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934B1 -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934B1
KR100514934B1 KR10-2000-0022807A KR20000022807A KR100514934B1 KR 100514934 B1 KR100514934 B1 KR 100514934B1 KR 20000022807 A KR20000022807 A KR 20000022807A KR 100514934 B1 KR100514934 B1 KR 10051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roll
steel sheet
width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8119A (ko
Inventor
허윤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22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934B1/ko
Publication of KR20010098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21B37/30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roll camber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21B13/147Cluster mills, e.g. Sendzimir mills, Rohn mills, i.e. each work roll being supported by two rolls only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plane passing through the working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16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 B21B37/165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responsive mainly to the measured thickness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02Transverse dimensions
    • B21B2261/04Thickness, ga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5/00Mill drive parameters
    • B21B2275/02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을 냉간압연함에 있어서,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제어를 안정화하고 자동 제어하는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한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판(9)의 상하부에 각각 한 쌍씩의 1차 중간롤(3, 4)을 구비한 젠즈미어 압연기(1)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젠즈미어 압연기(1)의 전후방에 위치한 형상측정기(10)로부터 상기 강판(9)의 형상을 입력받아 형상의 기준치를 고려한 형상오차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강판(9)의 인식된 형상과 입출측 두께, 압연속도, 1차 중간롤의 위치 측정값, 강종, 판의 폭으로부터 상기 1차 중간롤(3, 4)을 구동하는 상기 1차 중간롤(3, 4)의 제어량을 퍼지논리에 의해 구하는 단계(S4) 및, 상기 퍼지논리에 의해 구해진 상기 1차 중간롤(3, 4)의 제어량에 따라 상기 1차 중간롤(3, 4)을 이동시키는 단계(S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제어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Advanced shape control method for edge part of cold strip using Sendzimir mill with the first intermediate roll}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강판을 냉간압연함에 있어서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제어를 안정화하고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형상검출기에서 측정되는 현재 강판의 형상을 인식하고 테이퍼가 있는 상하의 1차 중간롤을 운전자의 지식으로부터 제어 규칙화하여 제어기를 구성하고 퍼지논리에 의해 구현된 상기 제어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이하에서는 '에지부'라 함)의 형상을 자동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스테인레스 강판을 압연하기 위한 젠즈미어 압연기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젠즈미어 압연기에서 1차 중간롤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강판(9)의 압연에 사용되는 압연기는 젠즈미어 압연기(ZRM; Sendzimir mill)(1)이며, 젠즈미어 압연기(1)는 진행하는 강판(9)을 중심으로 그 상하부에 롤이 각각 10단씩 적재되어 구성된 총 20단 압연기이다. 스테인레스 강판(9)은 그 상하에 위치하는 작은 직경의 작업롤(2)에 의하여 압연되며, 각각의 작업롤(2)의 상부와 하부에는 1차 중간롤(3, 4)이 한 쌍씩 위치하고, 이런 1차 중간롤(3, 4)의 끝부분에 형성된 테이퍼(Taper)를 이용하여 강판(9)의 에지부의 형상을 제어한다. 상부 중간롤(3)은 강판(9)의 폭에 대하여 작업측(work side)으로 작용하고 하부 중간롤(4)은 구동측(drive side)으로 작용한다. 2차 중간롤(5)은 구동모터(도면에 도시안됨)가 없이 2차 구동 중간롤(6)에 의해 아이들(idle) 회전하고, 백업 롤(back-up roll)(7)은 강판(9)에 압하력을 인가하는 롤이며, 이런 백업 롤(7) 중에서 상부 가운데 위치하는 두 롤이 에즈유 롤(8)이다. 이런 에즈유 롤(8)에 의해 강판(9)의 형상이 제어된다. 여기에서, 강판(9)의 형상제어에 사용되는 구동기는 에즈유 롤(8)과 1차 중간롤(3, 4)이다. 에즈유 롤(8)은 작업측에서 구동측으로 8개의 새들(Saddle)이 형성된 롤로서, 솔레노이드 형태의 유압모터(15)에 의해 랙(lack)을 구동하면 편심을 이루면서 힘이 하부의 2차 중간롤에 전달된다. 그리고, 1차 중간롤(3, 4)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2개씩 쌍을 이루고 있으며 작업측 및 구동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테인레스 강판(9)의 에지부 형상을 제어한다. 강판(9)의 형상은 젠즈미어 압연기(1)의 양쪽에 설치된 형상측정기(10)에 의해 측정되며, 이런 형상측정기(10)는 52mm의 폭을 가지는 32개의 로드셀(Load Cell)로 구성된다.
