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171B1 - 카드용 커넥터장치 - Google Patents

카드용 커넥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171B1
KR100515171B1 KR10-2002-0076616A KR20020076616A KR100515171B1 KR 100515171 B1 KR100515171 B1 KR 100515171B1 KR 20020076616 A KR20020076616 A KR 20020076616A KR 100515171 B1 KR100515171 B1 KR 100515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ver
contact
contact portion
contac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2979A (ko
Inventor
니시오까도오루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2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rotection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 e.g. by grounding part of the conductiv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94Coupling devices with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f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Abstract

금속제의 커버를 구비한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정전기에 대전 (帶電) 한 카드를 삽입할 때에 카드내의 회로 등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커버 (22) 에, 제 1, 제 2, 제 3 정전기 대책수단 (30, 40, 50) 을 형성한다. 제 1 정전기 대책수단 (30) 은, 커버 (22) 의 상면부에 팽창돌출부 (31) 를 형성하여 구성되며, 제 2 정전기 대책수단 (40) 은, 커버 (22) 의 앞부분 좌우 양단부에 한 쌍의 돌출부 (41) 를 형성하여 구성되고, 제 3 정전기 대책수단 (50) 은, 커버 (22) 의 앞 가장자리부에 노치부 (51) 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카드 (10) 에 대전한 정전기는,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커버 (22) 에 방전되므로, 신호용 접촉부 (12c) 에서 방전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카드 (10) 내의 IC나 기억데이터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드용 커넥터장치{CONNECTOR DEVICE FOR CARD}
본 발명은, 메모리를 구성하는 IC 등이 내장된 카드를 장착하는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메모리카드가 장착되는 카드용 커넥터장치에는, 도 13에 나타내듯이, 수지제의 하우징 (1) 이 형성되며, 그 하우징 (1) 에는, 메모리카드 (2) 가 삽입되는 카드삽입부 (3) 와, 카드삽입부 (3) 에 삽입된 메모리카드 (2) 의 각 접촉부 (4) 와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 (5) 가 병설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1) 에는 카드삽입부 (3) 를 덮는 금속제의 커버 (6) 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커버 (6) 의 일부가 회로기판 (7) 의 그라운드패턴에 납땜되어 있다.
그런데, 카드삽입부에 삽입하는 메모리카드가 정전기에 대전 또는 카드를 삽입하는 조작자가 정전기에 대전하고 있으면, 메모리카드를 삽입할 때, 또는 삽입도중에 있어서 카드의 접촉부로부터 커버에 정전기의 방전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으로서는, 각 접촉부로부터 커버까지의 각각의 최단거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어느 접촉부로부터 커버에 방전이 일어나는지 알지 못하며, 그라운드용의 접촉부로부터 방전이 일어난 경우에는 메모리카드내의 회로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일은 없지만, 신호용의 접촉부로부터 방전이 일어나면 메모리카드내의 회로의 신호라인에 수천∼만볼트의 전압이 발생하여 카드내의 IC 또는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 등이 파괴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금속제의 커버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정전기에 대전한 카드를 삽입할 때에 카드내의 회로 등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는,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삽입부와 카드삽입부에 삽입된 카드의 각 접촉부와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구비한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있어서, 카드삽입부를 덮고 또한 회로의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금속제의 커버가 형성됨과 동시에, 각 접촉부는, 적어도 1개의 그라운드용 접촉부와 신호용 접촉부를 가지며, 금속제의 커버에는, 카드삽입부에 삽입되는 카드의 신호용 접촉부로부터 커버까지의 최단 거리를, 그라운드용 접촉부에서 커버까지의 최단거리 보다 길게 하는 정전기 대책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는, 각 접촉부는 카드의 삽입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에 병설되며, 그 병설된 각 접촉부 중의 양단측에 위치하는 접촉부가 그라운드용 접촉부이고, 정전기 대책수단은, 커버의 상면부에 있어서 적어도 카드의 삽입도중에서의 양 그라운드용 접촉부사이와 대향하는 영역을 상방으로 팽창돌출 