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973B1 -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973B1
KR100513973B1 KR10-2003-0049399A KR20030049399A KR100513973B1 KR 100513973 B1 KR100513973 B1 KR 100513973B1 KR 20030049399 A KR20030049399 A KR 20030049399A KR 100513973 B1 KR100513973 B1 KR 100513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half mirror
computer
information providing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9609A (ko
Inventor
나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Priority to KR10-2003-0049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973B1/ko
Publication of KR20050009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는 컴퓨터 본체와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각종 제어용 실행버튼, 스피커, 모니터(일체형 PC), 카메라, 마이크를 하프미러와 함께 배치 및 실장하여, 실내 거주 공간의 방을 비롯하여 습기가 많은 욕실에 설치가능하며, 벽걸이용 거울 기능과 정보(영상, 소리) 제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는 얼굴인식을 통한 사용자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하고, 음성인식을 통한 화면전환이 가능하며, TTS(Text To Speech : 컴퓨터 기계음)를 통한 쌍방향 대화가 가능하며, 유선형(IEEE802.3)방식 및 무선형(IEEE802.11x)방식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APPARATUS HAVING HALF MIRROR AND COMPUTER INTERFACE FOR PROVID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단말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거울과 같은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프미러는 반만 거울 또는 반투명 거울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아크릴(또는 유리)에 특수처리를 하여 거울과 같은 느낌을 주는 신소재이다.
하프미러는 거울 같은 반사적인 효과 외에도 반투명의 투시감까지 함께 제공하기 때문에 정보통신 및 오디오 제품에 백라이트 조명효과를 발휘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하프미러 액자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목 액자(1)와 하프미러(2)와 스위치(3)와 전원공급장치(4)를 갖는 것으로서, 플러그(5)를 외부전원 콘센트(6)에 연결하여, 스위치(3)를 온/오프 시켰을 때, 하프미러(2) 뒤쪽에 설치된 액정용 백라이트(도시 안됨)가 켜지고 꺼지면서, 백라이트와 하프미러(2) 사이의 OHP 필름(7) 상에 인쇄된 그림이 보였다가 없어진다.
즉, 스위치(3)가 오프 상태에 있을 때는 도 1a와 같이 하프미러(2)가 외부 빛을 반사시켜 거울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스위치(3)가 온 상태에 있을 때는 도 1b와 같이 백라이트가 그림을 하프미러(2) 상에 투영시켜 그림이 디스플레이 되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하프미러 액자는 단순히 거울 기능과 그림 투영 기능만을 제공함으로써, 단순 디스플레이 수단과 거울로서의 역할만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정보 제공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하프미러 액자는 액자 내부에 위치한 정적 또는 동적 영상만을 보여줄 뿐, 다양한 정적 및 동적 영상이나 음성 미디어를 사용자의 취사 선택에 따라 제공하지 못하여 그 효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하프미러 액자는 백라이트를 온/오프 시키는 기능을 제외하고는 하프미러에서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는 어떠한 수단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부재된 상태이다.
또한, 종래의 하프미러 액자는 습기가 없는 실내 공간에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서, 습기가 많은 욕실 등에 사용하기 어려운 결합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 본체와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각종 제어용 실행버튼, 스피커, 모니터(일체형 PC), 카메라, 마이크를 하프미러와 함께 배치 및 실장하여, 실내 거주 공간의 방을 비롯하여 습기가 많은 욕실에 설치가능하며, 벽걸이용 거울 기능과 정보(영상, 소리) 제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정보처리장치를 장착한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를 하프미러의 배면에 결합시키고 케이싱으로 밀폐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스피커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회로적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 제어부,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를 통해서 컴퓨터 단말과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스피커를 기기간 연결을 위한 소정의 통신 규격에 대응하게 접속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정보처리장치란 컴퓨터 단말과, 모니터 또는 모니터 일체형 컴퓨터 단말과, 슬림형 PC 등을 의미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배치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보제공장치의 회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보제공장치의 결합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정보제공장치의 개략적인 작동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는 컴퓨터-모니터 분리형이다.