그러나, 스테인레스 강판(9)의 에지부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젠즈미어 압연기(1)의 구동기인 1차 중간롤(3, 4) 및 에즈유 롤(8)은 솔레노이드 형태의 유압시스템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응답성이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한 강판 형상제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본국 특개평 9-85309호(발명의 명칭 : 젠즈미어 압연기에 의한 스테인레스 강판의 압연방법)"과 "일본국 특개평 5-317940호(발명의 명칭 : 젠즈미어 압연기의 피 압연재 형상제어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 9-85309호(발명의 명칭 : 젠즈미어 압연기에 의한 스테인레스 강판의 압연방법)"에서는 압연중에 1차 중간롤을 진동시키면서 에즈유 롤에 의해 압연재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젠즈미어 압연기의 20단의 롤 중에서 직경이 작은 작업롤(work roll)과 1차 중간롤에 가해지는 압하력은 매우 크다. 따라서, 1차 중간롤을 평가함수 범위 내에서 진동시키기란 매우 어려우며, 150mpm(meter per minute)이상의 압연속도로 압연하여야 한다는 제한이 따른다. 또한, 에즈유 롤에 의한 스테인레스 강판의 에지부 제어는 구동기의 동작범위 제한과 제어효과에서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일본국 특개평 5-317940호(젠즈미어 압연기의 피 압연재 형상제어방법)"에서는 측정된 강판의 형상을 신경회로망에 의해 다수 개의 급준도 패턴으로 분류하고, 이를 퍼지추론에 의해 젠즈미어 압연기의 에즈유 롤 및 1차 중간롤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여기에서, 급준도란, 강판의 폭 방향 형상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 즉, 폭 방향 형상의 편차의 함수이며, 폭 방향 형상의 값을 한 셀(cell)별로 최대값과 최소값을 구하여 급준도의 패턴을 만든다. 그러나, 이 방법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압연할수록 최대/최소 편차가 줄어들어 실제 강판의 형상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며, 또한, 다양한 폭 방향의 형상을 단지 단순한 몇 개의 급준도 패턴으로 분류하고, 이런 몇 개의 급준도 패턴을 이용하여 강판의 형상을 제어함으로써, 강판의 형상제어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진입하는 강판의 형상을 인식한 후 퍼지논리에 의해 강판의 형상을 제어하는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판의 상하부에 각각 한 쌍씩의 1차 중간롤을 구비한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젠즈미어 압연기의 전후방에 위치한 형상측정기로부터 상기 강판의 형상을 입력받아 형상의 기준치를 고려한 형상오차를 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강판의 인식된 형상과 입출측 두께, 압연속도, 1차 중간롤의 위치 측정값, 강종, 판의 폭으로부터 상기 1차 중간롤의 제어량을 퍼지논리에 의해 구하는 제2 단계와, 상기 1차 중간롤의 제어량을 계산한 후, 에지부 형상을 점검하여 정상적인 형상인지 혹은 비정상적인 형상인지를 판단하여 상부와 하부 중간롤의 구동범위를 설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에지부 형상이 ±20 N/mm2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1차 중간롤의 이동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에지부의 형상을 보상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 이후에 에즈유 롤의 새들(Saddle)이 서로 갭 리미트(Gap Limit)에 걸려 상하로 이동하지 못할 경우 상기 1차 중간롤을 이동시켜 상기 