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는, 각 접촉부는 카드의 삽입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에 병설되며, 그 병설된 각 접촉부 중의 양단측에 위치하는 접촉부가 그라운드용 접촉부이고, 정전기 대책수단은, 커버의 상면부에 양 그라운드용 접촉부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그 각 돌출부와 양 그라운드용 접촉부와의 최단거리를 짧게 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카드용 커넥터는, 각 접촉부는 카드의 삽입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에 병설되며, 그 병설된 각 접촉부 중의 양단측에 위치하는 접촉부가 그라운드용 접촉부이고, 정전기 대책수단은, 삽입개시상태에 있는 카드의 양 그라운드용 접촉부사이와 대향하는 커버의 삽입구측 가장자리부를 잘라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커버에 정전기 대책수단을 형성하여, 카드의 신호용 접촉부로부터 커버까지의 최단거리를, 그라운드용 접촉부로부터 커버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게 하였기 때문에, 카드가 정전기에 대전하고 있더라도, 정전기는 항상 그라운드용 접촉부로부터 커버에 방전된다. 따라서, 정전기가 방전될 때에 카드내의 회로의 신호라인에 고전압이 발생되는 일이 없어, 카드내의 회로 등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삽입도중에서의 카드의 양단측에 위치하는 양 그라운드용 접촉부사이와 대향하는 커버의 상면부를 상방으로 팽창돌출 시켰기 때문에, 카드에 대전한 정전기는, 삽입도중에 있어서 항상 그라운드용 접촉부로부터 커버에 방전된다. 따라서, 삽입도중에 있어서, 카드의 신호용 접촉부로부터 커버에 정전기가 방전되는 일이 없어, 카드내의 회로 등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카드의 양단측에 위치하는 양 그라운드용 접촉부에 대응하여 커버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커버와 그라운드용 접촉부와의 최단거리를 짧게 하였기 때문에, 카드를 삽입할 때, 카드가 정전기에 대전하고 있어도 정전기는 항상 그라운드용 접촉부로부터 커버에 방전된다. 따라서, 정전기가 방전될 때에, 카드내의 회로의 신호라인에 고전압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카드내의 회로 등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삽입개시상태에 있는 카드의 양단측에 위치하는 그라운드용 접촉부사이와 대향하는 카드의 삽입측 가장자리부를 잘라내었으므로, 정전기에 대전한 카드를 삽입할 때, 정전기는 항상 그라운드용 접촉부로부터 커버의 삽입측 가장자리부에 방전된다. 따라서, 정전기의 방전으로 카드내의 회로의 신호라인에 고전압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카드내의 회로 등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원발명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를 구체화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실시형태>
먼저, 제 1실시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장착되는 카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 도 10에 나타내듯이, 카드 (10) 는, 직사각형상을 하며, 수지제의 케이스 (11) 내에, 메모리를 구성하는 IC 등을 설치한 회로기판 (도시생략) 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카드 (10) 의 전단부 하면에는, 도 10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접촉부 (12) 가 배치되어 있고, 각 접촉부 (12) 중 좌우 양단측 (도 1중, 상하 양단측) 에 위치하는 접촉부 (12) 가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이며, 중앙에 위치하는 접촉부 (12) 가 전원용 접촉부 (12b) 이고, 그 밖의 접촉부 (12) 가 신호용 접촉부 (12c) 로 되어있다.
제 1실시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는, 도 1 ∼ 도 4에 나타내듯이, 수지제의 하우징 (20) 과 이 하우징 (20) 을 덮는 금속제의 커버 (22) 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하우징 (20) 에는, 카드 (10) 가 삽입장착되는 카드삽입부 (21) 와, 그 내부에 카드 (10) 의 복수의 접촉부 (12) 와 접촉하는 단자 (23) 가 형성되어 있다. 카드삽입부 (21) 는, 상면을 사각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도 3중 우측면에 카드삽입구 (21a) 를 갖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듯이, 좌우 양 내벽면이 카드 (10) 를 삽입장착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면 (21b, 21b) 으로 되어있다.
각 단자 (23) 는, 도 3에 나타내듯이, 가늘고 긴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를 카드삽입부 (21) 내로 돌출시킨 상태로, 카드삽입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에 7개 병설되어 있다. 각 단자 (23) 의 선단부에는, 카드 (10) 의 각 접촉부 (12) 와 접촉하는 접점이 형성되며, 선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하우징 (20) 의 후단부 (도 3중, 좌단부) 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회로기판 (24) 의 회로패턴에 납땜되도록 되어 있다. 각 단자 (23) 중, 좌우 양단측 (도 3중, 상하 양단측) 에 위치하는 2개의 단자 (23) 가, 그라운드용 단자 (23a) 이며, 중앙에 위치하는 단자 (23) 가 전원용단자 (23b), 그 밖의 단자 (23) 가 신호용 단자 (23c) 로 되어있다.
