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713B1 - 자동차 안전장치에 사용되는 에어백 팽창용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 - Google Patents

자동차 안전장치에 사용되는 에어백 팽창용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713B1
KR100514713B1 KR10-2002-0063728A KR20020063728A KR100514713B1 KR 100514713 B1 KR100514713 B1 KR 100514713B1 KR 20020063728 A KR20020063728 A KR 20020063728A KR 100514713 B1 KR100514713 B1 KR 100514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enerator
pyrotechnic
flexible member
generator unit
pyrotechnic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2884A (ko
Inventor
르보디프랑크
페레마티프랑소와
페로토크리스티앙
Original Assignee
리브박 에스엔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브박 에스엔쎄 filed Critical 리브박 에스엔쎄
Publication of KR20030032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8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5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combination of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021/2612Gas guiding means, e.g. ducts
    • B60R2021/2617Curtain ba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60R21/264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the reacting substances being supported by the inflatable member walls, or by a flexible support within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안전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에어백을 팽창시키는데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은,
- 한편으로는 일렉트로파이로테크닉 점화기(50)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단부(6, 7)를 구비하는 본체와, 다른 한편으로는 파이로테크닉 차지(1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제 2 단부에 부착되는 가요성 부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2)와,
- 상기 본체의 제 1 단부에서 상기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에 부착된 압축 가스(4)의 저장조(3)를 포함하며,
- 상기 점화기는, 작동 중에 한편으로는 상기 가요성 부재에 포함된 파이로테크닉 차지의 연소를 개시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압축 가스를 방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안전장치에 사용되는 에어백 팽창용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Hybrid gas generator unit for inflating an airbag used in motor vehicle safety}
본 발명은 자동차 안전장치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한편으로는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에, 다른 한편으로는 측면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에어백이 펼쳐짐으로 의해 발생하는 신체 상해의 위험을 제한하기 위한 적응성 발생기(adaptive generator)라 칭하는 신규한 발생기가 출현하였다. 이를 위해, 적절한 검출 시스템에 결합된 이러한 다양한 발생기들은 유량 및/또는 가스의 체적이, 예를 들면 승객의 형태학 및 위치, 주위 온도, 및 충돌의 특성 및 강도와 같은 소정의 파라미터들에 따라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발생기들은 모든 경우에 있어서 약 50ms의 기간 내에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최근, 자동차 제조업자들은, 차량이 측면 충돌할 때 뿐만 아니라 차량이 측면 충돌 후에 전복될 때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팽창성 에어백을 사용하는 장치를 구현하기를 원한다. 이를 위해, 에어백은 약 10초 동안 팽창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미국 특허 제 5,967,550호에는 두 개의 파이로테크닉 차지(pyrotechnic charge)를 구비하는 발생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제 1 차지는 사고 후 수ms 이내에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기능을 하며, 제 2 차지는 약 10초 동안 에어백을 팽창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상기 발생기의 특별한 기하학적 형상때문에, 발생기는 모든 자동차에 용이하게 장착되지 못한다.
따라서, 국제 출원 WO 01/34516호에는, 한편으로는 일렉트로파이로테크닉 점화기(eletropyrotechnic igniter) 및 제 1 파이로테크닉 차지를 포함하는 본체와,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본체에 부착되며 분말 입자로 구성된 제 2 파이로테크닉 차지를 수용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차량의 지붕을 따라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는 튜브에 결합된 컴팩트한 본체를 구비하는 점에서 상술한 발생기 보다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두 개의 개별 파이로테크닉 차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장치의 제조 비용이 비교적 높으며, 이는 자동차 산업과 같은 경쟁 시장에서 불리하다. 게다가, 튜브 내의 분말 입자 형태의 파이로테크닉 차지의 사용은 불리한데, 이는 작동 시에 매우 고온의 입자들이 에어백 내에 존재하며 상기 고온 입자들은 에어백의 조기 열화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약 10초의 기간 중에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파이로테크닉 차지의 사용은 장치의 표면을 상기 기간 동안 약 수백℃의 온도로 유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는 장치의 에어백 또는 장치에 인접한 차량의 내장품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를 항상 연구해 왔다.