에즈유 롤의 갭 리미트를 해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제어에 있어 형상설정값과 형상값을 비교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삭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젠즈미어 압연기(1)의 32개의 형상 데이터와 강판(9)의 입/출측 두께, 압연속도, 에즈유 롤(8)의 현 위치, 강종, 강판의 폭, 강판의 장력, 총 패스(Pass) 수 등의 정보를 전기적신호로 PLC(programmable logic computer; 도면에는 도시안됨)에서 신호 입출력보드(16)로 입력한다. 이런 신호 입출력보드(16)로 입력된 전기적신호는 다시 형상제어기(17)로 입력되어 제어량을 결정한 후에 다시 신호 입출력보드(16)로 출력된다. 형상제어기(17)는 2개의 중앙처리유닛(CPU)(18, 19)과, 3개의 아날로그 입출력 보드(21) 및, 5개의 디지털 입출력 보드(22)를 구비한다. 2개의 중앙처리유닛(18, 19) 중에서 한 개의 중앙처리유닛(18)은 각종 신호의 입출력과 구동기의 조작을 담당하고, 다른 한 개의 중앙처리유닛(19)은 형상 제어 로직에 따른 작동을 담당한다. 형상제어기(17)는 VME(Versa Module Eurocard) 시스템(20)을 사용하며, 형상제어기(17)의 동작상태와 압연기(1)의 제어상태는 디스플레이 장치(MMI; Man-Machine Interface)(23)를 통해 출력하며, 운전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3)를 통해 형상제어기(17)의 동작상태와 압연기(1)의 제어상태를 파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3)는 VME 시스템(20)의 전용PC(personal computer)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3)와 VME 시스템(20) 사이의 정보는 공유 메모리를 억세스하여 이루어진다.
형상제어는 32개의 형상 데이터와 강판의 입/출측 두께, 압연속도, 에즈유 롤의 현 위치, 강종, 강판의 폭, 강판의 장력 등을 입력받아 1차 중간롤(3, 4)의 좌우 위치 변화량을 출력변수로 한다. 이 때, 형상제어는 강판(9)의 초기 형상과 출측 두께 및 강종에 따라 제어패턴을 달리 한다. 이렇게 제어패턴이 다른 이유는 운전자의 다양한 조업패턴과 조업상황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퍼지제어가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퍼지제어가 선택되어진 이유는 퍼지제어가 MIMO(multi-input multi-output) 제어 시스템에 효과적이며, 운전자의 조업지식을 규칙화하여 다양한 제어패턴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화 처리 루틴에서는 1차 중간롤의 현재 위치를 입력받아 초기값을 가진다. 갭 리미트(Gap Limit) 혹은 스트로크 리미트(Stroke Limit)와, 스케일(Scale) 등의 변수를 초기화한다(S1). 여기에서, 갭 리미트란, 에즈유 롤(8)의 8개 새들이 1개의 축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이웃한 다른 에즈유 롤(8)과의 위치차가 크게 되면 축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많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그로 인해 축이 변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두 개의 에즈유 롤(8) 사이에 허용되는 위치값을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스케일이란, 제어기 출력량에 강판의 출측 두께, 강종, 압연속도 가감속 구간 등을 고려하여 제어량에 곱하는 인자이다.
이와 같이, 변수 초기화가 실행된 후에는 수동개입 여부를 판단한다(S2). 만약, 수동개입이 있으면 수동 개입량을 출력하며, 수동개입이 없으면 압연속도 조건을 판단한다(S3).
이 때, 압연속도가 150mpm이상이면, 1차 중간롤 퍼지 제어부(30)에서 1차 중간롤 제어가 실행되고(S4), 압연속도가 150mpm이하이면 1차 중간롤(3, 4)의 현 위치를 그대로 출력한다.