커버 (22) 는, 도 5에 나타내듯이, 금속판을 정면에서 보아 문 (門)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카드삽입부 (21) 의 상면을 덮음과 동시에 좌우 양 측판이 하우징 (20) 의 좌우 양 외측면에 따라 배치된다. 좌우 양 측판의 아래 가장자리부중, 도 1에 나타내듯이, 전후 양단부 (도 1중, 좌우 양단부) 의 합계 4개소가 회로기판 (24) 의 설치면에 따라 직각으로 달아 내어져 있고, 이 달아 낸부 (22a) 가 회로기판 (24) 의 그라운드패턴에 납땜되도록 되어 있다.
커버 (22) 의 앞 가장자리부는, 그 좌우 양 가장자리부가 전방으로 연장형성됨과 동시에 위 가장자리부가 윗방향으로 향하여 경사져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도 2에 나타내듯이, 좌우 양측판사이에 수지제의 개폐문 (25) 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개폐문 (22) 은 카드삽입구 (21a) 를 막는 가로로 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좌우 양가장자리부에 회전운동축 (25a, 25a) 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 회전운동축 (25a) 이 커버 (22) 의 좌우 양측판에 형성되는 지지구멍 (22b, 22b) 에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도 2중 정면에서 보아 좌측의 회전운동축 (25a) 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 (26) 이 장착되어 있고, 상시 개폐문 (25) 이 카드삽입구 (21a) 를 폐쇄하는 위치에 탄성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커버 (22) 에는, 또 제 1 정전기 대책수단 (30), 제 2 정전기 대책수단 (40), 제 3 정전기 대책수단 (50)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정전기 대책수단 (30) 은, 도 1, 도 4, 도 5에 나타내듯이, 커버 (22) 의 상면부 중 그 중앙영역을 상방으로 팽창돌출 시키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그 팽창돌출부 (31) 의 좌측 가장자리부 (31a) 는, 도 5에 나타내듯이, 삽입도중에 있는 카드 (10) 의 접촉부 (12) 중 가장 좌단에 있는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의 좌측 가장자리부를 상방으로 연장시킨 선과 대략 같은 위치 또는 그 위치보다 약간 바깥쪽 (도 5중, 좌측) 의 위치에 있으며, 신호용 접촉부 (12c) 에서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A1이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A2보다 길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팽창돌출부 (31) 의 우측가장자리부 (31b) 도, 상기 좌측가장자리부 (31b) 와 동일하게 삽입도중에 있는 카드 (10) 의 접촉부 (12) 중 가장 우측단에 있는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의 우측가장자리부를 위쪽으로 연장시킨 선과 대략 같은 위치 또는 그 위치보다 약간 바깥쪽 (도 5중, 우측) 의 위치에 있으며, 신호용 접촉부 (12c) 로부터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A1이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A2보다 길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팽창돌출부 (31) 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적어도 카드 (10) 를 삽입하여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가 그라운드용 단자 (23a) 와 접촉하기 시작하는 위치까지, 신호용 접촉부 (12c) 로부터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A1이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A2보다 길게 되도록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정전기 대책수단 (40) 은, 도 6, 도 7에 나타내듯이 커버 (22) 의 상면 전단부에 있어서의 경사면의 좌우 양단부를 잘라내어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 각 돌출부 (41, 41) 는, 삽입되는 카드 (10) 의 상면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각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의 바깥측가장자리부 (좌측의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에 있어서는 좌측가장자리부, 우측의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에서는 우측가장자리부) 를 상방에 연장시킨 선과 대략 동일한 위치 또는 그 위치보다 약간 바깥측 (좌측의 돌출부 (41) 는 좌측, 우측의 돌출부 (41) 는 우측) 의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즉, 카드 (10) 가 삽입되어, 각 접촉부 (12) 가 각 돌출부 (41) 의 바로 아래에 온 상태에서, 각 신호용 접촉부 (12c) 로부터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B1보다 각 돌출부 (41) 로부터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까지의 최단거리 B2가 짧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3 정전기 대책수단 (50) 은 도 1, 도 9에 나타내듯이, 커버 (22) 의 앞가장자리부를 사각형상으로 잘라내어 형성된다. 