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546B1 - Upper tray having a function of a mirror for automobiles - Google Patents

Upper tray having a function of a mirror for automobi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546B1
KR100513546B1 KR10-2002-0080634A KR20020080634A KR100513546B1 KR 100513546 B1 KR100513546 B1 KR 100513546B1 KR 20020080634 A KR20020080634 A KR 20020080634A KR 100513546 B1 KR100513546 B1 KR 100513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installation groove
upper lid
upper tr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6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52421A (en
Inventor
안계영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0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546B1/en
Publication of KR20040052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4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54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러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어퍼 트레이(upper tray)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퍼 트레이의 상단 리드의 개방시 미러(mirror)가 접철 가능하도록 하여 탑승자가 미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10) 상측에 형성되는 수납함(20)과; 상기 수납함(20)을 덮으며 로킹수단(31)에 의하여 고정되며, 내측면에 평면형의 설치홈(32)이 형성된 상단 리드(30)와; 상기 상단 리드(30)의 내측면의 로킹수단(31)이 설치된 측에 힌지(41) 결합되어 상기 설치홈(32)에 설치되는 미러(40)로 구성되어, 상기 상단 리드(30)를 개방시키고, 상기 설치홈(32)에서 힌지(41)를 중심으로 미러(40)를 외측으로 회전시킨 후 수납함(20)의 모서리측에 세움으로써, 미러(40)를 설정하도록 하여, 탑승자가 미러를 사용하고자 할 때 용이하게 세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뒷자리에 탑승한 아동을 관찰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tray of a vehicle having a mirror function, and in particular, to allow a passenger to use a mirror by allowing the mirror to be collapsible when the upper lid of the upper tray is opened. A holder 20 formed above the panel 10; An upper lid 30 covering the holder box 20 and fixed by the locking means 31 and having a flat installation groove 32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The hinge 41 is coupled to the side on which the locking means 31 of the inner side of the upper lid 30 is installed, and is composed of a mirror 40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32 to open the upper lid 30. In the mounting groove 32, the mirror 40 is rotated outward about the hinge 41, and then the mirror 40 is set on the corner side of the storage box 20 so that the occupant can set the mirror 40. When you want to use it to be able to easily set and use, it is to be able to observe the child in the back seat using this.

Description

미러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어퍼 트레이 {Upper tray having a function of a mirror for automobiles} Upper tray having a function of a mirror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미러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어퍼 트레이(upper tray)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퍼 트레이의 상단 리드의 개방시 미러(mirror)가 접철 가능하도록 하여 탑승자가 미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가 미러를 사용하고자 할 때 용이하게 세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뒷자리에 탑승한 아동을 관찰 가능하도록 하는 미러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어퍼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tray of a vehicle having a mirror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llow the occupant to use the mirror by allowing the mirror to be collapsible when the upper lid of the upper tray is open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tray of a car having a mirror function that enables the user to easily set and use the device and to observe the child in the rear seat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수납 공간이 여러 곳 있을 수 있고, 현재 자동차의 실내에는 수납 공간으로, 조수석 전방인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글로브 박스가 설치되어 있고, 조수석 전방인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단에 보통 에어백이 내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그 공간을 수납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In general, the interior of the car may have a number of storage space, the interior of the car is a storage space, the glove box is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of the front passenger seat, the airbag is usually built into the top of the front of the passenger panel If not, the space is used as a storage spa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납 공간으로는 그 공간이 한계가 있어, 핸드폰이나, 가벼운 책자, 지도 등을 수용하기에 부족한 편이다.However, the storage space as described above has a limited space, which is insufficient to accommodate a mobile phone, a light booklet, a map, and the like.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단에 개방된 상태의 수납 공간을 가진 박스 또는 패인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상단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자동차가 급정거를 하거나 급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수납한 물건이 그 공간을 벗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some cases, a box or a hollow space having an open spac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strument panel.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op is open, when the vehicle stops suddenly or rotates rapidly, There was a problem such as the thing leaving the space.