이런 본 발명의 정보제공장치는 본체부(100)를 포함하여, 실내에 설치된 컴퓨터 단말(610) 및 유선 및 무선 인터넷망(620)에 연결된다.
유선 및 무선 인터넷망(620)에는 본 발명의 정보제공장치와 협동하는 정보제공 웹사이트(630)가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정보제공 웹사이트(630)는 유/무선 웹서버(640)에 의해 운영되는 것으로서, 유/무선 웹서버(640)는 본 발명의 정보제공장치가 디스플레이 할 각종 컨텐츠, 정보, 프로그램 모듈 다운로드용 파일, 소정 데이터 등을 기록/저장/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이들을 무선통신망(이동통신망)을 통해 제공하거나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하기 위한 유/무선 겸용 엔진과, 통상의 이메일-SMS 및 웹서비스 운영 모듈을 장착하고 있다.
정보제공 웹사이트(630)는 본 발명의 정보제공장치를 구매한 소비자를 회원으로 등록시켜 관리하고, 달력 기능, 스케줄 기능, 날씨 온도/습도 기능, 띠별 운세 정보 제공 기능, 뉴스 제공 기능을 본 발명의 정보제공장치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체부(100)는 하프미러(110)와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하프미러(110)의 배면으로 케이싱의 안쪽에 모니터(200), 스피커(210, 211), 인터페이스(300), 인터페이스 제어부(400), 접속부(500), 카메라(700)를 이용한 사용자 화상인식 엔진, 마이크(800)를 통한 음성인식 및 응답모듈을 실장하고 있다.
하프미러(110)는 평상시 거울과 같은 역할을 하고, 모니터(200)의 작동시 모니터(200)로부터 방출되는 빛과 영상을 투영하는 역할을 한다. 하프미러(110)의 일측으로 케이싱의 소정 부위에는 하기의 입력장치모듈과, 컴퓨터의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화상인식프로그램, 사용자별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 음성인식 프로그램, 음성응답 프로그램 등을 실행시키기 위한 푸쉬버튼 방식의 프로그램 실행버튼(351) 또는 입력장치모듈(도시 안됨)과, 모니터 온/오프 버튼의 장착을 위해서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모니터(200)는 하프미러(110)의 중앙에 배치된다. 모니터(200)는 LCD, TFT-LCD 박판 모니터로서, 모니터의 액자 부위인 베젤(bezel)이나 기타 부가적인 케이싱 요소를 모두 제거하여 초경량, 콤팩트 구성을 갖고, 하프미러(110)의 저면에 밀착되어 있는 방수형 매직브라이트 고휘도 완전평면 모니터 모듈이다.
스피커(210, 211)는 하프미러(110)의 저면에서 좌, 우측 상단 모서리에 배치된다. 스피커(210, 211)는 골진동과 같이 하프미러(110)에 직접 진동을 전달하여 소리를 외부로 발생시킴은 물론, 좌, 우측 상단 모서리쪽 케이싱에 형성된 밀폐형 스피커 구멍을 통해서 소리를 전달하도록 되어 있고, 방수형으로 조립되어 있다.
인터페이스(300)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제공 영역을 스크롤하거나 특정 기능을 선택하는 입력장치모듈과 모니터 온/오프 버튼과 컴퓨터 프로그램 실행버튼(351) 또는 터치 스크린 장치 등에 의해 사용자가 컴퓨터 단말(610)과 모니터(2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인터페이스 제어부(400)는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컴퓨터 단말(610)이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로 변환시켜 컴퓨터 단말(610)에 입력시키는 제어수단이다.
접속부(500)는 모니터(200)에 필요한 교류전원과 스피커(210, 211)에 필요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기능과, 각종 기기간 연결을 위한 소정의 통신 규격에 대응하게 컴퓨터 단말(610)과 모니터(200)와 스피커(210, 211)를 접속시키도록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은 회로적 구성을 갖는다.