이 노치부 (51) 의 좌우 양가장자리부 (51a, 51a: 도 9중, 상하 양측의 가장자리부) 는, 삽입개시상태에 있는 카드 (10) 의 좌우 양단측 (도 9중, 상하 양단측) 에 위치하는 각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의 바깥측 가장자리부 (좌측의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에서는 좌측가장자리부, 우측의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에서는 우측가장자리부) 를 연장한 선과 대략 동일한 위치 또는 약간 바깥측 (좌측가장자리부 (51a) 는 좌측, 우측가장자리부 (51b) 는 우측) 의 위치에 있어, 삽입개시상태에 있는 각 신호용 접촉부 (12c) 로부터 커버 (22) 의 앞가장자리부까지의 최단거리 C1이 각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커버 (22) 의 앞가장자리부까지의 최단거리 C2보다 길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카드 (10) 의 삽입이 시작되는 삽입개시상태에서는, 카드 (10) 는, 본 실시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가 짜 넣어지는 광체 (筐體) 에 형성된 삽입구 (27) 의 개구가장자리부에 가이드 되며, 상기 신호용 접촉부 (12c) 로부터 커버 (22) 의 앞가장자리부까지의 최단거리 C1과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커버 (22) 의 앞가장자리부까지의 최단거리 C2와의 관계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정전기에 대전한 카드 (10) 또는 정전기에 대전한 조작자가 카드 (10) 를 삽입하는 경우, 카드 (10) 를 카드삽입구 (21a) 에 가까이 하면, 카드 (10) 의 각 신호용 접촉부 (12c) 로부터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C1이 각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C2보다 길기 때문에, 정전기는 신호용 접촉부 (12c) 로부터 커버 (22) 에 방전되는 일없이,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커버 (22) 에 방전된다 (도 9참조).
이어서, 카드 (10) 를 카드삽입구 (21a) 에 삽입하여 안쪽으로 넣으면 각 돌출부 (41) 가 카드 (10) 의 상면에 접촉한다. 여기서, 각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돌출부 (41) 까지의 최단거리 B2가 각 신호용 접촉부 (12c) 로부터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B1보다 짧기 때문에, 상기에 있어서 방전되지 않았던 정전기는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돌출부 (41) 에 방전된다 (도 6참조).
또한, 카드 (10) 를 안쪽으로 운반하여, 삽입장착위치에 장착한다 (도 8참조). 여기서, 커버 (22) 의 상면이 팽창돌출하여, 삽입도중에 있어서 각 신호용 접촉부 (12c) 로부터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A1이 각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A2보다 길게 되어있기 때문에, 상기에 있어서 방전되지 않은 정전기는, 신호용 접촉부 (12c) 로부터 커버 (22) 에 방전되는 일없이,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커버 (22) 에 방전된다 (도 5참조).
이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22) 의 앞가장자리부에 노치부 (51) 를 형성하여, 카드삽입 개시시에 카드 (10) 에 대전한 정전기가 항상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커버 (22) 에 방전되도록 하였으므로, 정전기의 방전으로 카드 (10) 내의 회로의 신호라인에 고전압이 발생하여 카드 (10) 내의 IC, 또는 기억데이터 등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드 (10) 의 삽입도중에 있어서, 각 돌출부 (41) 가 카드 (10) 의 상면에 접촉하여 카드 (10) 에 대전한 정전기가 각 돌출부 (41) 에 방전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삽입도중에서 정전기의 방전으로 카드 (10) 내의 회로의 신호라인에 고전압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카드 (10) 내의 IC 또는 기억데이터 등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22) 의 상면부를 팽창돌출시켜 카드 (10) 에 대전한 정전기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커버 (22) 에 방전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카드 (10) 가 삽입장착위치에 도달하는 사이, 정전기가 신호용 접촉부 (12c) 로부터 커버 (22) 에 방전되는 일이 없어, 카드 (10) 내의 신호라인에 고전압이 발생하여 IC 또는 기억데이터 등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실시형태>
제 1실시형태와 동일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도 12에 나타내듯이 제 2실시형태의 커버 (22) 에는, 정전기 대책수단 (60) 으로서, 좌우 양단부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조부 (61, 61) 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 돌조부 (61) 는, 삽입되는 카드 (10) 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각 돌조부 (61) 의 내측가장자리부 (도 12중, 좌측의 돌조부 (61) 에 있어서는 우측가장자리부 (61a), 우측의 돌조부 (61) 에 있어서는 좌측가장자리부 (61b)) 가 삽입도중에 있는 카드 (10) 의 각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의 바깥측가장자리부 (좌측의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에 있어서는 좌측가장자리부, 우측의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에 있어서는 우측가장자리부) 를 윗방향으로 연장한 선과 대략 동일위치 또는 약간 바깥측의 위치에 있고, 삽입도중에 있는 각 신호용 접촉부 (12c) 로부터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D1가 각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각 돌조부 (61) 까지의 최단거리 D2보다 길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돌조부 (61) 는, 적어도 카드 (10) 를 삽입하여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가 그라운드용 단자 (23a) 와 접촉하기 시작하는 위치까지, 신호용 접촉부 (12c) 로부터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D1가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D2보다 길게 되도록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삽입도중에 있는 각 신호용 접촉부 (12c) 로부터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D1이 각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각 돌조부 (61) 까지의 최단거리 D2보다 길게 되어있기 때문에 삽입도중에 있어서, 카드 (10) 에 대전한 정전기는 신호용 접촉부 (12c) 로부터 커버 (22) 에 방전되는 일없이, 항상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커버 (22) 에 방전된다. 