1차 중간롤 퍼지 제어부(30)는 측정된 형상에서 각 패스별 형상의 목표치를 뺀 형상오차 성분을 형상제어기(17)에 입력한다. 이렇게 입력되는 데이터 중에서 에지부 형상오차 데이터는 1차 중간롤 퍼지 제어부(30)에 입력되는 데, 이런 1차 중간롤 퍼지 제어부(30)는 상부와 하부 1차 중간롤(3, 4)에 각각 1개씩 총 2개의 제어기인 중앙처리유닛(18, 19)에서 구동된다.
수학식 1에서 표시한 것과 같이, 1차 중간롤 퍼지 제어부(30)에서 계산된 Δu[k] 값에 직전의 제어량 u[k-1]을 더하여 상하 중간롤(3, 4)의 제어량 u[k]를 계산한다. 그리고, 상하 1차 중간롤(3, 4)의 제어량 u[k]에 스케일 양을 곱한다. 스케일 양은 수학식 2에서와 같이 압연속도 가감속, 강 종, 출측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에서, k는 정수로서 제어루틴 실행회수를 나타내고, n은 1, 2로서 1은 상부에 위치한 1차 중간롤(3)을 나타내고, 2는 하부에 위치한 1차 중간롤(4)을 나타낸다.
퍼지 제어기인 중앙처리유닛(18, 19)에서는 삼각형법을 이용하여 퍼지화하고, 추론은 최소-최대(min-max)방법 그리고 COG(center of gravity)방법을 이용하여 비퍼지화하였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과정에서 퍼지 제어부(30)의 출력은 ΔU이다. 제어량의 스케일 값은 압연속도 가감속 양, 강종, 출측두께에 따라서 결정되며, 압연속도에 따른 제어량의 스케일 값 계산방법은 수학식 2에서와 같이 계산된다.
그 한 예로서, 스테인레스 300계열과 400계열의 두 강종에 따라서 각각의 스케일 값은 0.5 ~ 0.9 그리고 0.8 ~ 0.9로 설정된다. 강판(9)의 출측 두께에 따른 스케일 량은 두께가 1.0 mm ~ 1.1 mm에서는 0.9이고, 두께가 1.0mm 이하에서는 0.5 ~ 0.8이다. 1차 중간롤(3, 4) 제어의 목적은 폭 방향 에지부 형상의 안정화에 있다. 중간롤 제어는 에지부 형상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에지부 형상오차가 ±50 N/mm2 인지를 판단한다(S5). 이 때, 에지부 형상오차가 ±50 N/mm2를 초과하면 비정상 형상으로 판단하여 상부 중간롤(3)의 이동 범위는 20 ~ 180mm로 커지며(S6), 하부 중간롤(4)은 상부 중간롤(3)을 기준으로 ±80mm이내의 큰 이동범위를 갖는다(S7).
반면에, 에지부 형상오차가 ±50 N/mm2이하이면, 상부 중간롤(3)의 구동범위는 초기 설정값의 ±20mm 이내로 제한된다(S8). 초기 설정값은 제어 시작시점과 1차 중간롤 수동개입이 있으면 다시 설정한다. 하부 중간롤(4)의 구동 범위는 상부 중간롤(3)을 기준으로 ±20mm이내에서 구동한다(S9). 예를 들어, 에지부 형상오차가 -10 N/mm2 이고, 상부 중간롤(3)이 100mm이면, 하부 중간롤(4)의 구동 범위는 80 ~ 120mm 값을 갖는다.
