에 대하여 돌출되도록 이루어져 단차부(S)가 형성되었다. 그리고, 가동접점체가 후술하는 회로기판(4)에 표면 설치될 때에, 상기 입벽부(3b)의 하단부가 땜납 랜드부(도시 생략)에 부착되는 납땜부로 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height dimension L2 of the base 1a of the elastic body 1 is slightly shorter than the height dimension L1 of the mouth wall portion 3b of the frame 3. Thus, the frame 3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mouth wall portion 3b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of the base 1a to form a step S. When the movable contact body is surface-mounted on the circuit board 4 to be described later,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mouth wall portion 3b is a solder portion attached to a solder land portion (not shown).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3)은 상기 입벽부(3b)의 하단을 상기 탄성체(1)의 상기 기부(1a)의 하단에 대하여 돌출시켜 상기 단차부(S)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3)을 납땜할 때에 상기 탄성체(1)가 납땜할 때의 열의 영향에 의해 열 팽창을 일으켰다 하더라도 상기 단차부(S)에 의해 흡수되게 되고, 가동접점체가 회로기판(4)의 설치면으로부터 플로팅되어 높이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rame 3 protrudes the lower end of the mouth wall portion 3b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of the base 1a of the elastic body 1 to form the step portion S. Thus, the frame 3 When the elastic body 1 causes thermal expansion due to the heat effect when soldering the solder, the stepped portion S is absorbed by the step S, and the movable contact body is floated from the mounting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4 so as to be high.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uneven.

회로기판(4)은 페놀수지 등의 적층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회로기판(4)에는 도전성 카본이나 동박 등으로 형성된 복수개 고정접점(도시 생략)이 배치되어 있다. 또, 고정접점 근방에는 대향된 1쌍의 땜납 랜드부(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접점체를 상기 회로기판(4) 상에 표면 설치하는 경우에는, 땜납 랜드부에 상기 프레임(3)의 입벽부(3b)의 하단이 크림 땜납(5) 등에 의해 납땜되어 부착되어 있다.The circuit board 4 is made of laminated boards such as phenol resins, and a plurality of fixed contacts (not shown) formed of conductive carbon, copper foil, or the like are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4. In the vicinity of the stationary contact, a pair of opposing solder land portions (not shown) are formed. When the movable contact body is surface-mounted on the circuit board 4 as shown in FIG. The lower end of the mouth wall portion 3b of the frame 3 is soldered and adhered by cream solder 5 or the like.

가동접점체를 상기 회로기판(4)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체(1)의 상기 버튼부(1d)의 상면이 평탄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조립장치에서 척킹할 때에도 상기 버튼부(1d)의 평탄부를 흡인 노즐로 흡인함으로써 확실히 흡인할 수 있고, 복수개 가동접점체를 상기 회로기판(4) 상의 소정 위치로 쉽게 정렬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버튼부(1d)의 평탄부에는 블라스팅 가공 등으로 상기 요철부(1f)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인 노즐과의 흡착을 방지하고, 흡인 후의 이탈도 확실히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the case where the movable contact body is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4,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1d of the elastic body 1 is a flat portion, the button portion 1d is used even when chucking by the automatic assembly device. By sucking the flat portion of the die with a suction nozzle, it is possible to reliably suck, so that a plurality of movable contact bodies can be easily align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ircuit board 4. Moreover, since the said uneven part 1f is formed in the flat part of the said button part 1d by a blasting process etc., the adsorption | suction with a suction nozzle is prevented and the release after a suction can be performed reliably.

가동접점체는, 상기 회로기판(4) 상의 고정접점과 상기 탄성체(1)의 상기 버튼부(1d) 하면측의 돌출부(1e)에 형성된 상기 접점부(2)가 대향되어 탑재되어 있고, 상기 버튼부(1d)의 상측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조작스위치부의 푸시버튼에 의해 상기 버튼부(1d) 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탄성변형부(1c)가 반전되어 상기 접점부(2)가 고정접점과 접촉하여 스위치가 온으로 된다.The movable contact body is mounted with the fixed contact on the circuit board 4 and the contact part 2 formed on the protrusion 1e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button part 1d of the elastic body 1 facing each other. When the button portion 1d is pressed by a push button of an operating switch portion (not shown) formed above the button portion 1d,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1c is inverted so that the contact portion 2 is fixed to the fixed contact. The switch turns on in contact.