이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근, 인스트루먼트 패널(1)의 상단에 수납함(2)과 후크(3)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단 리드(4)로 구성되는 어퍼 트레이(5)를 구비하여, 수납품을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고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가 출시되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as shown in FIG. 1, an upper tray 5 composed of an upper lid 4 secured by a holder 2 and a hook 3 on an upper end of an instrument panel 1 has been recently used. Is provided with a vehicle that can be stored safely and to improve the beauty of the exterior can be stor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어퍼 트레이는 위치면에서 볼 때,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으나, 현재까지는 단순히 수납공간으로만 사용하였었다.However, the upper tray as described above may have other additional functions in view of its location, but so far it has been used only as a storage space.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어퍼 트레이를 이용하여 상품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어퍼 트레이에 미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가 미러를 사용하고자 할 때 용이하게 세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뒷자리에 탑승한 아동을 관찰 가능하도록 하는 미러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어퍼 트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shortcomings, and to improve the merchandise by using the upper tray, it is possible to set the mirror on the upper tray of the car, so that the passenger can easily set and use the mirro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pper tray of a car having a mirror function that enables the child in the rear seat to be observed using the same.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측에 형성되는 수납함과; 상기 수납함을 덮으며 로킹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며, 내측면에 평면형의 설치홈이 형성된 상단 리드와; 상기 상단 리드의 내측면의 로킹수단이 설치된 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는 미러로 구성되어, 상기 상단 리드를 개방시키고, 상기 설치홈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미러를 외측으로 회전시킨 후 수납함의 모서리측에 세움으로써, 미러를 설정함으로써 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box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An upper lid covering the holder and fixed by a locking means and having a flat installation groove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The hinge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upper lid is installed hinge is composed of a mirror to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the upper lead is opened, the mirror is rotated outwards around the hinge in the installation groove It is achieved by setting the mirror by standing on the corner side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미러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어퍼 트레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상단 리드의 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10) 상측에 형성되는 수납함(20)과; 상기 수납함(20)을 덮으며 로킹수단(31)에 의하여 고정되며, 내측면에 평면형의 설치홈(32)이 형성된 상단 리드(30)와; 상기 상단 리드(30)의 내측면의 로킹수단(31)이 설치된 측에 힌지(41) 결합되어 상기 설치홈(32)에 설치되는 미러(40)로 구성되어, 상기 상단 리드(30)를 개방시키고, 상기 설치홈(32)에서 힌지(41)를 중심으로 미러(40)를 외측으로 회전시킨 후 수납함(20)의 모서리측에 세움으로써, 미러(40)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upper tray of the vehicle having a mirro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upper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ilver, a storage box 2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trument panel 10 of the vehicle; An upper lid 30 covering the holder box 20 and fixed by the locking means 31 and having a flat installation groove 32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The hinge 41 is coupled to the side on which the locking means 31 of the inner side of the upper lid 30 is installed, and is composed of a mirror 40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32 to open the upper lid 30. In order to set the mirror 40 by rotating the mirror 40 outwardly about the hinge 41 in the mounting groove 32 and then standing the corner 40 of the holder 20. It is done.

도 5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로서, 상기 설치홈(32)의 힌지 타측에는 상기 미러(4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돌기(33)를 형성함으로써, 미러(4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돌기(33)에 의하여 설치홈(32)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in the case where the mirror 40 is not used by forming a projection 33 to fix the mirror 40 on the hinge 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32. It is preferable to be fixed to the installation groove 32 by the protrusion 33.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미러(40)의 모서리와 상기 설치홈(32) 사이에는, 미러(40)의 설정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연결로드(42)를 추가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nfigure a connecting rod 42 between the corner of the mirror 40 and the installation groove 32 to fix the set position of the mirror 40. .

또한, 상기 연결로드(42)는 힌지축에 의하여 반으로 접히도록 하여 미러(40)를 설치홈(32)에 수납했을 경우에는 그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rod 42 may be folded in half by the hinge shaft so as not to occupy the space when the mirror 40 is accommodat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32.

한편, 상기 미러(40)는 자동차의 탑승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경미한 충격에 의하여 미러(40)가 깨짐으로 탑승자에게 상해가 가도록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irror 40 is manufactured by using an aluminum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f the occupant of the vehicle,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injury to the occupant due to the breakage of the mirror 40 by a slight impact.

또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설치홈(32)의 하단에는 삽입홈(34)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34)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도록 하여, 미러(40)를 용이하게 설치홈(32)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insertion groove 34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stallation groove 32, so that the finger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4, the mirror 40 is easily installed It may be made to be detachable from the groove 32.

이하, 상기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본 발명의 어퍼 트레이를 사용함에 있어서, 평소에는 수납함(20)에 여러 가지 수납 물품을 보관하고 상단 리드(30)를 로킹수단()에 의하여 닫아서 잠금으로 수납공간으로서 사용한다.In using the upper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torage items are usually stored in the storage box 20, and the upper lid 30 is closed by the locking means and used as a storage space with a lock.

그러다가 경우에 따라 미러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상기 로킹수단()을 해제하여 상기 상단 리드(30)를 연다.In the case where the mirror is to be used in some cases, the upper lid 30 is opened by releasing the locking means.

그런 후에, 상기 상단 리드(30) 내측의 설치홈(32)에 위치하고 있는 미러(40)를 삽입홈(34)을 이용하여 상기 돌기(33)로부터 분리하여 꺼낸다.Thereafter, the mirror 40 locat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32 inside the upper lid 30 is separated from the protrusion 33 by using the insertion groove 34.

상기 상단 리드(30)로부터 일측이 분리된 미러(40)는 힌지(41)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나오게 되는데, 상기 연결로드(42)에 의하여 그 위치가 정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미러(40)의 타측단은 상기 수납함(2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되어 고정되어 이 미러(40)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mirror 40 having one side separated from the upper lead 30 comes out of the center of the hinge 41, and its position is determined by the connecting rod 42. In this case, the other end of the mirror 40 is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holder 20 so that the mirror 40 can be used.