본 발명은 자동차 안전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에어백을 팽창시키는데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은,
- 한편으로는 일렉트로파이로테크닉 점화기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단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다른 한편으로는 파이로테크닉 차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제 2 단부에 부착되는 가요성 부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와,
- 상기 본체의 제 1 단부에서 상기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에 부착된 압축 가스 저장조를 포함하며,
- 상기 점화기는, 작동 중에 한편으로는 상기 가요성 부재에 포함된 파이로테크닉 차지의 연소를 개시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압축 가스를 방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생기 유닛은, 모든 종류의 자동차에 장착될 수 있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사실은 별개로 하더라도, 파이로테크닉 차지 대신에 압축 가스 저장조의 사용에 기인하는 매우 감소된 제조 비용을 갖는다.
적합하게는, 가요성 부재에 수용된 파이로테크닉 차지는 40ms 미만의 기간 동안 에어백을 완전히 팽창시키기에 충분한 체적의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더욱이, 작동 시에, 저장조에 수용된 압축 가스는 수초 정도의 기간 동안 에어백을 팽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방출된다. 상기 압축 가스는 파이로테크닉 차지의 연소 후에 에어백이 완전히 팽창되는 순간에만 균일하게 방출된다.
유리하게는, 가요성 부재에 수용된 파이로테크닉 차지는, 한편으로는 그 원통형 블록의 직경 보다 매우 긴 길이를 가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중앙 채널을 구비하는 원통형 블록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유리하게는, 상기 파이로테크닉 차지는 과염소산 암모늄, 질산 나트륨 및 불활성 결합제(binder)에 기초한 차지를 포함하는 복합 추진제로 구성된다.
적합하게는, 열 수축 유연성 슬리브가 가요성 부재 내에 수용된 파이로테크닉 차지를 파지하여 구속한다. 유리하게는, 일렉트로파이로테크닉 점화기는 한편으로는 가요성 부재 내에 수용된 파이로테크닉 차지의 연소를 개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저장조 내에 수용된 압축 가스를 부스터 차지에 의해 방출시킨다.
또한, 유리하게는, 가요성 부재는, 그의 원주에 걸쳐 그리고 그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 출구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유연성 튜브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파이로테크닉 차지는 튜브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사용되는 에어백의 크기에 상기 튜브의 길이를 적응시키기만 하면 된다. 게다가, 튜브를 형성하는 이러한 재료의 선택은 발생기 유닛을 더욱 안전하게 하는데, 이는 비정상 가압시에, 탑승자에게 상해를 줄 수 있는 금속 부품의 임의의 산개가 방지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 안전장치로서 측면 에어백을 팽창시키는데 사용되는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는,
- 적합하게는 그 원통형 블록의 직경 보다 매우 긴 길이를 가지며, 중앙 채널을 구비하는 원통형 블록의 형태로 제조되는 파이로테크닉 차지를 포함하는 가요성 부재와,
- 상기 파이로테크닉 차지 부근에 배치되는 일렉트로파이로테크닉 점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합하게는, 열 수축 유연성 슬리브가 파이로테크닉 차지를 파지하며 구속한다. 게다가, 가요성 부재는, 그의 원주에 걸쳐 그리고 그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 출구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유연성 튜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압축 가스(4)의 저장조(3)가 직접 부착되어 있는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2)를 사용하여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1)을 도시한다.
파이로테크닉 발생기(2)는, 제 1 단부(6) 및 제 2 단부(7)를 갖는 본체(5)와, 일렉트로파이로테크닉 점화기(50), 및 파이로테크닉 차지가 수용되어 있는 열가소성 재료의 유연성 튜브(8)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체는 중앙 오리피스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 오리피스 내로 일렉트로파이로테크닉 점화기(50)가 삽입되어 용접된다. 파이로테크닉 차지는 부스터 차지(15)가 결합되어 있는 원통형 블록(10)의 형태로 제조되며, 열 수축 유연성 슬리브(12)가 전체 조립체를 파지한다. 원추형 노즈(nose)를 갖는 링(13)이 제 2 단부(7)에서 본체(5) 내로 크림핑(crimping)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속된 파이로테크닉 차지의 제 1 단부는 링(13) 내로 삽입된다. 상기 튜브(8)는, 한 측면에서, 링(13)의 원추형 노즈 상에 끼워맞춰지며 상기 링(13) 내로 나사 결합함으로써 고정된 칼라(30)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단부와, 다른 측면에서 스웨이징되며 용접 후 밀봉된 플러그가 형성될 수 있게 하는 제 2 단부를 구비한다. 또한, 튜브(8)는 그의 원주에 걸쳐 그리고 그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 가스 출구 오리피스(52)를 구비한다.