이 때 상기 탄성체(1)의 기부(1a)에 형성된 상기 홈부(1g)를 통과하여 상기 중공부(1b) 내부의 공기가 밖으로 배출되게 되고, 상기 탄성변형부(1c)의 반전이 스무스하게 이루어져 푸시버튼 스위치는 안정된 동작이 실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air inside the hollow portion 1b is discharged out through the groove portion 1g formed in the base portion 1a of the elastic body 1, and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1c is smoothly inverted. The pushbutton switch causes stable operation.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가동접점체의 구조에서는, 상기 탄성변형부(1c)를 갖는 상기 탄성체(1)의 상기 기부(1a)에 부착되는 상기 프레임(3)을, 상기 기부(1a)의 외주면을 덮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기부(1a)의 세로방향의 이동을 상기 상판부(3a)로 규제하며, 또 상기 기부(1a)의 가로방향의 이동을 상기 입벽부(3b)의 내벽으로 규제하고, 또한 상기 입벽부(3b)의 외벽 하단을 표면 설치시의 납땜부로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가동접점체를 상기 회로기판(4) 상에 납땜하여 고착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3)의 상기 프레임(3)의 상기 입벽부(3b)를 이용하여 직접 납땜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접점체를 복수로 배열하여 표면 설치하는 경우에는, 표면 설치시의 설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조작스위치부의 키 피치를 좁혀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the structure of the movable contac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rame 3 attached to the base 1a of the elastic body 1 having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1c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1a. While forming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cover the top surfac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ase 1a is restricted to the upper plate portion 3a,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base 1a is controlled by the inner wall of the mouth wall portion 3b. Since the lower end of the outer wall of the mouth wall portion 3b is formed as a solder portion at the time of surface installation, the frame 3 is used when soldering and fixing the movable contact body on the circuit board 4. Since it can be soldered directly using the said mouth wall part 3b of the said frame 3, when mounting a plurality of movable contact bodies in surface mounting, the installation area at the time of surface mounting can be made small, and an operation switch Negative key pitch can be narrowed and arranged.

또한, 상기 프레임(3)의 상판부(3a)와 입벽부(3b)로 상기 기부(1a)의 외주면을 덮는 정도의 간단한 구조이며, 상기 탄성체(1)의 종횡방향의 위치를 확실히 규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a simple structure that cover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1a by the upper plate portion 3a and the mouth wall portion 3b of the frame 3, so that th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elastic body 1 can be reliably regulated. do.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프레임(3)의 입벽부(3b)는 다각 형상(본 실시예에서는 8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 벽면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탄성체(1)의 기부(1a)의 외주를 따른 원고리 형상의 입벽부로 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물론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mouth wall portion 3b of the frame 3 has a configuration formed of a plurality of wall surfaces made of a polygonal shape (an octagonal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ase of the elastic body 1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also be set as a circular-shaped mouth wall part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1a), and in this case, of course, the same effect as above can be obtained.

도 9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체의 제 2 실시예인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한편, 도 1∼도 8에서 설명한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rame which is a second embodiment of a movable contac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bout the same component demonstrated in FIGS. 1-8,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 경우, 제 1 실시예와의 상이점은 프레임(13)과 상기 탄성체(1)의 기부(1a)의 걸어맞춤 구조가 약간 다르다는 점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프레임(13)에는, 상기 기부(1a)의 세로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부로서 입벽부(13b)의 상부를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상부 절곡편인 상판부(13a)와 상기 입벽부(13b)의 이면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13c)가 형성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is that the engagement structure of the frame 13 and the base 1a of the elastic body 1 is slightly different. That is, the frame 13, which i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bending piece formed by be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outh wall portion 13b inward as a second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base 1a. The protrusion part 13c which protruded on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upper board part 13a and the said entrance wall part 13b is formed.

