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891B1 - 휴대폰의송신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의송신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891B1
KR100513891B1 KR1019960029986A KR19960029986A KR100513891B1 KR 100513891 B1 KR100513891 B1 KR 100513891B1 KR 1019960029986 A KR1019960029986 A KR 1019960029986A KR 19960029986 A KR19960029986 A KR 19960029986A KR 100513891 B1 KR100513891 B1 KR 100513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ontrol
lcd
password
mobile phone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3039A (ko
Inventor
이승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29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891B1/ko
Publication of KR980013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3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8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을 항상 휴대하는 데서 오는 분실 또는 다른 곳에 두었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타인에 의해 도용을 사전을 차단하고자 간단하게 자신만의 송신제어를 이용하여 분실로 인해 오는 피해를 막기 위한 휴대폰의 송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송신제어를 하기 위해 임의의 프로그램이 내장된 칩을 이용하여 기능버튼을 누르면 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LCD상에 표시되는 비밀번호 입력단계와, 상기 비밀번호 입력단계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송신 제어 선택 항목들이 LCD상에 표시되는 송신제어 항목 표시단계와, 상기 송신제어 항목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송신제어 항목 중 임의의 항목을 선택하면, 그 항목에 대한 메시지를 LCD상으로 표시하는 상세 항목 표시단계와, 상기 상세항목 표시단계에서 LCD상에 표시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송신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송신 제어 방법
본 발명은 휴대폰의 송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은 항상 휴대해야 함에서 오는 휴대폰의 분실 또는 다른 곳에 두었을 경우 타인의 도용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간단하게 자신만의 송신제어를 이용하여 분실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폰에서 휴대폰의 송신 제어 기능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 송신제어 기능 버튼을 누르고, 해제시에는 비밀 번호를 입력하면 송신 제어 기능이 해제된다.
그로 인해 평상시 송신이 가능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사용후 매번 자신이 송신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 설정된 버튼을 눌러야 된다.
또한 설정된 송신 차단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 매번 기능버튼을 이용하여 비밀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해제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종래기술은 평상시 송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송신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매번 설정된 기능버튼[FUN+0(L)]을 눌러야 하고, 또한 설정된 송신차단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도 매번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해제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분실, 또는 다른곳에 두었을 경우를 생각해서 매번 송신을 차단하고 해제시키는 것이 번거로움이 생기고, 항상 분실, 또는 남이 도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매번 록(LOCK)을 걸어주고 해제할 수 만은 없게 되고, 그로 인해 다른 장소에 두었다면 송신차단을 못한 상태에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도용 당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폰을 항상 휴대하므로 인해, 분실 또는 다른 곳에 두었을 경우 타인의 도용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간단하게 자신만의 송신제어를 이용하여 분실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휴대폰의 송신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송신제어를 하기 위해 임의의 프로그램이 내장된 칩을 이용하여 기능버튼을 누르면 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LCD상에 표시되는 비밀번호 입력단계와, 상기 비밀번호 입력단계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송신 제어 선택 항목들이 LCD상에 표시되는 송신제어 항목 표시단계와, 상기 송신제어 항목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송신제어 항목 중 임의의 항목을 선택하면, 그 항목에 대한 메시지를 LCD상에 표시하는 상세 항목 표시단계와, 상기 상세항목 표시단계에서 LCD상에 표시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송신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송신 제어 방법에 관련된 동작 흐름도로서,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송신제어를 하기 위해 임의의 프로그램이 내장된 칩을 이용하여 기능버튼을 누르면 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LCD상에 표시되는 비밀번호 입력단계와, 상기 비밀번호 입력단계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송신 제어 선택 항목들이 LCD상에 표시되는 송신제어 항목 표시단계와, 상기 송신제어 항목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송신제어 항목 중 임의의 항목을 선택하면, 그 항목에 대한 메시지를 LCD상으로 표시하는 상세 항목 표시단계와, 상기 상세항목 표시단계에서 LCD상에 표시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송신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 발명의 구성된 동작 및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송신제어를 하기 위해 임의의 프로그램이 내장된 칩을 이용하여 기능버튼을 누르면 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LCD상에 표시되는 비밀번호 입력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비밀번호 입력단계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송신 제어 선택 항목들이 LCD상에 표시되는 송신제어항목 표시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송신제어 항목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송신제어 항목 중 임의의 항목을 선택하면, 그 항목에 대한 메시지를 LCD상으로 표시하는 상세항목 표시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상세항목 표시단계에서 LCD상에 표시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소정의 데이타를 입력하여 송신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송신 제어모드 설정 기능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여 기능키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LCD상에 그에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하라는 메시지에 따라 해당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복수개의 항목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항목을 선택하여 송신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본다.
상기 송신제어 모드 설정 방법을 통하여 송신제어 모드가 설정된 후 사용자는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서 타인의 휴대폰 사용을 방지하며 송신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당 항목 선택 단계에서 5개의 복수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5개의 복수 항목의 리스트는 편의상 항목 ①, 항목 ②, 항목 ③, 항목 ④ 및 항목 ⑤라 명명하며 이는 휴대폰의 해당 각 숫자키를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항목중 ①번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송신하고자 할 경우 항상 맨 앞에 선택한 한자리 번호를 누른후 상대방 전화번호를 누르면 된다.
즉, 예를들면 맨 앞자리에 2번을 선택할 경우 02-45-3243→202-45-3243 맨 앞자리에 0번에 선택할 경우 02-32-4455→002-32-4455를 지역번호 맨앞에 사용자의 선택한 번호를 입력한 후에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송신제어 기능이 설정된다.
상기 복수개의 항목중 ②번호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송신하고자 할 경우 항상 맨 끝에 선택한 한자리 번호를 누른후 상대방 전화번호를 누르면 된다. 즉, 예를들면 끝자리에 5번을 선택할 경우 02-4455→02-44-44555 맨 끝자리에 8번을 선택할 경우 02-432-87258를 지역번호 맨끝에 사용자의 선택한 번호를 입력한 후에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송신제어 기능이 설정된다. 상기 복수개의 항목중 ③번호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임의의 번호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송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에 추가하여 주면 된다.
즉, 예를들면 전화번호 중에 임의의 번호를 추가할 경우,
02-432-8725→02-432-88725로 사용자의 임의의 번호를 추가하여 송신제어 기능이 설정된다.
상기 복수개의 항목중 ④번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전화번호 중에 임의의 번호를 아스트리크(*)으로 변경한다.
즉, 예를들면 02-432-8725→02-432-8*25로 표시하면 송신제어 기능이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일반 유선 전화기에서 사용자 고유의 송신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타인의 사용을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할 때에는 매번 송신 차단에 해제하지 않고도 분실 및 다른 곳에 두었을 경우에도 타인이 휴대폰을 도용할 수 없게 방지하므로 언제든지 사용자가 임의로 송신제어 방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송신 제어 방법에 관련된 동작 흐름도.