컴퓨터 단말(610)은 인터넷망(620)을 통해, 메일, 웹서핑, 동영상, 음악, 멀티미디어, 게임 등을 수행하는 통상의 컴퓨터이다. 특히, 본 발명의 컴퓨터 단말(610)은 USB, 직렬통신포트, PS/2, 블루투스(Bluetooth), 이더넷(Ethernet), 패스트이더넷(FastEthernet), IEEE1394a, IEEE1394b, 광케이블, IEEE802.11a, IEEE802.11b, IEEE802.11e, IEEE802.11g 등의 통신 규격을 만족하도록 통상의 유/무선 통신 기술이 집약된 컴퓨터이다.
따라서, 컴퓨터 단말(610)은 상기 언급한 통신 규격의 유선 라인 또는 무선 라인을 통해서 접속부(500)와 연결되어, 정보제공용 데이터를 송,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700)는 하프미러(110)의 외부에 카메라 렌즈를 표출시키고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정면을 촬상할 수 있게 하프미러(110)의 소정 위치에 통공된 결합구멍에 결합되며, 접속부(500)의 카메라 접속모듈(도시 안됨)에 회로적으로 접속되고 컴퓨터 단말(610)에 프로그램적으로 설치된 사용자 화상인식 엔진에 의해 사용된다. 여기에서, 사용자 화상인식 엔진이란 사용자 별로 사용자의 화상 또는 얼굴 관련 기준 데이터를 미리 인덱스화 하는 역할과, 상기 기준 데이터를 컴퓨터 단말(610)의 화상인식 엔진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시키는 역할과, 등록된 화상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를 식별하는 기능과, 사용자별 컨텐츠 제공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의 실행버튼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 화상인식 엔진은 카메라(700)를 통해서 사용자의 얼굴을 촬상한 후, 이를 영상데이터로 임시 저장하고, 상기 인덱스로 등록된 기준 데이터와 촬상한 영상데이터를 상호 비교한 후, 사용자를 인식하거나, 비 사용자임을 판단하고, 본 발명의 정보제공장치 사용 권한을 액세스한다.
여기에서, 사용자별 컨텐츠 제공 기능이란, 사용자가 미리 자신이 원하는 각종 컨텐츠를 선정 및 등록해 놓은 후, 등록된 사용자를 식별했을 때만 상기 등록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일종의 보안적 정보 제공 기능을 의미한다. 이런 사용자 화상인식 엔진은 통상의 화상 인식 솔루션에 의해 달성 가능하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이크(800)도 상기 카메라(700)와 같은 기계 및 전자적 결합방식을 통해서 접속부(500)에 결합 및 접속된다. 이런 마이크(800)를 이용한 음성인식 및 응답모듈은 화자 음성 패턴을 인덱스화하여 음성DB에 저장후, 추후에 입력되는 육성 데이터와 인덱스화한 음성 패턴을 비교하는 통상의 음성인식 솔루션이다.
이런 음성인식 및 응답모듈은 미리 기억된 사용자의 음성 템플릿 또는 음성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육성에 따라 모니터(200) 온/오프 제어, 각종 애플리케이션 작동 명령 입력, 화면 전환 기능 등을 수행함음 물론이고, 응답DB에 미리 저장한 음성인식에 대응한 컴퓨터 기계음 내지 자연음(컴퓨터가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는 형태도 가능함)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을 통해서, USB 타입의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선택하여 본 발명의 정보제공장치의 회로적 연결관계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외부전원(PW)은 전원연결용 접속잭을 통해서, 물리적인 온/오프 동작에 의해 전원을 물리적으로 온/오프 시킬 수 있는 마스터 스위치(560)와 연결된다. 이런 마스터 스위치(560)는 접속부(500)의 전원입력단자(570)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입력단자(570)는 전원출력단자(540)와 전원변환회로(550)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전원출력단자(540)의 출력 쪽 전선은 제1전자스위치(440)를 개재한 상태에서 모니터(200)의 전원입력단(240)과 연결된다. 여기서, 전원입력단(240)은 모니터 회로 시스템(220)에 교류전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모니터 회로 시스템(220)은 USB 접속방식을 지원한다.