따라서, 카드 (10) 의 삽입도중에 있어서, 정전기의 방전으로 카드 (10) 내의 회로의 신호라인에 고전압이 발생하여 카드 (10) 내의 IC나 기억데이터 등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들의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① 상기 제 1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정전기 대책수단 (30) 을 커버 (22) 의 상면부 중앙영역을 팽창돌출 시키는 것에 의해 구성하였지만, 그 영역을 잘라내어 개구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② 상기 제 1실시형태에서는, 팽창돌출부 (31) 는, 카드 (10) 의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가 그라운드용 단자 (23a) 와 접촉하기 시작하는 위치까지, 신호용 접촉부 (12c) 로부터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A1이 그라운드용 접촉부 (12a) 로부터 커버 (22) 까지의 최단거리 A2보다 길게 되도록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었지만, 그것보다 더욱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으며, 앞측 (카드삽입구측) 으로 짧아도 좋다.
③ 상기 제 1실시형태에서는, 커버 (22) 에 제 1정전기 대책수단 (30) 과 제 2정전기 대책수단 (40) 과 제 3 정전기 대책수단 (50) 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제 1, 제 2, 제 3 정전기 대책수단 중 적어도 1개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기타, 본 발명은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금속제의 커버를 구비한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정전기에 대전한 카드를 삽입할 때에 카드내의 회로 등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 1실시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는 동 실시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동 실시형태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는 동 실시형태의 카드용 커넥터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동 실시형태의 도 1중, 5-5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동 실시형태의 도 1중, 6-6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동 실시형태의 도 1중, 7-7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동 실시형태의 카드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동 실시형태의 노치부(제 3 정전기 대책수단)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0은 동 실시형태의 팽출부(제 1 정전기 대책수단)을 나타내는 커버의 이면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의 커버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2는 동 실시형태의 도 11중, 12-12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카드 12 접촉부
12a 그라운드용 접촉부 12c 신호용 접촉부
21 카드삽입부 22 커버
23 단자 23a 그라운드용 단자
23c 신호용 단자 30 제 1정전기 대책수단
31 팽창돌출부 40 제 2정전기 대책수단
41 돌출부 50 제 3정전기 대책수단
51 노치부 60 정전기 대책수단
61 돌조(突條)부

Claims (4)

  1.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삽입부와 상기 카드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카드의 각 접촉부와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구비한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드삽입부를 덮고 또한 회로의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금속제의 커버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카드의 각 접촉부는, 적어도 1개의 그라운드용 접촉부와 신호용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카드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카드의 신호용 접촉부로부터 상기 커버까지의 최단거리를, 상기 카드의 그라운드용 접촉부로부터 상기 커버까지의 최단거리 보다 길게 하는 정전기 대책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각 접촉부는 상기 카드의 삽입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에 병설되며, 그 병설된 상기 카드의 각 접촉부 중의 양단측에 위치하는 접촉부가 상기 카드의 그라운드용 접촉부이고, 상기 정전기 대책수단은, 상기 커버의 상면부에 있어서 적어도 카드의 삽입도중에 있어서의 상기 카드의 양 그라운드용 접촉부사이와 대향하는 영역을 상방으로 팽창돌출 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각 접촉부는 상기 카드의 삽입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에 병설되며, 그 병설된 상기 카드의 각 접촉부 중의 양단측에 위치하는 접촉부가 상기 카드의 그라운드용 접촉부이고, 상기 정전기 대책수단은, 상기 커버의 상면부에 상기 카드의 양 그라운드용 접촉부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커버와 상기 양 그라운드용 접촉부와의 최단거리를 짧게 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각 접촉부는 상기 카드의 삽입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에 병설되며, 그 병설된 상기 카드의 각 접촉부 중의 양단측에 위치하는 접촉부가 상기 카드의 그라운드용 접촉부이고, 정전기 대책수단은, 삽입개시상태에 있는 상기 카드의 양 그라운드용 접촉부사이와 대향하는 상기 커버의 삽입구측 가장자리부를 잘라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카드용 커넥터장치.