중앙 리세스를 갖는 원통형 금속편(32)이 그 제 1 단부(6)에서 본체(5) 내로 크림핑에 의해 고정되며, 부스터 차지(33)는 중앙 리세스에 수용된다. 상기 중앙 리세스는, 작동 시에 취성의 멤브레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얇은 중실 단부(51)만을 잔류시키기 위해 실질적으로 금속편(3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저장조(3)는 원통형 금속 본체로 제조되며, 상기 금속 본체는 한 측면에서 본체를 충전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갖는 제 1 단부와, 다른 측면에서 개방형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오리피스는 용접에 의해 고정된 플러그(16)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내부 노즐을 형성하는 중앙 통로를 구비한 원통형 금속 본체(34)가 저장조(3) 내로 도입되며, 상기 저장조(3)의 제 2 단부 부근에 압력 끼워맞춤된다. 금속 본체(34)를 구비하는 상기 저장조(3)는 금속편(32)에서 파이로테크닉 발생기(2)에 용접에 의해 최종적으로 고정된다.
도 3 내지 도 5는 원통형 블록(10)을 형성할 수 있는 파이로테크닉 차지의 3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3개의 실시예에서, 원통형 블록(10)은, 한편으로는 0.9 내지 1.5mm의 직경을 갖는 중앙 채널(35, 36, 37)과, 다른 한편으로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돌출부(41, 42, 43)를 구비하는 측벽(38, 39, 40)을 포함한다. 도 6에는 상기 원통형 블록(10)이 측벽(71) 및 중앙 채널(70)을 포함하는 튜브의 형태로 또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모든 경우에, 원통형 블록(10)은 적합하게는 과염소산 암모늄, 질산 나트륨 및 불활성 결합제에 기초한 차지를 포함하는 복합 추진제로 구성된다.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의 팽창을 요구하는 충돌의 경우에, 발생기 유닛(1)은 하기의 방식으로 작동한다. 일렉트로파이로테크닉 점화기(50)는 두 개의 부스터 차지(15, 33)를 점화한다. 부스터 차지(15)는 매우 급속하게 원통형 블록(10)의 연소를 개시하여, 수ms 내에 출구 오리피스(52)를 통해 방출될 수 있는 다량의 가스를 발생시킨다. 최종적으로, 에어백은 40ms를 초과하지 않는 기간 내에 완전히 팽창된다.
상기 원통형 블록(10)이 연소를 중단한 후에, 부스터 차지(33)는 금속편(32)의 중실 단부(51)를 파괴시키며 저장조(3) 내에 수용된 압축 가스(4)는 서서히 방출되어, 금속 본체(34)의 중앙 통로를 먼저 통과하고, 다음에 금속편(32)과 본체(5)를 통과하며, 마지막으로 현재 비어 있는 튜브(8)를 통과한다. 다음에, 상기 가스(4)는 출구 오리피스(52)를 통해 방출되며 약 10초의 기간 동안 에어백을 완전 팽창 상태로 유지한다. 저장조(3) 내의 가스(4)의 체적 및 압력 레벨을 변경시키거나, 금속 본체(34)의 중앙 통로의 직경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기간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은, 모든 종류의 자동차에 장착될 수 있는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며, 파이로테크닉 차지 대신에 압축 가스 저장조의 사용에 기인하는 매우 감소된 제조 비용을 갖는다. 또한, 탑승자에게 상해를 줄 수 있는 금속 부품의 임의의 산개가 방지되기 때문에 발생기 유닛을 더욱 안전하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의 종단면도.
도 2는 유연성 슬리브에 파지된 파이로테크닉 차지를 수용하는 가요성 튜브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가요성 부재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제 1 파이로테크닉 차지의 단면도.
도 4는 가요성 부재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제 2 파이로테크닉 차지의 단면도.
도 5는 가요성 부재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제 3 파이로테크닉 차지의 단면도.