이 경우 상기 돌기부(13c)는 상기 입벽부(13b)의 외면측에서 프레스 등의 방법으로 밀어 형성하면 되고, 또 상기 입벽부(13b)의 적절한 부분에 복수개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In this case, the protruding portion 13c may be formed by being pushed from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mouth wall portion 13b by a press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in plural in appropriate portions of the mouth wall portion 13b.

상기 제 2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기부(1a)의 세로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부로서 상기 입벽부(13b)의 상부를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상기 상판부(13a)와 상기 입벽부(13b)의 이면측에 돌출 형성된 상기 돌기부(13c)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이며 세로방향의 위치를 확실히 규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upper plate portion 13a and the mouth wall portion formed by bending an upper portion of the mouth wall portion 13b inward as a second restriction portion for regulating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base 1a. Since it is formed by the said projection part 13c which protruded in the back surface side of 13b, it is a simple structure and can reliably regulate the position of a vertical direction.

도 10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체의 제 3 실시예인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한편, 마찬가지로 도 1∼도 8에서 설명한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Fig.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rame which is a third embodiment of a movable contac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par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 경우, 제 1, 제 2 실시예와의 상이점은 프레임(23)과 상기 탄성체(1)의 기부(1a)의 걸어맞춤 구조가 약간 다르다는 점이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프레임(23)에는, 상기 기부(1a)의 세로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부로서 입벽부(23b)의 상부를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상부 절곡편인 상판부(23a)와 상기 입벽부(23b)의 하부를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하부 절곡편인 하판부(23c)가 형성되어 있다.In this case,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s that the engagement structure between the frame 23 and the base 1a of the elastic body 1 is slightly different. That is, the frame 23, which is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bending piece formed by bending an upper portion of the mouth wall portion 23b inward as a second restricting portion that regulates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base 1a. A lower plate portion 23c which is a lower bent piece formed by bending the upper plate portion 23a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outh wall portion 23b inward is formed.

이 경우 상기 하판부(23c)는 상기 입벽부(23b)의 하단부를 외면측에서 프레스 등의 방법으로 절곡 형성하면 되고, 상기 입벽부(23b)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 상기 입벽부(23b)의 적절한 부분에 복수개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lower plate portion 23c may be formed by bending a lower end portion of the mouth wall portion 23b by a press or the like on the outer surface side, and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mouth wall portion 23b.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portions at appropriate portions of the mouth wall portion 23b.

상기 제 3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기부(1a)의 세로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부로서 상기 입벽부(23b)의 상부를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상기 상판부(23a)와, 상기 입벽부(23b)의 하부를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하부 절곡편인 하판부(23c)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간단한 구조이며 세로방향의 위치를 확실히 규제할 수 있게 된다. 또, 추가로 상기 상판부(23a)의 내부 둘레단을 아래방향으로 절곡시키고, 상기 탄성체(1)의 기부(1a)에 끼워맞춤홈을 형성하여 이 홈 내에 걸어맞추도록 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the upper plate portion 23a formed by bending an upper portion of the mouth wall portion 23b inward as a second restriction portion for regulating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base 1a, and the mouth portion. Since it is formed by the lower plate part 23c which is the lower bending piece formed by bending the lower part of the wall part 23b inward, it is similarly simple structure and can be reliably regulated the position of a vertical direction. Further, the inn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upper plate portion 23a may be bent downward, and a fitt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base 1a of the elastic body 1 to be engaged in the groove.