전원변환회로(550)는 220V교류전원을 9V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원변환회로(550)의 출력 쪽 전선은 제2전자스위치(450)를 개재한 상태에서 제1스피커(210)의 전원입력단(250)과 연결된다. 여기서, 전원입력단(250)은 제1스피커(210)와 제2스피커(211)에 전원을 직류전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스피커(210)는 신호입력단(220)과 스피커 연결전선(212)을 구비한다. 스피커 연결전선(212)은 제2스피커(211)를 제1스피커(210)에 접속시키고 있다.
제1, 제2스피커(210, 211)는 USB 접속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접속방식의 제품이 사용된다.
한편, 컴퓨터 단말(PC)은 USB 접속잭을 통해서 접속부(500)의 신호입출력단자(510)에 연결된다. 신호입출력단자(510)는 USB 공유회로(520)에 접속되어 있다. USB 공유회로(520)는 제1USB 커넥터(530)를 통해서 모니터(200)의 USB 입력잭(230)과 접속되며, 또한, USB 공유회로(520)는 연결 전선을 통해서 제1스피커(210)의 신호입력단(220)과 접속된다. 또한, USB 공유회로(520)는 제2USB 커넥터(580)를 통해서 인터페이스 제어부(400)의 제3USB 커넥터(480)와 접속된다.
인터페이스 제어부(400)의 제3USB 커넥터(480)는 인터페이스 제어회로(410)에 연결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제어회로(410)는 입, 출력 어드레스를 기준으로 컴퓨터 단말이 프로그램을 선택 및 실행하거나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통상의 컴퓨터 입, 출력 인터페이스 회로 구성을 갖는다. 이런 인터페이스 제어회로(410)는 전자스위치 제어회로(420)와 접속되어 있다. 전자스위치 제어회로(420)는 인터페이스 제어회로(41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언급한 제1, 제2전자스위치(440, 450)를 온/오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타이머(430)를 구비하여 미리 기억된 시간 동안 어떠한 사용자의 입력 신호가 인터페이스 제어회로(410)를 통해 입력되지 않을 때, 미리 기억된 시간 후에 제1, 제2전자스위치(440, 450)를 오프 시키도록 회로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어회로(410)는 제4USB 커넥터(460)를 구비하여, 인터페이스(300)의 제5USB 커넥터(360)와 접속된다.
인터페이스(300)는 제5USB 커넥터(360)를 통해서 입력장치모듈과 모니터 온/오프 버튼과 프로그램 실행버튼에 대응한 통상의 전화기, 키보드, 전자계산기 등에서 사용하는 PCB 스위치 회로(310, 320)를 갖는다. PCB 스위치 회로(310, 320)는 접촉식 좌, 상, 우, 하 방향키(321, 322, 323, 324)와 엔터키(325)와 각종 프로그램 단축키(311, 312, 313)를 구비하여, 좌, 상, 우 하 방향 입력 신호와 선택 신호와 각종 프로그램 단축키 작동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회로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300)는 PCB 스위치 회로(310, 320)를 대신하거나 겸용할 수 있는 통상의 터치입력장치(390)와 터치입력장치 제어회로(391)를 더 구비하여, 인터페이스 제어회로(410)에 좌, 상, 우, 하 방향 입력 신호와 선택 신호와 각종 프로그램 단축키 작동 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카메라(700)는 CCD 센서, 촬상소자 등이 사용되며, 화상을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모듈(710)에 접속되고, 변환모듈(710)은 변환된 데이터를 인덱스화하여 화상인식 엔진DB에 입력시키는 입력모듈(720)에 접속되고, 또한 입력모듈(720)은 회로적으로 인터페이스 제어회로(41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800)는 음성감지 및 데이터 변환모듈(810)을 통해서 인터페이스 제어회로(410)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음성감지 및 데이터 변환모듈(810)은 아날로그 음성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 입력하는 회로이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터치입력장치(390)와 터치입력장치 제어회로(391)에 대응하게, 통상의 음성 인식 및 명령 실행 모듈 내지 리모콘 제어 모듈이 인터페이스(3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인터페이스(300)는 통상의 무선 모니터와 RF모듈 입력장치를 더 구비하여 컴퓨터 단말과 무선 통신을 하도록 통상의 무선 통신 회로로 구성되고, USB코드와 같이 컴퓨터 단말과 연결되기 위한 유선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통해서 본 발명의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체부(100)의 하프미러(110)는 평판의 유리 표면에 통상의 하프미러용 필름, 시트(sheet), 코팅막 등과 같은 하프미러 재질표면(119)이 입혀져 있는 것으로서, 결합구멍에 카메라(700)와 마이크(800)를 장착하고 있다.