다음 단계로는 에지부 형상의 보상단계로서, 에지부 형상의 보상단계에서 에지부 형상오차가 ±20 N/mm2 이상이면 중간롤 이동량을 증감한다(S10). 에지부 형상오차가 +20 N/mm2 이상이면, 중간롤의 이동량은 +2.0mm 증가하고, 에지부 형상오차가 -20 N/mm2 이하이면, 중간롤의 이동량은 -2.0mm 감소한다. 다음 단계는 에즈유 롤(8)의 스트로크 리미트(Stroke Limit)의 보상 및 탑 크라운 갭 리미트(Top Crown Gap Limit)를 보상하는 단계이다(S11). 이는 이웃한 에즈유 롤(8)의 새들(saddle)이 서로 갭 리미트에 걸려서 상하로 이동하지 못할 경우에 1차 중간롤(3, 4)이 이동하여 에즈유 롤(8)의 갭 리미트를 간접적으로 해지해 주는 작용을 한다. 에즈유 롤(8)의 8개의 새들은 작업측(Work side)에서 구동측(Drive side)으로 1번부터 8번까지 명명하는 데, 작업측 방향의 에즈유 롤이 갭 리미트에 도달하면, 즉, 1번과 2번의 새들이 갭 리미트 도달시에는 상부 1차 중간롤(3)을 1.5mm 증가하고, 구동측 방향의 에즈유 롤(8)이 갭 리미트에 도달하면, 즉, 7번과 8번의 새들이 갭 리미트 도달시에는 하부 1차 중간롤(4)을 1.5mm 증가한다.
그 다음 단계는 중간롤 우선 제어가 실행된다(S12). 이는 #1 젠즈미어 압연기의 특성 문제로 추가된 루틴이다. #1 젠즈미어 압연기는 응답성이 느려서 에즈유 롤(8)과 1차 중간롤(3, 4)이 동시에 구동하면 형상제어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후물(강판의 출측 두께가 0.9mm 이상)인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박물(강판의 출측 두께가 0.5mm 이하)로 갈수록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예를 들어, 작업측의 에지부 형상오차가 비교적 큰 값(+방향)을 가질 경우에 상식적으로 에즈유 롤(8)은 하부로 움직이고 상부 중간롤(3)의 위치는 증가(작업측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어하면 #1 젠즈미어 압연기는 역효과가 발생한다. 에즈유 롤(8)이 먼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강판(9)의 형상을 하부(-방향)로 보낸 후에 이어서 중간롤이 증가하여 형상을 더욱 더 하부(-방향)로 보낸다. 그러면, 다시 형상을 +방향으로 보내기 위해 에즈유 롤(8)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형상을 +방향으로 보낸 다음에 중간롤이 감소(구동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형상을 더욱 상부 +방향으로 보내게 된다. 즉, 에즈유 롤(8)과 중간롤(3, 4)을 구동하는 구동기의 느린 응답성과 제어 주기의 매칭(matching) 불량으로 제어 방향은 맞지만 형상을 더 악화시킨다. 이런 문제로 인하여 에즈유 롤(8)과 1차 중간롤(3, 4)이 동시에 구동할 경우에 중간롤 제어량 (Δu)이 1.5mm 이상이면(S13), 에즈유 롤(8)보다 중간롤(3, 4)이 먼저 구동한다. 예를 들어, 강판(9)의 폭이 832 ~ 1352mm인 경우에는 상부 중간롤(3)의 구동량이 직전 값 보다 2.0mm 이상이면 에즈유 롤의 새들 중에서 1번 및 2번의 새들은 움직이지 않는다. 역시 하부 중간롤의 구동량이 직전 값 보다 2.0mm 이상이면 에즈유 롤의 새들 중에서 7번과 8번의 새들은 직전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S14). 마지막으로 중간롤 이동한계를 점검한다. 구동기의 기계적 이동한계와 같이 1차 중간롤(3, 4)의 이동 값이 10 ~ 190mm에 있는지 점검한다. 위의 단계를 거친 후 최종적인 상부와 하부 중간롤(3, 4)의 제어량이 출력된다(S15).