도 11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체의 제 4 실시예인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한편, 마찬가지로 도 1∼도 8에서 설명한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Fig.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rame which is a fourth embodiment of a movable contac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par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 경우, 제 1, 제 2, 제 3 실시예와의 상이점은 프레임(33)과 상기 탄성체(1)의 기부(1a)의 걸어맞춤 구조가 다르다는 점이다. 즉,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프레임(33)은, 상기 기부(1a)의 상면측을 덮는 제 1 프레임(33a)과 상기 기부(1a)의 하면측을 덮는 제 2 프레임(33b)으로 형성되었다.In this case,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is that the engagement structure between the frame 33 and the base 1a of the elastic body 1 is different. That is, the frame 33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the first frame 33a covering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base 1a and the second frame 33b covering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base 1a. It became.

이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33a)과 상기 제 2 프레임(33b)은 각각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33a)과 상기 제 2 프레임(33b)에 의해 상기 기부(1a)가 위아래에서 끼워져 종횡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first frame 33a and the second frame 33b are formed separately. The base 1a is fitted from above and below by the first frame 33a and the second frame 33b to regulate th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and horizontal directions.

상기 제 4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33)을, 상기 기부(1a)의 상면측을 덮는 상기 제 1 프레임(33a)과 상기 기부(1a)의 하면측을 덮는 상기 제 2 프레임(33b)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프레임(33a)과 제 2 프레임(33b)에 의해 상기 기부(1a)를 위아래에서 끼워 고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탄성체(1)가 땜납할 때의 열의 영향에 의해 열 팽창을 일으켰다 하더라도 상기 제 1 프레임(33a)과 상기 제 2 프레임(33b)에 의해 상기 기부(1a)를 위아래에서 끼워 규제하기 때문에, 가동접점체가 상기 회로기판(4)의 설치면으로부터 플로팅되어 높이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frame 33 includes the first frame 33a covering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base 1a and the second frame 33b covering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base 1a. Since the base 1a is sandwiched and fixed from above and below by the first frame 33a and the second frame 33b, heat is affected by the heat when the elastic body 1 is soldered. Even if expansion occurs, the base 1a is clamped up and down by the first frame 33a and the second frame 33b, so that the movable contact body is floated from the mounting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4 to raise the height.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uneven.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 프레임 형성은 금속판재를 프레스로 드로잉 가공하여 제 1 규제부와 제 2 규제부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Further,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frame may be formed by drawing a metal plate with a press to form a first restricting portion and a second restricting por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의 구조는 반전이 가능한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를 갖는 절연성 탄성체, 팽창돌출부의 하면측에 형성된 접점부 및 탄성체의 기부보다 경질인 별도 부재로 이루어지며 탄성체의 기부에 부착된 프레임을 구비하고, 프레임은 기부의 외주면을 덮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기부의 가로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규제부, 기부의 세로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부 및 표면 설치시의 납땜부가 되는 입벽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회로기판 상에 납땜하여 고착하는 경우에, 프레임의 입벽부를 이용하여 직접 납땜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 설치시의 설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조작스위치부의 키 피치를 좁혀 배치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movable contact body for the pushbutt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insulating elastic body having an inverted dome-shaped expansion protrusion, a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expansion protrusion, and a separate member that is harder than the base of the elastic body. And a frame attached to the base of the elastic body, wherein the fram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and also regulates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base,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which regulate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base. Since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to be formed and the mouth wall portion to be the solder portion at the time of surface installation are formed, when soldering and fixing on the circuit board, soldering can be performed directly using the mouth wall portion of the frame, so that the installation area at the time of surface installation is reduced. It can be made small, and the key pitch of an operation switch part can be narrowed and arrange | positioned.

또, 프레임은 입벽부의 하단을 기부의 하단에 대하여 돌출시켜 단차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납땜시에 탄성체의 열 팽창이 있어도 이 단차부에 의해 흡수되므로 가동접점체의 플로팅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ame projects the lower end of the mouth wall portion against the lower end of the base, a stepped portion is formed. Thus, even if there is thermal expansion of the elastic body at the time of soldering, the frame is absorbed by the stepped portion, thereby preventing floating of the movable contact body.