입력장치모듈 내지 프로그램 실행버튼(도시 안됨)은 푸쉬버튼식 스위치로서 고무, 부드러운 우레탄, 실리콘 재질로서 배면에 위치한 접점을 갖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PCB 스위치 기판은 케이싱(120)의 일 측 부위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손가락 압력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실행버튼이 눌러질 때,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반구형 접촉부를 변형시켜 접점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입력장치모듈은 좌, 상, 우, 하 방향키와 엔터키로 이루어져서, 좌, 상, 우, 하 방향 입력 신호와 선택 신호와 각종 프로그램 단축키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입력장치모듈 내지 프로그램 실행버튼은 인터페이스(300)의 제5USB 커넥터와 인터페이스 제어부(400)의 제4USB 커넥터(460)를 통해서 인터페이스 제어회로에 입력된다.
한편, PCB 스위치 기판은 어댑터 축(341) 또는 고정볼트에 의해서, 케이싱(12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어부(400)도 고정볼트에 의해서 케이싱(120)의 소정 장착 부위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싱(120)은 마스터 스위치(560)를 어느 한 측면에 고정하고 있다. 이런 케이싱(120)의 내부에는 제3USB 커넥터(480)와 제2USB 커넥터(580)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부(500)가 고정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접속부(500)는 전원연결용 접속잭(590)의 개구 부위를 케이싱(120)의 어느 한 측면에 개방시키도록 결합시키고 있고, 외부 USB 접속잭(591)과 제1USB 커넥터(530)를 결합시키고 있다.
제1USB 커넥터(530)는 모니터(200)의 USB 입력잭(230)과 접속되고, 외부 USB 접속잭(591)은 그의 개구 부위를 케이싱(120)의 어느 한 측면에 개방시키도록 결합시키고 있다.
모니터(200)는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케이싱(120)의 모니터 고정부(124, 125)에 결합되며, 각각의 스피커(210)도 역시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케이싱(120)의 스피커 고정부(122, 123)에 결합된다.
특히, 스피커(210)가 장착되는 케이싱(120)의 양 측면에는 복수의 스피커 구멍(121)이 형성되어 있고, 스피커 구멍(121)은 방수 및 밀폐 처리를 위해서 얇은 필름과 같은 보호막에 의해 덮여져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볼트가 결합된 부위는 실리콘 등의 수밀 부재에 의해서 방수 처리된다.
특히, 케이싱(120)의 테두리 결합부위(127, 128)는 고무 패킹(129)을 개재한 상태에서 하프미러(110)의 고정단(117, 118)에 결합된 후, 고정단(117, 118)의 나사산과 너트가 나사결합될 때, 하프미러(110)의 저면에 기밀하게 밀착된다.
도 5를 통해서, 본 발명의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사용자는 전원코드를 전원연결용 접속잭에 체결하고 마스터 스위치를 온(ON)시켜서, 외부전원에 대응한 작동전원이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 제어부와 접속부에 각각 인가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USB코드를 외부 USB 접속잭에 체결하여, 작동중인 컴퓨터 단말로부터 컴퓨터 출력신호(영상 및 음향)가 모니터 또는 스피커에 전달되게 된다.
우선, 본체부는 일반 벽걸이용 거울과 같이 거울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S10).
이후, 사용자가 모니터 온/오프 버튼을 한번 누를 경우 모니터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모니터가 켜지고, USB코드를 통해서 컴퓨터 단말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가 하프미러 상에 보여지게 된다(S20, S30).
이후, 카메라와 사용자 화상인식 엔진이 작동된다. 사용자 화상인식 엔진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정보)를 미리 화상인식 엔진DB에 등록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화상(얼굴)을 인식하여 사용자임을 구별한다(S40).