상기 미러(40)를 사용하다가 다시 수납함(20) 내측으로 수납하고자 할 경우에는 미러(40)를 상기 상단 리드(30)의 설치홈(32)에 끼우고 난 후에 상단 리드(30)를 닫음으로 통상의 수납공간으로 사용하는 것이다.When the mirror 40 is to be used and stored in the storage box 20 again, the mirror 40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32 of the upper lid 30 and then the upper lid 30 is closed. It is used as a normal storage space.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bove embodiment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rawings and embodiment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탑승자가 자동차 실내에서 미러를 사용하고자 할 때 용이하게 세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뒷자리에 탑승한 아동을 관찰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n invention having the effect of enabling the passenger to easily set when using the mirror in the car interior, and to observe the child occupied in the rear seat using this.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어퍼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tray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도 2는 본 발명의 미러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어퍼 트레이의 일 실시예를 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upper tray of the vehicle having a mirro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나타내는 사시도,        Indicating perspective,

도 3은 도 2의 개략 단면도,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미러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어퍼 트레이의 상단 리드의 4 is an upper lid of an upper tray of a vehicle having a mirro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       Top view showing the inside,

도 5는 도 2의 A 부분 확대도.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인스트루먼트 패널 20 : 수납함10: instrument panel 20: storage box

30 : 상단 리드 31 : 로킹수단30: upper lead 31: locking means

32 : 설치홈 33 : 돌기부32: installation groove 33: protrusion

34 : 삽입홈 40 : 미러34: insertion groove 40: mirror

41 : 힌지 42 : 연결로드41: hinge 42: connecting rod

Claims (5)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측에 형성되는 수납함과;A storage box formed above 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상기 수납함을 덮으며 로킹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며, 내측면에 평면형의 설치홈이 형성된 상단 리드와;An upper lid covering the holder and fixed by a locking means and having a flat installation groove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상기 상단 리드의 내측면의 로킹수단이 설치된 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는 미러와;A mirror coupled to the side on which the locking means of the inner side of the upper lid is installed and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상기 상단 리드와 미러의 모서리를 연결하여 설치되어, 상기 미러의 설정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연결로드로 구성되어,It is installed by connecting the upper lead and the edge of the mirror, consisting of a connecting rod that can fix the setting position of the mirror, 상기 상단 리드를 개방시키고, 상기 설치홈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미러를 외측으로 회전시킨 후 수납함의 모서리측에 세움으로써, 미러를 설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어퍼 트레이.The upper tray of the vehicle having a mirror function, wherein the upper lid is opened, and the mirror is set by rotating the mirror outwardly about the hinge in the installation groove and standing the corner of the hold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의 힌지 타측에는 상기 미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어퍼 트레이.The upper tray of a vehicle having a mirror func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rojection for fixing the mirror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hinge of the installation groov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의 소재는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어퍼 트레이.The upper tray of an automobile having a mirror func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aterial of the mirror is made of aluminu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의 하단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According to claim 1,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stallation groove, 상기 삽입홈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도록 하여, 미러를 용이하게 설치홈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어퍼 트레이.The upper tray of the vehicle having a mirror function, so that a finger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mirro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installation groove.
KR10-2002-0080634A 2002-12-17 2002-12-17 Upper tray having a function of a mirror for automobiles KR1005135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634A KR100513546B1 (en) 2002-12-17 2002-12-17 Upper tray having a function of a mirror for automobi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634A KR100513546B1 (en) 2002-12-17 2002-12-17 Upper tray having a function of a mirror for automobi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421A KR20040052421A (en) 2004-06-23
KR100513546B1 true KR100513546B1 (en) 2005-09-07

Family

ID=3734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634A KR100513546B1 (en) 2002-12-17 2002-12-17 Upper tray having a function of a mirror for automobi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54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421A (en)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546B1 (en) Upper tray having a function of a mirror for automobiles
JP3748793B2 (en) Vehicle partition device
KR20170112430A (en) Vehicle console arm rest
KR100610376B1 (en) Double foldable rear vanity-mirror for automobile
KR0132163Y1 (en) Armrest for a car
KR0130645Y1 (en) Door armrest for a car
JP3788267B2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structure with glove compartment
JP2004017945A (en) Pocket structure of interior trim
KR100543756B1 (en) Element For Containning The Portable Phone And Card Of Motors
KR200197395Y1 (en) Console bax for a car
KR100267600B1 (en) Lid of a multipurpose cabinet of an automobile
KR100401659B1 (en) Door pocket of automobiles
KR200152927Y1 (en) Collapsible cupholder for a vehicle
JP2004114786A (en) Pocket structure provided in car interior trim part
KR200149000Y1 (en) A console box for an automobile
KR100195518B1 (en) Console box having a foldable cup holder in vehicles
KR19990009961U (en) Rearview mirror with tray
KR19980038931A (en) Instrument panel structure
JP2005145399A (en) Glove box structure for automobile
JP2004196022A (en) Vehicular sunvisor
KR200149566Y1 (en) A trunk room
KR19980036742U (en) Car storage
KR980007585U (en) Console box of car
KR19980062448A (en) CENTER CONSOLE BOX STRUCTURE FOR CAR
JP2001063473A (en) Vehicular opening and closing type po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