상기에서 기술한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의 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스테인레스 강판의 소재 두께 3.45mm, 제품 두께 0.594mm, 강종 STS430, 판 폭 1241mm, 총 9 패스(Pass)에 대하여 자동제어를 수행하였다. 도 5에 도시된 그래프는 4 패스 작업중의 제 1차 중간롤에 의하여 에지부 형상제어를 수행하고 에지부 형상의 설정값과 형상 측정기에 의한 실제 형상 측정값을 동시에 표시하였다. 에지부 형상 설정값이 -7.52 N/mm2에 대하여 에지부 형상제어 결과는 매우 우수하게 설정값에 수렴하여 이때의 형상제어가 매우 양호하였음을 알 수 있다. 1 패스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제어기의 수동제어이고 2 패스에서 9패스까지는 자동제어를 수행하였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에서의 형상제어기는 형상 검출기로부터 형상을 입력받아 목표 형상과 측정 형상의 차이인 형상 오차를 인식하고 퍼지논리에 의해 제어량을 계산하고 강판의 출측 두께, 강 종, Roll 속도, 중간롤의 상하 위치, 강판의 폭의 입력을 고려하여 제어기의 출력인 상부와 하부의 1차 중간롤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강판의 에지부 제어의 안정화를 위하여 에지부 형상을 정상상태와 비정상상태로 구분하여 1차 중간롤을 각기 제어하며 갑작스런 에지부 형상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중간롤의 이동량에 대한 보상량이 계산되며 에즈유 롤의 동작 범위 제약을 강판의 폭에 따른 중간롤의 이동량의 증감과 구동 순서제어 등을 통하여 해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프로세서에 적절한 형상 제어 방식인 운전자의 지식으로부터 제어기를 구성하여 형상 자동 제어의 성능을 향상되도록 하고 강판의 에지부 형상의 안정화를 통한 제품의 품질을 향상과 안정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스테인레스 강판을 압연하기 위한 젠즈미어 압연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젠즈미어 압연기에서 1차 중간롤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제어에 있어 형상설정값과 형상값을 비교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젠즈미어 압연기 3 : 상부 1차 중간롤
4 : 하부 1차 중간롤 8 : 에즈유 롤
9 : 강판 10 : 형상측정기
16 : 신호 입출력보드 17 : 형상제어기
23 : 디스플레이 장치 30 : 퍼지 제어부

Claims (3)

  1. 강판의 상하부에 각각 한 쌍씩의 1차 중간롤을 구비한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젠즈미어 압연기의 전후방에 위치한 형상측정기로부터 상기 강판의 형상을 입력받아 형상의 기준치를 고려한 형상오차를 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강판의 인식된 형상과 입출측 두께, 압연속도, 1차 중간롤의 위치 측정값, 강종, 판의 폭으로부터 상기 1차 중간롤의 제어량을 퍼지논리에 의해 구하는 제2 단계와,
    상기 1차 중간롤의 제어량을 계산한 후, 에지부 형상을 점검하여 정상적인 형상인지 혹은 비정상적인 형상인지를 판단하여 상부와 하부 중간롤의 구동범위를 설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에지부 형상이 ±20 N/mm2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1차 중간롤의 이동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에지부의 형상을 보상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제어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이후에 에즈유 롤의 새들(Saddle)이 서로 갭 리미트(Gap Limit)에 걸려 상하로 이동하지 못할 경우 상기 1차 중간롤을 이동시켜 상기 에즈유 롤의 갭 리미트를 해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제어방법.