이렇게 사용자가 구별된 경우에만, 각종 인터페이스(실행버튼, 음성명령, 터치입력장치 등)가 작동 대기 상태가 되며,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조작에 대응하게 실시간으로 유/무선인터넷 망을 통해 전달되는 컨텐츠 또는 컴퓨터 단말에 미리 저장된 컨텐츠DB의 정보 또는 TV영상 데이터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된다.
물론, 상기 데이터나 컨텐츠는 사용자별로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사용권한이 없는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나 데이터에 접근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사용권한 내에서 사용자는 프로그램 실행버튼을 눌러 버튼에 연결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입력장치모듈을 눌러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제공 영역을 스크롤 하거나 특정 기능을 선택하고, 이에 대응하게 모니터는 각종 프로그램에 대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컴퓨터 단말의 TV수신 카드 및 프로그램을 작동시킬 경우, 모니터에는 TV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고, 스피커에서는 TV영상에 대응한 음향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메일 프로그램 작동용 실행버튼을 누를 경우,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 단말로부터 이메일 내용이 디스플레이 되고, MP3플레이어 프로그램 작동용 실행버튼을 누를 경우, 모니터에서 프로그램이 보여지면서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나 음악이 스피커를 통해 울려 퍼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다른 실행버튼, 입력장치모듈, 음성명령을 통하여 컨텐츠의 다음 항목으로의 이동을 명령할 수 있고, 미리 프로그램화되고 매뉴얼에 설명된 기능에 대해서 명령하거나 지시하여 정보 제공을 받을 수 있게 된다(S50).
한편, 사용자가 모니터 온/오프 버튼을 한번 더 누를 경우 모니터에 전원이 차단되면서 모니터가 꺼지면서, 다시 원래의 거울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정보제공장치는 타이머를 구비하여 미리 기억된 시간 동안 어떠한 사용자의 입력 신호가 인터페이스 제어회로를 통해 입력되지 않을 때, 미리 기억된 시간 후에 제1, 제2전자스위치를 오프 시켜서 모니터와 스피커를 자동으로 끄도록 되어 있다(S60).
한편, 사용자가 모니터 온/오프 버튼을 조작하지 않고, 화상인식 엔진이 비 사용자로 인식한 경우, 모니터와 스피커가 꺼진 상태에서 계속해서 거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70).
또한, 본 발명의 정보제공장치는 통상의 프로그램 제작자에 의해서 제작 가능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서, 사용자가 카메라를 통해서 인식될 때 자동으로 모니터의 전원을 켜거나,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때 모니터를 끄고, 또한 사용자가 아닌 비 사용자일 때 모니터가 켜지지 않게 할 수 있음은 구현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정보제공장치에서 사용자인 아빠가 음성명령을 내릴 경우, 정보제공장치의 화상인식 엔진이 아빠의 입력 화상을 기준으로 사용자임을 판단 후, 사용권한을 부여하고, 이후 음성인식 및 응답모듈이 아빠의 음성명령을 인식하여 '네 아빠(또는 미리 저장한 사용자 이름)'라고 응답을 한다. 이후, 아빠가 음성입력 명령인 '오늘'이란 음성을 발성시킬 때, 이를 인식하여, '오늘'이란 단어에 링크된 컨텐츠를 제공한다.
<제2실시예>
본 실시예는 앞서 실시예와 비교할 때, 모니터-컴퓨터(PC) 일체형 타입으로서, 무선랜 액세스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도면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배치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무선 웹서버(640)에 의해 운영되는 유/무선 웹사이트(630)는 유선 및 무선 인터넷망(620)을 통해서, 가정내 무선 액세스 포인트(610a)에 접속되어 있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610a)는 앞서 언급한 무선 통신 규격, 즉 블루투스, WLAN, IEEE802.11x(여기서 x는 a, b, e, g 등)를 만족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회사, 가정 내부의 내부 통신 인프라와, 디지털 가전 및 디지털 온도 감지 시스템 또는 원격/감시/통제 제어시스템(도시 안됨)과 연동하는 일반적인 홈네트워크 기술을 준수한다.