또한, 프레임은 금속판재를 펀칭 굴곡시켜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입벽부의 표면측이 납땜면으로 되고 입벽부의 이면측을 기부의 외주면과 밀착시킴으로써 제 1 규제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이며 가로방향의 위치를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is formed integrally by punching and bending a metal plate, and the surface side of the mouth wall is a soldered surface, and the first restriction portion is formed by bringing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mouth wall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You can certainly regulate your location.

그리고, 기부의 외주면을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제 1 규제부를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벽면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탄성체를 프레임에 장착할 때에는, 탄성체의 외주면 일부가 변형되어 내벽면의 각부에 들어가므로 강고한 끼워맞춤 상태가 되어 반송시 또는 스위치 조립시에 양자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프레임의 외형에 평면부가 형성되므로, 이 평면부를 이용하여 표면 설치시에는 위치 결정을 쉽게 할 수 있다.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nd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is formed into a wall surface made of a polygonal shape, when the elastic body is attached to the frame,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body is deformed and enters the corner portions of the inner wall surface. It becomes a fitting state and can prevent separation of both at the time of conveyance or switch assembly. Moreover, since the flat part is formed in the outer shape of a frame, positioning can be made easy at the time of surface installation using this flat part.

또, 제 2 규제부가 입벽부의 상부를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상부 절곡편과 입벽부의 이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이며 세로방향의 위치를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is formed of an upper bent piece formed by be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outh wall portion inward and a protrusion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mouth wall portion, th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reliably regulated.

또한, 이 제 2 규제부가 입벽부의 상부를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상부 절곡편과 입벽부의 하부를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하부 절곡편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간단한 구조이며 세로방향의 위치를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is composed of an upper bent piece formed by bending the upper part of the mouth wall inwardly and a lower bent piece formed by bending the lower part of the mouth wall part inward, it is similarly simple in structure and can reliably regulate the longitudinal position. have.

그리고, 프레임을 기부의 상면측을 덮는 제 1 프레임과 기부의 하면측을 덮는 제 2 프레임으로 형성하고,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 의해 기부를 위아래에서 끼워 고착하였기 때문에, 납땜시에 탄성체의 열 팽창이 있어도 기부를 위아래에서 끼워 규제하고 있으므로, 가동접점체의 플로팅을 방지할 수 있다.The frame is formed of a first frame covering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base and a second frame covering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base, and the base is sandwiched and fixed by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Even if there is thermal expansion, the base is inserted and regulated from the top and bottom, thereby preventing floating of the movable contact body.

또, 탄성체의 상면에는 표면 설치시의 흡인 노즐 흡인용 평탄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표면 설치시의 가동접점체의 흡인 및 회로기판 상에 대한 부착이 쉬워진다.Moreover, since the suction nozzle suction flat part at the time of surface installation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an elastic body, the suction contact of the movable contact body at the time of surface installation, and attachment to a circuit board become easy.

또한, 평탄면에는 흡인 노즐과의 흡착 방지용 요철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노즐로 흡인한 후에도 쉽게 이탈시킬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uneven | corrugated part for adsorption prevention with a suction nozzle was formed in the flat surface, it can detach easily even after suction by a nozzle.

그리고,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의 구조는 본 발명의 제 1∼제 9 수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 고정접점 및 땜납 랜드부를 갖는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접점부를 고정접점에 대향시켜 입벽부를 땜납 랜드부에 납땜하여 부착하였기 때문에, 스위치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The structure of the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it board having a movable contact body for a pushbutton switch made of any one of the first to ninth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ed contact point and a solder land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is opposed to the fixed contact point. In this way, the mouth wall portion is soldered and attached to the solder land portion, whereby the entire switch apparatus can be miniatur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movable contact body for a pushbutt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movable contact body for a pushbutt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3 is a bottom view showing a movable contact body for a pushbutt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가동접점체를 회로기판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vable contact body,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circuit boar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탄성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showing an elastic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탄성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lastic body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showing a fram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프레임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8 is a bottom view showing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탄성체에 부착하는 프레임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rame attached to the elastic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탄성체에 부착하는 프레임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frame attached to the elastic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탄성체에 부착하는 프레임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4th Example of the frame attached to the elastic body of this invention.