도 6은 가요성 부재 내에 수용될 수 있는 다른 파이로테크닉 차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 3: 저장조
4: 압축 가스 5: 본체
6: 제 1 단부 7: 제 2 단부
10: 원통형 블록 12: 유연성 슬리브
15, 33; 부스터 차지 32: 금속편
35, 36, 37: 중앙 채널 38, 39, 40: 측벽
50: 일렉트로파이로테크닉 점화기 52: 출구 오리피스

Claims (11)

  1. 자동차 안전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에어백을 팽창시키는데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1)에 있어서,
    - 한편으로는 일렉트로파이로테크닉 점화기(50)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단부(6, 7)를 구비하는 본체와, 다른 한편으로는 파이로테크닉 차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제 2 단부에 부착되는 가요성 부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2)와,
    - 상기 본체의 제 1 단부에서 상기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에 부착된 압축 가스(4)의 저장조(3)를 포함하며,
    - 상기 점화기는, 작동 중에 한편으로는 상기 가요성 부재에 포함된 파이로테크닉 차지의 연소를 개시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저장조에 수용된 압축 가스를 방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재 내에 수용된 파이로테크닉 차지는 40초 미만의 기간 동안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기에 충분한 체적의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 내에 수용된 압축 가스(4)는, 작동 시에, 수초의 기간 동안 에어백을 팽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재 내에 수용된 파이로테크닉 차지는 중앙 채널(35)을 구비한 원통형 블록(10)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재 내에 수용된 파이로테크닉 차지는 과염소산 암모늄, 질산 나트륨 및 불활성 결합제에 기초한 차지를 포함하는 복합 추진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열 수축 유연성 슬리브(12)가 상기 가요성 부재 내에 수용된 파이로테크닉 차지를 파지하며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50)는 상기 가요성 부재 내에 수용된 파이로테크닉 차지의 연소를 개시하며, 상기 저장조 내에 수용된 압축 가스(4)를 부스터 차지(15, 33)에 의해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재는, 그의 원주에 걸쳐 그리고 그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 출구 오리피스(52)를 구비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유연성 튜브(8)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
  9. 자동차 안전장치로서 측면 에어백을 팽창시키는데 사용되는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2)에 있어서,
    - 중앙 채널(35)을 구비하는 원통형 블록(10)의 형태로 제조되는 파이로테크닉 차지를 포함하는 가요성 부재와,
    - 상기 파이로테크닉 차지 부근에 배치되는 일렉트로파이로테크닉 점화기(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열 수축 유연성 슬리브(12)가 상기 파이로테크닉 차지를 파지하며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재는, 그의 원주에 걸쳐 그리고 그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 출구 오리피스(52)를 구비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유연성 튜브(8)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
KR10-2002-0063728A 2001-10-19 2002-10-18 자동차 안전장치에 사용되는 에어백 팽창용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 KR100514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13489A FR2831122B1 (fr) 2001-10-19 2001-10-19 Dispositif generateur de gaz hybride pour gonfler un coussin de protection utilise en securite automobile
FR0113489 2001-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884A KR20030032884A (ko) 2003-04-26
KR100514713B1 true KR100514713B1 (ko) 2005-09-15

Family

ID=886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728A KR100514713B1 (ko) 2001-10-19 2002-10-18 자동차 안전장치에 사용되는 에어백 팽창용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08202B2 (ko)
EP (1) EP1304267B1 (ko)
JP (1) JP3787115B2 (ko)
KR (1) KR100514713B1 (ko)
BR (1) BR0204236A (ko)
DE (1) DE60238167D1 (ko)
FR (1) FR2831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8567B1 (en) * 1999-11-12 2007-03-13 Zodiac Automotive Us Inc. Gas generation system
US7137341B2 (en) * 2002-05-17 2006-11-21 Zodiac Automotive Us Inc. Distributed charge inflator system
US6886469B2 (en) * 2002-05-17 2005-05-03 Zodiac Automotive Us Inc. Distributed charge inflator system
US7162958B2 (en) 2002-05-17 2007-01-16 Zodiac Automotive Us Inc. Distributed charge inflator system
JP2005239130A (ja) * 2004-02-24 2005-09-08 Takata Corp カスケードインフレータ付きカーテンエアバッグ
DE102004010315A1 (de) * 2004-03-03 2005-09-22 Trw Airbag Systems Gmbh Gaserzeugersystem
FR2875527A1 (fr) * 2004-09-23 2006-03-24 Brink S France Sa Conteneur de transport et de stockage de valeurs
JP4643283B2 (ja) * 2005-01-28 2011-03-0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FR2885583A1 (fr) * 2005-05-12 2006-11-17 Livbag Soc Par Actions Simplif Dispositif de renforcement d'un element creux de carrosserie et procede correspondant