Claims (1)

  1.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송신제어를 하기 위해 임의의 프로그램이 내장된 칩을 이용하여 기능버튼을 누르면 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LCD상에 표시되는 비밀번호 입력단계;
    상기 비밀번호 입력단계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제어 선택 항목들이 LCD상에 표시되는 송신제어 항목 표시단계;
    상기 송신제어 항목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송진제어 항목 중 임의의 항목을 선택하면, 그 항목에 대한 메시지를 LCD상으로 표시하는 상세 항목 표시단계;
    상기 상세항목 표시단계에서 LCD상에 표시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소정의 숫자 또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여 송신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제어 모드 설정 후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를 원할 경우에는 상기 설정된 방법을 이용하여 상대방 전화번호를 함께 소정의 자릿수에 기 설정된 소정의 숫자 또는 문자 키를 입력함으로써 송신제어 기능을 해제하는 송신제어용 전화번호 입력 단계
    를 포함하며, 전화통화를 위한 상대방 전화번호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고유의 소정 숫자 또는 문자 키를 함께 입력함으로써 송신제어 해제와 전화통화 기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휴대폰의 송신 제어 방법.
KR1019960029986A 1996-07-24 1996-07-24 휴대폰의송신제어방법 KR100513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986A KR100513891B1 (ko) 1996-07-24 1996-07-24 휴대폰의송신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986A KR100513891B1 (ko) 1996-07-24 1996-07-24 휴대폰의송신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039A KR980013039A (ko) 1998-04-30
KR100513891B1 true KR100513891B1 (ko) 2006-01-27

Family

ID=3717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986A KR100513891B1 (ko) 1996-07-24 1996-07-24 휴대폰의송신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8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626B1 (ko) * 1996-11-30 2004-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의도난경보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450931B1 (ko) * 1997-06-19 2005-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밀번호를 보호하는 전화기 및 그 방법
KR100546635B1 (ko) * 1997-12-12 2006-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에서의유저정보보호방법
KR100716233B1 (ko) * 2005-12-10 2007-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드럼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슈우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308A (ko) * 1991-10-25 1993-05-22 정용문 전화기의 다이알링 방법
KR930017355A (ko) * 1992-01-16 1993-08-30 백중영 복합단말장치의 도용방지장치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308A (ko) * 1991-10-25 1993-05-22 정용문 전화기의 다이알링 방법
KR930017355A (ko) * 1992-01-16 1993-08-30 백중영 복합단말장치의 도용방지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039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91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pting input in non-active mode
KR1006178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자동 잠금 방법
US7414613B2 (en) Method for intermediate unlocking of a keypad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070011461A1 (en) Personal data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handheld devices
KR20020087665A (ko) 개인휴대용 통신단말기의 분실모드에 따른 동작방법
KR100310191B1 (ko) 휴대용단말기의분실/도난상태제어방법
KR100513891B1 (ko) 휴대폰의송신제어방법
CN1801975B (zh) 一种手持装置个人数据安全的加密方法
KR100610894B1 (ko) 스크린 세이버 자동 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228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잠금 및 비상통화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0391217C (zh) 一种移动通信终端的呼出限制设置方法
JP2904052B2 (ja) パスワード照合方式
KR20040100153A (ko)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KR960009921B1 (ko) 키폰 시스템의 내선호출 방법
JP4159069B2 (ja) 無線電話装置
KR100276812B1 (ko) 통신 단말기에서 라스트콜 차단방법
JP3110470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KR20020093426A (ko) 스크린 세이버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잠금기능 설정방법
JPH11308650A (ja) 選択呼出受信機
KR100372296B1 (ko) 메모리 전화기
KR20030048196A (ko) 단전문 메시지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방법
KR100450931B1 (ko) 비밀번호를 보호하는 전화기 및 그 방법
KR970011428B1 (ko) 키폰 전화기의 내선번호 표시방법
KR960009908B1 (ko) 증감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자동 리다이얼 방법
KR19980068857A (ko) 호출기의 부메랑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1111

Effective date: 200504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100440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1111

Effective date: 200504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