도 12는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와 고정접점이 형성된 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ircuit board on which a conventional pushbutton switch movable contact body and a fixed contact are formed.

도 13은 종래의 회로기판에 부착한 상태의 가동접점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 1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movable contact body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a conventional circuit board.

도 14는 종래의 표면 설치시의 가동접점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movable contact body at the time of conventional surface installa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탄성체 1a: 기부1: elastomer 1a: base

1b: 중공부 1c: 탄성변형부(팽창돌출부)1b: hollow part 1c: elastic deformation part (expansion protrusion)

1d: 버튼부 1e: 돌출부1d: button portion 1e: protrusion

1f: 요철부 1g: 홈부1f: uneven portion 1g: groove portion

2: 접점부 3: 프레임2: contact section 3: frame

3a: 상판부(제 2 규제부) 3b: 입벽부(제 1 규제부)3a: Top plate part (2nd control part) 3b: Entrance wall part (1st control part)

3c: 각부(角部) 3d: 환형 구멍3c: corner 3d: annular hole

4: 회로기판 5: 크림 땜납4: circuit board 5: cream solder

13: 프레임 13a: 상판부(제 2 규제부)13: frame 13a: top plate (second control unit)

13b: 입벽부(제 1 규제부) 13c: 돌기부(제 2 규제부)13b: wall part (1st control part) 13c: protrusion part (2nd control part)

23: 프레임 23a: 상판부(제 2 규제부)23: frame 23a: top plate portion (second regulatory portion)

23b: 입벽부(제 1 규제부) 23c: 하판부(제 2 규제부)23b: wall part (1st control part) 23c: lower plate part (2nd control part)

33: 프레임 33a: 제 1 프레임33: frame 33a: first frame

33b: 제 2 프레임 S: 단차부33b: second frame S: stepped portion

Claims (10)

반전이 가능한 돔 형상의 팽창돌출부를 갖는 절연성 탄성체, 상기 팽창돌출부의 하면측에 형성된 접점부, 상기 탄성체의 기부보다 경질인 별도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체의 기부에 부착된 프레임을 구비한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기부의 외주면을 덮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기부의 가로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규제부, 상기 기부의 세로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부 및 표면 설치시의 납땜부가 되는 입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A pushbutton switch having an insulated elastic body having an inverted dome-shaped expansion protrusion, a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expansion protrusion, and a separate member that is harder than the base of the elastic body, and having a frame attached to the base of the elastic body. In the movable contact body, the fram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and a first regulating portion for regula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base, th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A movable contact body for a pushbutton switch, comprising a second restricting portion and a mouth wall portion serving as a soldering portion at the time of surface install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입벽부의 하단을 상기 기부의 하단에 대하여 돌출시켜 단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The push contact switch movable contact 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forms a stepped portion by protruding the lower end of the mouth wall por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b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금속판재를 펀칭 굴곡시켜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입벽부의 표면측이 납땜면으로 되고, 상기 입벽부의 이면측을 상기 기부의 외주면과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제 1 규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2. The frame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is integrally formed by punching and bending a metal plate, and the surface side of the mouth wall portion is a soldered surface, and the first restriction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A movable contact body for a pushbutton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의 외주면을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규제부를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벽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The push contact switch movable contact body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nd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is formed into a wall surface made of a polygonal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규제부가 상기 입벽부의 상부를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상부 절곡편과, 상기 입벽부의 이면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The push contact switch movable contact 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comprises an upper bending piece formed by bending an upper portion of the mouth wall portion inwardly, and a protrus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mouth wall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규제부가 상기 입벽부의 상부를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상부 절곡편과, 상기 입벽부의 하부를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하부 절곡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The pushbutton switch movab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comprises an upper bending piece formed by bending an upper portion of the mouth wall portion inward, and a lower bending piece formed by bending a lower portion of the mouth wall portion inward. Contact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상기 기부의 상면측을 덮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기부의 하면측을 덮는 제 2 프레임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 의해 상기 기부를 위아래에서 끼워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2. The frame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is formed of a first frame covering an upper surface side of the base and a second frame covering a lower surface side of the base, and the base is formed from above and below by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 movable contact body for a pushbutton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tuck in pl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상면에는 표면 설치시의 흡인 노즐 흡인용 평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The movable contact body for a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uction nozzle suction flat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od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에는 흡인 노즐과의 흡착방지용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The movable contact body for a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lat part is provided with an uneven portion for preventing adsorption with a suction nozzle. 제 1 항에 기재된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 고정접점 및 땜납 랜드부를 갖는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접점부를 상기 고정접점에 대향시키고 상기 입벽부를 상기 땜납 랜드부에 납땜하여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A circuit board having a movable contact body for a pushbutton switch according to claim 1, a fixed contact point, and a solder land portion, the contact portion facing the fixed contact point, and the mouth wall portion soldered and attached to the solder land portion. Switch device.
KR10-2003-0005853A 2002-02-15 2003-01-29 Movable contact for push button switch and switch device using the contact KR10051517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38648 2002-02-15
JP2002038648A JP4034574B2 (en) 2002-02-15 2002-02-15 Movable contact body for pushbutton switch and switch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051A KR20030069051A (en) 2003-08-25
KR100515172B1 true KR100515172B1 (en) 2005-09-16