특히,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하프미러(110)의 배면에 연접하게 결합되고 케이싱에 의해 보호되도록, 일체형 컴퓨터(200a)가 실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일체형 컴퓨터(200a)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610a)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랜 모듈(210a)을 장착한 컴퓨터 본체와, TFT-LCD모니터를 일체형으로 구비한 것으로서, 단독 슬림형 PC가 사용가능하며, 각종 정보를 유/무선 웹사이트(630) 또는 통상의 웹사이트(뉴스 그룹, 사용자 그룹, 월드와이드웹 등)로부터 제공받고 무선랜을 통해 인터넷과도 연동이 되는 컴퓨터 단말을 의미 한다.
이런 일체형 컴퓨터(200a)는 외부전원(6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접속부(500)의 전원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스위치와 전자스위치 제어회로와 타이머 및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자동 및 수동식으로 온/오프 되도록 되어 있다.
제2실시예의 인터페이스는 글래스 터치 스위치와 같은 터치입력장치(390)를 하프미러(110)에 결합시키고 있으므로, 앞서 실시예에서 설명한 버튼의 장착용 장착구멍(111, 112, 113, 114)을 하프미러(110) 상에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더욱 외관상 미려한 하이테크 제품으로 업그레이드되어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는 기본적으로 벽걸이용 거울과 같은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버튼 조작이나 터치 입력을 통해서 컴퓨터 단말의 다양한 영상, 음향 정보를 선택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는 타이머 기능에 의해 일정 시간동안 어떠한 신호 입력이 들어오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거울 기능으로 되돌아가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는 완전 밀폐형 케이싱을 구비하여, 욕실, 수분이 많은 실내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는 컴퓨터 단말의 모든 정보를 영상과 음향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침실, 욕실과 같은 특정 공간에서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는 버튼 입력 방식, 터치 입력 방식, 음성 인식 방식으로 사용이 편리하며, 별도로 리모콘 모듈을 더 구비시킬 경우, 원격지에서 컴퓨터 단말의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욱 더 편리한 거울기능과 정보제공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하프미러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배치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보제공장치의 회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보제공장치의 결합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정보제공장치의 개략적인 작동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배치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부 110 : 하프미러
120 : 케이싱 200 : 모니터
210, 211 : 스피커 300 : 인터페이스
400 : 인터페이스 제어부 500 : 접속부
600 : 외부전원 610 : 컴퓨터 단말
700 : 카메라 800 : 마이크

Claims (8)

  1. 외부전원(6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외부에 설치된 컴퓨터 단말(610)의 출력신호를 받을 수 있게 결합된 모니터(200)를 장착한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200)를 하프미러(110)의 배면에 결합시키고 케이싱(120)으로 밀폐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210, 211)와;
    상기 모니터(200)와 상기 스피커(210, 211)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컴퓨터 단말(610)의 출력신호를 상기 모니터(200)에 출력시키도록 회로적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300), 인터페이스 제어부(400), 접속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200)에 상기 인터페이스(300)의 조작에 따른 소정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컴퓨터 단말(610)이 네트워크(620)를 통해 소정 정보 제공 웹사이트(63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20)의 양 측면에는 상기 스피커(210, 211)가 장착되는 주위에 복수의 스피커 구멍(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피커 구멍(121)이 방수 및 밀폐 처리를 위해 보호막으로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400)는 입, 출력 어드레스를 기준으로 상기 컴퓨터 단말(610)이 소정 프로그램을 선택 및 실행하거나 스크롤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입, 출력 인터페이스 회로 구성을 갖되, 상기 모니터(200)와 상기 스피커(210, 211)를 켜고 끄기 위한 제1, 제2전자스위치(440, 450)와;
    미리 기억된 시간 동안 어떠한 사용자의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 상기 모니터(200)와 상기 스피커(210, 211)의 작동 전원을 단속시키기 위한 타이머(430)를 갖는 인터페이스 제어회로(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300)는 PCB 스위치 회로(310, 320)를 대신하거나 겸용할 수 있는 통상의 터치입력장치(390)와 터치입력장치 제어회로(391)를 더 구비하여, 인터페이스 제어회로(410)에 좌, 상, 우, 하 방향 입력 신호와 선택 신호와 각종 프로그램 단축키 작동 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게 회로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300)는 리모콘 제어 모듈과, 푸쉬버튼 입력장치와, 화상인식용 카메라(700)와, 음성입력용 마이크(800)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하프미러(110)의 배면에 무선랜 모듈(210a)을 갖는 일체형 컴퓨터(200a)를 더 결합시키고 있고, 상기 일체형 컴퓨터(200a)가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610a)와 상기 네트워크(620)를 통해서 정보제공 웹사이트(63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