KR10-2000-0022807A 2000-04-28 2000-04-28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KR10051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807A KR100514934B1 (ko) 2000-04-28 2000-04-28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807A KR100514934B1 (ko) 2000-04-28 2000-04-28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119A KR20010098119A (ko) 2001-11-08
KR100514934B1 true KR100514934B1 (ko) 2005-09-15

Family

ID=1966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807A KR100514934B1 (ko) 2000-04-28 2000-04-28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9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0914A (ja) * 2019-07-03 2021-02-04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圧延形状制御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199B1 (ko) * 2006-12-22 2008-08-08 주식회사 포스코 조질압연기에서 강판의 형상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6607460B (zh) * 2015-10-27 2018-10-0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森吉米尔20辊轧机边部板形控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5910A (ja) * 1989-03-30 1991-07-17 Nippon Steel Corp クラスター圧延機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
JPH04111910A (ja) * 1990-08-30 1992-04-13 Kobe Steel Ltd 多段圧延機における圧延材の形状制御方法
JPH04127908A (ja) * 1990-06-04 1992-04-28 Hitachi Ltd 圧延機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H05185124A (ja) * 1992-01-16 1993-07-27 Nippon Yakin Kogyo Co Ltd ゼンジミア圧延機の被圧延材形状制御方法
JPH11123428A (ja) * 1997-10-17 1999-05-11 Nkk Corp 板圧延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
JP2000042616A (ja) * 1998-07-30 2000-02-15 Nippon Steel Corp 冷延薄板の圧延形状制御方法および圧延形状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5910A (ja) * 1989-03-30 1991-07-17 Nippon Steel Corp クラスター圧延機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
JPH04127908A (ja) * 1990-06-04 1992-04-28 Hitachi Ltd 圧延機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H04111910A (ja) * 1990-08-30 1992-04-13 Kobe Steel Ltd 多段圧延機における圧延材の形状制御方法
JPH05185124A (ja) * 1992-01-16 1993-07-27 Nippon Yakin Kogyo Co Ltd ゼンジミア圧延機の被圧延材形状制御方法
JPH11123428A (ja) * 1997-10-17 1999-05-11 Nkk Corp 板圧延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
JP2000042616A (ja) * 1998-07-30 2000-02-15 Nippon Steel Corp 冷延薄板の圧延形状制御方法および圧延形状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0914A (ja) * 2019-07-03 2021-02-04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圧延形状制御装置
JP7200859B2 (ja) 2019-07-03 2023-01-10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圧延形状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119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6213A (en) Method of controlling a shape of a rolled sheet material
KR101090004B1 (ko) 압연 제어 장치 및 압연 제어 방법
EP1833624B1 (de) Betriebsverfahren für eine walzstrasse und hiermit korrespondierende einrichtungen
KR100687127B1 (ko) 금속 판재의 압연 방법 및 압연 장치
KR100514934B1 (ko) 젠즈미어 압연기를 이용하여 강판의 폭 양단부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EP3838432B1 (en) System for predicting contraction
DE3515429C2 (de) Verfahren zur Steuerung des Warmwalzens von Flachmaterial
DE3722268C2 (de) Steuervorrichtung für die Transportgeschwindigkeit bei einer Vergütungseinrichtung für Bandglas
DE3516779C2 (ko)
EP2366466B1 (en) Rolling control method, roll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for a mandrel mil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amless tube or pipe
KR100509896B1 (ko) 냉연 강판의 비대칭 형상 판별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어량보상방법
KR100437637B1 (ko) 에즈-유-롤을 구비한 다단압연기를 이용한스테인레스강판의 형상제어방법
JPH07164031A (ja) 圧延反り予測・制御装置
JP2752589B2 (ja) 連続圧延機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437638B1 (ko) 스테인레스강판에 발생하는 쿼터 웨이브성 비대칭형상의 결함을 제어하는 방법
KR100862088B1 (ko) 강판의 쿼터부 형상제어 방법
CN114101337B (zh) 一种单机架可逆轧机的厚度控制方法、装置
JP2000190012A (ja) 冷間圧延における板形状制御方法及び装置
KR0143325B1 (ko) 압연판의 두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냉간압연방법
JP2719215B2 (ja) 板圧延の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JPH04319010A (ja) 板圧延の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KR0135015B1 (ko) 냉간압연에서의 마찰계수 예측방법
KR20010058077A (ko) 냉간압연기 롤갭 제어방법
JPH08238509A (ja) 冷間圧延時の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JP3604626B2 (ja) 箔圧延機における箔形状の制御装置並びにかかる箔形状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