US7413221B2 (en) * 2005-06-27 2008-08-19 Tk Holdings Inc. Airbag apparatus with accumulator
EP2076410A2 (fr) 2006-10-09 2009-07-08 SNPE Matériaux Energétiques Procédé pyrotechnique de génération de gaz a deux régimes - générateur pyrotechnique associé
JP5139212B2 (ja) * 2008-09-09 2013-02-0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CN102642513A (zh) * 2011-02-22 2012-08-22 烟台安泰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内混合式气帘气体发生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3095A (ja) * 1994-12-08 1996-10-01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自動車における安全システムのためのハイブリツドガス発生器
US5967550A (en) * 1997-10-07 1999-10-19 Trw Inc. Staged pyrotechnic air bag inflator
US6145876A (en) * 1998-10-23 2000-11-14 Oea, Inc. Vehicle inflator with stored gas for supplementing inflation
JP2000354756A (ja) * 1999-05-21 2000-12-26 Livbag Snc ハイブリッドガスジェネレータ
WO2001034516A2 (en) * 1999-11-12 2001-05-17 General Dynamics Ots (Aerospace), Inc. Gas gener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3180A (en) 1995-04-24 1997-01-14 Trw Inc. Dual chamber inflator for side impact air bag
US6170867B1 (en) * 1998-01-09 2001-01-09 Autoliv Asp, Inc. Airbag inflation gas generation via a decomposing material with a linear ignition source
FR2799708B1 (fr) 1999-09-24 2001-12-07 Livbag Snc Structure metallique gonflable a chargement pyrotechnique integre
FR2831123B1 (fr) 2001-10-19 2004-07-30 Livbag Snc Dispositif generateur de gaz hybride utilise en securite automobile pour gonfler un coussin de protection later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3095A (ja) * 1994-12-08 1996-10-01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自動車における安全システムのためのハイブリツドガス発生器
US5967550A (en) * 1997-10-07 1999-10-19 Trw Inc. Staged pyrotechnic air bag inflator
US6145876A (en) * 1998-10-23 2000-11-14 Oea, Inc. Vehicle inflator with stored gas for supplementing inflation
JP2000354756A (ja) * 1999-05-21 2000-12-26 Livbag Snc ハイブリッドガスジェネレータ
WO2001034516A2 (en) * 1999-11-12 2001-05-17 General Dynamics Ots (Aerospace), Inc. Gas gener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204236A (pt) 2004-05-25
EP1304267B1 (fr) 2010-11-03
FR2831122B1 (fr) 2004-07-30
JP3787115B2 (ja) 2006-06-21
EP1304267A3 (fr) 2004-11-24
US20030075909A1 (en) 2003-04-24
KR20030032884A (ko) 2003-04-26
JP2003220925A (ja) 2003-08-05
FR2831122A1 (fr) 2003-04-25
DE60238167D1 (de) 2010-12-16
US6808202B2 (en) 2004-10-26
EP1304267A2 (fr) 200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8124A (en) Inflating device for use with vehicle safety systems
US6935655B2 (en) Pyrotechnic inflator for a vehicular airbag system
US6854764B2 (en) Flexible airbag inflator
US4018457A (en) Inflating device for use with vehicle safety systems
US5542702A (en) Pressurized gas inflator for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s
KR100514713B1 (ko) 자동차 안전장치에 사용되는 에어백 팽창용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
US6746046B2 (en) Dual flow inflator for a vehicular airbag system
US7004500B2 (en) Dual stage inflator with extended gas delivery for a vehicular airbag system
EP1075988B1 (en) Inflator with rupturable closure member
US9205802B1 (en) Hybrid inflator device for a passive restraint air bag system
US20050029787A1 (en) Integral initiator assembly for use in inflator devices
EP2321156B1 (en) Inflator for an airbag
KR100513912B1 (ko) 자동차 안전장치에 사용되는 측면 에어백 팽창용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유닛
US6213501B1 (en) Method of improving ballistics by ignition system porting in an airbag inflator
EP0800966A1 (en) Cold deployment pyrotechnic inflator for air bag systems
US6296274B1 (en) Apparatus for inflating a side curtain
US6874813B2 (en) Hybrid gas generator for a side airbag applied to motor vehicle safety
EP1476327B1 (en) Airbelt inflator
US20060091660A1 (en) Center discharge hybrid inflator device
EP1453706B1 (en) Opening device for a cold gas inflator
US6981718B2 (en) Projectile firing barrel
US7213838B2 (en) Inflator
US6883830B2 (en) Pressurized medium for inflator
US20050230948A1 (en) Inflator with weld spatter collection
EP1430946B1 (en) Inflator with a pressurized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