  8. 삭제
KR10-2003-0049399A 2003-07-18 2003-07-18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 KR100513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399A KR100513973B1 (ko) 2003-07-18 2003-07-18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399A KR100513973B1 (ko) 2003-07-18 2003-07-18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609A KR20050009609A (ko) 2005-01-25
KR100513973B1 true KR100513973B1 (ko) 2005-09-09

Family

ID=3722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399A KR100513973B1 (ko) 2003-07-18 2003-07-18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9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876B1 (ko) * 2005-05-17 2007-06-25 (주)인터랙티비 양방향 트랜잭션이 가능한 가상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그 장치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KR100723094B1 (ko) * 2005-07-12 2007-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력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식별방법
KR100723095B1 (ko) * 2005-07-12 2007-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식별방법
KR200485065Y1 (ko) * 2015-09-14 2017-11-23 장정호 조명 거울
GR20210100225A (el) * 2021-04-02 2022-11-09 Αντωνιος Ιωαννης Τζιτζης Καθρεπτης με προηγμενες λειτουργιες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35U (ja) * 1993-06-30 1995-02-07 正伸 松岡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の表示装置
KR20010074207A (ko) * 2001-04-10 2001-08-04 김진경 적외선센서와 컴퓨터를 구비한 하프거울 장치
KR200297626Y1 (ko) * 2002-06-19 2002-12-12 이명길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이나 전자메일 기능이 부가된화장용 콤팩트
KR20040055486A (ko) * 2002-12-21 2004-06-26 (주)퓨어텍 거울기능을 가지는 모니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35U (ja) * 1993-06-30 1995-02-07 正伸 松岡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の表示装置
KR20010074207A (ko) * 2001-04-10 2001-08-04 김진경 적외선센서와 컴퓨터를 구비한 하프거울 장치
KR200297626Y1 (ko) * 2002-06-19 2002-12-12 이명길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이나 전자메일 기능이 부가된화장용 콤팩트
KR20040055486A (ko) * 2002-12-21 2004-06-26 (주)퓨어텍 거울기능을 가지는 모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609A (ko) 2005-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7858B1 (en) Mobile terminal with rear-surface sensor
TWI410824B (zh) 具有整合顯示元件與輸入元件之模組的電子裝置
CN109683847A (zh) 一种音量调节方法和终端
US8358038B2 (en) Electronic apparatus
CN102790832B (zh) 移动终端装置、功能启动方法
US20050277448A1 (en) Soft buttons on LCD module with tactile feedback
WO2018214742A1 (zh) 摄像头组件及移动终端
KR20220117342A (ko)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513973B1 (ko) 컴퓨터 인터페이스와 하프미러를 갖는 정보제공장치
JP4129003B2 (ja) 電子機器
US20090219683A1 (en) Notebook computer
US7369119B2 (en) Handset device with dual side joystick
US2012026289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depressible and rotatable wheel
US943715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display mode
CN101753896A (zh) 一种可安装应用软件的智能电视机
CN209167840U (zh) 具有音箱功能的智能网关以及智能家居系统
KR101792503B1 (ko)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534641B1 (ko) 미라클 글라스를 이용한 공동현관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9729499U (zh) 用于提供语音服务的开关面板
JP6264590B2 (ja) 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を有するキーボード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アセンブリ
CN209400878U (zh) 智能网关以及智能家居系统
CN215986858U (zh) 一种便携式投影仪
US7299016B2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an adjustable brightness
CN202995545U (zh) 电视电脑一体机
CN107872578B (zh) 终端的操控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与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