KR10-2002-0076616A 2001-12-20 2002-12-04 카드용 커넥터장치 KR100515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87469 2001-12-20
JP2001387469 2001-12-20
JPJP-P-2001-00401697 2001-12-28
JP2001401697A JP3998472B2 (ja) 2001-12-20 2001-12-28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979A KR20030052979A (ko) 2003-06-27
KR100515171B1 true KR100515171B1 (ko) 2005-09-16

Family

ID=26625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616A KR100515171B1 (ko) 2001-12-20 2002-12-04 카드용 커넥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98472B2 (ko)
KR (1) KR100515171B1 (ko)
CN (1) CN1225819C (ko)
TW (1) TW5747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6167A (ja) 2002-10-23 2004-05-20 Jst Mfg Co Ltd 挿入機構付きコネクタ
JP2004146168A (ja) 2002-10-23 2004-05-20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2006330971A (ja) * 2005-05-25 2006-12-07 Sharp Corp カードスロット装置
JP4449883B2 (ja) 2005-10-20 2010-04-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憶媒体接続装置及びこれを具備する情報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9222A (en) * 1993-04-06 1994-08-16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printed circuit card holder
JPH08287198A (ja) * 1995-04-13 1996-11-01 Kel Corp Icカード用コネクタおよびicカードリーダーライター
JP2000012163A (ja) * 1998-06-29 2000-01-14 Alps Electric Co Ltd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0214971A (ja) * 1999-01-22 2000-08-04 Honda Tsushin Kogyo Co Ltd Cfカ―ド用アダプ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9222A (en) * 1993-04-06 1994-08-16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printed circuit card holder
JPH08287198A (ja) * 1995-04-13 1996-11-01 Kel Corp Icカード用コネクタおよびicカードリーダーライター
JP2000012163A (ja) * 1998-06-29 2000-01-14 Alps Electric Co Ltd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0214971A (ja) * 1999-01-22 2000-08-04 Honda Tsushin Kogyo Co Ltd Cfカ―ド用アダプ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5819C (zh) 2005-11-02
JP2003249314A (ja) 2003-09-05
TW200302602A (en) 2003-08-01
KR20030052979A (ko) 2003-06-27
TW574773B (en) 2004-02-01
CN1428896A (zh) 2003-07-09
JP3998472B2 (ja)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3046A (en) Receptacle connector
US4307927A (en) Polarization key for electrical connector
KR100208639B1 (ko) 카드 수납 커넥터용 만능 접지 클립
US6234845B1 (en) IC card connector with a mechanism for preventing erroneous insertion of an IC card
US690831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utter
US6947290B2 (en) Shielded card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KR960044000A (ko) 카드 변부 커넥터와 함께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법
KR200356231Y1 (ko) 멀티-인-원 커넥터 구조
JP6925952B2 (ja) 電源コネクタ及び電源コネクタ装置
KR100515171B1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CN101499139B (zh) 电子卡
US5820391A (en) Miniature card interface connector
JP4558568B2 (ja) コネクタ
US6929513B2 (en) Connector for memory cards
JPH11214092A (ja) カード接続装置
US6048232A (en) Withdrawable contact and a connector using the same
JP3924677B2 (ja) カード用電気コネクタ
JP2001035613A (ja) プリント基板用ソケット
US7056155B2 (en) Memory card connector
US20080305665A1 (en) Card connector
JP3782974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322129B2 (ja) モジュール支持体のための頭部部品または底部部品
JP3740414B2 (ja) カードコネクタ
KR20060059184A (ko) 커넥터 및 메모리 카드
US6942513B2 (en) Car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