Family

ID=2767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853A KR100515172B1 (en) 2002-02-15 2003-01-29 Movable contact for push button switch and switch device using the contac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34574B2 (en)
KR (1) KR100515172B1 (en)
CN (1) CN1263059C (en)
TW (1) TW58204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0617A (en) * 2006-10-03 2010-04-02 アバテー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ーゲー Key for using SMT
JP5394207B2 (en) * 2009-11-24 2014-01-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Switch device
JP5429315B2 (en) * 2012-02-03 2014-02-26 Smk株式会社 Contact member
CN104851726B (en) * 2015-05-11 2018-03-30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Press-key structure and the electronic equipment with the press-key structure
CN109755060A (en) * 2018-12-27 2019-05-14 桂林电子科技大学 The production method of key and ke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82045B (en) 2004-04-01
CN1263059C (en) 2006-07-05
CN1438663A (en) 2003-08-27
TW200303031A (en) 2003-08-16
KR20030069051A (en) 2003-08-25
JP2003242857A (en) 2003-08-29
JP4034574B2 (en) 200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9046B1 (en) Sheet with movable contacts and sheet switch
US20080128255A1 (en) Arrangement for surface mounting an electrical component by soldering, and electrical component for such an arrangement
US6377472B1 (en) Shielding device
KR100664365B1 (en) Push­on switch
US5895901A (en) Long-stroke push-on switch with reduced height
US6985112B2 (en) Antenna
EP1056106A1 (en) Push button switch including dome-shaped movable contact having reverse function
US8124902B2 (en) Push button switch
JP5567470B2 (en) Switch device
EP1648045A1 (en) A battery contact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515172B1 (en) Movable contact for push button switch and switch device using the contact
JP2005276624A (en) Socket for mounting electronic parts
US20100230267A1 (en) Push switch
KR101685188B1 (en) Push button switch
JP2008034329A (en) Horizontal push switch
KR19990072227A (en) Photo Interrupter
KR100585298B1 (en) Push button switch
US689956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holddown for ground connection
JP4084066B2 (en) Movable contact body for pushbutton switch and switch device using the same
JP5428890B2 (en) Push-on switch
JP2005129301A (en) Push-button switch
EP3734627B1 (en) Movable contact point, switch with movable contact point, and embossed tape for containing movable contact point
KR100286476B1 (en) Shield case for high frequency device
KR101032274B1 (en) Socket for attaching electronic component
JP2003281967A (en) Movable contact for push button switch and switching device using th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